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는 로마 문자의 다섯 번째 글자이며, 그리스 문자 엡실론(Ε, ε)에서 유래했다. 이 문자는 다양한 언어에서 '에' 소리를 나타내며, 영어에서는 여러 발음으로 사용된다. 또한, 수학에서는 자연로그의 밑, 물리학에서는 에너지, 화학에서는 친전자체, 공학에서는 엑사 등의 기호를 나타낸다. 이 외에도 16진법에서 숫자 14를 의미하며, 음악, 컴퓨터, 기타 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음자 - U U는 라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로, 주로 후설 원순 좁은 모음 /u/ 소리를 내지만, 언어에 따라 /y/나 다양한 발음으로 사용되며, 세미트 문자 와우에서 기원하여 웁실론을 거쳐 라틴 알파벳에 정착했고, V와 함께 쓰이다가 17세기 이후 분리되었으며, 우라늄 기호, 합집합 기호, 랙 유닛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모음자 - Y Y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셈어 문자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문자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도입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모음과 자음으로 모두 사용되며 여러 분야에서 기호나 약자로 활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라틴 문자 'E'는 그 기원이 되는 그리스 문자 엡실론('Ε')과 형태가 거의 같다. 엡실론은 셈족 문자 헤(hê)에서 유래했는데, 이 '헤'는 기도하거나 소리 내어 부르는 사람의 모습('hillul', '환희'를 의미)을 본뜬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또한, 발음은 다르지만 형태가 유사한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셈어에서 이 문자(헤)는 /h/ 발음을 나타냈고 (외래어에서는 /e/ 발음), 그리스어에서는 /e/ 발음을 나타내는 문자 엡실론이 되었다. 이후 고대 이탈리아 문자와 라틴 알파벳도 이러한 그리스 문자의 사용법을 따랐다.
라틴 문자 'E'는 그 기원인 그리스 문자 엡실론(Epsilon) 'Ε'와 거의 차이가 없다. 이는 다시 셈족 문자 ''hê''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기도하거나 부르는 사람의 모습(''hillul'', '환희')을 나타내는 그림 문자에서 시작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발음이 다른 유사한 이집트 상형문자를 기반으로 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1]
셈어에서 이 문자는 /h/(그리고 외래어에서 /e/)를 나타냈고, 그리스어에서 ''hê''는 /e/를 나타내는 문자 엡실론(Epsilon)이 되었다. 고대 이탈리아 문자와 라틴 문자의 다양한 형태는 이러한 용례를 따랐다.[1]
로마자 E 필기체
로마자 E 주테를린체
로마 문자 E는 대문자와 소문자의 모양이 다르다.
# '''대문자 (E)'''는 세로선의 위쪽 끝, 아래쪽 끝,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선이 뻗어 나온 모양이다. 필기체에서는 처럼 위쪽 반원과 아래쪽 반원을 각각 원호를 그리며 한 획으로 쓴다(중간선은 돌려서 두 번 쓴다). 프락투르체에서는 와 같다.
# '''소문자 (e)'''는 대문자를 둥글게 하여(Є), 위쪽과 중간 선을 오른쪽에서 연결한 모양이라고 할 수 있다. 불완전한 원과 이것을 가로지르는 직선이며, 원은 직선과의 오른쪽 교점 아래가 약간 비어 있다. 직선은 오른쪽 위로 쓰이기도 한다. 또한 필기체에서는 원과 하나로 연결된 곡선으로 쓰인다. 프락투르체에서는 이다.
3. 언어별 용법
알파벳 'E'는 다양한 언어에서 각기 다른 발음과 용법으로 사용된다. 국제음성기호(IPA)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e] 또는 이와 유사한 소리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많은 언어에서 'e'는 [e], [e̞], [ɛ] 또는 이들의 변형된 소리(예: 비음화된 소리)를 나타내며, 종종 발음 구분을 위해 분음 부호가 추가된 형태(예: ê, é, è, ë, ē, ĕ, ě, ẽ, ė, ẹ, ę, ẻ)로 사용되기도 한다. 프랑스어, 독일어, 사니치 방언 등 일부 언어에서는 드물게 중앙 중모음 [ə]를 나타내기도 한다.
'e'를 포함하는 이중자음은 특정 이중모음이나 단모음을 나타내는 데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영어의 'ea'나 'ee'는 주로 /iː/ 또는 /eɪ/ 소리를, 독일어의 'ei'는 /aɪ/ 소리를, 프랑스어의 'eu'는 /ø/ 소리를, 독일어의 'eu'는 /ɔɪ/ 소리를 나타낸다. 또한 여러 언어에서 강세가 없거나 특정 위치에 올 때 약모음으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아래는 주요 언어별 'e'의 대표적인 발음이다. 상세한 내용은 각 언어별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음악가 마크 올리버 에버렛(Mark Oliver Everett영어) (이일즈의 보컬)이 사용하는 이름.
일본의 걸즈 밴드 ZONE의 베스트 앨범: E 〜Complete A side Singles〜
일본의 가수 오쿠다 타미오의 앨범: E (오쿠다 타미오의 앨범)
일본의 록 밴드 아시안 쿵푸 제너레이션의 곡 (앨범 '君繋ファイブエム' 수록)
안드로이드 기반 운영 체제: /e/ (운영 체제)
3. 1. 한국어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한글 모음 ㅔ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문화관광부 2000년식 표기법에서는 'o'나 'u' 앞에 'e'를 붙여 ㅚ(oe)나 ㅞ(we)와 같은 다른 모음을 표기하기도 한다.
3. 2. 영어
영어에서 이 글자의 이름은 "긴 E"(Long E)라고 하며, /iː/ 와 같이 발음된다. 다른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그 이름이 개방음절에서의 글자 발음과 일치하지만, 영어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영어 철자법에서 'e'는 다양한 소리로 발음될 수 있다. 대표적인 발음으로는 /ɛ/ (예: ''met'', ''bed''), /iː/ (예: ''me'', ''bee''), /ə/ (슈와, 예: ''taken''), /ɜː/ (예: ''herd''), /ɪə/ (예: ''near'') 등이 있다.
중세 영어 철자에서는 긴 모음과 짧은 모음을 모두 나타내는 데 'e'를 사용했다. 하지만 대모음 변화라는 역사적 음운 변화를 거치면서, 긴 /eː/ 소리(예: ''me'' 또는 ''bee'')는 /iː/로 변화했고, 짧은 /ɛ/ 소리(예: ''met'' 또는 ''bed'')는 중모음으로 유지되었다.
강세가 없는 음절에서는 이 글자가 일반적으로 /ɪ/ 또는 /ə/로 약화되어 발음된다. 다른 경우에는 단어 끝에서 묵음 e(silent e)가 되는 것이 흔하며, 예를 들어 ''queue''와 같은 단어의 마지막 'e'는 발음되지 않는다. 또한 '모음+자음+e' 철자 구조에서는 앞의 모음을 길게(문자 이름대로) 읽고 마지막 e는 발음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e'를 포함하는 이중자음은 특정 이중모음이나 단모음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ea' 또는 'ee'는 영어에서 주로 /iː/ 또는 /eɪ/ 소리를 나타낸다.
영어 단어 "are"의 경우, 철자와는 다르게 영국 영어에서는 /ɑː/, 미국 영어에서는 /ɑːr/로 발음되는 특이한 사례도 존재한다.
3. 3. 프랑스어
프랑스어에서 'e'는 주로 /ə/, /ɛ/, /e/ 등으로 발음된다. 프랑스어에서는 이들 발음과 약모음을 구분하기 위해 악상 기호(é, è, ê 등)를 사용하기도 한다. 드물게는 중앙 중모음 /ə/를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악상이 없는 'e'가 단어 끝에 올 경우, 철자상으로는 음절을 구성하지만 실제 발음에서는 묵음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시 등에서는 발음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illustre'라는 단어는 철자상 'il-lus-tre'의 3음절로 나뉘지만, 발음은 /i-lystr/와 같이 2음절로 소리 난다. 또한, 단어 끝의 'e'는 다른 모음이 앞에 있을 때 묵음이 되는 경향이 있다.
'e'가 포함된 특정 조합은 다른 소리를 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eu'는 /ø/ 소리를 내며, 'en'이나 'em' 뒤에 다른 자음이 오거나 단어 끝에 올 경우, 비음화되어 /ɑ̃/(비원순후설광비음)와 유사한 소리로 발음된다.
3. 4. 독일어
독일어에서 'E'는 주로 ɛ, eː로 발음되며, 드물게는 중앙 중모음 ə(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일부 표기에서는 e 발음도 나타난다.
모스 부호에서 E는 가장 짧은 부호인 점 하나(·)로 표기되는데, 이는 E가 영어 알파벳과 여러 다른 유럽 언어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문자이기 때문이다. 즉, 타전하기 편하도록 가장 짧은 부호를 할당한 것이다.[7] 이러한 높은 빈도는 암호화나 데이터 압축과 같은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특정 문자를 사용하지 않고 글을 쓰는 리포그램에서는 E를 사용하지 않기가 더 어렵게 만든다.
au by KDDI의 법인 대상 CDMA 1X WIN 단말기는 모델명이 "E"로 시작한다.
프랑스어에서는 어미에 e를 붙이면 여성형이 된다. 예를 들어, 남자의 약혼자는 fiancé프랑스어, 여자는 fiancée프랑스어가 된다. 이 e를 붙이기 위해 조정하여 변화하는 경우도 있다: 남성 이름 장은 Jean프랑스어, 여성 이름 잔은 Jeanne프랑스어. 남성 이름 앙투안은 Antoine프랑스어, 여성 이름 앙투아네트는 Antoinette프랑스어.
접지극 부착 콘센트. 구내 전기 설비 배선용 도표 기호(JIS C 0303:2000)에서 사용된다.
[1]
사전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1-01
[2]
웹사이트
Letter frequencies
https://www.bckelk.o[...]
2022-02-02
[3]
웹사이트
Relative Frequencies of Letters in General English Plain text
https://web.archive.[...]
Central College
2008-06-25
[4]
웹사이트
Frequency of Occurrence of Letters in Spanish
https://web.archive.[...]
Santa Cruz Public Libraries
2008-06-25
[5]
웹사이트
Frequency of Occurrence of Letters in French
https://web.archive.[...]
Santa Cruz Public Libraries
2008-06-25
[6]
웹사이트
Frequency of Occurrence of Letters in German
https://archive.toda[...]
Santa Cruz Public Libraries
2008-06-25
[7]
논문
Letter Frequency Analysis of Languages Using Latin Alphabet
https://j.ideassprea[...]
2018-03-26
[8]
웹사이트
L2/04-132 Proposal to add additional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9]
웹사이트
L2/06-036: Proposal to encode characters for Ordbok över Finlands svenska folkmål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0]
웹사이트
L2/20-252R: Unicode request for IPA modifier-letters (a), pulmonic
https://www.unicode.[...]
2020-11-08
[11]
웹사이트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2]
웹사이트
L2/06-215: Proposal for Encoding 3 Additional Characters of the Uralic Phonetic Alphabet
https://www.unicode.[...]
2018-03-24
[13]
웹사이트
L2/04-191: Proposal to encode six Indo-Europeanist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4]
웹사이트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5]
문서
JIS X0210-1986 情報交換用文字列による数値表現
http://kikakurui.com[...] [16]
웹사이트
東西で違うどん兵衛の味
http://www.nissinfoo[...]
日清食品
2012-09-17
[17]
문서
ここで言う電子化とは、デジタルデータを作る業務的、経営的、社会的な過程の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