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디오 파일 포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디오 파일 포맷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형식으로, 크게 비압축, 무손실 압축, 손실 압축 포맷으로 분류된다. 오디오 코덱은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및 복원하는 기술이며, 파일 포맷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포맷으로는 무손실 압축 포맷인 FLAC, WAV, AIFF, ALAC 등이 있으며, 손실 압축 포맷으로는 MP3, AAC, Opus 등이 있다. 파일 형식과 코덱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며, 코덱은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복호화하고 파일 형식은 음성을 저장하는 특정 형식을 나타낸다. 오디오 파일 포맷은 압축 방식, 음질, 호환성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다양한 코덱과 컨테이너 형식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컨테이너 포맷 -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AVI)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으로, RIFF 파일 형식의 하위 분류에 속하며 다양한 코덱을 사용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데 활용된다.
  • 컨테이너 포맷 - WAV
    WAV는 IBM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정의한 RIFF를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주로 비압축 오디오인 LPCM 형식을 사용하며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지원되고 전문적인 오디오 작업 및 방송국에서 표준 오디오 포맷으로 사용된다.
오디오 파일 포맷

2. 포맷 형식

오디오 파일 포맷은 크게 세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 무손실 오디오 형식: WAV, AIFF, AU 또는 헤더가 없는 원시 PCM 등이 있다. WAV는 압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1]
  • 무손실 압축 형식: FLAC, 몽키 오디오 (파일 확장자 .ape), WavPack (파일 확장자 .wv), TTA, ATRAC Advanced Lossless, ALAC (파일 확장자 .m4a), MPEG-4 SLS, MPEG-4 ALS, MPEG-4 DST,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 무손실 (WMA 무손실), Shorten (SHN) 등이 있다.
  • 손실 압축 형식: 오푸스, MP3, Vorbis, 뮤즈팩, AAC, ATRAC,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 손실 (WMA 손실) 등이 있다.


오디오 코딩 형식과 컨테이너는 원시 오디오 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오디오 코덱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코덱은 원시 오디오 데이터의 인코딩과 디코딩을 수행하는 반면, 이 인코딩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파일에 저장된다.[1] 대부분의 오디오 파일 형식은 하나의 유형의 오디오 코딩 데이터(오디오 코더로 생성됨)만 지원하지만, Matroska 또는 AVI와 같은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형식은 여러 유형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다.

오디오 부호화에는 크게 펄스 부호 변조(PCM) 방식과 펄스 밀도 변조(PDM) 방식이 있다. CD-DA나 DVD-Audio에 사용되는 방식은 전자이며, Super Audio CD에 사용되는 방식은 후자이다. 리니어 PCM은 음성 신호의 강도를 특정 양자화 비트 수(비트 심도)의 수치로 표현하고, 일정한 시간 간격(샘플링 주파수)으로 표본화한다. 음성 신호의 강도 대신, 음성 신호의 (시간) 차분을 부호화하는 방식으로는 차분 펄스 부호 변조(DPCM)나 적응적 차분 펄스 부호 변조(ADPCM)가 있다. PDM은 음성의 파의 소밀을 1bit로 표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표본화한다.

데이터는 압축되지 않고 저장되거나,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해 압축되어 저장된다. 이때, 어떤 구조로 저장될지를 규정하는 것이 파일 형식이다. raw PCM 데이터는 양자화 비트 수[bit/sample] × 샘플링 주파수[sample/sec] × 시간[sec]으로 정해지는 길이의 비트 열로 표시되지만, 이를 음성 데이터로 해석하려면 PCM으로 부호화되었다는 것, 양자화 비트 수, 샘플링 레이트 등의 정보(메타데이터)가 필요하다. 파일 형식은 이러한 데이터의 배치 방식・형식(포맷)을 규정한다.

파일 형식코덱을 구별하는 것은 중요하다. 코덱은 raw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특히 압축)/복호하는 방식이며, 파일 형식은 음성을 파일에 저장할 때의 특정 형식을 가리킨다. 다만, 음성 파일 형식에는 하나의 코덱이 대응하는(또는 하나의 표준적인 코덱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2. 1. 비압축 포맷

WAV는 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표준 오디오 파일 포맷이다. PCM 방식에 기반하며, 파일 내 구조는 RIFF 형식을 따른다.[1] AIFF애플 환경에서 사용되는 표준 포맷으로, IFF에 기반한다.[2] 이 두 포맷은 다양한 오디오 형식(무손실 및 손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의 형식을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헤더를 가지고 있다. 헤더에는 샘플 속도, 비트 심도, 바이트 순서, 채널 수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3] WAV와 AIFF는 널리 지원되며 LPCM을 저장할 수 있어 원본 녹음을 저장하고 보관하기에 적합하다.

BWF(Broadcast Wave Format)는 유럽 방송 연합에서 WAV의 후속으로 제정한 표준 오디오 형식이다.[4] BWF는 파일에 더 많은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텔레비전 및 영화 산업의 많은 전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에서 사용되는 주요 녹음 형식이다.[5] BWF 파일에는 표준화된 타임스탬프 참조가 포함되어 있어, 별도의 그림 요소와 쉽게 동기화할 수 있다.

2. 2. 무손실 압축 포맷

무손실 압축 오디오 형식은 정보를 손실하지 않으면서 더 적은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압축된 버전에서 원본의 압축되지 않은 데이터를 다시 만들 수 있다.[10][11]

압축되지 않은 오디오 형식은 소리와 무음을 시간 단위당 동일한 비트 수로 인코딩한다. 압축되지 않은 1분 분량의 완전한 무음을 인코딩하면 압축되지 않은 1분 분량의 음악을 인코딩하는 것과 동일한 크기의 파일이 생성된다. 그러나 무손실 압축 형식에서는 음악이 압축되지 않은 형식보다 작은 파일을 차지하고 무음은 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무손실 압축 형식에는 FLAC, WavPack, Monkey's Audio, ALAC 등이 있다. 이들은 약 2:1의 압축률을 제공한다(즉, 파일은 PCM의 절반 공간을 차지한다). 무손실 압축 형식 개발은 좋은 압축률을 유지하면서 처리 시간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역 압축은 원본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모든 포맷의 음질은 동일하므로, 압축률, 인코딩/디코딩 계산 리소스, 부가 기능, 재생 환경 등을 비교하여 유용성을 판단할 수 있다.

포맷설명
TAK압축률, 인코딩/디코딩 속도, 기능면 모두 균형 잡힌 종합적인 고성능을 자랑한다. 프리웨어이지만 오픈 소스는 아니다.
FLAC인코딩/디코딩 속도, 기능 면에서 높은 성능을 자랑한다. 압축률은 낮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코덱 중 하나이다. 파일 포맷도 겸하고 있다.
Monkeys Audio(ape)가역 압축 코덱이자 포맷이다. OSS로 압축률, 인코딩 속도에서 높은 성능을 자랑하지만, Windows 이외의 OS에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디코딩 속도는 느리다.
TTA평균적으로 균형 잡힌 성능을 보인다.
WavPack평균적으로 균형 잡힌 성능을 보인다. 비가역 파일과 차분 파일을 생성하여, 비가역 음성 및 가역 음성으로 모두 취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드가 있다. PDM 방식의 음성 데이터 압축도 지원한다.
LA압축률에서 높은 성능을 자랑한다. 인코딩/디코딩 속도, 기능면 모두 낮은 성능을 보인다.
mp3HDMP3 가역 압축 코덱이자 포맷. MP3로 비가역 압축된 데이터에, 가역 압축된 데이터를 첨가한 것(하이브리드)이다. MP3 전용 재생기에서도 (비가역 압축 부분을 참조하여) 재생 가능하지만, 비가역 압축 상당의 음질이 된다.
MPEG-4 ALSMPEG-4 가역 압축 코덱, 압축률, 인코딩 속도에서 높은 성능을 자랑하며, 유연성이 높다.
MPEG-4 SLSMPEG-4 가역 압축 코덱, AAC 재생기에서도 재생 가능 (단, AAC 음질)
Apple Lossless(ALAC)애플(Apple Inc.)이 개발한 가역 압축 코덱. 이후 오픈 소스화되었다.
ATRAC Advanced Lossless(AAL)소니(Sony)가 개발한 가역 압축 코덱
WMA Lossless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개발한 가역 압축 코덱


2. 3. 손실 압축 포맷

MP3는 가장 대중적인 손실 압축 포맷이다. Vorbis는 오픈 소스 포맷으로, MP3보다 압축 효율이 좋다. Musepack은 고음질 압축에 특화되어 있다. AAC는 MP3보다 발전된 포맷으로, 애플 기기에서 주로 사용된다. ATRAC은 소니에서 개발한 포맷이다. Opus는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는 최신 포맷이다.

손실 압축 오디오 형식은 일부 오디오 정보를 제거하고 데이터를 단순화하여 파일 크기를 줄인다. 이는 음질 저하를 초래하지만, 심리음향학을 이용하여 인지되는 품질에 가장 적은 영향을 미치는 소리 부분을 제거하고, 추가되는 가청 노이즈의 양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사용된다.[1] 대부분의 형식은 다양한 압축 정도를 제공하며, 비트 전송률이 낮을수록 파일 크기가 작아지고 품질 손실이 커진다.[1]

비가역 압축 방식은 일반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다. 음향 심리학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가청 영역에 없는 소리나, 어떤 소리에 의해 마스킹되어 듣기 어려운 소리를 생략하여 압축한다. 따라서 같은 음원의 PCM 파일보다 (음원의 특성, 코덱, 비트 전송률 설정에 따라 다르지만) 몇 분의 1 크기가 되지만, 체감적인 음질은 어느 정도 유지된다. 코덱 각각의 특성에 따라 압축률, 재생 시 음질 및 특성의 차이가 나타난다.[4]

대표적인 손실 압축 포맷은 다음과 같다:

포맷설명
AACMP3와 함께 대표적인 비가역 압축 코덱 중 하나로, MP3보다 음질(압축 효율)이 좋다. MPEG-2MPEG-4를 기반으로 한다. AAC 파일에는 컨테이너 형식으로 ADTS와 ADIF가 있다.[5]
ATRAC소니가 개발한 비가역 압축 코덱. SonicStage, x-アプリ 등에 사용되고 있다.[6]
mp3음악 다운로드 배포에서 가장 일반적인 음성 비가역 압축 코덱 중 하나이며, 파일 포맷이기도 하다. MP3는 음악 압축에는 적합하지만, 말소리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7]
mp4/m4aMPEG-4 음성 포맷(컨테이너). 내용은 AAC인 경우가 많지만, MP2/MP3가 저장되는 경우도 있다. MP4에는 음성에 국한되지 않고 동영상 스트림이나 자막 등도 저장할 수 있다. 확장자 *.m4a는 특히 음성 스트림(및 메타데이터 등)을 저장한 MP4 파일에 사용된다.[8]
OpusVorbis보다 더욱 고음질의 음성 비가역 압축 코덱. 저지연이면서 저비트 전송률부터 고비트 전송률까지 높은 음질을 자랑하며, 음성 통신 및 음악 압축에 활용할 수 있다.[9]
Vorbis음성 비가역 압축 코덱 중 하나. 주로 Ogg 컨테이너에 저장된다. MP3보다 (체감 음질에 대한) 압축 효율이 좋다.[10]
Windows Media Audio(WMA)마이크로소프트가 권리를 보유하는 비가역 압축 코덱 · 파일 포맷.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11]


3. 오디오 파일 포맷 목록

파일 확장자개발 기업설명
3GPAMR, AMR-WB, AMR-WB+ 등의 사유 포맷 혹은 개방형 포맷을 담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
AIFF애플애플의 표준 오디오 파일 포맷. 윈도우 운영 체제의 WAV와 유사하다.
AACMPEG-2MPEG-4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AAC 포맷. aac 파일은 보통 ADTS나 ADIF의 컨테이너 포맷이다.
ALAC애플애플이 개발한 무손실 압축 기술.
AMRAMR-NB. 주로 음성 통화 등에 사용됨.
ATRAC (.wav)소니소니의 예전 포맷. 이 형식의 포맷은 항상 .wav 파일 확장자를 가지며 파일을 열기 위해선 ATRAC3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AU선 마이크로시스템즈선 마이크로시스템즈, 유닉스, 자바에서 사용되는 표준 오디오 파일 포맷.
AWBAMR-WB 오디오. 음성 통화에 주로 사용되고 ITU-T G.722.2 규약과 같다.
dvf소니압축 음성 파일을 위한 소니의 사유 포맷.
flac공개 무손실 압축코덱인 FLAC을 위한 파일 포맷.
mmf삼성전자삼성 오디오 포맷. 벨소리에 사용된다.
mp3MPEG Layer 3 오디오 파일.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오디오 파일 포맷.
MpcMusepack 또는 MPC(이전에는 MPEGplus, MPEG+, MP+ 등으로 알려짐.)는 개방형 손실 압축 오디오 코덱이다.
msv소니메모리스틱의 압축 음성 파일을 위한 소니 사유 포맷
oggXiph.Org 재단다양한 포맷들을 지원하는 무료 오픈소스 컨테이너 포맷.
Opus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가 개발한 손실 압축 포맷. 특히 인터넷 상의 인터랙티브 실시간 응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만들어졌다. [http://tools.ietf.org/html/rfc6716 RFC 6716] 가 오픈 포맷으로 표준화함으로써 참조 구현(Reference implementation)이 3절 BSD 허가서 하에 제공된다.
ra & rm리얼 네트웍스인터넷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리얼오디오 포맷.
TTA실시간 무손실 오디오 코덱.
VOXvox 포맷은 가장 널리 쓰이는 대화형 ADPCM 포맷이다. 다른 ADPCM 포맷과 비슷하게 4비트로 데이터를 압축한다. vox 포맷 파일은 WAV파일과 비슷하지만 vox 파일은 파일 그 자체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vox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코덱 샘플링 레이트와 채널 샘플 수가 먼저 명시되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WAV윈도우 PC에서 주로 쓰이는 표준 오디오 파일 컨테이너. 보통 비압축 방식의 CD급 품질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압축 방식이므로 필연적으로 파일의 크기가 클 수밖에 없다.
wma마이크로소프트마이크로소프트 사가 개발한 윈도 미디어 오디오 포맷. DRM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4. 코덱 분류 (특허 및 라이선스)

오디오 코덱은 특허 및 라이선스에 따라 자유/오픈 소스, 오픈 코덱, 독점 코덱 포맷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정보 접근성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 자유/오픈 소스 코덱 및 포맷: FLAC, AIFF, ALAC, Ogg, Opus, AU 등이 있다.
  • 오픈 코덱 포맷: AAC, mp4/m4a, GSM, dct, vox 등이 있다.
  • 독점 코덱 포맷: MP3, WMA, ATRAC, TAK, RealAudio, Digital Speech Standard, msv, dvf, m4p 등이 있다.

4. 1. 자유/오픈 소스 코덱 및 포맷

FLAC은 자유 무손실 오디오 코덱으로, 공개된 파일 포맷을 사용한다. AIFF애플의 표준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WAV와 유사하다. ALAC은 애플이 개발한 무손실 압축 기술이다. OggXiph.Org 재단이 개발한 다양한 포맷을 지원하는 자유 오픈 소스 컨테이너 포맷이다. Opus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가 개발한 손실 압축 포맷으로, 인터넷 상의 인터랙티브 실시간 응용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 오픈 포맷으로 표준화되어 있다. AU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즈의 표준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유닉스자바에서 사용된다.

4. 2. 오픈 코덱 포맷


  • AAC: MPEG-2MPEG-4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오디오 포맷으로, 주로 ADTS나 ADIF 컨테이너 포맷으로 사용된다.
  • mp4/m4a: 오디오 전용 MPEG-4 파일이며, 애플아이튠즈를 통해 배포하는 음악에 사용된다. 주로 AAC 코덱으로 압축되지만, ALAC 코덱도 사용 가능하다.
  • GSM: 유럽에서 전화 통신용으로 설계되어 전화 음성 메시지 및 대화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WAV 파일도 GSM 코덱으로 인코딩할 수 있으며, 13,000 비트 전송률로 전화 품질의 오디오를 압축 및 인코딩한다.[7]
  • dct: 구술 필기용으로 설계된 가변 코덱 포맷이다.
  • vox: 주로 Dialogic ADPCM 코덱을 사용하며, 4비트로 데이터를 압축한다. WAV 파일과 유사하지만, 파일 자체에 대한 정보(메타데이터)가 없어 재생 시 코덱 샘플링 레이트와 채널 샘플 수를 명시해야 한다.

4. 3. 독점 코덱 포맷


  • MP3 -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오디오 파일 포맷이다.
  • WMA -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윈도 미디어 오디오 포맷으로, DRM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 ATRAC - 소니의 예전 포맷으로, 이 형식의 포맷은 항상 .wav 파일 확장자를 가지며 파일을 열기 위해선 ATRAC3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 TAK - 실시간 무손실 오디오 코덱이다.
  • RealAudio - 인터넷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리얼 네트웍스의 리얼오디오 포맷이다.
  • Digital Speech Standard - 올림푸스가 권리를 가지고 있는 오래된 형식이며 코덱 성능도 좋지 않다.
  • msv - 소니메모리 스틱에서 사용되는 독자적인 음성 파일 형식이다.
  • dvf - 소니의 IC 레코더에서 사용되는 독자적인 음성 파일 형식이다.
  • m4p - 애플아이튠즈에서 사용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확장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가 있는 MP4(AAC) 형식이다.

5. 한국 특화 정보

한국은 IT 강국으로서 다양한 오디오 파일 포맷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정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거나 특별한 의미를 갖는 오디오 파일 포맷
파일 확장자제작 회사설명
.3gpAMR, AMR-WB, AMR-WB+ 등 주로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코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형식이다.
.aa오더블(아마존)DRM이 적용된 오디오북 컨테이너 형식으로, MP3 또는 ACELP 코덱으로 인코딩된다.
.aacMPEG-2MPEG-4 표준 기반 형식으로, 애플 아이튠즈애플 뮤직의 기본 포맷이다.
.aax오더블(아마존)DRM으로 암호화된 오디오북 형식으로, M4B 파일과 유사하다.
.act중국 MP3 및 MP4 플레이어, 음성 레코더에 주로 사용되는 손실 압축 ADPCM 형식이다.
.aiffApple애플에서 사용되는 표준 무압축 CD 품질 오디오 파일 형식이다.
.alacApple애플에서 개발한 무손실 오디오 코덱이다.
.amr주로 음성에 사용되는 AMR-NB 오디오이다.
.ape매튜 T. 애슐랜드(Matthew T. Ashland)Monkey's Audio 무손실 오디오 압축 형식이다.
.auSun MicrosystemsSun, 유닉스, Java에서 사용되는 표준 오디오 파일 형식이다.
.awb주로 음성에 사용되는 AMR-WB 오디오로, ITU-T의 G.722.2 사양과 동일하다.
.dssOlympus올림푸스의 독점 형식으로, 높은 압축률을 사용한다.
.dvfSony소니 녹음기에 사용되는 압축 음성 파일 형식이다.
.flac공개 무손실 압축 코덱을 위한 파일 형식이다.
.gsm전화 통신용으로 설계된 GSM은 전화 음성 메시지 및 대화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iklaxiKlaxiKlax Media의 독점 형식으로, 다중 트랙 디지털 오디오 형식이다.
.ivs3D Solar UK LtdDRM이 적용된 3D Solar UK Ltd의 독점 형식이다.
.m4a애플에서 아이튠즈를 통해 배포하는 보호되지 않은 음악에 사용되는 MPEG-4 파일 형식이다.
.m4b오디오북/팟캐스트 확장자로, 챕터 마커, 이미지, 하이퍼링크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m4pApple애플 아이튠즈애플 뮤직에서 사용되는 DRM이 적용된 AAC 버전이다.
.mmfYamaha, Samsung삼성전자 휴대폰 벨소리에 사용되는 오디오 형식이다.
.movpkgApple애플 뮤직의 무손실 및 고해상도 오디오 파일, Apple TV 비디오 저장에 사용되는 애플 오디오 형식이다.
.mp3가장 널리 쓰이는 오디오 파일 포맷이다.
.mpc오픈 소스 손실 오디오 코덱으로, 스테레오 오디오의 투명한 압축에 최적화되어 있다.
.msvSony메모리 스틱 압축 음성 파일에 대한 소니 독점 형식이다.
.nmfNICENICE 미디어 플레이어 오디오 파일
.ogg, .oga, .moggXiph.Org Foundation다양한 형식을 지원하는 무료 오픈 소스 컨테이너 형식이며, 그중 Vorbis 형식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opus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인터넷을 통한 대화형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한 손실 오디오 압축 형식이다.
.ra, .rmRealNetworks인터넷 스트리밍용으로 설계된 RealAudio 형식이다.
.raw일반적으로 PCM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사용되지만, 기술 테스트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rf64Wav 형식의 후속 버전으로, 4GiB 크기 제한을 극복한다.
.slnAsterisk에서 사용되는 부호 있는 선형 PCM 형식이다.
.ttaTrue Audio, 실시간 무손실 오디오 코덱이다.
.vocCreative Technology26바이트 헤더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일련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된 파일 형식이다.
.voxDialogic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코덱을 주로 사용하는 형식이다.
.wavIBMMicrosoftWindows PC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준 오디오 파일 컨테이너 형식이다.
.wma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Windows Media Audio 형식으로, 복사 방지 기능이 있다.
.wvwavpack 파일 형식이다.
.webmHTML 비디오용으로 제작된 로열티 프리 형식이다.
.8svxElectronic Arts1984년 Amiga가 처음 출시될 때 Electronic Arts에서 만든 8비트 사운드 샘플용 IFF-8SVX 형식이다.
.cdaRadio용 cda 파일 형식이다.


5. 1. 음성 통화 및 녹음

AMRAWB는 주로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오디오 코덱이다.[6] 이 코덱들은 한국의 이동통신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Dvf와 MsV는 소니의 독점 포맷으로, 각각 소니 IC 레코더와 메모리 스틱에서 사용되는 압축 음성 파일 형식이다.[6] 과거 한국 시장에서 소니 제품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포맷들도 접할 기회가 있었다.

5. 2. 음악 감상 및 스트리밍

MP3는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는 오디오 파일 포맷으로, 한국에서도 가장 대중적이다.[6] FLAC은 공개 무손실 압축 코덱을 위한 파일 포맷으로, 고음질 음원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AACMPEG-2MPEG-4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포맷으로, 애플아이튠즈애플 뮤직의 기본 포맷이며, 한국 내 애플 사용자 수가 증가하면서 중요도 역시 상승하고 있다.[8] Ogg는 다양한 포맷들을 지원하는 무료 오픈 소스 컨테이너 포맷으로, 일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있다.

5. 3. 전문 오디오 작업

WAVAIFF는 전문가 수준의 오디오 작업에 사용되는 표준 포맷이다. WAV는 주로 윈도우 환경에서, AIFF는 애플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 포맷들은 다양한 오디오 형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의 형식(샘플 속도, 비트 심도, 채널 수 등)을 설명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여 원본 녹음을 저장하고 보관하기에 적합하다.[1][2][3][4][5]

BWF(방송 파형 형식)는 유럽 방송 연합이 WAV의 후속으로 만든 표준 오디오 형식이다. BWF는 파일에 더 많은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방송 및 영화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표준화된 타임스탬프 참조를 포함하여 영상 요소와의 동기화를 쉽게 해준다. AETA, Sound Devices, Zaxcom, HHB Communications Ltd, Fostex, Nagra, Aaton, TASCAM 등 여러 회사의 전문 오디오 장비에서 기본 형식으로 사용된다.[1][2][3][4][5]

5. 4. 기타

mmf영어삼성전자에서 개발한 오디오 포맷으로, 주로 삼성 휴대폰의 벨소리에 사용되었다.[6] 과거 한국 시장에서 삼성 휴대폰이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mmf 포맷은 익숙한 형식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ETA AUDIO SYSTEMS: home http://www.aeta-audi[...] 2016-01-29
[2] 웹사이트 Sound Devices - Home http://www.sounddevi[...]
[3] 웹사이트 Zaxcom https://zaxcom.com/
[4] 웹사이트 "- HHB" https://www.hhb.co.u[...]
[5] 웹사이트 Aaton Digital http://aaton.com
[6] 웹사이트 The Digital Speech Standard (DSS & DSS Pro) https://audiosupport[...] 2023-11-14
[7] 웹사이트 What's an .GSM file? https://fileexpert.n[...] 2023-11-14
[8] 웹사이트 What is the M4b Format? https://www.lifewire[...]
[9] 웹사이트 Asterisk 10 Codecs and Audio Formats - Asterisk Project - Asterisk Project Wiki https://wiki.asteris[...]
[10] 뉴스 Lossless audio codec comparison - Revision 5, part 1: multichannel http://www.audiograa[...] 2022-03-30
[11] 뉴스 Lossless audio codec comparison - Revision 5, part 2: hi-res http://www.audiograa[...] 2022-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