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자명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원예학자이다. 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후난 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여 상하이로 망명,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으며, 의열단,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등에서 아나키스트 노선으로 활동했다.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 결성,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부 차장 등을 역임했으며, 중국에서 농학자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1991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197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화한인청년연맹 - 안공근
안공근은 안중근, 안정근의 동생으로, 러시아 망명 후 독립운동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한인애국단을 조직하고 이봉창, 윤봉길 의거를 지원했으나, 김구와의 갈등 후 1939년 암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독립운동가이다. - 남화한인청년연맹 - 정화암
정화암은 3·1 운동 참여를 시작으로 무정부주의 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 광복군 활동 등 독립운동에 헌신했으며 해방 후에는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인물로, 사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농학자 - 임기병
죄송합니다. 제공된 텍스트는 "개요" 섹션이 아니므로 요청하신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농학자 - 유달영
- 상하이 자오퉁 대학 교수 - 구러관
구러관은 충칭 대학 교수 및 총장, 당위원회 서기를 역임한 인물로, 장쑤성 출신이며 충칭 대학교와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폴리테크닉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고, 중국공산당 이공과학교육행정특임고문으로 활동하며 정치가들과 관계를 맺었다. - 상하이 자오퉁 대학 교수 - 양스밍
양스밍은 중국의 열역학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인물로, 야코프 수 발견에 기여했으며, 열전달 교재 편찬을 통해 열역학 교육 발전에 공헌했다.
유자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유자명 |
원래 이름 | 柳子明 |
출생일 | 1894년 1월 13일 |
사망지 | 후난성 창사시 |
출생지 | 충청도 충주 |
본관 | 문화(文化) |
거주지 |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시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지난시 중화인민공화국 후난성 창사시 |
직책 | |
직책 |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부 차장 |
직책 (원어) | 大韓民國 臨時政府 學務部 次長 |
임기 시작 | 1940년 1월 31일 |
임기 종료 | 1941년 2월 21일 |
주석 | 이동녕 (대한 임정 총수반) 김구 (대한 임정 총수반) |
총리 | 이동녕 (대한 임정 총수반) 김구 (대한 임정 총수반) |
수상 | 이동녕 (대한 임정 총수반) 김구 (대한 임정 총수반) |
개인 정보 | |
정당 | 무소속 |
배우자 | 초배 남양 홍씨 부인(南陽 洪氏 夫人) 계배 후메이리(胡美莉) |
학력 |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
경력 | 前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자오퉁 대학교 원예농학과 겸임교수 前 중화인민공화국 후난 농업대학교 원예농학과 겸임교수 |
2. 학력
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했다. 중국 후난 대학교 농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후난 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에서 이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충청북도 충주 출신이다. 충주농업고등학교의 전신인 충주간이농업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중 1919년 3·1 운동에 가담했다가 육로를 통해 상하이로 망명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다.
3. 생애
이후 무장 항일 투쟁에 뜻을 두고 김원봉의 의열단에 가입하였으며, 이회영, 김창숙, 신채호 등과 더불어 아나키스트 노선에서 활동했다. 1924년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설립에 관여했다. 1930년 4월에는 상해의 프랑스 조계에서 아나키스트운동의 강령과 규약을 발표했다.
중국어에 능통했던 그는 중국인, 인도인들과 함께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를 결성하였다. 이 단체는 김규식이 회장을 맡았으며, 기관지 《동방민족》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발행했다. 유자명은 조선혁명자연맹, 남화한인청년연맹, 불멸구락부 등의 독립 운동 조직에 꾸준히 가담했다. 1930년대에는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1940년대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유자명은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1923) 기초에 참가했을 만큼 아나키즘 이론에 밝았으며 탁월한 어학 실력과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독립 운동계의 일급 참모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중국인과 다시 결혼한 뒤 광복후 한국 전쟁 등으로 귀국 시기를 놓치면서 중국 후난(호남)농업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퇴임했다.
호남대학은 중국 최고의 농업대학이고, 류자명 선생은 중국에서 열손가락안에 꼽히는 농학자로 평가 받는다.
호남대학은 류자명 기념관과 동상을 세웠다.[1]
사망할 때까지 중국에서 원예학자로 활동하였고 후손들도 대부분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기 때문에 그동안 활동 내역이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었다.
1991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1978년 3급 국기훈장을 수여받아 남북 양 체제에서 동시에 인정 받은 독립 운동가가 되었다. 유해는 참여 정부 시절에 봉환[2] 해 국립대전현충원에 한국인, 중국인 부인과 합장되어 있다.
저서로 회고록 《나의 회억》(1984)이 있으며, 전기로는 《행동하는 지식인 류자명 평전》(원제 《불멸의 지사 류자명 평전》)(류연산 지음, 충주시 예성문화연구회, 2004년)이 발간되었다. 오랫동안 류자명 선생을 기록했던 중국의 한 여기자는 '훈장을 단 원예학자'라는 책도 출간했다.
3. 1. 독립운동
유자명은 충청북도 충주 출신으로, 1919년 3·1 운동에 가담했다가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다. 이후 김원봉의 의열단에 가입하여 무장 항일 투쟁에 참여했으며, 이회영, 김창숙, 신채호 등과 함께 아나키스트 노선에서 활동했다. 1924년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설립에 관여하고, 1930년에는 상하이에서 아나키스트운동의 강령과 규약을 발표했다.
중국어에 능통하여 중국인, 인도인들과 함께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를 결성하고, 기관지 《동방민족》을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발행했다. 조선혁명자연맹, 남화한인청년연맹, 불멸구락부 등의 독립 운동 조직에 가담했다. 1930년대에는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1940년대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부 차장을 역임했다.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1923) 기초에 참가하는 등 아나키즘 이론에도 밝았다.
1991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1978년 3급 국기훈장을 수여받아 남북 양 체제에서 동시에 인정받은 독립 운동가가 되었다. 유해는 참여 정부 시절에 봉환 해 국립대전현충원에 한국인, 중국인 부인과 합장되어 있다.
3. 2. 중국에서의 활동과 사망
유자명은 3·1 운동에 가담했다가 상하이로 망명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했다.[1] 김원봉의 의열단에 가입하였으며, 이회영, 김창숙, 신채호 등과 함께 아나키스트 노선에서 활동했다.[1] 1924년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설립에 관여했고, 1930년 4월에는 상해의 프랑스 조계에서 아나키스트운동의 강령과 규약을 발표했다.[1]
중국어에 능통했던 그는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를 결성하였다.[1] 이 단체는 김규식이 회장을 맡았으며, 기관지 《동방민족》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발행했다. 유자명은 조선혁명자연맹, 남화한인청년연맹, 불멸구락부 등의 독립 운동 조직에 꾸준히 가담했다.[1] 1930년대에는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1940년대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학무부 차장을 역임하였다.[1]
광복후 한국 전쟁 등으로 귀국 시기를 놓쳐 중국 후난(호남)농업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퇴임했다.[1] 호남대학은 중국 최고의 농업대학이고, 유자명 선생은 중국에서 열손가락안에 꼽히는 농학자로 평가 받는다.[1] 호남대학에는 유자명 기념관과 동상이 세워졌다.[1]
1985년 사망할 때까지 중국에서 원예학자로 활동했다.[1][2] 참여 정부 시절에 유해가 봉환[2]되어 국립대전현충원에 한국인, 중국인 부인과 합장되어 있다.[2]
4. 사후 평가 및 기념
참조
[1]
저널
"[3·1운동 100주년] 박걸순 충북대 교수 인터뷰"
http://news.zum.com/[...]
충북일보
2019-02-26
[2]
뉴스
중국에 남은 좌파계열 독립운동가 후손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