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오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입을 벌린', '텅 빈 공간'을 의미하며, 최초의 신으로 묘사된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카오스는 가이아, 타르타로스, 에로스보다 먼저 존재했으며, 에레보스와 닉스를 낳았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새》에서는 카오스가 닉스, 에레보스, 타르타로스와 함께 존재했으며, 에로스와 짝짓기하여 새들을 낳는 것으로 묘사된다. 또한, 소행성 카오스는 이 신화 속 카오스에서 이름을 따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조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창조신 -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선물하고 제우스에게 반항한 티탄 신으로, 문명 발전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고난을 겪었으며, 다양한 예술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미치고 현대 사회에서 저항과 진보의 상징으로 해석된다. - 가이아의 배우자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가이아의 배우자 - 아이테르
아이테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상층 대기 또는 우주의 물질적 요소를 의미하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에레보스와 닉스의 아들이자 헤메라의 형제로 묘사된다. - 혼돈의 신 - 앙그라 마이뉴
조로아스터교에서 앙그라 마이뉴는 '파괴적인 정신'이라는 뜻을 가진 절대 악으로, 최고신 아후라 마즈다에 대항하여 재앙을 일으키고 세상을 혼란에 빠뜨리는 존재이다. - 혼돈의 신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카오스 | |
---|---|
기본 정보 | |
![]() | |
그리스어 | Χάος |
로마자 표기 | Kháos |
의미 | 심연, 공간, 혼돈 |
신화 | |
유형 | 원초신 |
성별 | 없음 |
배우자 | 없음 |
자녀 | 에레보스 뉘క్స్ 가이아 타르타로스 에로스 |
설명 | '벌어진 틈', '공간', '심연' 등을 뜻함 만물이 생겨나기 이전의 텅 빈 무한한 공간 상태 우라노스와 가이아 이전의 최초의 존재 |
같이 보기 | |
관련 개념 | 혼돈 원질 태초의 어둠 |
2. 그리스 신화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와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새》는 그리스 신화에서 카오스와 우주의 기원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한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태초에 카오스(χάος|Khaos|무(無), 텅 빈 공간, 대공허grc)가 가장 먼저 자연적으로 나타났다. 이후 가이아(땅), 타르타로스(지하세계), 에로스(사랑)가 순서대로 나타났다.[8] 카오스로부터 에레보스(어둠)와 닉스(밤)가 태어났고,[9] 이 둘의 결합으로 아이테르(대기)와 헤메라(낮)가 태어났다.[10] 가이아는 우라노스(하늘), 우로스(산), 폰토스(바다)를 낳았으며,[11]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결합으로 12티탄 등이 태어났다.
반면, 아리스토파네스의 《새》에서는 태초에 카오스(공기), 닉스(밤), 에레보스(어둠), 타르타로스(지옥)가 있었고, 가이아(땅), 아이테르(공기), 우라노스(하늘)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7] 닉스가 낳은 알에서 에로스가 태어났고, 에로스와 카오스의 결합으로 새들이 태어났으며, 이후에 신들이 나타났다.
이처럼 두 문헌은 카오스를 비롯한 초기 신들의 출현 순서와 관계에 대해 다르게 묘사하고 있다. 원시신 카오스는 주신 제우스를 비롯한 그리스 신화 체계의 시초가 되는 신으로, 모든 신들과 영웅들의 조상에 해당한다. 오르페우스에 따르면 이 카오스는 유한한 모든 존재를 초월하는 무한을 상징한다고 한다. 카오스(Chaos)라는 이름은 "입을 크게 벌린", "텅 빈 공간"의 의미를 갖는다.[2]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카오스는 배우자 없이 에레보스(어둠)와 닉스(밤)를 낳았다.[4] 세계(우주)가 시작될 때 사물이 존재를 확보할 수 있는 장소(코라)가 필요했고, 아무것도 없는 "장", 즉 공극으로서 최초로 카오스가 존재했으며, 그 안에서 대지(가이아) 등이 존재를 드러냈다. 헤시오도스는 카오스를 카슴(틈새)이라고도 불렀다.[3]
2. 1.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서는 세계, 즉 우주의 발생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태초에 4가지 힘이 자연적으로 나타났는데, 가장 처음에 '''카오스'''(χάος|Khaos|무(無), 텅 빈 공간, 대공허grc)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이아(Γαῖα|Gaia|땅, 대지, 사후세계와 대비되는 현세, 활동의 공간grc), 타르타로스(Τάρταρος|Tartaros|지하세계 또는 지하세계의 맨 아래 공간, 사후세계, 활동 정지·휴식 또는 망각의 공간grc), 에로스(Ἔρως|Eros|사랑, 욕구, 결합·번식·번영하려는 의지grc)가 순서대로 나타났다.[8]
그 후 '''카오스'''로부터 배우자 없이 어둠과 암흑의 남신인 에레보스와 밤의 여신인 닉스가 태어났다.[9]
에레보스와 닉스는 사랑으로 결합하여 상층 대기의 남신 아이테르와 낮의 여신 헤메라를 낳았다.[10] 즉, 밤(에레보스와 닉스)으로부터 낮(아이테르와 헤메라)이 태어나 밤과 낮, 즉 시간(운동과 변화)이 있게 되었다.
가이아는 배우자 없이 "감미로운 사랑의 결합 없이" 우라노스(Οὐρανός|Ouranos|하늘grc), '온갖 우로스(Oὔρος|Ouros|산grc)들', 폰토스(Πόντος|Pontos|바다grc)를 낳았다.[11]
가이아와 우라노스는 사랑으로 결합하여 오케아노스(세계해, 대지 즉 가이아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강), 크로노스(농경의 신)를 비롯한 제1세대 티탄들인 12티탄, 퀴클롭스 삼형제,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를 낳았다.
가이아(땅)에서 우라노스(하늘)가 태어나고, 가이아와 우라노스가 결합, 즉 땅과 하늘이 사랑으로 결합하여 제1세대 티탄들이 태어나면서 그리스 신화에서 신들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가이아(땅)와 우라노스(하늘)의 결합 이전은 우주의 모든 물리적·공간적 요소들이 갖추어져 가는 과정이고,[8] 이후는 우주의 모든 물리적·공간적 요소들이 갖추어진 후 12티탄의 출생을 시작으로 신들이 본격적으로 활동하는 시대이다. 즉, 우주의 몸이 갖추어진 후에 우주의 의식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펼쳐가고 본격적인 사건들이 일어나는 것이다.
12티탄 중 강의 신 오케아노스와 농경의 신 크로노스는 문명 발생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하다. 《신들의 계보》에 따르면, 12티탄 중 가장 먼저 태어난 신이 오케아노스(강)이고 가장 나중에 태어난 신이 크로노스(농업)이다. 《신들의 계보》에서 바다, 즉 폰토스는 종종 "결실이 없는 바다(fruitless sea)"라고 불리는데, 이는 지류가 없다는 뜻이다. 정확히 말하면, 폰토스(바다)에서 나는 산물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바다는 오직 하나뿐이라는 뜻이다. 반면 오케아노스(세계해, 강)에게는 6000의 지류들, 즉 3000의 딸들(오케아니스)과 3000의 아들들(포타모이)이 있다.[9][10] 나일강(닐로스)은 3000명의 아들들 중 하나이다.[11]
《신들의 계보》에서 본격적인 사건은 우라노스가 자신의 자녀들 중 키클롭스 삼형제와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를 싫어하여 태어나자마자 타르타로스에 감금하면서 시작된다. 키클롭스 삼형제와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가 활동 정지 상태에 들어가자 가이아(땅)가 커다란 슬픔과 고통을 느끼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서면서 그리스 신화의 본격적인 이야기가 펼쳐진다. (자세한 내용은 "크로노스" 문서 참조)
2. 2. 아리스토파네스의 《새》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새》에서는 세계, 즉 우주의 발생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7]태초에 카오스(공기, 태초의 공기) '''·''' 닉스(밤) '''·''' 에레보스(어둠) '''·''' 타르타로스(지옥의 구덩이)의 4가지 힘이 있었으며, 아직 가이아(가이아)와 아이테르(공기, 대기)와 우라노스는 존재하지 않았다.[7]
검은 날개를 한 닉스(밤)가 에레보스(어둠)의 무한한 심연 속에 "씨앗이 없는 알(배우자 없이 낳은 알)"을 낳았다.[7]
아주 긴 시대들이 지난 후에, 이 알에서 빛나는 황금 날개를 가진 우아한 에로스(사랑)가 나왔다. (씨앗이 없는 알에서, 즉 배우자 없이 에로스가 나왔다.)[7]
그(즉, 에로스)는 타르타로스에서 자신처럼 날개를 가진 '어두운 카오스(dark Khaos: 공기)'와 짝짓기를 하였고, 그리하여 우리의 종족(새들)을 낳았는데, [어둠을 벗어나] 빛을 본 최초의 종족이었다. (결혼에 의해서는 필멸자인 새들이 불멸자인 신들보다 먼저 태어났다.)[7]
불멸자 종족은 에로스가 세계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가져온 후에야 비로소 존재하였다. 그들(즉, 세계의 모든 구성요소가 형성된 후의 에로스와 카오스)의 결혼으로부터 우라노스(하늘)와 오케아노스(세계해, 강)와 가이아(Ge: 가이아)와 불멸의 종족인 축복받은 신들이 나타났다.[7]
3. 현대의 영향
소행성 카오스는 카오스에서 이름을 따왔다.
참조
[1]
문서
Chaos
[2]
서적
マンガギリシア神話1 オリュンポスの神々
中公文庫
2003
[3]
서적
神統記
[4]
문서
神統記 116-122행
[5]
문서
神統記 123-125행
[6]
웹사이트
KHAOS
http://www.theoi.com[...]
2013-08-03
[7]
웹사이트
COSMOGONY OF ARISTOPHANES
http://www.theoi.com[...]
2013-08-03
[8]
웹사이트
Primeval gods or Protogenoi of Greek mythology
http://www.theoi.com[...]
2013-08-03
[9]
서적
신들의 계보
[10]
서적
Fabulae
http://www.theoi.com[...]
[11]
웹사이트
POTAMI : Greek river gods ; mythology ; pictures : POTAMOI, FLUMINA
http://www.theoi.com[...]
Theoi.com
2013-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