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이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이지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고통의 여신이다. 닉스의 가계도에 따르면, 오이지스는 닉스의 자녀 중 하나이다. 닉스는 밤을, 에레보스는 어둠을 상징하며, 아이테르는 빛을, 헤메라는 낮을 의미한다. 또한 모로스는 숙명을, 케르는 파괴적인 죽음을, 타나토스는 평화로운 죽음을, 휘프노스는 잠을, 오네이로이는 꿈을, 모모스는 비난을 각각 의미한다. 헤스페리데스는 서쪽 정원의 님프들이며, 모이라는 운명의 세 여신이다. 네메시스는 복수의 여신, 아파테는 속임수의 여신, 필로테스는 우정의 여신, 게라스는 노년의 신, 에리스는 불화의 여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행의 신 - 모트 (신)
    모트는 우가리트 신화에서 죽음을 의인화한 존재로, 바알과 대립하며 계절의 변화, 죽음, 가뭄, 화재를 상징하고, 아나트에게 살해당했다 부활하여 바알과 싸우는 과정을 반복한다.
  • 불행의 신 - 문창제군
    문창제군은 학문을 관장하며 과거 시험 준비생들에게 숭배받는 중국 신으로, 휘 또는 장아로 기원하며 장아자와 동일시되기도 하고, 원나라 시대 국가적 숭배를 받았으며, 괴성과 함께 숭배되고 《문창제군 은즐문》으로도 알려진 신앙 대상이다.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아이테르
    아이테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상층 대기 또는 우주의 물질적 요소를 의미하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에레보스와 닉스의 아들이자 헤메라의 형제로 묘사된다.
  • 그리스의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그리스의 여신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오이지스
기본 정보
그리스어Ὀϊζύς
로마자 표기Oizys
의미비참, 고통, 슬픔
관련 신모로스 (운명)
케레스 (파멸)
히프노스 (잠)
타나토스 (죽음)
모모스 (비난)
에리스 (불화)
계보
부모닉스 (밤) (단독으로)

2. 닉스의 가계도

그리스 신화의 태초에는 혼돈 상태인 카오스가 있었다. 카오스로부터 밤의 여신 닉스와 어둠의 신 에레보스가 태어났다.

닉스에레보스와 결합하여 밝은 창공의 신 아이테르와 낮의 여신 헤메라를 낳았다. 또한 닉스는 단독으로, 혹은 에레보스와의 사이에서 수많은 자식들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이들은 오이쥐스(비탄과 고뇌)를 포함하여 운명, 죽음, 잠, 꿈, 비난, 복수, 불화 등 다양한 추상적 개념이나 존재를 의인화한 신들이다. 대표적인 자식들로는 모로스, 케르, 타나토스, 휘프노스, 오네이로이, 모모스, 헤스페리데스, 모이라이(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네메시스, 아파테, 필로테스, 게라스, 에리스 등이 있다.

닉스의 딸인 불화의 여신 에리스 역시 고통, 망각, 기아, 슬픔, 전투, 싸움, 살해, 거짓말, 논쟁, 무법, 파멸, 맹세 등과 관련된 많은 자식들을 낳았다. 이들은 닉스의 손자, 손녀뻘에 해당하며, 포노스, 레테, 리모스, 알고스, 휘스미네, 마케, 포노스, 안드로크타시아, 네이코스, 프세우도스, 로고스, 암피로기아, 뒤스노미아, 아테, 호르코스 등이 있다.

이 가계는 그리스 신화 속 세상의 다양한 측면과 인간의 운명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각 신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1. 카오스

카오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태초의 혼돈 상태를 의미한다. 주어진 가계도에 따르면, 카오스로부터 에레보스(어둠)와 닉스(밤)가 생겨났다.

2. 2. 닉스 & 에레보스

그리스 신화에서 밤의 여신인 닉스와 어둠의 신인 에레보스는 태초의 신 카오스로부터 태어난 존재들이다. 닉스는 밤 그 자체를, 에레보스는 지하 세계의 깊은 어둠을 상징한다.

가계도에 따르면 이 둘 사이에서는 아이테르(창공의 빛)와 헤메라(낮)가 태어났다. 또한 닉스는 홀로, 혹은 에레보스와의 사이에서 오이쥐스(비탄과 고뇌)를 포함하여 운명, 죽음, 잠, 꿈, 비난, 복수, 불화 등 다양한 추상적 개념이나 존재를 의인화한 수많은 자식들을 낳았다. 이들은 오이쥐스의 형제자매에 해당한다.

2. 2. 1. 아이테르 & 헤메라

아이테르Αἰθήρgrc헤메라Ἡμέραgrc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태초의 신들이다. 주어진 가계도 정보에 따르면, 이들은 어둠의 신 에레보스와 밤의 여신 닉스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이다.[1] 아이테르는 '상층의 공기' 또는 '창공의 빛'을 상징하는 남신이며, 헤메라는 '낮'을 상징하는 여신이다.

이들은 슬픔과 불행의 여신인 오이쥐스와는 형제자매 관계이다. 가계도상 오이쥐스는 어머니인 닉스의 자식으로 나타나는데, 일부 신화에서는 닉스가 혼자 낳은 자식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1] 따라서 아이테르, 헤메라와 오이쥐스는 같은 어머니를 둔 이복 남매 관계일 수 있다.

2. 2. 2. 모로스, 케르, 타나토스, 휘프노스, 오네이로이, 모모스, 오이쥐스

그리스 신화에서 밤의 여신 닉스는 여러 자녀를 두었는데,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대부분 인간 세계의 어두운 측면이나 추상적인 개념을 의인화한 존재들이다.

  • 모로스: 피할 수 없는 운명, 즉 숙명을 상징하는 신이다.
  • 케르: 파괴적이고 폭력적인 죽음의 여신들이다.
  • 타나토스: 케르와는 달리 조용하고 평화로운 죽음을 관장하는 신이다.
  • 휘프노스: 잠의 신으로, 타나토스의 쌍둥이 형제로 알려져 있다.
  • 오네이로이: 꿈의 신들이다.
  • 모모스: 비난, 조롱, 풍자의 신이다.
  • 오이쥐스: 고통, 슬픔, 비참함을 의인화한 여신이다.

2. 2. 3. 헤스페리데스, 모이라이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네메시스, 아파테, 필로테스, 게라스, 에리스

헤스페리데스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님프들로, 세상의 서쪽 끝에 있는 정원에서 황금 사과나무를 지키는 역할을 맡았다.

모이라이는 운명을 관장하는 세 여신을 지칭하며,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클로토''': 운명의 실을 잣는 여신이다. 인간의 생명이 시작될 때 그 실을 뽑아내는 역할을 한다.
  • '''라케시스''': 운명의 실의 길이를 재는 여신이다. 각 개인에게 할당된 삶의 길이와 운명을 결정한다.
  • '''아트로포스''': 운명의 실을 끊는 여신이다. 정해진 시간이 되면 가차 없이 생명의 실을 잘라 죽음을 가져온다.


네메시스인과응보복수의 여신으로, 특히 오만(휴브리스)을 부린 자들에게 신들의 징벌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아파테기만과 속임수를 의인화한 여신이다.

필로테스우정과 애정, 환대를 상징하는 다이몬이다.

게라스는 노년과 늙음을 의인화한 신이다.

에리스는 불화와 다툼, 경쟁의 여신이다. 트로이아 전쟁의 발단이 된 황금 사과를 던진 장본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ὀϊζύς
[2] 서적
[3]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4]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4] 서적 De Natura Deorum https://www.loebclas[...]
[5] 서적
[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