제1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서》는 1887년 라자로 자멘호프가 러시아어로 출판한 책으로, 에스페란토라는 국제어의 소개와 학습을 위한 교재 역할을 했다. 이 책은 자멘호프가 "희망하는 박사"라는 필명으로 출판했으며, 곧 폴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로 번역되었다. 《제1서》는 에스페란토의 문법, 어휘, 예시 문장 등을 포함하며, 자멘호프는 이 책을 통해 국제 보조어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언어 학습의 용이성을 제시했다. 초판과 현재 에스페란토 사이에는 단어의 형태와 의미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제1서》는 에스페란토 탄생일의 기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7년 책 - 도덕의 계보
『도덕의 계보』는 프리드리히 니체가 도덕적 가치의 기원을 탐구하며, 귀족적 가치관과 노예 도덕의 대립, 죄책감과 양심의 기원, 금욕주의적 이상 등을 분석하는 저서이다. - 1887년 책 - 예수성교전서
예수성교전서는 1887년 존 로스, 서상륜, 백홍준 등이 공동 번역하여 만주에서 출판된 최초의 신약성경 한글 번역본이며, 초기 개신교 선교와 한글 연구에 기여한 국가등록문화재이다. - 에스페란토 문학 - 안토니 그라보프스키
폴란드의 화학 공학자이자 초기 에스페란토 운동가인 안토니 그라보프스키는 화학 분야에서의 업적과 에스페란토 번역 및 창작 활동을 통해 "에스페란토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에스페란토 발전과 확산에 기여했다. - 에스페란토 문학 - 버기 줄러
헝가리의 에스페란티스토 작가, 시인, 번역가인 버기 줄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시베리아 포로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평화와 인류애를 강조하는 에스페란토 문학 작품을 창작했으며, 특히 시인으로서 두각을 나타내며 에스페란토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제1서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서지 정보 | |
제목 (원어) | Международный языкъ |
제목 (로마자 표기) | Mezhdunarodnyy yazyk |
제목 (한국어 번역) | 국제어 |
저자 | L. L. 자멘호프 |
오디오 (읽는 사람) | 니콜라스 제임스 브리지워터 |
번역가 | Julian Steinhaus (1888년) |
번역가 | Richard H. Geoghegan (1889년) |
번역가 | Henry Phillips Jr. (1889년) |
삽화가 | 해당 없음 |
표지 미술가 | 해당 없음 |
국가 | 해당 없음 |
언어 | 러시아어, 에스페란토 |
시리즈 | 해당 없음 |
발표 번호 | 해당 없음 |
주제 | 에스페란토, 국제 보조어 |
장르 | 해당 없음 |
배경 | 해당 없음 |
출판사 | Chaim Kelter |
출판사 2 | 해당 없음 |
영어 출판일 | 해당 없음 |
출판 장소 | 바르샤바, 러시아 제국, 폴란드 의회 |
미디어 유형 | 해당 없음 |
페이지 수 | 42 |
수상 | 해당 없음 |
ISBN | 해당 없음 |
ISBN 참고 | 해당 없음 |
OCLC | 해당 없음 |
듀이 십진분류법 | 해당 없음 |
의회 도서관 | 해당 없음 |
이전 작품 | 해당 없음 |
다음 작품 | Dua Libro |
위키문헌 (원어) | Международный язык (Заменгоф) |
위키문헌 (영어) | Dr. Esperanto's International Language |
참고 사항 | 해당 없음 |
커버 제외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표지 | |
![]() | |
추가 정보 |
2. 역사
에스페란토를 창안한 라자로 자멘호프는 그레고리력 1887년 7월 26일에 러시아어로 씌어진 《국제어: 서문과 완전 교재》(Международный языкъ: Предисловіе и полный учебникъru)를 출판하였다.[11][12] 자멘호프는 "Doktoro Esperanto|독토로 에스페란토, "희망하는 박사"eo"라는 필명을 썼는데, 이는 곧 그가 창안한 언어의 이름이 되었다. 이 책은 보통 "제1서"(Unua Libroeo)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제1서》와 에스페란토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같은 해 안에 폴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로 번역되었다. 1888년에는 속편인 《제2서》(Dua Libro de l' Lingvo Internaciaeo)가 출판되었고, 1889년에는 《제1서》가 히브리어로 번역되었다. 1887년 초판 영어 번역본은 오역이 많아, 1889년 리처드 게이건(Richard Henry Geoghegan영어)이 새 번역본을 출판했다.[13]
《제1서》의 문법은 훗날 푼다멘토에 수록되었으며, 머리말의 시들은 에스페란토 기본 예문집에 수록되었다. 《제1서》가 처음 출판된 그레고리력 날짜 7월 26일은 '에스페란토 탄생일'(Naskiĝtago de Esperantoeo)로 기념된다.
자멘호프는 1885년 봄에 《제1서》를 완성하고 2년간 출판사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3] 1887년, 장인 알렉산드르 실베르니크는 출판 비용을 지원해 주었고, 자멘호프는 바르샤바에서 출판사 하임 켈터를 찾았다. 켈터는 이 책을 러시아어로 출판했고,[3] 그해 말까지 폴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판도 출판했다.[3]
1905년, 자멘호프는 《제1서》의 내용을 《에스페란토 기초》에 재수록하여 에스페란토의 유일한 의무적 권위로 확립했다.
2. 1. 초판과 현재의 차이
초판에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철자나 의미를 가진 단어들이 일부 존재했다. 예를 들어, sperieo는 현재 esperi|에스페리eo로, vinkieo는 현재 venki|벤키eo로 쓰인다. 시간 상관사 접미사는 초판에서 '-an'이었으나, 이후 '-am'으로 변경되었다.[3]원래 형태 | 현재 형태 | 뜻 |
---|---|---|
speri|스페리eo | esperi|에스페리eo | 희망하다 |
vinki|빈키eo | venki|벤키eo | 승리하다 |
-aneo | -ameo | -때 (ĉiam|참eo (항상), tiam|탐eo (그때) 등) |
단어의 뜻이 바뀐 경우는 다음과 같다.
단어 | 원래 뜻 | 현재 뜻 | 주석 |
---|---|---|---|
erari|에라리eo | 헤매다 | 오류를 범하다 | 오늘날 "헤매다"는 vagi|바기eo |
militi|밀리티eo | 싸우다 | 전쟁하다 | 오늘날 "싸우다"는 batali|바탈리eo |
forko|포르코eo | 쇠스랑 | 포크 | 오늘날 쇠스랑은 forkego|포르케고eo |
stalo|스탈로eo | 강철 | 마구간 | 오늘날 강철은 ŝtalo|슈탈로eo |
ŝtofo|슈토포eo | 물질 | 직물 | 오늘날 물질은 materio|마테리오eo |
vaksi|박시eo | 자라다 | 밀랍(vakso|박소eo)을 칠하다 | 오늘날 "자라다"는 kreski|크레스키eo |
tombi|톰비eo | 떨어지다 | (없음) | 오늘날 tombo|톰보eo(무덤)와 충돌 |
자멘호프가 출판한 《제1서》는 총 40페이지 분량으로, 머리말, 국제어 완전 교재, 에스페란토-러시아어 단어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내용
항목 | 개수 |
---|---|
어근 총수 | 947개 |
고유 명사 | 11개 |
별지에 포함된 어근 | 917개 |
순서가 잘못된 어근 | 10개 |
누락된 어근 | 2개 |
별지에는 없지만 본문에 있는 어근 | 19개 |
또한, "만약 천만 명이 이 서약에 공식적으로 서명한다면, 나는 에스페란토 박사가 제창한 언어를 배우겠습니다."[15]라는 내용의 카드가 8장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친구와 지인에게 배포하여 서명을 받아 바르샤바에 사는 자멘호프에게 보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자멘호프는 이 책에서 언어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고 공유 저작물로 시작한다고 밝혔다.
3. 1. 머리말
Antaŭparoloeo에는 자멘호프가 에스페란토를 창안하게 된 동기와 국제어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이 담겨 있다. 자멘호프는 국제 보조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언어 학습의 용이성, 국제적 의사소통 가능성, 인류의 무관심 극복이라는 세 가지 어려움을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다.[5] 그는 볼라퓌크와 같은 이전의 국제어 시도들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해 실패했다고 지적하며, 에스페란토는 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머리말에는 최초의 에스페란토 텍스트들이 예문으로 수록되어 있는데,[6] 자멘호프가 직접 쓴 두 편의 시도 포함되어 있다.
3. 1. 1. 수록 예문
성서 번역에서는 주님의 기도(마태복음 6:9~13)와 창세기 1:1~10b가 수록되었다.[14] 편지 예문과 함께, 자멘호프의 에스페란토 원작 시 〈나의 생각 (Mia pensoeo)〉과 〈오, 나의 심장이여 (Ho, mia kor’eo)〉, 하인리히 하이네의 시 〈나는 왕녀(王女)에 대한 꿈을 꾸었다〉(Mir träumte von einem Königskindde)[14]의 번역이 실려있다.자멘호프가 에스페란토로 쓴 최초의 문학 작품인 두 편의 시는 오늘날까지도 에스페란토 시 중 가장 유명한 작품으로 꼽힌다. 〈나의 생각〉은 자멘호프가 겪었던 우울한 6년간의 생활을 묘사하고 있다.[16]
Mia pensoeo | 나의 생각 |
---|---|
〈오, 나의 심장이여〉에 대해 스위스 역사가 에드몽 프리바는 마치 "5층을 뛰어 올라가 헉헉거리는 사람"을 묘사한 것 같다고 평했다.[17]
Ho, mia kor’eo | 오, 나의 심장이여 |
---|---|
3. 2. 국제어 완전 교재
6쪽 분량의 〈국제어 완전 교재〉에는 28자의 알파벳과 16조 문법이 수록되어 있다.[14]3. 3. 에스페란토-러시아어 단어집
초판에는 947개의 어근이 수록되었으며, 번역본에는 해당 언어의 단어집이 포함되었다.[14]3. 3. 1. 어근 통계 (러시아어판)
항목 | 개수 |
---|---|
어근 총수 | 947개 |
고유 명사 | 11개 |
별지에 포함된 어근 | 917개 |
순서가 잘못된 어근 | 10개 |
누락된 어근 | 2개 |
별지에는 없지만 본문에 있는 어근 | 19개 |
4. 반응과 유산
《제1서》는 출판 직후 조롱부터 열렬한 관심까지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다.[8] 자멘호프는 수많은 편지를 통해 지지자들을 얻었고, 1888년 1월에 《제2서》, 1889년에 《에스페란티스토》를 출판하며 에스페란토 운동을 이어갔다.[9] 1889년에는 에스페란토 어휘를 확장하기 위해 러시아-에스페란토 및 독일-에스페란토 사전을 출판하고, 《제2서 부록》을 출판하여 언어의 최종 형태를 확립했다.[10]
자멘호프의 "보편적 투표" 운동은 실패했다. 1889년까지 1000명의 서명을 받았는데, 이는 목표했던 1000만 명의 0.01%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스페란토 운동은 계속되었다. 초기 지지자들 중에는 교육받은 러시아와 폴란드 유대인, 레프 톨스토이와 그의 추종자, 동유럽 프리메이슨 회원, 그리고 자신들의 언어에 대한 희망을 잃은 볼라퓌크 사용자 등이 있었다.[10]
참조
[1]
웹사이트
1887: Unua Libro en Esperanto (First Book in Esperanto)
http://www.nationalg[...]
2017-10-19
[2]
웹사이트
La Unua Libro
http://blogs.bl.uk/e[...]
2017-11-16
[3]
논문
2009
[4]
웹사이트
On This Day In History: Unua Libro 'First Book' Describing Esperanto Published – On July 26, 1887
http://www.ancientpa[...]
2016-07-26
[5]
웹사이트
Dr. Esperanto's International Language
http://www.genekeyes[...]
2017-11-16
[6]
논문
2016
[7]
논문
2016
[8]
논문
2009
[9]
논문
2009
[10]
논문
2009
[11]
문서
당시 러시아에서 쓰이던 율리우스력으로는 1887년 7월 14일이다.
[12]
문서
당시에는 에스페란토는 고유 이름 대신 "국제어"로 불리었다.
[13]
서적
An Attempt Towards an International Language by Dr. Esperanto
Henry Holt
1889
[14]
웹사이트
Lyrisches Intermezzo
http://www.textlog.d[...]
[15]
문서
Mi, subskribita, promesas ellerni la proponitan de d-ro Esperanto lingvon internacian, se estos montrita, ke dek milionoj personoj donis publike tian saman promeson.
[16]
서적
Vivo de Zamenhof
[17]
서적
Vivo de Zamenho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