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레미야의 편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레미야의 편지는 성경 예언자 예레미야가 바빌론으로 포로로 잡혀간 유대인들에게 보낸 편지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우상 숭배를 비판하고 야훼만을 숭배하도록 권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저자 및 연대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학자들은 예레미야가 아닌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인이 기록한 것으로 추정하며, 기원전 540년에서 100년 사이로 연대를 추정한다. 70인역에는 정경으로 포함되었으나, 히브리 성경에서는 정경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이 편지는 우상의 무능함을 강조하며 유일신 신앙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 저자 및 연대

편지의 내용에 따르면, 저자는 성경 예언자 예레미야이다. 성경의 예레미야서에는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에서" 바빌론의 "포로"들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이 담겨 있으며, 예레미야의 편지는 스스로를 이와 유사한 서신으로 묘사한다.[2]

예레미야의 편지 1 (KJV)예레미야 29:1 (KJV)
예레미가 바빌론 왕에게 포로로 잡혀갈 사람들에게 보낸 서신의 사본으로, 하나님께서 명하신 대로 그들에게 알리기 위함이었다.예언자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에서 포로로 잡혀간 장로들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바빌론으로 포로로 잡아가게 한 모든 백성들에게.



E. H. 기포드는 "예레미야가 포로들에게 그런 편지를 썼다는 사실이 그가 죽은 지 여러 세대가 지난 후에 실제로 쓰여진 또 다른 편지를 그의 이름으로 격상시키는 생각을 떠올리게 한 것 같다."라고 말한다.[2]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저자가 예레미야가 아니라는 데 동의한다.[3] 제시된 주요 논쟁은 문학적 질과 종교적 깊이와 민감도이다.[4] J. T. 마샬은 망명의 기간에 대해 "70년" (렘 29:10)이 아닌 "7세대" (3절)를 사용한 것은 "예레미야보다는 긴 망명을 슬퍼하는 사람에게서 비롯된 것"이라고 덧붙인다.[5] 저자는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인으로, 알렉산드리아에 살았을 수 있지만,[1][6] 확실하게 말하기는 어렵다.

예레미야의 편지를 포함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모두 그리스어로 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그리스어 단편(기원전 1세기)은 쿰란에서 발견되었다.[7] 기포드는 당시 "유능하고 공정한 비평가들의 대다수"가 그리스어를 원본 언어로 간주했다고 보고한다.[8] 이 다수설에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는 사람은 C. J. 볼이었으며, 그는 히브리어 원본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펼쳤다.[10] 그러나 예일 대학교 셈족어 학자 C. C. 토리는 설득되지 않았다. 그는 "볼과 같은 철저하고 광범위한 학자가 이보다 더 나은 것을 만들어낼 수 없다면, 그 언어는 아마도 히브리어가 아니었을 것이라고 주저 없이 말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11] 토리 자신의 결론은 이 작품이 원래 아람어로 쓰여졌다는 것이었다.[12] 최근 몇 년 동안 여론의 흐름이 바뀌었고, 현재 합의는 그 "편지"가 원래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로 쓰여졌다는 것이다.[13]

이 작품의 연대는 불확실하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사야서 44:9–20, 46:5–7과 같은 특정 성경 구절에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원전 540년보다 앞설 수 없다는 데 동의한다.[14] 쿰란 7번 굴에서 발견된 두루마리 중 단편(7Q2)이 확인되었으므로 기원전 100년 이후일 수 없다. 이 종착점에 대한 추가적인 근거는 마카베오기 하권 2:1–3에 나오는 이 서신에 대한 언급일 가능성에서 찾을 수 있다.[15][16]

예레미야의 편지 4–6절 (NEB)마카베오기 하권 2:1–3
περ.|기원전 150–120년grc
이제 바빌론에서는 사람들의 어깨에 은, 금, 나무로 만든 신들이 실려 다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며, 이는 이교도들에게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방인들을 결코 모방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경배자들의 행렬 한가운데에서 그들을 보더라도 그들의 신에게 압도되지 말라. 그러나 마음속으로 "오직 당신, 주님만이 숭배를 받으시나이다."라고 말하라.기록에 따르면 예언자 예레미야가 유배자들에게 ... 주님의 율법을 소홀히 하거나, 모든 장식을 갖춘 금과 은의 형상을 보고 미혹되지 않도록 명령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70년" 대신 "7세대"를 사용하는 것은 더 후대의 시기를 가리킨다. Ball은 연대를 대략 기원전 317–307년으로 추정한다.[17] Tededche는 "많은 유대인들이 기원전 300년 이후 그리스 시대에 외래 종교에 매료되었으므로, 이 서신의 경고는 이 기간 동안 언제든지 발해졌을 수 있다."라고 언급한다.[18]

2. 1. 저자

편지의 내용에 따르면, 저자는 성경 예언자 예레미야이다. 성경의 예레미야서 자체에는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에서" 바빌론의 "포로"들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이 담겨 있다. 예레미야의 편지는 스스로를 이와 유사한 서신으로 묘사한다.

예레미야의 편지 1 (KJV)예레미야 29:1 (KJV)
예레미가 바빌론 왕에게 포로로 잡혀갈 사람들에게 보낸 서신의 사본으로, 하나님께서 명하신 대로 그들에게 알리기 위함이었다.예언자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에서 포로로 잡혀간 장로들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바빌론으로 포로로 잡아가게 한 모든 백성들에게.



E. H. 기포드는 "예레미야가 포로들에게 그런 편지를 썼다는 사실이 그가 죽은 지 여러 세대가 지난 후에 실제로 쓰여진 또 다른 편지를 그의 이름으로 격상시키는 생각을 떠올리게 한 것 같다."라고 말한다.[2] 전통적인 견해와 달리,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저자가 예레미야가 아니라는 데 동의한다. 로마 가톨릭 해설가 F. H. 로이쉬가 그 예외이다.[3] 제시된 주요 논쟁은 문학적 질과 종교적 깊이와 민감도이다.[4] J. T. 마샬은 망명의 기간에 대해 "70년" (렘 29:10)이 아닌 "7세대" (3절)를 사용한 것은 "예레미야보다는 긴 망명을 슬퍼하는 사람에게서 비롯된 것"이라고 덧붙인다.[5] 저자는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인으로, 알렉산드리아에 살았을 수 있지만,[1][6] 확실하게 말하기는 어렵다. 예레미야의 편지를 포함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은 모두 그리스어로 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그리스어 단편(기원전 1세기)은 쿰란에서 발견되었다.[7] 기포드는 당시 "유능하고 공정한 비평가들의 대다수"가 그리스어를 원본 언어로 간주했다고 보고한다.[8] 이러한 비평가 중 한 명인 O. F. 프리츠셰는 "만약 외경 중 어떤 책이 그리스어로 쓰여졌다면, 분명히 이 책이 그랬을 것이다."라고 말했다.[9] 이 다수설에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는 사람은 C. J. 볼이었으며, 그는 히브리어 원본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펼쳤다.[10] 그러나 예일 대학교 셈족어 학자 C. C. 토리는 설득되지 않았다. "볼과 같은 철저하고 광범위한 학자가 이보다 더 나은 것을 만들어낼 수 없다면, 그 언어는 아마도 히브리어가 아니었을 것이라고 주저 없이 말할 수 있다."[11] 토리 자신의 결론은 이 작품이 원래 아람어로 쓰여졌다는 것이었다.[12] 최근 몇 년 동안 여론의 흐름이 바뀌었고, 현재 합의는 그 "편지"가 원래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로 쓰여졌다는 것이다.[13]

2. 2. 연대

이 작품의 연대는 불확실하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사야서 44:9–20, 46:5–7과 같은 특정 성경 구절에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원전 540년보다 앞설 수 없다는 데 동의한다.[14] 쿰란 7번 굴에서 발견된 두루마리 중 단편(7Q2)이 확인되었으므로 기원전 100년 이후일 수 없다. 이 종착점에 대한 추가적인 근거는 마카베오기 하권 2:1–3에 나오는 이 서신에 대한 언급일 가능성에서 찾을 수 있다.[15][16]

예레미야의 편지 4–6절 (NEB)마카베오기 하권 2:1–3
περ.|기원전 150–120년grc
이제 바빌론에서는 사람들의 어깨에 은, 금, 나무로 만든 신들이 실려 다니는 것을 보게 될 것이며, 이는 이교도들에게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방인들을 결코 모방하지 않도록 주의하라. 경배자들의 행렬 한가운데에서 그들을 보더라도 그들의 신에게 압도되지 말라. 그러나 마음속으로 "오직 당신, 주님만이 숭배를 받으시나이다."라고 말하라.기록에 따르면 예언자 예레미야가 유배자들에게 ... 주님의 율법을 소홀히 하거나, 모든 장식을 갖춘 금과 은의 형상을 보고 미혹되지 않도록 명령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70년" 대신 "7세대"를 사용하는 것은 더 후대의 시기를 가리킨다. Ball은 연대를 대략 기원전 317–307년으로 추정한다.[17] Tededche는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많은 유대인들이 기원전 300년 이후 그리스 시대에 외래 종교에 매료되었으므로, 이 서신의 경고는 이 기간 동안 언제든지 발해졌을 수 있다."[18]

3. 정경성

70인역에는 '예레미야의 편지'가 독립된 단위로 포함되어 있지만, 마소라 전승에서 정경으로 인정받았다는 증거는 없다.

이 편지의 정경성 문제가 기독교 전통에서 제기된 가장 초기의 증거는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겐의 저작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는 유세비우스의 ''교회사''에 보고되어 있다. 오리겐은 "히브리인들이 전해준 정경"에 속하는 책으로 예레미야애가와 예레미야의 편지를 예레미야서와 함께 묶어 언급했는데, 학자들은 이것이 분명한 실수였다고 본다.[19]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그의 저서 ''파나리온''에서 유대인들이 예레미야의 외경인 예레미야의 편지와 바룩서를 모두 예레미야서와 예레미야애가와 합쳐 하나의 책으로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다.[21]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도 같은 내용을 언급했다. 그는 예레미야의 외경인 예레미야의 편지와 바룩서를 구약 성경 정경에 포함시켰으며, 이 두 책은 예레미야서와 예레미야애가와 합쳐 하나의 책으로 묶여 있었다.[22]

예루살렘의 키릴은 정경 목록에서 "예레미야서 한 권, 바룩서, 예레미야애가, 그리고 편지를 포함한다"라고 언급했다.[23]

테르툴리아누스는 '전갈'에서 이 편지를 권위 있게 인용했다.[24]

라오디게아 종교회의 (4세기)는 예레미야서, 바룩서, 예레미야애가, 그리고 편지가 하나의 책으로 정경으로 인정된다고 기록했다.[25]

제롬불가타(대중적인) 라틴어 성경 번역 작업을 주로 담당했는데, 이를 불가타 성경이라고 한다. 히브리어 원본이 없었기 때문에, 제롬은 예레미야의 편지를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외경으로 간주하며 정경으로 인정하지 않았다.[26]

제롬의 이 같은 유보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이 편지는 불가타의 구약 성경에서 바룩서의 6장으로 포함되었다. 킹 제임스 성경도 같은 방식을 따랐으며, 루터 성경과 마찬가지로 바룩서를 외경 부분에 배치했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정경에서는 이 편지가 4 바룩(또는 ''예레미야의 부록'')과 함께 "예레미야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

이 편지는 사해 문서에서 발견된 네 개의 외경 중 하나이다 (다른 세 개는 시편 151편, 집회서, 그리고 토비트기). 쿰란에서 발견된 이 편지의 부분은 그리스어로 기록되었다. 이는 이 텍스트가 이전의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 텍스트에 기반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텍스트는 히브리어에는 없는 수십 가지의 언어학적 특징을 그리스어에서 보여준다. 이것은 그리스어 텍스트가 단순히 최소한의 번역 이상임을 보여준다.[27]

4. 내용

이 편지는 우상 숭배에 대한 격렬한 비난을 담고 있으며, 예레미야서 10장 11절을 바탕으로 한 설교로 볼 수 있다.[28][29] 이 구절은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다.[30]

이 편지는 바빌론 유수 시기 유대인들에게 바빌론 신들을 숭배하지 않고 오직 야훼만을 숭배하도록 가르치는 실용적인 목적을 가지고 쓰였다.[1] 저자는 히브리인들이 7세대 동안 포로 생활을 하며 우상 숭배를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우상의 무능함을 강조하고 우상 숭배를 피하라고 권고한다.[1]

4. 1. 우상 숭배 비판

이 편지는 우상과 우상 숭배에 대한 격렬한 비난이다.[28] 브루스 M. 메츠거는 "이 편지를 정경 예레미야서의 한 구절에 기초한 열정적인 설교라고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제안한다.[29] 그 구절은 예레미야 10:11절로, 책 전체에서 유일하게 아람어로 기록된 구절이다.[30]

אִדֵּין תֵּאמְרוּן לְהֹם אֱלָהַיָּא דִּי שְׁמַיָּא וְאַרְקָא לָא עֲבַדוּ יֵאבַדוּ מֵאַרְעָא וּמִן תְּחֹות שְׁמַיָּא אֵלֶּה|너희는 그들에게 이렇게 말하여라. "하늘과 땅을 짓지 아니한 이 신들은 땅에서, 하늘 아래에서 멸망할 것이다."he

이 작품은 유대인들에게 바빌론 신들을 숭배하지 말고 오직 야훼만을 숭배하도록 가르치기 위한 실용적 목적을 가지고 쓰여졌다.[1] 기포드는 "작가는 분명히 이교도들 가운데 살면서 배교의 유혹에 맞서 경고와 격려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진지한 호소를 하고 있다."라고 말한다.[31] 저자는 바빌론 유수에 있던 히브리인들에게 그들이 7세대 동안 포로로 남아 있어야 하며, 그 기간 동안 우상에게 바쳐지는 숭배를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 독자들은 우상들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말하거나 듣거나 스스로를 보존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이에 참여하지 않도록 권고받았다.[1] 그 다음에는 우상에 대한 풍자적인 비난이 이어진다. 기포드가 설명하듯이, 이 우상 숭배의 어리석음에는 "생각의 명확한 논리적 배열이 없지만, 구분은 전체 구성에 일종의 리듬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후렴구의 반복에 의해 표시된다."[32] 결론은 우상 숭배를 피하라는 경고를 반복한다.

이 편지는 바빌론으로 끌려가게 된 백성들에게 보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우상 숭배의 어리석음과 무력함을 일관되게 지적하고 있다. 우상은 생명을 갖지 못하고, 걷지도, 말하지도 못하며,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무능함을 열거한 뒤, 그것을 두려워하는 자들 또한 조롱받는다는 것이 주제이다.

4. 2. 유일신 신앙 강조

이 편지는 우상과 우상 숭배에 대한 격렬한 비난이다.[28] 브루스 M. 메츠거는 "어쩌면 이 편지를 정경 예레미야서의 한 구절에 기초한 열정적인 설교라고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제안한다.[29] 그 구절은 예레미야 10:11절로, 책 전체에서 유일하게 아람어로 기록된 구절이다.[30]

כִּדְנָה תֵּאמְרוּן לְהֹום אֱלָהַיָּא דִּי שְׁמַיָּא וְאַרְקָא לָא עֲבַדוּ יֵאבַדוּ מֵאַרְעָא וּמִן תְּחֹות שְׁמַיָּא אֵלֶּה|키드나 테메룬 레홈 엘라야 디 쉐마야 웨아르카 라 아바두 예아바두 메아르아 우민 테호트 쉐마야 엘레he

너희는 그들에게 이렇게 말하여라. "하늘과 땅을 짓지 아니한 이 신들은 땅에서, 하늘 아래에서 멸망할 것이다."한국어

이 작품은 진지한 실용적 목적을 가지고 쓰여졌다.[1] 유대인들에게 바빌론 신들을 숭배하지 말고 오직 야훼만을 숭배하도록 가르치기 위함이다. 기포드는 "작가는 분명히 이교도들 가운데 살면서 배교의 유혹에 맞서 경고와 격려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진지한 호소를 하고 있다."라고 말한다.[31] 저자는 바빌론 유수에 있던 히브리인들에게 그들이 7세대 동안 포로로 남아 있어야 하며, 그 기간 동안 우상에게 바쳐지는 숭배를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 독자들은 우상들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말하거나 듣거나 스스로를 보존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이에 참여하지 않도록 권고받았다.[1] 그 다음에는 우상에 대한 풍자적인 비난이 이어진다. 기포드가 설명하듯이, 이 우상 숭배의 어리석음에는 "생각의 명확한 논리적 배열이 없지만, 구분은 전체 구성에 일종의 리듬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후렴구의 반복에 의해 표시된다."라고 설명한다.[32] 결론은 우상 숭배를 피하라는 경고를 반복한다.

참조

[1] 서적
[2] 문서 Gifford 1888, 287
[3] 서적 Erklärung des Buchs Baruch Herder 1853
[4] 문서 Moore 1992, 704; cf. Marshall 1909, 578
[5] 문서 Marshall 1909, 579; cf. Gifford 1888, 302; Ball 1913, 596
[6] 문서 Westcott 1893, 361; Gifford 1888, 290
[7] 문서 Baillet 1962, 143
[8] 문서 Gifford 1888, 288; cf. Torrey 1945, 65
[9] 문서 Fritzsche 1851, 206 as translated by Gifford 1888, 288
[10] 문서 Ball 1913, 597–98, and throughout the commentary; cf. Gifford 1888, 289
[11] 문서 Torrey 1945, 65; cf. Oesterley 1914, 508
[12] 문서 Pfeiffer 1949, 430, supports Torrey's Aramaic proposal, though noting that "its Hellenistic Greek style is fairly good."
[13] 문서 Metzger 1957, 96; Moore 1977, 327–27; Nickelsburg 1984, 148; Schürer 1987, 744 (opinion of revisers, Schürer himself thought it was "certainly of Greek origin" [Schürer 1896, 195]); Moore 1992, 704; Kaiser 2004, 62
[14] 문서 Moore 1992, 705; Schürer 1987, 744; Pfeiffer 1949, 429
[15] citation intertextual.bible/text/letter-of-jeremiah-1.4-2-maccabees-2.2 https://intertextual[...]
[16] 문서 Moore 1992, 705; Nickelsburg, 1984, 148; Schürer 1987, 744. Pfeiffer 1949, 429, rejects the reference and cites other rejectors
[17] 문서 Ball 1913, 596; cf. Moore 1977, 334–35
[18] 문서 Tededche 1962, 823
[19] 웹사이트 Church History, vi.25.2 http://en.wikisource[...]
[20] 문서 Marshall 1909, 579; Schürer 1987, 744. H. J. Lawlor and J. E. L. Oulton, Eusebius: The Ecclesiastical History, 2 vols. (London: SPCK, 1927), 2:216, write: "the text of the list which lay before Eusebius was corrupt or was carelessly copied."
[21] 서적 The Panarion of Epiphanius of Salamis 8:6:1-3 http://www.masseiana[...] E.J. Brill 2016-10-11
[22] 서적 Letter 39 http://www.newadvent[...] newadvent 2016-10-11
[23] 서적 Catechetical Lecture 4 Chapter 35 http://www.newadvent[...] newadvent 2016-10-12
[24] citation intertextual.bible/text/letter-of-jeremiah-1.3-tertullian-scorpiace-8 https://intertextual[...]
[25] 서적 Synod of Laodicea Canon 60 http://www.newadvent[...] newadvent 2016-10-12
[26] 문서 Jerome, Comm. on Jeremiah, praef. Migne PL 24:706
[27] 간행물 'To the Reader of the Epistle of Ieremeias' http://ccat.sas.upen[...] New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ptuagint
[28] 문서 Moore 1992, 703; cf. Dancy 1972, 199
[29] 문서 Metzger 1957, 96. Also endorsing its sermonic character are Ball 1913, 596; Tededche 1962, 822; Vriezen 2005, 543
[30] 문서 Torrey 1945, 64; Metzger 1957, 96; Moore 1992, 704
[31] 문서 Gifford 1888, 290. Oesterley 1914, 507, says much the same thing: "That the writer is seeking to check a real danger ... seems certain from the obvious earnestness with which he writes."
[32] 문서 Gifford 1888, 287. The refrain occurs first at v. 16 and then is repeated at vv. 23, 29, 65, and 69
[33] 웹사이트 http://www.cyberspac[...]
[34] 웹사이트 http://www.cybersp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