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인은 몽골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8세기 당나라 기록에 처음 등장했다. 칭기스칸 시대에 몽골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을 포괄하는 용어로 발전했으며, 몽골 제국 건설 이후 유라시아 각지에 정착했다. 몽골인의 기원은 동호족의 실위로 거슬러 올라가며, 흉노족과 돌궐족의 혼혈 민족으로 알려져 있다. 몽골 제국 멸망 이후 몽골인들은 북원, 내몽골, 외몽골 등으로 분화되었고, 청나라 시대에 외번몽골, 내속몽골, 몽골팔기로 나뉘어 통치받았다. 현재는 몽골, 중국(내몽골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러시아 등에 거주하며, 몽골어족 언어를 사용한다. 몽골의 주요 종교는 티베트 불교이며, 유목 생활과 게르(이동식 주거)를 중심으로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족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 몽골족 - 거란
거란은 선비족의 후예로 추정되는 유목 민족으로, 야율아보기에 의해 요나라를 건국하여 동아시아 강자로 부상했으나 금나라에 멸망하고 일부는 서요를 건국하기도 했으나 몽골 제국에 흡수되었다. - 몽골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몽골의 민족 - 퉁구스족
퉁구스족은 만주 북동부 또는 아무르 강 유역을 기원으로 시베리아와 만주 지역에 분포하며 퉁구스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에벤키족, 에벤족, 만주족 등을 포함하는 민족 집단으로, 다양한 생업 방식과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나 현재 언어와 문화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민족에 관한 - 범이슬람주의
범이슬람주의는 인종과 민족을 넘어 전 세계 무슬림의 단결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이슬람의 가르침과 초기 칼리파 시대를 이상으로 삼으며, 역사적으로는 18세기부터 이슬람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나타나 근대적 형태로 발전했다. - 민족에 관한 - 앵글로색슨족
앵글로색슨족은 5세기경 브리튼 섬에 정착한 게르만족 앵글족, 색슨족, 주트족으로 형성된 민족 집단으로, 고대 영어를 사용하며 여러 소왕국을 건설하고 웨섹스 왕국으로 통일되었으나, 노르만 정복 이후 지배가 종식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와 문화는 현대 영어와 영국 문화의 기반이 되었으며, "앵글로색슨" 용어는 영어권 국가들과 문화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역사적 정확성과 정치적 함의에 대한 논란이 있다.
몽골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민족 이름 | 몽골인 |
로마자 표기 | Mongolchuud |
몽골 문자 표기 | ᠮᠣᠩᠭᠣᠯᠴᠤᠳ |
중국어 표기 | 蒙古族 (Ménggǔ zú) |
러시아어 표기 | Монголы (Mongoly) |
총 인구 | 약 1000만 명 ~ 1100만 명 |
분포 지역 | |
중국 | 6,290,204 |
몽골 | 3,046,882 |
러시아 | 651,355 |
대한민국 | 37,963 |
일본 | 20,416 |
미국 | 19,170 |
키르기스스탄 | 12,000 |
체코 | 10,236 |
캐나다 | 9,090 |
카자흐스탄 | 7,218 |
오스트레일리아 | 5,538 |
독일 | 3,972 |
스웨덴 | 3,951 |
프랑스 | 3,102 |
튀르키예 | 2,716 |
오스트리아 | 2,658 |
언어 | |
주요 언어 | 몽골어 만다린 중국어 (중국) 러시아어 (러시아) |
종교 | |
주요 종교 | 주로 티베트 불교 |
소수 종교 | 몽골 샤머니즘 (텡그리교) 동방 정교회 개신교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몽골계 민족 |
역사적 인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 |
기원 발상 | 할하부 |
관련 민족 | 멍구족 다우르족 부랴트족 투바인 |
2. 명칭
'몽골'이라는 명칭은 8세기 당나라 기록에 처음 등장하며, '몽올실위', '몽와' 등으로 표기되었다.[165] 요·금시대에는 '맹고(萌古)'[168], '맹골(萌骨)'[169], '몽골(朦骨)'[170] 등으로 표기되다가 12세기 말경에 '몽고(蒙古)'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13세기에 "몽골"이라는 단어는 칭기스칸의 지배하에 통합된 많은 몽골어를 사용하는 부족들을 포괄하는 용어로 발전했다.[13]
몽골이라는 민족명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몽크헤-텐그리-갈(Mongkhe-tengri-gal, "영원한 하늘의 불")에서 변화되었다는 설;[14]
- 돌궐 시조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 중국어 자료에는 木骨閭|무굴류중국어(Mùgǔlǘ, 중국 중세음 *muwk-kwot-ljo)로 음역되었다.[15]
- 라시드 앗딘의 『집사』에는 “몽골은 소박하고 연약하다는 의미”라고 기록되었다.
- 몽골어로 ‘몽(mong, 강한・용맹한)’과 ‘굴(gul, 사람)’에서 유래했다는 설[131]
- ‘무뉴(mungu, 은)’의 의미라는 설[132]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에서 사용하는 몽골 문자 표기는 “”이고, 몽골국에서 사용하는 키릴 문자 표기는 “Монголmn Mongol”이다.
3. 역사
여러 시대에 걸쳐 몽골계 민족은 스키타이, 막고막, 퉁구스족과 동일시되었다. 중국 역사 기록에 따르면 몽골계 민족의 조상은 동몽골과 만주 지역을 차지했던 유목 연맹인 동호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동호는 흉노와 이웃했으며, 흉노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진행 중이다. 일부 학자들은 흉노가 초기 몽골인이었다고 주장하지만, 몽골계와 튀르크 부족의 다민족 집단일 가능성이 더 높다.[16] 훈족의 언어가 흉노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7]
동호는 중국 역사서에서 몽골계 부족과 왕국(선비족, 우환족)의 조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 몽골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역사 기록에서는 특정 부족(예: 거란족)이 흉노-동호 혼혈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20][21]
오늘날 몽골인의 전신은 동호족 계통의 몽올실위이며, 흉노족, 돌궐족의 혼혈 민족이다.
"몽골"이라는 이름은 7세기에 중국 역사서에 실위의 일부 부족으로 처음 등장하며, "몽우실위(蒙兀室韋)"[136], "몽와부(蒙瓦部)"[137]라는 한자로 기록되었다.[135] 11세기에는 요나라에 "맹고국(萌古國)"이라는 이름으로 조공을 바쳤다.[138]
금나라 시대, 카불 칸은 금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과정에서 죄를 짓거나 타타르 부족과 갈등을 빚었다. 암바가이 칸은 금나라에 의해 처형당했다. 쿠트라 칸은 암바가이 칸의 복수를 위해 금나라를 공격하여 승리하고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 쿠트라 칸 이후 칸 자리는 공석이 되었고, 예수게이가 여러 부족을 통합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139][140][141][142]
예수게이의 아들 칭기스 칸(테무친)은 1206년에 주변 부족들을 통합하여 칭기스칸으로 즉위하고 몽골 제국(예케 몽골 울루스)을 건국하였다.[143] 몽골 제국은 몽골 고원을 통일한 후 주변 국가들을 병합하여 동쪽으로는 동해, 서쪽으로는 폴란드·헝가리, 남쪽으로는 티베트·이란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였다.[143] 그러나 14세기 초, 몽골 제국은 동아시아의 원나라, 남러시아의 킵차크 칸국, 서아시아의 일 칸국(훌레구 울루스), 중앙아시아의 차가타이 칸국(차가타이 울루스)으로 분열되었다.[143]
1368년 명나라에 의해 원나라가 멸망한 후, 몽골족은 몽골 고원으로 후퇴하여 북원을 세웠다. 14세기 후반 오이라트가 보르지긴 족 군주 아래 동몽골을 위협하기 시작하면서 몽골은 서몽골(오이라트)과 동몽골(할하, 내몽골, 바르가 몽골, 부랴트)로 나뉘었다.[48]
할하는 다얀 칸(1479~1543) 통치 시대에 동몽골 민족의 여섯 투멘 중 하나로 등장했다.[50][51] 몽골은 동몽골 투멘 자사그트 칸 통치(1558~1592) 기간 동안 마지막으로 자발적으로 재통합되었다.
17세기 동몽골은 외몽골(할하), 내몽골(내몽골), 시베리아 남부의 부랴트 지역으로 나뉘었다.
마지막 몽골 카간은 17세기 초 리그단 칸이었다. 그는 중국 도시 약탈을 둘러싸고 만주족과 갈등을 빚었고, 대부분의 몽골 부족들을 소외시켰다. 1618년 리그단은 만주족의 공격으로부터 북쪽 국경을 보호하는 대가로 명나라와 조약을 체결했다. 1620년대에는 차하르만이 그의 통치 아래 있었다.
차하르 군대는 1625년과 1628년 리그단의 잘못된 전술 때문에 내몽골과 만주 군대에 패배했다. 청나라는 1635년까지 내몽골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고, 리그단은 티베트 겔룩파(황모파) 세력과 싸우기 위해 이동했다. 겔룩파는 만주를 지지했지만, 리그단은 카규파(적모파) 티베트 불교를 지지했다. 리그단은 1634년 티베트로 가는 도중 사망했다. 1636년까지 대부분의 내몽골 귀족들은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했다. 텐기스 노얀은 1640년대에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켰고, 할하는 수누드를 보호하기 위해 싸웠다.
청나라에 복속한 몽골 민족은 외번몽골, 내속몽골, 몽골팔기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 '''외몽골'''과 '''내몽골'''은 19세기 후반 중국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청나라의 제도와는 별개로 베이징을 기준으로 고비사막을 경계로 하여 몽골 초원을 지리적으로 "내"와 "외"로 구분하는 개념이다.
서몽골 오이라트와 동몽골 할하는 15세기부터 몽골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했고, 이 갈등은 몽골의 힘을 약화시켰다. 1688년 서몽골 준가르 칸국의 왕 갈단 보슈그투는 할하를 공격했고, 할하-오이라트 전쟁이 시작되었다. 할하는 1691년 잔바자르의 결정에 따라 청나라에 복속되어 몽골 전체가 청나라의 지배하에 놓였지만, 1696년까지는 사실상 갈단 보슈그투 칸의 지배를 받았다.
갈단 보슈그투는 할하 군대를 물리친 후 내몽골을 "해방"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고, 내몽골 귀족들에게 몽골 독립을 위해 싸우라고 촉구했다. 갈단이 동몽골에서 싸우는 동안 그의 조카 체벤랍단이 1689년 준가르의 칸 자리를 빼앗았고, 이 사건은 갈단이 청나라와 싸우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러시아와 청나라는 이 쿠데타를 지지했다. 갈단 보슈그투의 군대는 1696년 청나라 군대에 패했고, 그는 1697년에 사망했다.
청나라는 1720년대에 상몽골 또는 오이라트의 호슈트 칸국을 정복했고, 8만 명이 사망했다.[54] 준가르 칸국은 지도자들과 군 지휘관들의 갈등으로 인해 1755년에서 1758년 사이에 청나라에 의해 정복되었다.
티베트 고원 중앙부에 거주하며 "칠십구족"이라 불린 유목민 집단에는 원나라 문종의 후예라고 자칭하는 홀족 등 몽골계 집단이 포함되어 있다.
장목(張穆)이 저술한 『몽고유목기(蒙古游牧記)』에는 내몽골 6맹 49기(內蒙古六盟四十九旗), 외몽골 할하 86기(外蒙古ハルハ八十六旗)가 기록되어 있다.[155]
맹(盟) | 부족 |
---|---|
제림맹(哲里木盟) | |
조소토맹(昭乌达盟) | |
조오다맹(卓索图盟) | |
실링골맹(锡林郭勒盟) | |
우란차브맹(乌兰察布盟) | |
이프 조맹(伊克昭盟) | |
체첸 칸부(チェチェン・ハーン部) | 이하 23기 |
토셰토 칸부(トシェート・ハーン部) | 이하 20기 |
사인 노얀부(サイン・ノヤン部) | 이하 24기 |
자사크토 칸부(ジャサクト・ハーン部) | 이하 19기 |
알라샹 오르토트 부 | |
에지네 투르구트 부 | |
칭하이 지역 | |
호브드 지역 | |
신장 지역 | |
와 알타이누르 우량카이 |
20세기 초 청나라가 붕괴되자, 외몽골은 보그드 칸 정권을 수립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청나라의 지배가 비교적 느슨했던 북몽골에서 먼저 보그드 칸 정권이 수립되었고, 이들은 러시아 제국에 원조를 요청했다.[66] 내몽골은 중국에 귀속되었으나, 몽골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독립을 유지했다. 1924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이는 현재의 몽골로 이어졌다. 10월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된 러시아의 지원으로, 북몽골은 러시아 내전을 이용하여 침입한 중화민국군과 백군(白軍)을 몰아내고 다시 독립했다. 보그드 칸 사후 공산주의 국가인 몽골 인민 공화국이 건설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몽골국이 되었다. 한편, 남몽골의 여러 부족들은 통일이나 자주 독립을 추진했지만, 몽골 인민 공화국으로부터 거부당했고, 우란후의 회유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남아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가 되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청해성의 오이라트는 중화인민공화국 성립과 함께 몽골족으로 인정받아 중화민족의 일부가 되었다.
3. 1. 기원
탁발선비가 원거주지인 알선동을 떠난 뒤 실위가 출현할 때까지 북방 종족의 대규모 이동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실위는 서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남은 탁발선비의 잔여 세력으로, 탁발선비와 기본적으로 같은 계통이라 할 수 있다.[164] 실위 중 몽골족의 선조인 몽올실위는 《구당서》와 《신당서》 등에 기술된 20부 실위의 하나였다.[165] 이들은 본래 다싱안링 서쪽, 아르군 강부터 아무르 강(헤이룽강) 상류의 산림과 초원이 교차하는 지역에 거주했다. 9세기 중엽 위구르 제국 붕괴를 계기로 실위인들이 대이동할 때, 몽올실위도 수렵과 유목이 가능한 헨티 산맥의 오논 강 유역으로 이동했다.[172]라시드 앗딘은 몽골족이 에르구네를 기반으로 성장했으며, 이는 몽올실위가 에르구네 일대에 거주했다는 한문 기록과 일치한다고 설명한다.[167] 몽골이라는 명칭은 《구당서》에는 ‘몽올(蒙兀)’, 《신당서》에는 ‘몽와(蒙瓦)’로 처음 나타나며, 당시 음운 통례상 올(兀)과 와(瓦)는 같은 음이다. 요·금시대 한문 문헌에는 ‘맹고(萌古)’[168], ‘맹골(萌骨)’[169], '몽골(朦骨)'[170] 등으로 표기되다가 12세기 말경에 ‘몽고(蒙古)’로 표기되기 시작한다. 《몽골비사》는 칭기스칸의 조상 부르테 치노와 고아 마랄이 ‘텡기스(Tengis)’를 건너와 오논 강 발원지인 부르칸 칼둔에 정착했다고 기록한다. 여기서 ‘텡기스’는 튀르크어로 바다를 의미하지만, 내륙의 바다는 호수일 가능성이 크다. 몽골인들은 큰 호수를 ‘달라이(Dalai)’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 ‘텡기스’는 ‘쿨룬호’일 가능성이 높다.[171] 다싱안링 서쪽 에르구네(아르군 강)와 훌룬 부이르 초원에 거주하던 몽올실위가 몽골의 직접 조상이 된다는 것이 여러 사료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172]
840년 위구르 제국 멸망은 몽올실위를 비롯한 실위인들의 몽골리아 진출을 용이하게 했다. 이주한 실위인들은 튀르크와 위구르의 선진 문화와 유목 경제를 흡수하여 큰 변화를 겪었다. 이는 실위인들이 싱안링 서쪽 에르구네하 일대에서 수렵, 목축, 농경을 하던 경제에서 기마 양 유목경제로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유목경제로의 전환은 안정적인 생산을 보장하여 수렵민을 유목민으로 만들었고, 이들의 기마 양 유목민화는 몽골 초원의 새로운 변화를 예고했다. 몽골 초원에서 기마 양 유목민으로 전환한 몽올실위는 향상된 기동력을 바탕으로 부족 전쟁을 통해 강력한 세력으로 급부상했다. 이후 몽올실위를 주체로 실위인들이 점차 몽골족으로 응집되었고, 싱안링을 포함해 실위인들이 거주하고 활동했던 모든 지역은 몽골 제국의 통치권 아래 흡수되었다.[172]
오늘날 몽골인의 전신은 동호족 계통의 몽올실위로, 흉노족, 돌궐족의 혼혈 민족이다.
3. 2. 몽골 제국 이전
"몽골"이라는 이름은 7세기에 중국 역사서에 실위의 일부 부족으로 처음 등장하며, "몽우실위(蒙兀室韋)"[136], "몽와부(蒙瓦部)"[137]라는 한자로 기록되었다.[135] 11세기에는 요나라에 "맹고국(萌古國)"이라는 이름으로 조공을 바쳤다.[138]금나라 시대, 카불 칸은 금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과정에서 죄를 짓거나 타타르 부족과 갈등을 빚었다. 암바가이 칸은 금나라에 의해 처형당했다. 쿠트라 칸은 암바가이 칸의 복수를 위해 금나라를 공격하여 승리하고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 쿠트라 칸 이후 칸 자리는 공석이 되었고, 예수게이가 여러 부족을 통합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사망했다.[139][140][141][142]
3. 3. 몽골 제국


예수게이의 아들 칭기스 칸(테무친)은 1206년에 주변 부족들을 통합하여 칭기스칸으로 즉위하고 몽골 제국(예케 몽골 울루스)을 건국하였다.[143] 몽골 제국은 몽골 고원을 통일한 후 주변 국가들을 병합하여 동쪽으로는 동해, 서쪽으로는 폴란드·헝가리, 남쪽으로는 티베트·이란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였다.[143] 그러나 14세기 초, 몽골 제국은 동아시아의 원나라, 남러시아의 킵차크 칸국, 서아시아의 일 칸국(훌레구 울루스), 중앙아시아의 차가타이 칸국(차가타이 울루스)으로 분열되었다.[143]
3. 4. 몽골 제국 이후
1368년 명나라에 의해 원나라가 멸망한 후, 몽골족은 몽골 고원으로 후퇴하여 북원을 세웠다. 그러나 14세기 후반 오이라트가 보르지긴 족 군주 아래 동몽골을 위협하기 시작하면서 몽골은 서몽골(오이라트)과 동몽골(할하, 내몽골, 바르가 몽골, 부랴트)로 나뉘었다.[48]1434년, 동몽골의 타이순 칸(1433~1452)의 오이라트 총리 토고온 타이시는 코르친에서 아다이 칸을 죽이고 몽골을 재통합했다. 토고온이 1439년 죽자 그의 아들 에센 타이시가 북원의 지배자가 되었다. 에센은 나중에 몽골 부족들을 통일했다. 명나라는 14~16세기에 북원을 침략하려 했지만, 오이라트, 남몽골, 동몽골, 그리고 통합된 몽골 군대에 패했다. 에센의 3만 기병은 1449년 투무의 변에서 50만 명의 중국군을 격파했다. 1453년 명목상의 칸 타이순을 패퇴시킨 지 18개월 만에 에센 자신이 대원의 대칸(1454~1455)이라는 칭호를 얻었다.[49]
할하는 다얀 칸(1479~1543) 통치 시대에 동몽골 민족의 여섯 투멘 중 하나로 등장했다.[50][51] 그들은 곧 몽골 본토에서 지배적인 몽골 씨족이 되었다. 그는 다시 몽골을 통일했다. 알탄 칸은 1550년 할하 몽골군을 이끌고 베이징을 급습했다. 몽골은 동몽골 투멘 자사그트 칸 통치(1558~1592) 기간 동안 마지막으로 자발적으로 재통합되었다(몽골 제국은 이전에 모든 몽골인을 통일했다).
17세기 동몽골은 외몽골(할하), 내몽골(내몽골), 그리고 시베리아 남부의 부랴트 지역의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
마지막 몽골 카간은 17세기 초 리그단 칸이었다. 그는 중국 도시 약탈을 둘러싸고 만주족과 갈등을 빚었고, 대부분의 몽골 부족들을 소외시켰다. 1618년 리그단은 만주족의 공격으로부터 북쪽 국경을 보호하는 대가로 수천 냥의 은을 받고 명나라와 조약을 체결했다. 1620년대까지는 차하르만이 그의 통치 아래 남아 있었다.
차하르 군대는 1625년과 1628년 리그단의 잘못된 전술 때문에 내몽골과 만주 군대에 패배했다. 청나라는 1635년까지 내몽골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고, 마지막 칸 리그단의 군대는 티베트 겔룩파(황모파) 세력과 싸우기 위해 이동했다. 겔룩파는 만주를 지지했지만, 리그단은 카규파(적모파) 티베트 불교를 지지했다. 리그단은 1634년 티베트로 가는 도중 사망했다. 1636년까지 대부분의 내몽골 귀족들은 만주가 세운 청나라에 복속했다. 내몽골 텐기스 노얀은 1640년대에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켰고, 할하는 수누드를 보호하기 위해 싸웠다.
청나라에 복속한 몽골 민족의 대부분은 외번몽골, 내속몽골, 몽골팔기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 '''외번몽골'''은 칭기즈 칸의 후손들 또는 칭기즈칸의 후손이 아닌 "왕공"(=귀족)을 지배자로 하여 몽골 초원에 유목하는 여러 부족의 총칭이다. 지리적으로는 현재 몽골국,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칭하이성·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에 분포하는 여러 집단의 대부분을 포함했다. '''내속몽골'''은 과거 한가(칭기즈칸의 종가)나 알탄 칸가에 속했으나, 후에 청나라에 의해 두 가문이 멸망하고 청나라 황제의 직할이 된 차하르부·귀화성 토메트부 두 부족을 가리킨다. '''몽골팔기'''는 1616년부터 1636년에 걸쳐 청나라에 개별적으로 복속하고, 청나라 지배층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팔기"의 일원으로 재편된 몽골인 집단을 말한다.
'''외몽골'''은 '''내몽골'''과 함께 19세기 후반 중국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앞서 언급된 청나라의 제도와는 완전히 별개로 베이징을 기준으로 고비사막을 대략적인 경계로 하여 몽골 초원을 지리적으로 "내"와 "외"로 구분하는 개념이다.
3. 5. 청나라 시대
청나라는 몽골을 외번몽골, 내속몽골, 몽골팔기로 나누어 통치했다. 외번몽골은 칭기즈 칸의 후손이 지배하는 지역으로, 현재의 몽골, 중국 내몽골 자치구, 칭하이 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을 포함했다. 내속몽골은 청나라 황제의 직할지였으며, 몽골팔기는 청나라에 복속한 몽골인 집단이었다.[155]청나라에 복속한 몽골 민족의 대부분은 외번몽골, 내속몽골, 몽골팔기 중 하나로 분류되었다. '''외번몽골'''은 칭기즈칸의 후손들 또는 칭기즈칸의 후손이 아닌 "왕공"(=귀족)을 지배자로 하여 몽골 초원에 유목하는 여러 부족의 총칭이다. 지리적으로는 현재 몽골국,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칭하이성·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에 분포하는 여러 집단의 대부분을 포함했다. '''내속몽골'''은 과거 한가(칭기즈칸의 종가)나 알탄 칸가에 속했으나, 후에 청나라에 의해 두 가문이 멸망하고 청나라 황제의 직할이 된 차하르부·귀화성 토메트부 두 부족을 가리킨다. '''몽골팔기'''는 1616년부터 1636년에 걸쳐 청나라에 개별적으로 복속하고, 청나라 지배층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팔기"의 일원으로 재편된 몽골인 집단을 말한다.[155]
마지막 몽골 카간은 17세기 초 리그단 칸이었다. 그는 중국 도시 약탈을 둘러싸고 만주족과 갈등을 빚었고, 대부분의 몽골 부족들을 소외시켰다. 1618년 리그단은 만주족의 공격으로부터 북쪽 국경을 보호하는 대가로 수천 냥의 은을 받고 명나라와 조약을 체결했다. 1620년대까지는 차하르만이 그의 통치 아래 남아 있었다.[155]



차하르 군대는 1625년과 1628년 리그단의 잘못된 전술 때문에 내몽골과 만주 군대에 패배했다. 청나라는 1635년까지 내몽골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고, 마지막 칸 리그단의 군대는 티베트 겔룩파(황모파) 세력과 싸우기 위해 이동했다. 겔룩파는 만주를 지지했지만, 리그단은 카규파(적모파) 티베트 불교를 지지했다. 리그단은 1634년 티베트로 가는 도중 사망했다. 1636년까지 대부분의 내몽골 귀족들은 만주가 세운 청나라에 복속했다. 내몽골 텐기스(Tengis) 노얀은 1640년대에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켰고, 할하(Khalkha)는 수누드(Sunud)를 보호하기 위해 싸웠다.[155]
서몽골 오이라트(Oirats)와 동몽골 할하는 15세기부터 몽골의 지배권을 놓고 경쟁했고, 이 갈등은 몽골의 힘을 약화시켰다. 1688년 서몽골 준가르 칸국의 왕 갈단 보슈그투는 그의 동생이 투셰트 칸 차훈도르지(주요 또는 중앙 할하 지도자)에 의해 살해된 후 할하를 공격했고, 할하-오이라트 전쟁이 시작되었다. 갈단은 차훈도르지와 잔바자르(자반담바 후타그트 1세, 할하의 종교 지도자)를 죽이겠다고 위협했지만, 그들은 수누드(내몽골)로 도망쳤다. 많은 할하 귀족들과 백성들이 전쟁 때문에 내몽골로 도망쳤다. 소수의 할하는 부랴트 지역으로 도망쳤고, 러시아는 그들이 복종하지 않으면 멸종시키겠다고 위협했지만, 그들 중 많은 수가 갈단 보슈그투에게 복종했다.[155]
할하는 결국 청나라 지배하에 1691년 잔바자르의 결정에 따라 복속되어 오늘날 몽골 전체를 청나라의 지배하에 두었지만, 할하는 1696년까지 사실상 갈단 보슈그투 칸의 지배하에 남아 있었다. 외세 침략에 대항하는 오이라트와 할하 사이의 몽골-오이라트 협정(동맹 조약)이 1640년에 체결되었지만, 몽골은 외세 침략에 대항하여 단결할 수 없었다. 차훈도르지는 1688년까지 외몽골에 대한 러시아 침략에 맞서 싸웠고, 홉스골 아이막에 대한 러시아 침략을 저지했다. 잔바자르는 전쟁 전에 오이라트와 할하를 하나로 묶기 위해 노력했다.[155]
갈단 보슈그투는 할하 군대를 물리친 후 내몽골을 "해방"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고, 내몽골 귀족들에게 몽골 독립을 위해 싸우라고 촉구했다. 일부 내몽골 귀족, 티베트인, 하미 칸국과 일부 모굴리스탄 귀족들은 만주에 대한 그의 전쟁을 지지했지만, 내몽골 귀족들은 청나라에 맞서 싸우지 않았다.[155]
갈단이 동몽골에서 싸우는 동안 그의 조카 체벤랍단이 1689년 준가르의 칸 자리를 빼앗았고, 이 사건은 갈단이 청나라와 싸우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러시아와 청나라는 이 쿠데타가 서몽골의 힘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그의 행동을 지지했다. 갈단 보슈그투의 군대는 1696년 수적으로 우세한 청나라 군대에 패했고, 그는 1697년에 사망했다. 부랴트 지역과 내몽골로 도망쳤던 몽골인들은 전쟁 후 돌아왔다. 일부 할하는 부랴트와 혼합되었다.[155]
청나라는 1720년대에 상몽골 또는 오이라트의 호슈트 칸국을 정복했고, 8만 명이 사망했다.[54] 그 당시 상몽골 인구는 20만 명에 달했다. 준가르 칸국은 지도자들과 군 지휘관들의 갈등으로 인해 1755년에서 1758년 사이에 청나라에 의해 정복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1755년에서 1758년 사이의 청나라의 준가르 칸국 정복 동안 전쟁과 질병으로 인해 준가르 인구의 약 80%가 파괴되었다고 추산한다.[55] 최근 연구 관심이 대량학살에 집중된 역사가 마크 레빈(Mark Levene)[56]은 준가르의 멸절이 "arguably the eighteenth century genocide par excellence"라고 말했다.[57] 준가르 인구는 1755년에 60만 명에 달했다.[155]
티베트 고원 중앙부에 거주하며 "칠십구족"이라 불린 유목민 집단에는 원나라 문종의 후예라고 자칭하는 홀족 등 몽골계 집단이 포함되어 있다. 그들은 1723년-24년에 청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가, 1732년에 "칭하이" 소속의 "사십족"과 "티베트" 소속의 "삼십구족"으로 분할되었다(→자세한 내용은 옹정의 티베트 분할 참조). 사십족은 "토사제"를 거치고, 삼십구족은 티베트 간덴포탄의 폴라네 부자의 정권을 거쳐 "주장대신"의 속하게 되었다.[155]
장목(張穆)이 저술한 『몽고유목기(蒙古游牧記)』에는 내몽골 6맹 49기(內蒙古六盟四十九旗), 외몽골 할하 86기(外蒙古ハルハ八十六旗)가 기록되어 있다.[155]
맹(盟) | 부족 |
---|---|
제림맹(哲里木盟) | |
조소토맹(昭乌达盟) | |
조오다맹(卓索图盟) | |
실링골맹(锡林郭勒盟) | |
우란차브맹(乌兰察布盟) | |
이프 조맹(伊克昭盟) | |
체첸 칸부(チェチェン・ハーン部) | 이하 23기 |
토셰토 칸부(トシェート・ハーン部) | 이하 20기 |
사인 노얀부(サイン・ノヤン部) | 이하 24기 |
자사크토 칸부(ジャサクト・ハーン部) | 이하 19기 |
알라샹 오르토트 부 | |
에지네 투르구트 부 | |
칭하이 지역 | |
호브드 지역 | |
신장 지역 | |
와 알타이누르 우량카이 |
3. 6. 근현대사
20세기 초 청나라가 붕괴되자, 외몽골은 보그드 칸 정권을 수립하고 독립을 선언했다. 원래 청나라의 지배가 비교적 느슨했던 북몽골에서 먼저 보그드 칸 정권이 수립되었고, 이들은 이웃 나라 러시아 제국에 원조를 요청했다.[66] 내몽골은 중국에 귀속되었으나, 몽골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독립을 유지했다. 내몽골의 여러 부족들도 귀순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러시아, 중국, 몽골의 협의 끝에 남몽골은 중화민국에 귀속되고, 북몽골은 중국의 종주권 하에 자치로 후퇴하게 되었다. 1924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이는 현재의 몽골로 이어졌다. 10월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된 러시아의 지원으로, 북몽골은 러시아 내전을 이용하여 침입한 중화민국군과 백군(白軍)을 몰아내고 다시 독립했다. 보그드 칸 사후 공산주의 국가인 몽골 인민 공화국이 건설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몽골국이 되었다. 한편, 남몽골의 여러 부족들은 통일이나 자주 독립을 추진했지만, 몽골 인민 공화국으로부터 거부당했고, 우란후의 회유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남아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가 되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청해성의 오이라트는 중화인민공화국 성립과 함께 몽골족으로 인정받아 중화민족의 일부가 되었다.4. 현대 몽골족의 분포
오늘날 대부분의 몽골족들은 몽골, 중국(주로 내몽골 자치구와 신장) 러시아, 키르기스스탄 및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고 있다.
부족과 민족(민족 집단)의 구분은 국가에 따라 다르게 처리된다. 투메드, 차하르, 오르도스, 바르가, 알타이 우리앙카이, 부랴트인, 도르베드(Dörvöd, Dörbed), 토르구트, 다리간가, 우젬친(또는 우줌친), 바야드, 호톤, 먕가드(밍가드), 엘지긴, 자흐친, 다르하드, 올로트(또는 욜드스 또는 욜로츠)는 모두 몽골의 부족으로 간주된다.
대한민국, 미국, 체코, 영국에는 소수의 몽골계 사람들이 거주한다.
4. 1. 몽골
현대 몽골에서는 몽골인이 인구의 약 95%를 차지하며, 가장 큰 민족 집단은 할하 몽골인이고, 그다음은 부랴트족이며, 둘 다 동몽골계 민족에 속한다.[155] 그 뒤를 서몽골계 민족인 오이라트족이 따른다.[155]몽골 민족 집단:[155]
바린, 바투드, 바르가, 바야드, 부랴트,
셀렌게 차하르, 찬투, 다르하드, 다리가가,
도르베트 오이라트, 엘지긴, 할하, 함니간, 카르친, 호이드, 코르친, 호토고이드, 호톤, 후치드, 먕가드, 올로트, 사르툴,
토르구트, 튀메드, 우젬친, 자흐친.
4. 2. 중국
중국에는 몽골 인구보다 많은 몽골족이 거주하며, 주로 내몽골 자치구와 랴오닝 성에 분포한다.[111]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양한 몽골계 그룹의 인구가 700만 명이 넘는다.[106] 다우르족, 동샹족, 보안족 등도 몽골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공식적으로 몽골족으로 분류되지 않지만, 독자적인 민족으로 인정받고 있다. 몽골족은 원나라 멸망 이후 몽고어족, 보안족, 동샹족, 윈난 몽골족과의 접촉을 잃었다. 몽골 과학자들과 언론인들은 2000년대에 동샹족과 윈난 몽골족을 만났다.
20세기 초 청나라가 붕괴되자, 청나라 말기 변방에 대한 한족의 식민 정책에 고통받던 내몽골 사람들은 외몽골의 할하 여러 제후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원래부터 청나라의 지배가 비교적 느슨했던 북몽골에서 먼저 보그드 칸 정권이 수립되었다. 이들은 이웃 나라 러시아 제국에 원조를 요청했다. 내몽골의 여러 부족들도 귀순하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러시아, 중국, 몽골의 협의 끝에 남몽골은 중화민국에 귀속되고, 북몽골은 중국의 종주권 하에 자치로 후퇴하게 되었다. 러시아가 10월 혁명을 거쳐 소비에트 연방이 되자, 북몽골에서는 러시아 내전을 이용하여 중화민국군과 백군(白軍)이 침입했지만, 북몽골은 이번에는 적군(赤軍)의 지원을 얻어 다시 독립했다. 보그드 칸 사후 공산주의 국가인 몽골 인민 공화국이 건설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몽골국이 되었다. 한편, 남몽골의 여러 부족들은 통일이나 자주 독립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몽골 인민 공화국으로부터 거부당했고, 우란후의 회유 작업에 의해 결국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에 남아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가 되었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칭하이성에 많은 오이라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과 함께 몽골족(蒙古族)의 민족으로 인정받아 중화민족의 일부로 간주되게 되었다.[155]
내몽골 자치구에는 남부 몽골족, 바르가, 부랴트, 도르벳 오이라트, 할하, 준가르족, 에즈네 토르구트 등이 거주한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는 알타이 우리앙카이, 차하르, 호슈트, 오이라트, 토르구트, 자흐친 등이 거주한다. 칭하이성에는 상부 몽골족인 코로스, 호슈트 등이 거주한다.
4. 3. 러시아
러시아에는 부랴트족과 칼미크족이 몽골계 민족으로 분류된다.[112]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랴트인은 461,410명, 칼미크인은 183,400명이었다.[112]러시아 제국에 예속되었던 몽골계 민족은 다음과 같다.
20세기 초 청나라가 붕괴되자, 외몽골의 할하 여러 제후는 북몽골에서 먼저 보그드 칸 정권을 수립하고 러시아 제국에 원조를 요청했다. 러시아가 소비에트 연방이 되자, 북몽골은 적군의 지원을 얻어 독립했다. 보그드 칸 사후 공산주의 국가인 몽골 인민 공화국이 건설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몽골국이 되었다.
5. 언어
몽골어족에 속하는 몽골어는 몽골의 공식 국어이며, 2010년 기준으로 약 280만 명이 사용한다.[80]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의 공식 지방어이기도 하며, 내몽골에는 410만 명 이상의 몽골족이 거주한다.[81] 몽골의 몽골어는 할하 몽골어,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어는 차하르 몽골어로 불린다.[145] 몽골은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내몽골 자치구는 전통적인 세로쓰기 몽골 문자를 사용한다.
중국 내 몽골어 사용자의 정확한 수는 알 수 없지만, 2005년 기준으로 580만 명의 몽골족 중 약 절반이 몽골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0] 중국, 특히 내몽골에서의 몽골어 사용은 지난 수백 년 동안 쇠퇴와 부흥을 반복했으며,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세 번째 쇠퇴기를 겪었다.[82] 그러나 내몽골 일부 도시 지역과 교육 분야에서 몽골어가 쇠퇴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된 중국어 사용 몽골족의 민족 정체성은 도시 내 민족 공동체의 존재로 인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83]
몽골어족과 관련 부족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언어학자들은 알타이어족 내에서 퉁구스어족, 튀르크어족과의 연관성을 제시해왔지만,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오늘날 몽골인들은 몽골어, 부랴트어, 오이라트어, 동향어, 투어, 보안어 등 여러 몽골어족 언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며, 많은 몽골인들이 민족 간 의사소통을 위해 러시아어 또는 중국어를 사용한다.
6. 문화
몽골인은 백식(유제품)과 홍식(주로 소, 양, 염소고기 등 육류)을 먹는다. 백식은 몽골어로 순결하고 고상한 음식을 의미하여 귀한 손님을 대접하거나 가족, 친지가 먼 길을 떠날 때 안전을 기원하며 먹는다. 홍식은 붉은 음식이라는 뜻으로, 시집갈 때 삶은 양 가슴고기를 먹으며 가족과의 이별을 나타낸다. 몽골인의 대부분은 라마 불교를 믿는다.
6. 1. 유목 생활
몽골의 전통적인 가족은 가부장적이고, 부계 중심이며, 아버지가 사는 곳을 중심으로 생활했다. 아들들은 각각 아내를 맞이했고, 딸들은 다른 씨족으로 시집을 갔다. 아내를 맞이하는 씨족은 아내를 보내는 씨족보다 낮은 관계에 있었다.[90][91]전통적인 몽골 가족에서는 각 아들이 결혼할 때 가족의 가축 일부를 상속받았는데, 장남은 차남보다 더 많이 받았다. 막내아들은 부모를 모시기 위해 부모의 천막에 남았고, 부모가 사망한 후에는 자신의 가축 지분 외에 부모의 천막을 상속받았다. 이러한 상속 제도는 징기스칸이 제정한 야사와 같은 법전에 명시되어 있었다.[92]

몽골 고원은 농사에 적합하지 않아 예로부터 유목 생활을 해왔다. 게르라는 조립식 이동 가옥을 사용하며, 가재도구와 가축을 데리고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따라 이동한다. 이전에는 낙타나 말로 운반했지만, 최근에는 트럭 등도 사용한다. 풀이 풍부한 곳을 찾아 이동하는데, 한 곳에 머물면 풀이 없어질 뿐만 아니라 초지가 재생되지 않고 망가지기 때문이다. 유목 생활은 인간, 가축, 자연 환경의 상호 작용과 순환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최근에는 목축을 그만두고 도시에 정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146]
6. 2. 농업
몽골인들은 고대부터 전통적으로 유목 목축을 이어왔다. 하지만 17세기 이후 내몽골에서는 청나라의 개간 정책으로 농업이 시작되어, 이전의 초원 지대가 농지로 바뀌어 갔다. 이로 인해 유목 생활을 하던 유목민은 감소하고, 한족 이주민은 증가했다. 청나라 시대부터 중화민국 시대에 걸친 무분별한 개간은 내몽골의 사막화를 심각하게 만들었고, 이는 지구 전체의 문제가 되고 있다.[147]한편, 외몽골에서는 20세기 사회주의 시대부터 농업이 시작되었다. 1992년 민주화 이후 시장 경제로 전환되면서 산업 발전과 함께 농업이 더욱 촉진되었다. 1997년에는 개간지가 국토의 2%에 해당하는 310000ha에 달했고, 이전의 초원 지대에 질서정연하게 구획된 밭이 눈에 띄게 되었다. 1999년 당시에는 일본의 원조로 구입한 러시아제 트랙터가 대규모 재배에 사용되었다. 현재는 곡물이 주를 이루지만, 생산량이 낮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147]
6. 3. 종교
몽골족은 전통적으로 샤머니즘을 믿었으며, 하늘(텡그리)과 대지 등 자연을 숭배했다.[148] 13세기 몽골 제국 시대에는 티베트 불교가 유입되었는데, 원나라의 쿠빌라이는 팍파를 국사(國師)로 초빙하여 팍파 문자를 만들게 했다. 이로 인해 티베트 불교가 원나라 궁정 내에 널리 퍼졌으나, 원나라가 멸망하고 몽골족이 몽골 고원으로 후퇴하면서 티베트 불교는 잊혀졌다.[149]16세기 알탄 칸은 겔룩파 티베트 불교를 다시 도입하여 국교로 삼았다. 알탄 칸은 겔룩파의 고승 소남갸초에게 "달라이 라마" 칭호를 수여했고, 이후 겔룩파는 몽골인들 사이에 널리 퍼졌다.[149] 몽골 각지에는 많은 사원이 세워졌고, 이 사원들은 학문과 교육 기관의 역할도 했다.
1924년 보그드 칸이 사망하면서 8대 젭춘담바 후툭투가 끊겼고, 이후 공산 정권은 종교 탄압을 하였으나, 민주화 이후 불교 행사가 부활하고 있다. 1990년 달라이 라마 14세는 장펠람둘 추키껭첸을 9대 젭춘담바로 인정하였다.[150] 현대 몽골은 티베트 불교권에서 가장 자유로운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150]
7. 몽골 부족
여러 시대에 걸쳐 몽골계 민족은 스키타이, 막고막, 퉁구스족과 동일시되어 왔다. 중국 역사 기록에 따르면 몽골계 민족의 조상은 동몽골과 만주 지역을 차지했던 유목 연맹인 동호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동호는 오늘날 그 정체성에 대해 논쟁이 여전히 진행 중인 흉노와 이웃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들이 초기 몽골인이었다고 주장하지만, 몽골계와 튀르크 부족의 다민족 집단일 가능성이 더 높다.[16] 훈족의 언어가 흉노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7]
하지만 동호는 중국 역사서가 그들로부터 몽골계 부족과 왕국(선비족, 우환족)만을 추적하기 때문에 훨씬 더 쉽게 초기 몽골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일부 역사 기록에서는 특정 부족(예: 거란족)의 흉노-동호 혼혈 조상을 주장하기도 한다.[20][21]
오늘날 대부분의 몽골인들은 몽골, 중국(주로 내몽골과 신장), 러시아, 키르기스스탄 및 아프가니스탄의 현대 국가들에 거주하고 있다. 부족과 민족(민족 집단)의 구분은 국가에 따라 다르게 처리된다.
- 몽골의 부족: 투메드, 차하르, 오르도스, 바르가, 알타이 우리앙카이, 도르베드(Dörvöd, Dörbed), 토르구트, 다리간가, 우젬친(또는 우줌친), 바야드, 호톤, 먕가드(밍가드), 엘지긴, 자흐친, 다르하드, 올로트(또는 욜드스 또는 욜로츠)
- 부랴트족: 러시아의 연방 구성체인 부랴트 공화국에 집중. 몽골족의 주요 북부 아종족.[107]
- 바르가 몽골족: 부랴트족과 함니간족과 함께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주로 거주.
서쪽 오이라트족은 주로 서몽골에 집중되어 있다.
- 18만 4천 명의 칼미크족 (2010년) — 러시아 칼미키야 공화국
- 20만 5천 명의 몽골 오이라트족 (2010년)
- 14만 명의 오이라트족 (2010년)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 9만 명의 상몽골족 (2010년) — 중국 칭하이성. 호슈트족은 호로스족, 할하족, 토르구트족과 함께 상몽골족의 주요 아종족.
- 1만 2천 명의 사르트 칼미크족 (준가르계) (2012년) — 키르기스스탄. 종교: 수니파 이슬람
알타이 우리안하이족, 바투드족, 바야드족, 찬투족, 호로스족, 두르부드족, 호슈트족, 코이드족, 호톤족, 먕가드족, 올로트족, 사르트 칼미크족 (주로 올로트족), 토르구트족, 자크친족.
- 칼미크족 — 바투드족, 부자바족, 호로스족, 두르부드족, 코이드족, 올로트족, 토르구트족.
- 상몽골 오이라트족 — 호로스족, 호슈트족, 토르구트족.
러시아에는 두 개의 몽골계 민족 집단이 있는데,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부랴트인은 461,410명, 칼미크인은 183,400명이었다.[112]
7. 1. 중세 몽골 부족
Монголmn 부족은 중세 시대에 여러 부족으로 나뉘어 있었다. 이들은 몽골 제국의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몽올실위''': 대부분의 몽골 부족들의 전신이 된 동호계 민족이다.
- '''몽골부''': 몽골 제국의 전신이 된 부족이다.
- * '''보르지긴''': 몽골 제국의 창건자인 칭기즈 칸의 씨족이다.
- '''나이만부'''
- '''케레이트부'''
- '''메르키트부'''
- '''타타르부'''
라시드 앗딘은 『집사』에서 "현재는 몽골이라고 불리지만, 이전에는 각각 다른 이름을 가지고 독립된 수장을 가진 투르크 부족"을 다음과 같이 열거했다.[152]
부족명 | 한자 표기 | 비고 |
---|---|---|
자라일 | 札剌亦児 | 자앗, 타클라운(토클라우트), 쿵카사운(쿵카사웃), 쿰사웃, 우야트, 빌카산(닐칸), 쿠겔(쿨킨), 트랑키트, 브리(트리), 싱쿠트(샤냔쿠트) |
스니트 | 카일룬(카푸탈룬) | |
타타르 | 塔塔児 | 토토카리웃(토도클리웃), 일치(알치, 안치), 차간, 쿠인, 테라트(테레이트?), 벨쿠이(텔쿠이, 발쿠이) |
메르키트 | 滅里乞, 兀都亦惕 | 오호즈(우와즈, 兀洼思), 무단, 토다클린, 지운 |
켈루트 | ||
발구트 | ||
오이라트 | 斡亦剌 | |
콜리 | ||
코알라슈 | 투라스 | |
부랴트 | ||
투마트 | ||
쿨가친 | 훌라가친 | |
켈렘친 | ||
울라스트 | ||
텔렝그트 | ||
케스티미 | ||
숲의 울리양깃 | ||
쿨칸 | ||
사카이트 | ||
케레이트 | 克烈 | 톤카이트(콘카이트), 칠킬(줄르킨), 사키아트(사카이트), 투마이트(투마웃, 토베엔?), 에리아트(알바트) |
나이만 | 乃蛮 | |
옹구트 | 汪古 | |
탕구트 | 唐兀 | 티베트계 |
메클린 | 베클린 |
몽골을 재통일한 다얀 칸의 후손들에 의해 투멘(万人隊)이라 불리는 여섯 개의 대부족이 형성되었다. 투멘은 고비 사막 동북쪽의 “좌익”과 사막 남서쪽의 “우익”으로 나뉘어 있었다.[154]
좌익 | 우익 |
---|---|
그 외에도 온류트, 우량하이 삼위, 아스트부, 하라친부 등의 부족이 있었다.
7. 2. 근현대 몽골 부족
할하는 오늘날 몽골인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부족이다.[16] 동부 몽골인들은 주로 몽골에 거주하며, 할하, 엘지긴 할하, 다르하드, 사르투울 할하, 다리가간(할하) 등이 포함된다.남부 또는 내몽골인들은 주로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한다. 이들은 아바가 몽골인, 아바가나르, 아오한, 아르호르친, 아수드, 바린, 차하르, 다르한(샤르 다르하드), 도르본 흐크헤드, 두르베드, 고를로스, 카르친, 키시크텐, 코르친, 후치드, 이크먄간, 잘라이드, 자루드, 무움얀간, 나이만(남부 몽골인), 오니구드, 오르도스, 수누드, 투메드, 우라드, 우젬친 등을 포함한다.
부랴트족은 주로 러시아의 연방 구성체인 부랴트 공화국에 집중되어 있다.[107] 바르가 몽골족은 부랴트족과 함니간족과 함께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 주로 거주한다.
칼미크족은 러시아 칼미키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한다.
청나라에 복속한 몽골 민족은 외번몽골, 내속몽골, 몽골팔기로 분류되었다.
- '''외번몽골'''은 칭기즈 칸의 후손 또는 칭기즈 칸의 후손이 아닌 "왕공"(=귀족)을 지배자로 하여 몽골 초원에서 유목하는 여러 부족을 통칭한다.
- '''내속몽골'''은 과거 한가(칭기즈 칸의 종가)나 알탄 칸가에 속했으나, 후에 청나라에 의해 두 가문이 멸망하고 청나라 황제의 직할이 된 차하르부·귀화성 토메트부 두 부족을 가리킨다.
- '''몽골팔기'''는 1616년부터 1636년에 걸쳐 청나라에 개별적으로 복속하고, 청나라 지배층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팔기"의 일원으로 재편된 몽골인 집단을 말한다.
청나라 시기 몽골 부족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맹(盟) | 부족 |
---|---|
제림맹(哲里木盟) | |
조소토맹(昭乌达盟) | |
조오다맹(卓索图盟) | |
실링골맹(锡林郭勒盟) | |
우란차브맹(乌兰察布盟) | |
이프 조맹(伊克昭盟) | 오르도스(鄂尔多斯)족 |
체첸 칸부(チェチェン・ハーン部) | 23기 |
토셰토 칸부(トシェート・ハーン部) | 20기 |
사인 노얀부(サイン・ノヤン部) | 24기 |
자사크토 칸부(ジャサクト・ハーン部) | 19기 |
참조
[1]
웹사이트
202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ONGOLIA /summary/
https://www.1212.mn/[...]
[2]
간행물
[3]
웹사이트
Number of foreigners in Korea up for 1st time in 20 months
http://www.koreahera[...]
2021-09-26
[4]
웹사이트
令和6年6月末現在における在留外国人数について
https://www.moj.go.j[...]
2024-10-18
[5]
웹사이트
202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ongolia
https://www.1212.m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
[6]
웹사이트
President of Mongoli Received the Kalmyk Citizens of the Kyrgyz. 2012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T13 Cizinci podle typu pobytu a pohlaví – 25 nejčastějších státních občanství k 30. 6. 2020
https://www.czso.cz/[...]
[8]
웹사이트
Canada Census Profile 2021
https://www12.statca[...]
Statistics Canada Statistique Canada
2021-05-07
[9]
웹사이트
Bevölkerung nach Staatsangehörigkeit und Geburtsland
https://www.statisti[...]
[10]
서적
Tabulation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stats.gov[...]
China Statistics Press
2012-04
[11]
웹사이트
China.org.cn – The Mongolian ethnic minority
http://www.china.org[...]
[12]
웹사이트
China.org.cn – The Mongolian Ethnic Group
http://www.china.org[...]
[13]
백과사전
Mongolia: Ethnography of Mongolia
https://www.britanni[...]
[14]
논문
2. Хүний үүсэл, Монголчуудын үүсэл гарвал
Admon
[15]
서적
Монголын эртний түүх судлал, III боть
[16]
서적
Geng 2005
[17]
웹사이트
Xiongnu
http://www.iranicaon[...]
2006
[18]
논문
The History and Civilization of the Huns
http://www.epa.oszk.[...]
2007-10-08
[19]
논문
The Asian Huns in the Chinese sources
http://hunsarecoming[...]
2007
[20]
서적
The Chinese and Their Neighbors in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22]
웹사이트
Wanghui jie
https://ctext.org/lo[...]
[23]
웹사이트
Classic of the Regions Within the Seas: West
https://ctext.org/sh[...]
[24]
논문
Change and Standardization in Anyang: Writing and Culture in Bronze Age China
https://repository.u[...]
[25]
웹사이트
Da Zhao
https://ctext.org/ch[...]
[26]
웹사이트
Discourses of Jin 8
https://ctext.org/gu[...]
[27]
서적
A History Of Chu (Volume 1)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28]
서적
A History Of Chu (Volume 1)
https://books.google[...]
Enrich Professional Publishing
[29]
웹사이트
Waseda University Library's copy
https://commons.wiki[...]
[30]
웹사이트
Guoyu, explained by Wei Zhao, "Jinyu 8". 1st edition Sibu Congkan version, vol. 3
https://ctext.org/li[...]
[31]
웹사이트
Guoyu, explained by Wei Zhao, "Jinyu 8". Siku Quanshu version, vol. 3-7
https://ctext.org/li[...]
[32]
웹사이트
Guoyu, explained by Wei Zhao, "Jinyu 8". 1st edition Sibu Congkan version, vol. 3
https://ctext.org/li[...]
[33]
웹사이트
Guoyu, explained by Wei Zhao, "Jinyu 8". Siku Quanshu version, vol. 3-7
https://ctext.org/li[...]
[34]
웹사이트
Guoyu, explained by Wei Zhao, "Qiyu". 1st edition Sibu Congkan version, vol. 2
https://ctext.org/li[...]
[35]
웹사이트
Guoyu, explained by Wei Zhao, "Qiyu". Siku Quanshu version, vol. 6-8
https://ctext.org/li[...]
[36]
서적
Guoyu
https://commons.wiki[...]
Jinzhang Bookstore
2023-11-09
[37]
서적
Guoyu
https://commons.wiki[...]
Jinzhang Bookstore
2023-11-16
[38]
서적
Chunqiu Zuo Zhuan
https://zh.wikisourc[...]
2023-04-05
[39]
서적
Chunqiu Zuozhuan - Collected Explanations
https://ctext.org/li[...]
2023-11-09
[40]
서적
國語集解 (Discourses of the States - Collected Explanations)
Zhonghua Book Company
[41]
서적
Shiji
https://zh.wikisourc[...]
2021-07-20
[42]
서적
Shiji: Sanjiazhu
https://books.google[...]
[43]
서적
Xin Tangshu
[44]
간행물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roject on Linguistic Analysis
[45]
서적
Die ethnischen Gruppen Xinjiangs: Kulturunterschiede und interethnische
[46]
서적
Dynastic China: An Elementary History
The Other Press
2014-08-15
[47]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48]
간행물
THE PLOUGH AND PLOUGHING AMONG THE ALTAIC PEOPLES
[49]
서적
Peace, war, and trade along the Great Wall: Nomadic-Chinese interaction through two millennia
[50]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51]
서적
Obok: A Study of Social Structure in Eurasia
[52]
서적
Where Two Worlds Met: The Russian State and the Kalmyk Nomads, 1600–1771
[53]
뉴스
Country Briefings: Kazakhstan
http://www.economist[...]
2010-06-01
[54]
웹사이트
БУЦАЖ ИРЭЭГҮЙ МОНГОЛ АЙМГУУД
http://montaa.mn/con[...]
2013-11-15
[55]
논문
In the Eye of Power
http://www4.gu.edu.a[...]
2011-07-06
[56]
웹사이트
Dr. Mark Levene
http://www.soton.ac.[...]
2008-12-16
[57]
서적
Empire, Colony, Genocide: Conquest, Occupation, and Subaltern Resistance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23-03-16
[58]
웹사이트
ТИВ ДАМНАСАН НҮҮДЭЛ
http://www.oirad.mn/[...]
2013-06-28
[59]
웹사이트
Ижил мөрөн хүртэлх их нүүдэл
http://www.olloo.mn/[...]
2013-11-30
[60]
웹사이트
Тал нутгийн Нүүдэлчин Халимагууд Эх нутаг Монгол руугаа тэмүүлсэн түүх
http://www.shudarga.[...]
2013-12-03
[61]
웹사이트
Баруун Монголын нүүдэл суудал
http://www.hicheel.m[...]
2013-12-03
[62]
웹사이트
К вопросу о бегстве волжских калмыков в Джунгарию в 1771 году
http://new.hist.asu.[...]
2012-07-25
[63]
서적
Russia's Steppe Frontier: The Making Of A Colonial Empire, 1500–1800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64]
서적
Владимир Андреевич Хамутаев, Присоединение Бурятии к России: история, право, политика
https://books.google[...]
ARAMNG
[65]
웹사이트
Известный бурятский ученый Владимир Хамутаев собирается получить политическое убежище в США
http://burinfo.org/n[...]
2013-12-14
[66]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Fifth East Asian Altaistic Conference
[67]
웹사이트
Богд хааны жолооч хилс хэрэгт хэлмэгдсэн нь
http://www.olloo.mn/[...]
2013-12-03
[68]
웹사이트
Twentieth Century Atlas – Death Tolls
http://users.erols.c[...]
2013-12-01
[69]
서적
Mongol states in Russia
[70]
웹사이트
Войны ХХ века и их жертвы /тысяч человек/
http://www.pandia.ru[...]
[71]
웹사이트
Буриад-Монголын үндэстний хөдөлгөөн, тулгамдсан асуудлууд
http://horidoimergen[...]
2013-12-03
[72]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до и начало XX века)
http://baigalmirny.r[...]
2014-12-27
[73]
웹사이트
XX зууны 20, 30-аад онд халимагуудын 98 хувь аймшигт өлсгөлөнд автсан
http://sonin.mn/blog[...]
2013-11-24
[74]
웹사이트
Халимагийн эмгэнэлт түүхээс
http://www.ulstor.co[...]
2014-12-27
[75]
뉴스
Regions and territories: Kalmykia
http://news.bbc.co.u[...]
2011-11-29
[76]
뉴스
Mongolian office to ride into Taipei by end of the year
http://www.taipeitim[...]
2002-10-11
[77]
뉴스
Taiwan 'embassy' changes anger China
http://news.bbc.co.u[...]
2002-02-26
[7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TAC
http://www.mtac.gov.[...]
Mongolian & Tibetan Affairs Commission
2009-05-07
[79]
웹사이트
unpo.org
http://www.unpo.org/[...]
2014-01-23
[80]
서적
Mongolia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11-29
[81]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Bloomsbury Academic
2014-10-27
[82]
서적
Language Power and Hierarchy: Multilingual Education in China
Bloomsbury Academic
2014-10-27
[83]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2003-08-02
[84]
서적
Mongolia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11-29
[85]
서적
More Morphologies: Contributions to the Festival of Languages, Bremen, 17 Sep to 7 Oct, 2009
2012-11-30
[86]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Routledge
2003-08-02
[87]
서적
Mongolia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2-11-29
[87]
서적
China's Minorities on the Move: Selected Case Studies
2003-08-02
[88]
서적
Review of Sam van Schaik. Tibet: A History
http://eprints.soas.[...]
Yale University Press
2018-10-04
[89]
웹사이트
National Census 2010 Preliminary results
http://www.toollogo2[...]
2011-08-31
[90]
서적
1962
[91]
서적
1953
[92]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THE GREAT CODE "YASA" ON THE MONGOLIAN EMPIRE
http://www.mypolice.[...]
2013-06-15
[93]
PhD thesis
Gender Roles and Women's Status in Central Asia and Anatolia Between the Thir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http://etd.lib.metu.[...]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2007-08
[94]
서적
Agricultural and Pastoral Societies in Ancient and Class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95]
서적
1975
[96]
서적
1963
[97]
학술지
Kinship Structure and Political Authority: The Middle East and Central Asia
[98]
웹사이트
Mongol community and kinship structure. Vreeland, Herbert Harold, 1920
http://babel.hathitr[...]
Human Relations Area Files
2013-10-25
[99]
웹사이트
Традиционная материальная культура бурятского этноса Предбайкалья. Этногенез и расселение. Средовая культура бурят
http://www.bur-cultu[...]
2020-07
[100]
웹사이트
П.Б. Абзаев. Буряты на рубеже XX-XXI вв. Численность, состав, занятия
http://www.ugaizam.n[...]
2019-12-25
[101]
웹사이트
Б.З. Нанзатов,ПЛЕМЕННОЙ СОСТАВ БУРЯТ В XIX ВЕКЕ
http://www.kyrgyz.ru[...]
2013-12-03
[102]
웹사이트
ИРГЭНИЙ БҮРТГЭЛИЙН ТҮҮХЭН ТОЙМ
http://www.burtgel.g[...]
2013-12-04
[103]
웹사이트
Түмэдхүү, ӨМӨЗО-НЫ ХҮН АМЫН ХУВИРАЛТЫН ЗУРГИЙГ ҮЗЭЭД
http://www.lupm.org/[...]
2018-12-01
[104]
웹사이트
Өвөр Монголын хүн ам
http://sodonmedeelel[...]
2013-12-03
[105]
웹사이트
ethnologue.com information
http://www.ethnologu[...]
2012-12-09
[106]
statistic
[107]
book
The Roots Seekers: Shamanism and Ethnicity Among the Mongol Buryats
Shumpusha
2014
[108]
article
Бурятские шаманки на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тункинский опыт, июль 2004 г.) // Женщина и возрождение шаманизма.
https://static.iea.r[...]
Российская академия наук. Институт этнологии и антропологии имени Н. Н. Миклухо-Маклая
2005
[109]
book
Народы и культуры Сибири. Взаимодействие как фактор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модернизации
[110]
book
Родословные легенды и предания бурят. Ч. 1
[111]
website
General situation of Mongols in Liaoning
http://bbs.tianya.cn[...]
[112]
website
Kalmyks
http://www.minorityr[...]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2008-05-18
[113]
website
Demographics of China
[114]
website
Монголын үндэсний статистикийн хороо
http://www.nso.m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
2013-11-14
[115]
statistic
[116]
news
'Korean Dream' fills Korean classrooms in Mongolia
https://web.archive.[...]
2008-04-24
[117]
news
Mongolians Meld Old, New In Making Arlington Home
https://www.washingt[...]
2006-07-03
[118]
pdf
https://www12.statca[...]
[119]
website
President of Mongoli Received the Kalmyk Citizens of the Kyrgyz
http://www.president[...]
2012
[120]
website
Mongolia National Census
https://web.archiv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
[121]
website
https://www12.statca[...]
[122]
website
Bevölkerung nach Staatsangehörigkeit und Geburtsland
http://www.statistik[...]
Statistik Austria
2014-07-03
[123]
book
Tabulation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stats.gov[...]
China Statistics Press
2012-04
[124]
website
The Mongolian ethnic minority
http://www.china.org[...]
[125]
website
The Mongolian Ethnic Group
http://www.china.org[...]
[126]
book
旧唐書 列伝第一百四十九下 北狄
[127]
book
新唐書 列伝第一百四十四 北狄
[128]
book
遼史 本紀第二十四 道宗四
[129]
book
元史 以降
[130]
book
タリーフ・イ・ジャハーン・グシャーイ(世界征服者の歴史)、ジャーミ・ウッ・タワーリーフ(集史)
[131]
book
外国地名由来事典
能登印刷出版部
[132]
book
コンサイス 外国地名事典
三省堂
[133]
book
[134]
book
[135]
book
[136]
book
旧唐書 列伝第一百四十九下 北狄
[137]
book
新唐書 列伝第一百四十四 北狄
[138]
book
遼史 本紀第二十四 道宗四
[139]
book
[140]
book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웹인용
Монголын үндэсний статистикийн хороо
http://www.nso.m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
2013-11-14
[157]
웹인용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 >> 人口普查公报
http://www.stats.gov[...]
2013-12-27
[158]
뉴스
'Korean Dream' fills Korean classrooms in Mongolia
http://english.chosu[...]
2008-04-24
[159]
뉴스
Mongolians Meld Old, New In Making Arlington Home
https://www.washingt[...]
2006-07-03
[160]
웹인용
President of Mongoli Received the Kalmyk Citizens of the Kyrgyz. 2012
http://www.president[...]
2016-12-06
[161]
웹사이트
Latest numbers show 7,500 Mongolians working in Czech Republic
http://www.mongolia-[...]
2008-02-19
[162]
웹인용
Mongolia National Census
http://www.toollogo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Mongolia
2017-01-29
[163]
웹사이트
NHS Profile, Canada, 2011
http://www12.statcan[...]
[164]
서적
몽골인 그들은 어디서 왔나
소나무
[165]
간행물
舊唐書 권199, 「室韋傳」; 新唐書 권291, 「室韋傳」
[166]
서적
부족지
사계절출판사
[167]
간행물
新唐書 권291, 「室韋傳」
[168]
간행물
遼史 권24, 「道宗本紀」24, 도종 4년조
[169]
간행물
金史 권44, 志25, 兵制
[170]
간행물
大金国志「皇統七年……是歳、朦骨国平。初、撻懶既誅、其子勝花都郎君者、率其父故部曲以叛、与朦骨通。兀朮之未死也、自将中原所教神臂弓手八万討之、連年不能克。皇統之六年八月、復遣蕭保壽奴与之和、議割西平河以北二十七團塞与之、歲遺牛羊米荳、且册其酋長熬羅孛極烈、為朦輔国主、至是始和、歲遺甚厚。于是熬羅孛極烈自称祖元皇帝、改元天興。大金用兵連年、卒不能討、但遣精兵、分拠要害而還」
[171]
서적
元蒙史札
內蒙古大學出版社
[172]
서적
만주 이야기
동북아역사재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