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면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면직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1894년 6월 15일 황해도 안악에서 태어났다. 3·1 운동에 참여하고 《조선일보》,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했으며, 독립군 자금 모금 및 진남포 경찰서 폭탄 투척을 시도했다. 1922년 김구의 지시로 김립을 사살하고, 한국노병회에 가입, 남화한인청년연맹에서 활동하며 친일파 처단에 참여했다. 1934년 한국독립군 특무대장 비서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1938년 4월 14일 순국했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나키스트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아나키스트 - 에밀리아노 사파타
    에밀리아노 사파타는 1879년 멕시코에서 태어나 농민들의 토지 권리를 위해 멕시코 혁명에 참여하여 남부 해방군을 이끌었고, 농민 자치 정부를 수립했으나 1919년 암살당했으며 멕시코 국민 영웅으로 존경받는다.
  • 김구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는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법치주의, 강력한 한미 동맹을 기반으로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를 중시하며, 경제 개입주의를 옹호하는 경향과 소득 재분배에 대한 제한적인 입장을 취하고, LGBT 권리와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으나 1987년 민주화 이후 신자유주의적 가치를 강조하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 김구 - 백범김구기념관
    백범김구기념관은 백범 김구 선생의 삶과 사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기념관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지원과 국민 모금 운동을 통해 2002년 10월 22일에 개관되었으며, 임시정부 관련 유물과 유품, 그리고 김구 선생의 생애를 따라 구성된 전시관을 갖추고 있다.
  • 독립운동가 - 콰메 은크루마
    콰메 은크루마는 가나의 독립을 이끈 첫 번째 대통령이자 흑인 민족주의와 범아프리카주의에 기반한 정치 활동으로 아프리카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경제 정책 실패로 쿠데타로 실각하여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독립운동가 - 아메드 벤 벨라
    아메드 벤 벨라는 알제리의 독립운동과 정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알제리 초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반식민 운동에 참여하여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의 지도자가 되었고, 사회주의 정책 추진 및 비동맹 운동 주도 등의 활동을 펼쳤다.
오면직
기본 정보
대한제국 국새
대한제국 국새
출생1876년 7월 23일 (음력 6월 3일)
사망1945년 8월 15일
본관능성(綾城)
해정(海庭)
주요 경력
주요 경력대한제국 군부 군무국장
대한제국 육군 보병 정령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독립운동 관련 활동
맹혈단 조직1919년
활동 지역만주
서훈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2009년
훈격건국훈장 애족장 (2022년 추서)
가족 관계
배우자정부인(貞夫人) 경주 이씨(慶州 李氏)
자녀2남 3녀

2. 생애

오면직은 1894년 6월 15일 황해도 안악에서 태어나, 1938년 4월 14일 평양감옥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이다.[3]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1936년까지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조선일보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민족주의 인사들과 교류하고 독립군 자금을 모금하거나, 김구의 지시로 김립을 사살하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1937년 체포되어 해주지방법원과 평양복심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938년 평양감옥에서 교수형으로 순국하였다.[1][3]

2. 1. 생애 초반 (1894~1919)

1894년 6월 15일 황해도 안악에서 태어났다.[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대성중학을 중퇴하였고,[3] 공훈전자사료관에 따르면 양산학교 중학부를 중퇴하였다.[4]

경성측량강습소에서 3개월 간 수학한 후, 평양 대성중학에 들어갔지만 중퇴하였다. 1911년 6월 평양 사동광업소 고방(高坊)출장소에서 약 1년간 측량기술 견습으로 근무하였다.[4] 사직 후 귀향하여 농업에 종사하며 구장(區長)을 역임하였다.[4]

1917년경 사동광업소에 다시 취직하고자 평양에 갔다가 1919년 1월경 귀향하였다.[4]

2. 2. 독립운동기 (1919~1936)

오면직은 1919년부터 1936년까지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요약할 수 있다.

  • 3.1 운동 참여와 언론 활동 (1919~1920): 3·1 운동에 참가하고, 조선일보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며 민족주의 인사들과 교류했다. 독립군 자금 모금, 진남포경찰서 폭탄 투척 등의 활동을 했다.
  • 상하이 망명과 한국노병회 가입 (1921~1922): 김구의 권유로 한국노병회에 가입하고, 하난성 군관학교에 입학했다.
  • 김립 암살 (1922): 김구의 지시로 김립을 사살했다.
  • 남화한인청년연맹 활동 (1930~1933): 남화한인청년연맹의 맹원으로 활동하며 친일파 처단에 힘썼다.
  • 한국독립군 특무대장 비서 활동 (1934~1935): 김구가 조직한 한국독립군 특무대의 비서로 활동했다.


1935년, 오면직은 김구의 휘하를 떠났다.[3]

2. 2. 1. 3.1 운동 참여와 언론 활동 (1919~1920)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였고, 이후 독립운동에 종사하였다.[4]

조선일보동아일보 안악지국 기자로 활동하면서, 김동우, 한정교 등 민족주의 인사들과 교류하고 해외에서 들어온 독립신문을 탐독하였다.[3][4]

1920년 독립군 자금을 모금하고 진남포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3][4]

2. 2. 2. 상하이 망명과 한국노병회 가입 (1921~1922)

1922년 김구와 조상섭의 권유로 한국노병회에 가입하고, 한국노병회 파견원으로 하난성 군관학교에 입학하였다. 그 후 펑위샹이 경영하던 육군병공창(陸軍兵工廠) 좌도부(銼刀部)에 들어갔다.[4][3]

2. 2. 3. 김립 암살 (1922)

1921년 9월 23일 베를린에서 코민테른은 한형권에게 '임정의 내부분열 타개'를 조건으로 200000루블을 지원하였다. 한형권은 200000루블을 상하이로 가지고 왔지만 임정에 거의 내지 않고 이동휘 계열끼리만 비밀리에 사용했다.[5][6][7] 이에 김구는 김립을 임정 공금 횡령범으로 단정하여 오면직, 노종균을 파견해 1922년 2월 6일 김립을 사살한 것이다.[8][9]

2. 2. 4. 남화한인청년연맹 활동 (1930~1933)

1930년 4월 20일 중국 상하이에서 무정부주의운동단체인 남화한인청년연맹이 조직되었다.[10] 남화한인청년연맹은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이 상하이로 철수하여 전투체제로 개편한 단체로, 유자명, 유기석(柳基石, 일명 柳絮), 장도선(張道善), 정해리(鄭海理), 정화암, 안공근, 오면직, 이현근(李炫謹) 등이 맹원(盟員)이었다.[10] 남화한인청년연맹김구한인애국단과 협력하여 친일부역자들의 처단을 위해 투쟁했다. 1933년 상해에서 일본군과 내통한 옥관빈의 처단과, 엄형순, 이규호(李圭虎)의 친일분자 이용노 처단 등이 그것이다.[11] 그밖에도 친일주구에 대한 총살 처단이 있었다.[11]

2. 2. 5. 한국독립군 특무대장 비서 활동 (1934~1935)

1934년 김구한국독립군 특무대를 조직하고 대장이 되자 그의 비서가 되었다.[3]

1935년 김구의 휘하를 떠났다.[3]

2. 3. 생애 후반 (1937~1938)

1937년 체포된 오면직은 해주지방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공소하였으나, 평양복심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었다. 1938년 평양감옥에서 순국하였다.

2. 3. 1. 체포, 사형 선고 및 순국

체포된 후 국내로 압송되어 1937년 4월 16일 황해도 해주지방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1][3] 오면직은 이에 공소하였으나, 평양복심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었다.[1]

1938년 4월 14일 평양감옥 사형장에서 오면직에 대한 교수형이 집행되었다.[1]

3. 상훈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조

[1] 웹인용 맹혈단(猛血團) http://encykorea.aks[...]
[2] 웹인용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 오면직 https://e-gonghun.mp[...]
[3] 웹인용 오면직(吳冕稙) http://encykorea.aks[...]
[4] 웹인용 2014년 1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 오면직 https://e-gonghun.mp[...]
[5] 웹인용 국제공산당자금사건(國際共産黨資金事件) http://encykorea.aks[...]
[6] 웹인용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43 43권 서한집Ⅱ > 해제 http://db.history.go[...]
[7] 웹인용 143. (번역F) 이희경이 임시정부 재무차장 이유필에게 보낸 서한 http://db.history.go[...]
[8] 웹인용 한국독립운동사, 비극과 갈등의 기록 https://www.i815.or.[...] 독립기념관
[9] 웹인용 ‘정당한 폭력’은 정당한가 http://legacy.www.ha[...] 한겨레21 2007-04-12
[10] 웹인용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 https://encykorea.ak[...]
[11] 웹인용 6) 남화한인청년동맹과 육삼정 의거 http://db.history.go[...]
[12] 웹인용 4) 상해와 북경에서의 밀정·친일배 처단 활동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