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메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메라는 고대 그리스어로 '낮'을 의미하며, 빛, 밝음, 활동성, 드러냄을 상징하는 여신이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헤메라는 혼돈의 자식인 에레보스와 닉스의 딸이자 아이테르의 남매이다. 닉스와는 밤과 낮을 번갈아 관장하며, 타르타로스에 있는 관을 공유한다. 다른 문헌에서는 에오스, 아르테미스, 이집트 신화의 게브의 아내 등으로 동일시되기도 한다. 로마 신화에서는 디에스에 해당하며, 코스 섬에서 헬리오스와 함께 숭배받았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낮의 신 - 다그
    다그는 북유럽 신화에서 낮을 의인화한 신으로, 전차를 타고 말 스킨팍시를 통해 세상에 빛을 가져다주는 역할을 한다.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아이테르
    아이테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상층 대기 또는 우주의 물질적 요소를 의미하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에레보스와 닉스의 아들이자 헤메라의 형제로 묘사된다.
  • 그리스의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그리스의 여신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헤메라
기본 정보
거주지하늘과 타르타로스
배우자아이테르
부모에레보스와 닉스
형제자매아이테르

2. 어원 및 상징

헤메라(Ἡμέρα)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낮'을 의미하는 ἡμέρα|헤메라grc에서 유래했다. 헤메라는 빛과 밝음, 활동성, 그리고 드러남을 상징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헤메라는 태양신헬리오스보다 더 오래된 원시 시대에 위치해 있다. 헤메라는 카오스의 자식인 에레보스(암흑)와 닉스(밤)의 딸이며, 아이테르(맑은 대기)의 남매이다.[21]

어머니 닉스와는 표리일체의 존재로, 세계 서쪽 끝 지하에 관을 공유하고 있다. 그곳에는 타르타로스의 거대하고 깊은 구멍이 있으며, 거인아틀라스가 하늘을 받치고 있는 곳이다. 닉스가 세계를 돌며 밤을 가져오는 동안 헤메라는 이 관에 대기하고, 헤메라가 세계를 돌며 낮을 가져오는 동안에는 닉스가 여기에 대기한다. 그 때문에, 두 신이 함께 관에 있는 것은 낮과 밤의 경계인 한순간뿐이다. 양 여신은 교대로 관의 청동 문지방을 넘을 때 인사를 나누고, 헤메라는 인간들을 위해 빛을 짊어지고 관을 나선다고 한다.[24]

3. 신화

헤메라는 어머니 닉스(밤)와 함께 세계 서쪽 끝, 거인 아틀라스가 하늘을 떠받치는 곳 근처 타르타로스의 구멍에 있는 관에서 산다. 닉스가 밤을 가져오려 세상을 돌 때 헤메라는 관에서 기다리고, 헤메라가 낮을 가져오려 나설 때 닉스는 관으로 돌아와 쉰다. 이 때문에 두 여신은 낮과 밤의 경계에서 아주 잠깐만 함께 관에 머문다.[24] 헤시오도스는 두 여신이 번갈아 청동 문지방을 넘을 때 서로 인사를 하며, 헤메라는 인간에게 빛을 가져다주기 위해 관을 나선다고 묘사한다.[24]

헤메라는 종종 다른 여신들과 동일시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에오스(새벽)가 별개의 존재로 묘사되지만,[14] 다른 곳에서는 에오스와 헤메라를 동일시한다.[15] 예를 들어, 파우사니아스아테네의 "왕립 주랑"과 아미클라이의 아폴론 신전 옥좌, 올림피아의 돌 기단에 헤메라(또는 에오스)와 관련된 묘사가 있다고 기록했다.[16][17]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에오스는 오리온을 납치한 것으로 묘사되지만,[18] 에우포리온에 따르면 헤메라가 오리온과 사랑에 빠져 그를 데려갔다고 한다.[19]

바킬리데스는 헤메라를 아르테미스의 별칭으로 사용했으며,[25] 파우사니아스에오스에 헤메라를 적용했다.[26][27][28]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는 헤메라를 크로노스(대지의 신 게브)의 아내로, 오시리스이시스의 어머니로 하고 있다.[29]

3. 1. 기원과 가족 관계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헤메라는 에레보스(암흑)와 닉스(밤)의 딸이며, 아이테르(맑은 대기)의 남매이다.[21] 히기누스는 헤메라를 카오스의 딸로, 닉스, 에레보스, 아이테르와 형제라고 보았으며, 아이테르와의 사이에서 가이아(대지), 우라노스(하늘), 탈라사(바다)를 낳았다고 기록했다.[22] 키케로의 『신들의 본성에 관하여』(De Natura Deorum)에 따르면, 헤메라는 우라노스와의 사이에서 헤르메스를 낳았다.[23]

3. 2. 닉스와의 관계

헤메라는 어머니 닉스와 표리일체의 관계를 가진다. 이들은 세계 서쪽 끝 지하, 거인 아틀라스가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곳에 있는 타르타로스의 거대한 구멍에 있는 관을 공유한다. 닉스가 밤을 가져오기 위해 세상을 순회하는 동안 헤메라는 관에서 대기하고, 헤메라가 낮을 가져오기 위해 나설 때 닉스는 관으로 돌아와 휴식을 취한다. 이 때문에 두 여신이 함께 관에 머무는 것은 낮과 밤의 경계에서 아주 잠깐뿐이다.[24] 헤시오도스는 두 여신이 번갈아 청동 문지방을 넘을 때 서로 인사를 나누며, 헤메라는 인간들에게 빛을 가져다주기 위해 관을 나선다고 묘사한다.[24]

3. 3. 다른 신들과의 동일시

헤메라는 종종 다른 여신들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에오스(새벽)가 티탄 테이아와 히페리온의 딸이자, 멤논의 어머니, 그리고 케팔로스의 연인으로 별개의 존재로 묘사되지만,[14] 다른 곳에서는 에오스와 헤메라가 동일시된다.[15] 예를 들어,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아테네의 "왕립 주랑"과 아미클라이의 아폴론 신전의 옥좌에 헤메라로 확인된 여신에게 케팔로스가 끌려가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고 기록했다.[16] 그는 또한 올림피아에 있는 돌 기단에 헤메라가 아들 멤논의 목숨을 위해 제우스에게 간청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고 설명했다.[17]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서 에오스는 오리온을 납치한 것으로 묘사되지만,[18] 그 구절에 대한 석학은 에우포리온에 따르면 헤메라가 오리온과 사랑에 빠져 그를 데려갔다고 말한다.[19]

바킬리데스는 헤메라를 아르테미스의 별칭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며,[25] 파우사니아스케팔로스의 연인이자 멤논의 어머니인 새벽의 여신 에오스에 헤메라를 적용했다.[26][27][28] 시켈리아의 디오도로스는 이집트의 신들을 그리스 신화의 신들의 이름으로 부르며, 헤메라를 크로노스(대지의 신 게브)의 아내로, 오시리스이시스의 어머니로 하고 있다.[29]

4. 로마 신화의 디에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헤메라가 에레보스와 닉스의 자녀이자 오빠인 아이테르의 자매였던 것과 달리,[2] 헤메라의 로마 대응 신인 디에스(Dies, 낮)는 다른 계보를 가지고 있었다. 로마 신화학자 히기누스에 따르면, 카오스(Chaos, 혼돈)와 칼리기오(Caligio, 안개)가 녹스(Nox, 밤), 디에스, 에레부스(Erebus, 암흑), 아이테르(Aether, 하늘)의 부모였다.[10] 키케로는 아이테르와 디에스가 카엘루스(Caelus, 하늘)의 부모라고 말하며,[11] 히기누스는 아이테르와 디에스가 카엘루스 외에도 테라(Terra, 땅)와 마레(Mare, 바다)의 부모라고도 말한다.[12] 키케로는 디에스와 카엘루스가 메르쿠리우스(Mercury, 로마 신화의 헤르메스)의 부모라고도 말한다.[13]

5. 숭배

고대 시대에 헤메라가 숭배를 받았다는 증거는 거의 없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코스 섬에서 헤메라와 태양신 헬리오스를 위한 작은 신전의 존재를 증명했다.[20]

6. 갤러리

7. 계보

에레보스닉스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아이테르와는 남매지간이다.[1] 타나토스, 휘프노스, 모로스, 케르, 오네이로이, 모모스, 오이쥐스, 헤스페리데스, 모이라 자매(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네메시스, 아파테, 필로테스, 게라스, 에리스 등과는 형제자매이다.

참조

[1] 서적 Tripp, s.v. Hemera; Grimal, s.v. Hemera
[2] 서적 Hard, p. 24; Gantz, p. 4 https://books.google[...]
[3] 문학 Bacchylides, Victory Odes 7 https://www.loebclas[...]
[4] 간행물 Titanomachy
[5] 서적 Grimal, s.v. Uranus https://www.loebclas[...]
[6] 문학 Pindar, Olympian Odes 2.32 https://www.perseus.[...]
[7] 문헌 Scholia on Pindar's Olympian Odes 2.58 https://scaife.perse[...]
[8] 서적 Tripp, s.v. Hemera
[9] 문학 Hesiod, ''Theogony'' 748–757 https://www.loebclas[...]
[10] 문학 Hyginus, ''Fabulae'' Theogony 1 https://books.google[...]
[11] 문학 Cicero, ''De Natura Deorum'' 3.44 http://archive.org/s[...]
[12] 문학 Hyginus, ''Fabulae'' Theogony 1–2 https://books.google[...]
[13] 문학 Cicero, ''De Natura Deorum'' 3.56 https://archive.org/[...]
[14] 문학 Hesiod, ''Theogony'' 371–374, 984–987 https://www.loebclas[...]
[15] 서적 Hard, p. 46; Tripp, s.v. Hemera https://books.google[...]
[16] 문학 Pausanias, 1.3.1 (Royal Portico), 3.18.12 (throne of Apollo) http://data.perseus.[...]
[17] 문학 Pausanias, 5.22.2 http://data.perseus.[...]
[18] 문학 Homer, ''Odyssey'' 5.122 http://data.perseus.[...]
[19] 문학 Hard, p. 562; Euphorion fr. 66 https://books.google[...]
[20] 서적 Farnell, p. 419 https://archive.org/[...]
[21] 문학 ヘーシオドス、124行-125行
[22] 문학 ヒュギーヌス、序文
[23] 문학 キケロー『神々の本性』3巻56,59
[24] 문학 ヘーシオドス、744行-757行
[25] 문학 バッキュリデース断片11
[26] 문학 パウサニアス、1巻3・1
[27] 문학 パウサニアス、3巻18・12
[28] 문학 パウサニアス、5巻22・2
[29] 문학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1巻27・4‐2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