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의 장녀로, 1895년에 태어났다. 그녀는 총명하고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간호사로 활동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가족과 함께 체포되어 감금 생활을 하다가 1918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총살당했다. 2000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수난자로 시성되었고, 1998년 발견된 유해는 가족과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여자 - 안나 파블로바
    안나 파블로바는 20세기 초 뛰어난 러시아 발레리나로, 《죽어가는 백조》 창조와 파블로바 컴퍼니 설립을 통해 발레 대중화에 기여하고 여러 나라 전통춤을 공연에 접목했다.
  • 러시아 제국의 여자 - 알라 나지모바
    알라 나지모바는 러시아 출신으로 모스크바 예술극단에서 연기를 시작해 브로드웨이에서 성공한 후 할리우드에서 무성영화 스타가 되었으며, 자신의 제작사를 설립하여 혁신적인 영화를 제작하고 파격적인 사생활로도 유명한 배우, 영화 제작자, 각본가이다.
  • 덴마크계 러시아인 -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장녀로 태어나 러시아 혁명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영국 왕족의 도움으로 영국에서 말년을 보냈고, 자선 활동에 헌신하며 격변 속에서 가족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 덴마크계 러시아인 - 비투스 베링
    비투스 베링은 표트르 대제의 명령으로 캄차카 탐험대를 이끌고 시베리아 동부와 북아메리카 북서부 해안을 탐험하여 베링 해협 등 자신의 이름이 붙은 지명을 남긴 덴마크 출신 러시아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이다.
  • 여성 종군 간호사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영국의 간호사이자 통계학자, 사회개혁가로서 크림 전쟁 당시 헌신적인 활동으로 '램프를 든 여인'으로 불리며 병원 위생 개선, 통계학 발전, 간호학교 설립, 간호 이론 발전에 공헌하여 현대 간호학과 공중 보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여성 종군 간호사 - 클라라 바턴
    클라라 바턴은 남북 전쟁 중 간호 활동을 하고 미국 적십자사를 설립하여 자연재해와 위기 상황에 대응한 미국의 교육자, 간호사, 자선가이다.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올가의 생전 모습
1914년경
이름올가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
원어 이름Ольга Николаевна Романова
로마자 표기Ol'ga Nikolaevna Romanova
작위러시아 대공녀
존칭전하
종교러시아 정교회
출생 및 사망
출생일1895년 11월 15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차르스코예 셀로 알렉산드르 궁전
사망일1918년 7월 17일
사망지러시아 제국 예카테린부르크 이파티예프 하우스
사인총살
매장일1998년 7월 17일
매장지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트로파블롭스크 대성당
가족 관계
아버지니콜라이 2세
어머니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헤센의 알릭스)
기타
서명

2. 생애

러시아 제국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의 장녀로 1895년 11월 15일(율리우스력 11월 3일) 오전 9시에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태어났다. 난산이었지만, 몸무게는 약 4.54kg, 키는 55cm로 태어났고, 머리에 머리카락이 나 있어서 신생아로는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11월 26일(율리우스력 11월 14일)에 교회에서 세례식이 거행되었다.[118]

올가의 탄생에 즈음하여, 숙모 크세니야는 일기에 "니키와 알릭스에게 여자아이가 태어났어! 정말 기쁘지만, 아들이 아니라서 정말 유감이야! 아기는 크고, 약 4.54kg나 돼서, 겸자로 꺼내야만 했어!"라고 적었다.[131] 고모 엘리자베타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알릭스는 건강해 보이고,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것이 그녀에게 최고의 행복입니다. 아기를 가진 기쁨에, 올가가 여자아이였다는 것을 후회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라고 썼다.[131]

1896년 덴마크 왕비 루이세와 마르그레테 공주, 올가 대공녀.


금발 파상모에 밝은 파란 눈, 매우 현명해 보이는 넓고 튀어나온 이마를 가지고 있었다. 여동생 타티아나나 마리아만큼 아름답지 않다고 일반적으로 여겨졌지만,[119] 어머니의 친구는 "평균보다 약간 키가 크고, 건강한 안색, 짙은 푸른 눈, 밝은 밤색 머리카락, 귀여운 손과 발을 가진 사람이었다"고 표현했고, 15세 무렵의 올가는 분명히 아름다웠다고 적었다.[120]

왼쪽부터: 아나스타샤, 올가, 마리아, 타티아나(1906년)


아나스타샤를 포함해, 네 자매는 '''OTMA'''라는 사인을 결속의 상징으로 사용했다. 자매들은 매우 사이가 좋았고, 올가와 타티아나는 하나의 침실을 공유했으며, 마리아와 아나스타샤는 옆 침실을 공유했다. 자매들은 러시아인이었지만, 어머니와는 영어, 아버지와 알렉세이와는 러시아어, 자매들 사이에서는 영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사용했다.[121]

알렉산드라는 아이들의 옷을 모두 골랐기 때문에, 올가는 입을 옷을 고를 수 없었고, 패션에는 무관심했다. 16세 때, 자신의 옷장을 만들 수 있게 되었고, 타티아나와 함께 옷을 골랐다. 또한, 올가는 바스카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키웠다.[121]

미하일 디테리히스는 회상록에서 "올가 니콜라예브나는 전형적인 러시아의 착한 소녀였습니다. 그녀는 그 부드러움과 누구에게나 매력적이고 상냥한 태도로 주위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었습니다. 그녀는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온화하게, 그리고 놀라울 정도로 단순하고 자연스럽게 행동했습니다. 그녀는 집안일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고독과 책을 좋아했습니다. 그녀는 발달했고, 매우 책을 많이 읽었습니다. 그녀는 예술적 재능이 있었고, 피아노를 치고, 노래하고, 페트로그라드에서 노래를 배우고, 그림도 잘 그렸습니다. 그녀는 매우 겸손했고, 사치를 좋아하지 않았습니다."라고 말했다.[122] 또한, 어머니의 시녀는 올가가 절대 음감을 가지고 있었고, 귀로 들은 어떤 멜로디도 연주할 수 있었으며, 복잡한 악곡을 편곡할 수도 있었다고 한다.[122]

아버지를 닮았다고 하며, 또한 그녀도 아버지를 깊이 따랐다. 완고하고 의지가 굳고 인정 많은 성격이었지만, 한편으로는 거칠고 솔직한 면도 있었다.[121] 그 때문에, 어머니 알렉산드라 황후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고 한다. 문학 소녀였고 자매들 중 가장 똑똑했고, 복잡한 러시아어 문법도 설명할 수 있었다. 승마를 즐겼고, 기마대장을 맡은 적도 있었다.

알렉산드라는 올가가 가족의 모범이 되기를 기대하며 올가에게 편지를 계속 보냈다. 편지의 내용은 사과가 많았지만, "모든 사람에게 친절하고, 상냥하며 애정 깊게 대하세요. 그러면 모두가 당신을 사랑할 것입니다." 또는 "예절 바르게 행동하고, 팔꿈치를 식탁에서 떼고, 똑바로 앉아 고기를 깨끗하게 먹는 것을 잊지 마세요."라고 당부하기도 했다.[131] 10대가 되자 알렉산드라는 올가에게 "순종적인 착한 소녀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범을 보이도록 노력하세요. 당신은 장녀이고, 다른 아이들에게 행동 방식을 보여줘야 합니다."라고 권했다.[131]

1909년 7월 11일, 올가는 러시아 제국 육군 명예 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10년. 명예 연대장 제복을 착용한 올가와 타티아나.


1911년, 올가의 16번째 생일을 축하하는 파티가 리바디아에서 열렸다. 아그네스 드 스토클 남작 부인은 "먼저, 우리는 커다란 다이닝 룸에 모였습니다. 방의 끝에 있는 문이 열리고, 곧 모인 사람들은 조용해졌습니다. 황제가 올가 대공녀를 데리고 나타났습니다. 그녀는 처음으로 긴 가운을 입고, 처음으로 머리를 올린 채, 매우 아름다웠습니다."라고 썼다.[131][123]

올가는 성장하면서 아버지와 정부에 대한 위협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과 가족이 처한 위험한 입장을 이해하고 있었다.

2. 1. 출생과 유년 시절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의 장녀로 1895년 11월 15일(율리우스력 11월 3일) 러시아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태어났다. 올가의 이름은 러시아어로 '신성한'(Holy)이라는 뜻이다. 가족들은 올가를 올리쉬카(Olishka, Olyshka), 올랴(Olya)라고 불렀다.[151] 몸무게는 약 4.54kg, 키는 55cm였고, 머리카락이 많이 나 있어서 신생아처럼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1898년 아기였던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아버지 니콜라이 2세는 올가를 매우 아꼈으며, 출생 당시 일기에 "내가 영원히 기억될 날이다. 아기의 울음소리는 정각 9시에 들렸고, 우리 모두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고, 하느님이 보내주신 이 아이의 이름을 올가라고 지었다!"라고 적었다. 어머니 알렉산드라 황후 역시 "우리에게 성별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 아이는 단순히 하느님의 선물입니다."라고 말하며 기뻐했다.[21]

올가의 외외증조할머니[151]빅토리아 여왕은 올가를 '거대한 머리'라고 부르며 매우 귀여워했다. 1896년,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는 올가를 데리고 스코틀랜드, 프랑스, 다름슈타트를 방문했다. 발모럴에서 빅토리아 여왕은 올가를 처음 만났고, "아기가 훌륭하다"고 말했다.[22]

올가는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의 딸 이리나 알렉산드로브나 유수포바와 마리야 파블로브나 여대공[152] 등과 또래 친구였다. 니콜라이 2세는 종종 올가와 같은 해에 태어난 이리나와 비교를 하곤 했다.

올가와 형제들은 검소하게 자랐다. 아프지 않으면 딱딱한 야전 침대에서 잤고, 매일 아침 찬물로 목욕했다.[24] 하인들은 올가와 형제들을 황실 칭호 대신 이름과 부칭으로 불렀다.[26]

올가는 타티아나, 마리아, 아나스타샤, 알렉세이 황태자 등 네 명의 형제가 있었다. 이 중 타티아나와는 같은 방을 쓰고, 같은 옷을 입는 등 "빅 페어"로 불릴 정도로 각별했다.[26]

타티아나 여대공(왼쪽)과 올가 여대공이 안나 비루보바와 함께 1908년경 핀란드에서 여름 크루즈를 즐기는 모습. 출처: 베이네케 도서관


궁정 드레스를 입은 타티아나 여대공(왼쪽)과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1904년경


1899년 가을, 올가는 사촌 엘리자베트, 타티아나와 함께 마거릿 이가의 안내를 받아 장난감 가게에 갔다. 올가는 가장 작은 장난감을 골랐고, "하지만, 그 아름다운 장난감은 분명 다른 여자아이의 것이에요. 집에 돌아가서, 우리가 외출하는 동안 장난감을 가져간 것을 알면 얼마나 슬퍼할지 생각해 보세요."라고 말했다.[131]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올가는 "러시아 병사가 일본인을 전부 죽여주기를 바라. 한 명도 살려두지 마."라고 말해 마거릿 이가를 놀라게 했다. 훈계를 들은 후, 올가는 "일본에는 천황이 있나요?" 등 질문을 했고, "일본인이 우리와 같은 인간인 줄 몰랐어요. 원숭이 같은 인간인 줄 알았어요."라고 말했다.[131]

올가 여대공이 책을 읽고, 여동생 아나스타샤 여대공이 바라보고 있다. 제공: Beinecke Library


올가는 금발 파상모에 밝은 파란 눈, 넓고 튀어나온 이마를 가졌다. 동생들과 함께 OTMA라는 사인을 결속의 상징으로 사용했다. 자매들은 매우 사이가 좋았고, 올가와 타티아나는 하나의 침실을 공유했으며, 마리아와 아나스타샤는 옆 침실을 공유했다. 자매들은 러시아인이었지만, 어머니와는 영어, 아버지와 알렉세이와는 러시아어, 자매들 사이에서는 영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사용했다.[121]

2. 2. 인물과 성격

올가는 얌전한 성격으로, 아버지 니콜라이 2세를 닮았다고 한다. 자매들 중 가장 총명하고 문학적 소양이 풍부하여, 복잡한 러시아어 문법도 설명할 수 있었다.[118] 우아하고 품위가 있었으며, 춤과 자선 활동을 즐겼다.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것을 좋아했고, 상당한 재산을 관리하며 자선 단체에 독립적으로 기부하기도 했다.[7]

어릴 적에는 길에서 우는 소녀에게 인형을 던져주며 위로하거나,[6] 목발을 사용하는 어린아이의 치료비를 지원하는 등 동정심이 많고 관대한 모습을 보였다.[7] 궁정 관리 알렉산더 모솔로프는 올가의 성격이 "부드럽고, 선하며, 거의 천사 같은 친절함"을 가지고 있다고 회상했다.[8]

그러나 급한 성미와 변덕스러운 면모도 있었다. 어릴 적 초상화가에게 "당신은 매우 못생긴 남자고, 나는 당신을 전혀 좋아하지 않아!"라고 말한 적도 있으며,[9] 하녀 엘리자베타 에르스베르크는 올가가 버릇없고 변덕스럽고 게으를 수 있었다고 증언했다.[13] 어머니 알렉산드라 황후는 올가의 무례함과 나쁜 행동을 꾸짖으며 하인들에게 예의를 갖추라고 가르쳤다.[11]

올가는 지능이 높고 공부를 즐겼으며, 정치에 대한 독서와 신문 읽기를 좋아했다.[17] 음악적 재능도 뛰어나 "절대적으로 정확한 귀"를 가졌다는 평가를 받았으며,[2] 피아노 연주와 노래를 즐겼다.[2]

통찰력이 뛰어나 그리고리 라스푸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졌고, 이 문제로 어머니와 자주 다투었다.[41] 라스푸틴의 죽음 이후에는 살해범이 자신의 친척이라는 사실에 부끄러움을 느꼈다.[51]

올가는 아버지 니콜라이 2세를 존경하고 따랐으며,[17] 가족과의 유대감이 깊었다. 동생 알렉세이를 아꼈지만, 때로는 그를 돌보고 억제해야 하는 장녀로서의 역할 때문에 갈등을 겪기도 했다.[36]

검소하고 소박한 생활을 선호했으며, 돈에 대한 개념이 부족하여 모자 제작자가 선물로 준 모자를 당연하게 생각한 적도 있었다.

외모는 밤색 금발, 밝은 파란 눈, 넓은 얼굴, 위로 치켜 올라간 코를 가지고 있었다.[1] 10살 때 가정교사 피에르 질리아르는 그녀를 "매우 아름다웠고", "반짝이는 장난기 넘치는 눈과 약간 들창코"를 가졌다고 묘사했다.[1] 어머니의 친구 릴리 데른은 15살의 올가를 "맑은 피부, 짙은 파란 눈, 많은 밝은 밤색 머리카락, 예쁜 손과 발"을 가졌다고 묘사했다.[4]

2. 3. 청소년기와 연애

올가는 밤색 금발과 밝은 파란 눈, 넓은 얼굴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다. 어릴 적 가정교사 피에르 질리아르는 그녀가 "매우 아름다웠다"고 회상했다.[1] 성장하면서 외모가 더 좋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가는 동정심이 많고 다른 사람을 돕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씨를 지녔다. 20세가 되어서는 자신의 재산을 관리하며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도 했다.[7] 그러나 급한 성격과 변덕스러운 면모도 있었는데, 어린 시절에는 버릇없고 제멋대로 행동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3]

총명하고 공부를 좋아했던 올가는 정치에 대한 관심도 많아 신문을 즐겨 읽었다.[17] 또한 음악적 재능도 뛰어나 피아노 연주와 노래 실력이 뛰어났다고 한다.[2]

성장하면서 올가는 황실과 아버지 니콜라이 2세가 처한 위태로운 상황을 인지하고 걱정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올가는 루마니아의 카롤 공과의 결혼이 논의되기도 했다.[61] 1914년 봄, 루마니아를 방문했을 때 카롤과 대화하는 것을 힘들어했고, 카롤의 어머니인 마리아 왕세자비 역시 올가의 외모와 성격에 대해 좋지 않은 인상을 받았다.[63][64][65][66] 또한 영국의 왕세자 에드워드와의 혼담도 있었지만,[56] 올가는 "나는 러시아인이니 러시아에 남고 싶다"며 외국 왕족과의 결혼을 원치 않았다.[124]

올가는 러시아의 보리스 블라디미로비치 대공과의 결혼 제안도 받았으나, 어머니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는 "반쯤 닳은, 냉소적인 젊은이"라며 반대했다.[69]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과 파벨 보로노프, 1912년경. 올가는 보로노프와 사랑에 빠졌고, 그가 결혼했을 때 슬퍼했지만, 그에게 행운을 빌었다.


1913년 말, 올가는 황실 요트 ''슈탄다르트''의 장교 파벨 보로노프와 사랑에 빠졌지만, 신분 차이로 인해 이루어질 수 없었다. 보로노프가 다른 여성과 약혼하자 올가는 슬퍼하며 그의 행복을 빌었다.[72]

제1차 세계 대전 중, 올가는 간호사로 일하며[122] "미탸"라는 인물에 대한 글을 일기에 자주 남겼다. 이 "미탸"는 부상병 드미트리 차흐-바고프로 추정되며,[28] 올가는 그와 전화 통화를 하거나 만나는 것을 매우 즐거워했다.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간호 활동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올가는 어머니 알렉산드라 황후, 여동생 타티아나와 함께 간호사 훈련을 받고 차르스코예 셀로 병원에서 부상병들을 치료했다.[122] 세 사람은 적십자 간호사로서 헌신적으로 활동했다.

올가는 간호 활동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부상병들의 고통을 직접 목격하며 깊이 공감했다. 그녀는 자신이 치료하는 병사들을 진심으로 돌보고 불쌍히 여겼다.[82] 그러나 부상과 죽음을 가까이에서 접하는 것은 예민한 성격의 올가에게 큰 정신적 스트레스를 주었다.

결국 올가는 신경쇠약 증세를 보였고, 더 이상 수술실의 참혹한 광경을 견디지 못하고 병원 사무 업무를 맡게 되었다.[83] 1915년 10월에는 우울증 치료를 위해 비소 주사를 맞기도 했다.[83] 올가의 어머니를 모시던 소피 벅스호베덴 남작 부인은 올가가 "너무 무리"하고 "신경질적이고 빈혈" 상태가 되어 간호사 일을 중단하고 병동을 감독하게 되었다고 회상했다.[84]

올가는 전쟁과 혁명으로 혼란스러운 러시아의 상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족 주치의 예브게니 보트킨의 아들 글렙 보트킨은 올가가 가족 구성원 중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슬퍼하고 걱정했다고 회상했다.[85]

올가는 강한 애국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독일 출신인 어머니에 대해 비판적인 발언을 하기도 했다. 1915년 7월, 동료 간호사들과의 대화에서 올가는 신랑의 독일인 할머니 혈통을 숨기는 이유를 이해한다며, "그녀는 아마도 진짜 피에 굶주린 독일인일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7]

2. 5. 러시아 혁명과 감금 생활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 시민들의 강한 요구로 니콜라이 2세는 퇴위하고, 화려했던 로마노프 왕조 시대는 막을 내렸다.[153] 가족은 1917년 러시아 혁명 기간에 체포되어 처음에는 차르스코예 셀로의 자택에 갇혔고, 나중에는 토볼스크, 예카테린부르크, 시베리아의 개인 주택에 갇혔다. 올가는 토볼스크에서 친구에게 "얘야, 이 모든 것이 얼마나 끔찍한지 알아야 해."라고 편지를 썼다.[86] 1917년 초, 아이들은 홍역에 걸렸고, 올가는 흉막염을 앓았다.

왼쪽부터: 1917년 봄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억류된 마리아, 올가, 아나스타샤, 타티아나 여대공


볼셰비키 당원들은 황녀들의 침실 문을 잠그지 못하게 했고, 심지어 욕실까지 따라왔다. 황녀들은 길거리에 나가면 놀림과 욕설을 들어야 했고, 감시하는 군인들의 성적인 농담으로 인해 큰 충격을 받았다.[153] 볼셰비키 당원들은 황녀들의 길고 고운 머리카락을 삭발시켰다.

올가는 신앙과 가족에게서 위안을 찾으려 했다. 때로는 불편한 관계였던 "사랑하는 엄마"에게, 가족이 아직 차르스코예 셀로에 갇혀 있던 1917년 4월에 시를 썼다. "너는 다른 사람의 고통 때문에 괴로움으로 가득 차 있구나. 그리고 아무도 너를 지나쳐 간 적이 없지. 너는 오직 너 자신에게만 가혹하고, 영원히 차갑고 무정하다. 하지만 너는 너 자신의 슬픔을 멀리서, 단 한 번이라도 사랑하는 마음으로 바라볼 수 있다면, 아, 너는 너 자신을 얼마나 불쌍히 여길까, 얼마나 슬프게 울까."[87] 올가는 토볼스크에서 보낸 또 다른 편지에 이렇게 썼다. "아버지는 ... 지금 세상에 있는 악이 더욱 강력해질 것이며, 악이 악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오직 사랑만이 이긴다는 것을 기억하라고 부탁하셨습니다..."[88]

올가의 공책에 베껴진 시는 인내심을 갖고 적을 용서할 수 있는 능력을 구했다.

:"주여, 폭풍우 치고 어두운 날에 우리에게 인내심을 주소서. 대중의 압제와 우리의 형 집행인의 고문을 견딜 수 있도록. 정의의 주님, 우리에게 힘을 주소서. 우리 이웃의 악을 용서하고, 그리고 십자가가 너무 무겁고 피로 물들었지만, 당신의 겸손함으로 만나게 하소서. 적들이 우리를 강탈하는 날에, 수치와 굴욕을 견디고, 우리 구세주 그리스도여, 우리를 도우소서. 세계의 통치자, 우주의 하나님, 기도와 함께 우리를 축복하시고, 이 견딜 수 없고 끔찍한 순간에 우리의 겸손한 영혼에게 안식을 주소서. 무덤의 문턱에서 당신의 노예의 입술에 인간의 힘을 불어넣으소서 - 우리의 적들을 부드럽게 기도할 수 있도록."[89]

올가의 소지품에서는 에드몽 로스탕의 ''아글롱''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아들이 폐위된 아버지에게 마지막 순간까지 충성을 다하는 이야기로, 올가가 숭배했던 아버지에게 충실하려는 결심을 보여준다.[90]

아버지가 올가에게 작은 권총을 주었고, 올가는 차르스코예 셀로와 토볼스크에 갇혀 있는 동안 부츠 안에 숨겼다고 한다. 그들의 간수였던 예브게니 코빌린스키 대령은 올가에게 그녀와 자매들, 오빠가 예카테린부르크로 이송되기 전에 권총을 넘겨줄 것을 간청했고, 올가는 마지못해 총을 넘겨주고 무장 해제되었다.

1918년 4월, 볼셰비키는 니콜라이, 알렉산드라, 마리아를 예카테린부르크로 이송하면서 가족은 잠시 헤어졌다. 알렉세이와 다른 세 명은 알렉세이가 혈우병 발작을 겪었기 때문에 뒤에 남았다. 황후는 "올가의 기분이 너무 좋지 않았고" 침착한 타티아나가 알렉세이를 돌봐야 했기 때문에 마리아를 동반하기로 했다.[91] 1918년 5월, 남은 아이들과 하인들은 토볼스크에서 예카테린부르크로 가는 배 ''루스''에 탑승했다. 올가는 배 위에서 경비원 중 한 명이 사다리에서 미끄러져 발을 다친 것을 보고 당황했다. 그녀는 그에게 달려가 자신이 전쟁 중에 간호사였고 그의 발을 보고 싶다고 설명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올가는 오후 내내 "가엾은 친구"라고 부르는 그 경비원을 걱정했다.[92] 토볼스크에서 올가와 자매들은 볼셰비키로부터 보석을 숨기기 위해 옷 안에 꿰매 넣었다. 알렉산드라가 예카테린부르크에 도착하자 그녀와 니콜라이, 마리아가 공격적으로 수색당하고 소지품을 압수당했기 때문이다.[93]

타티아나(왼쪽)와 올가(오른쪽) 여대공, 그리고 어머니 알렉산드라 차르 부인(가운데)이 1918년 봄 토볼스크에서 억류된 모습


예카테린부르크의 이파티예프 하우스에서 올가와 자매들은 직접 세탁을 하고 빵 만드는 법을 배웠다. 소녀들은 알렉산드라를 번갈아 돌보고, 침대에 누워 부상으로 고통받는 알렉세이를 즐겁게 했다. 올가는 마지막 몇 달 동안 우울증에 빠져 체중이 많이 줄었다. 경비원 알렉산드르 스트레코틴은 "그녀는 야위고 창백했으며 매우 아파 보였습니다."라고 회상했다. "그녀는 정원에서 산책을 거의 하지 않았고, 대부분 오빠와 함께 시간을 보냈습니다." 또 다른 경비원은 그녀가 밖에 나가 걸을 때 "슬픈 표정으로 멀리 응시하며 감정을 읽기 쉬웠다"고 회상했다.[95] 스트레코틴은 나중에 올가가 여동생 마리아가 경비원들에게 너무 친절하게 대하는 것에 화를 냈다고 전했다.[96] 6월 말, 새 지휘부가 설치되면서 가족은 경비원들과 친분을 맺는 것이 금지되었고, 억류 조건은 더욱 엄격해졌다.

1918년 5월 예카테린부르크로 가는 배 ''루스''에서 차르비치 알렉세이(왼쪽)와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올가와 알렉세이의 마지막 사진

2. 6. 로마노프 왕조의 멸망과 죽음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가 퇴위하면서 로마노프 왕조는 막을 내렸다. 황제 일가는 볼셰비키의 감시 하에 망명 생활을 시작했고, 올가를 포함한 황녀들은 감시병들의 성적인 농담과 희롱에 시달려야 했다.[153] 볼셰비키는 황녀들의 긴 머리카락을 삭발하기도 했다.

1918년 가족은 예카테린부르크의 이파티예프 하우스로 이송되었다. 7월 16일, 평소처럼 밤 10시에 잠자리에 들었으나, 새벽에 야코프 유로프스키가 이끄는 총살대에 의해 잠에서 깨어났다. 유로프스키는 사진을 찍는 척하며 가족들을 지하실로 데려가 총으로 무자비하게 쏘아 죽였다.[100] 올가는 어머니 알렉산드라와 동생 타티아나에게 기대어 비명을 질렀으나, 총살대의 총격과 총검 공격에 의해 22세의 나이로 즉사했다.[101][102]

시신은 예카테린부르크 외곽 숲에 버려졌다가 소련 말기에 발견되었다. 1998년 DNA 검사를 통해 유해가 황제 일가의 것임이 확인되었고, 올가 역시 부모, 형제들과 함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성 베드로와 바울 성당에 안장되었다.

3. 시성

올가는 1981년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에서 순교자로, 2000년 러시아 정교회에서 가족과 함께 수난자로 시성(Canonization)되었다.[111][150]

4. 유산

올가의 유해는 니콜라이 2세, 알렉산드라, 타티아나, 아나스타시아 및 4명의 수행원과 함께 살해된 지 80년 후인 1998년 7월 17일에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성 베드로 및 바울 대성당에 안치되었다.[150]

올가는 1981년 러시아 정교 자치 교회에 의해 거룩한 순교자로 추대되었고, 2000년에는 다른 6명의 가족과 함께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5. 가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의 후손 가계도
4대3대2대1대
1알렉산드르 3세[112]헤센-라인 공녀 알릭스니콜라이 2세러시아의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2덴마크 공녀 다그마르[112]
3영국의 앨리스 공주[113]헤센-라인 대공 루이 4세[113]
4헤센-라인 공녀 마리[114]알렉산드르 2세[114]
5헤센-카셀의 루이즈 공주[115]덴마크의 크리스티안 9세[115]
6프로이센의 엘리자베트 공주[116]헤센-라인의 카를 공자[116]
7영국의 빅토리아[117]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117]


참조

[1] 서적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2] 웹사이트 Sophie Buxhoeveden,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16: The Empress and her Family https://www.alexande[...]
[3]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4] 서적 The Real Tsaritsa http://www.alexander[...] ТЕРРА--Книжный клуб 2007-02-22
[5] 웹사이트 Meriel Buchanan. https://www.alexande[...]
[6] 서적 The Romanov Sisters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Six Years at the Russian Court http://www.alexander[...] 2006-12-18
[10]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http://www.alexander[...] 2006-12-10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The Last Tsar
[14] 서적
[15]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 a book by Anna Vryubova on last Imperial Family of Romanov Russia – The Imperial Children https://www.alexande[...] 2021-08-10
[16] 서적 Jak naprawdę zginął Car Mikołaj II https://www.worldcat[...] Warszawski Dom Wydawniczy
[17] 서적
[18] 웹사이트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http://www.alexander[...] 2007-02-24
[19] 서적 The Last Tsarina
[20] 서적 The Romanov Sisters
[21] 서적 The Romanov Sisters
[22] 서적 The Romanov Sisters
[23] 서적 The Romanov Sisters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The Romanov Sisters
[33] 서적
[34] 웹사이트 At the Court of the Last Tsar http://www.alexander[...] 2007-01-01
[35] 서적 The Romanov Sisters
[36] 서적 The Romanov Sisters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1967
[40] 서적 1967
[41] 서적
[42] 서적 2000
[43] 서적 Elizabeth: Grand Duchess of Russia Carroll and Graf Publishers, Inc. 1998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The Rasputin File
[48] 서적
[49] 서적
[50] 문서 Diary of Grand Duchess Olga Nikolaevna 1916-12-11–1917-03-15
[51] 서적 Russia: My Native Land: A U.S. engineer reminisces and looks at the present McGraw-Hill Book Company 1964
[52] 서적 Final Chapter
[53] 편지 1904-09-09–1904-09-17
[54] 편지 1909-11-02, 1910-12-03
[55] 뉴스 Hackney Express, The Times 1903-09-19, 1911-09-18
[56] 서적 The Romanov Sisters
[57] 서적 The Romanov Sisters
[58] 뉴스 Cupid by the Thrones' Washington Post 1912-07-21
[59] 간행물 Meriel Buchanan journal 1912-08
[60] 서적 2000
[61] 서적 The Romanov Sisters
[62] 서적 Romanovy i Krym, Fateful Years
[63] 서적
[64] 편지 1914-06-18
[65] 서적 Story of My Life
[66] 편지 1914-06-01
[67] 서적 Royal Portraits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Massie (1967)
[72] 서적 Zeepvat
[73] 서적 Maylunas and Mironenko
[74] 서적 The Diary of Olga Romanov: Royal Witness to the Russian Revolution Westholme Publishing
[75] 서적 Maylunas and Mironenko
[76] 서적 Bokhanov et al.
[77] 서적 Tschebotarioff
[78] 서적 Tschebotarioff
[79] 서적 Massie, Nicholas and Alexandra
[80] 서적 Vorres
[81] 문서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82] 웹사이트 Extracts of Letters from Maria to her Father http://www.alexander[...] 2007-01-01
[83] 웹사이트 Letters of the Tsaritsa to the Tsar – October 1915 http://www.alexander[...] 2007-01-01
[84]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Empress of Russia https://www.alexande[...] 2022-07-15
[85] 서적 King and Wilson
[86] 서적 Kurth
[87] 웹사이트 To My Beloved Mama https://web.archive.[...] 2007-02-24
[88] 서적 Christopher, Kurth, and Radzinsky
[89] 서적 Radzinsky
[90] 서적 Radzinsky (1992)
[91] 서적 Christopher, Kurth, and Radzinsky
[92] 서적 King and Wilson
[93] 서적 Last Days of the Romanovs
[94] 서적 Bokhanov et al.
[95] 서적 King and Wilson
[96] 서적 King and Wilson
[97] 서적 King and Wilson
[98] 서적 The Last Days of the Romanovs
[99] 서적 The Last Days of the Romanovs
[100] 서적 The Last Days of the Romanovs
[101] 서적 King and Wilson
[102] 서적 Rappaport
[103] 서적 A Romanov Fantasy Norton publishing
[104] 서적 Massie
[105] 서적 The Romanovs: The Final Chapter Random House
[106] 논문 Mystery Sol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Missing Romanov Children Using DNA Analysis 2009-03-11
[107] 뉴스 Bones turn up in hunt for last czar's son http://www.nbcnews.c[...] 2007-08-23
[108] 웹사이트 Suspected remains of tsar's children still being studied https://www.interfax[...] 2008-01-23
[109] 웹사이트 DNA confirms IDs of czar's children https://news.yahoo.c[...] Yahoo! 2008-04-30
[110] 논문 Mystery Sol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Missing Romanov Children Using DNA Analysis
[111] 웹사이트 The Glorification of the Royal Family http://www.struggler[...] 2006-12-10
[112] 간행물 Nicholas II, Tsar of Russia Britannica
[113] 서적 Born to Rule: Five Reigning Consorts, Granddaughters of Queen Victoria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7-04-01
[114] 간행물 Alexander III, Emperor of Russia Britannica
[115] 웹사이트 Christian IX http://kongehuset.dk[...] The Danish Monarchy 2018-07-14
[116] 서적 The Descendants of King George I of Great Britain Clearfield Company
[117] 서적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118] 웹사이트 Дневник Николая II 1895 Начат в Питере https://azbyka.ru/fi[...] Азбука веры 2024-05-27
[119] 서적 Nicholas and Alexandra Atheneum
[120] 웹사이트 The Real Tsaritsa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4-02
[121] 웹사이트 The Grand Duchesses - OTMA - Blog &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6-02
[122] 웹사이트 Великая княжна Ольга Николаевна Романова https://pravoslavie.[...] Православие.ру 2024-06-02
[123] 웹사이트 Grand Duchess Olga - 16th Birthday at Livadia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6-02
[124] 서적 最後のロシア皇帝 ちくま新書
[125] 서적 A Fatal Passion: The Story of the Uncrowned Last Empress of RussiaHardcover Random House
[126] 서적 A Fatal Passion: The Story of the Uncrowned Last Empress of Russia Random House
[127]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ⅩⅩⅡ Visits to Headquarters and Elsewhere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28]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V Rasputin's Murder - Last Days of Sovereignty, December 1916 to March 1917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29] 논문 アレクサンドラ・フョードロヴナの日記 1917-1918年 https://ogu.repo.nii[...] 2015-12-30
[130] 웹사이트 Великая княжна Ольга Николаевна {{!}} Журнал https://orthodox-mag[...] Православный вестник 2024-06-02
[131] 웹사이트 Grand Duchess Olga Nicholaievna - Blog &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6-02
[132] 웹사이트 OTMA's Camera - Tumblr http://otmacamera.tu[...] Otmacamera.tumblr.com 2014-04-24
[133] 웹사이트 The Life and Tragedy of Alexandra Feodorovna:: Chapter XXX Tobolsk, August 1917 to April 1918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2024-05-31
[134] 웹사이트 Ольга Николаевна Романова, великая княжна: житие, иконы, день памяти https://azbyka.ru/da[...] Азбука веры 2024-06-02
[135] URL https://www.sakharov[...]
[136] 도서 マーク・D. スタインバーグ, ヴラジーミル・M. フルスタリョーフロマーノフ王朝滅亡?革命期の政治の夢と個人の苦闘大月書店
[137] URL https://statearchive[...]
[138] 서적 The Fate of the Romanovs Wiley 2008-04-21
[139] 웹사이트 Воспоминания красногвардейца караульной команды дома Ипатьева А.А. Стрекотина о расстреле царской семьи. Копия. https://statearchive[...] GARF 2023-02-19
[140] 웹사이트 Yurovsky Note 1922 English - Blog &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https://www.alexande[...] ALEXANDER PALACE TIME MACHINE 2022-11-11
[141] 웹사이트 Воспоминания коменданта дома Ипатьева Я.М. Юровского «Последний царь нашел свое место». Подлинник. https://statearchive[...]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022-11-11
[142] 웹사이트 ソコロフ Убийство царской семьи http://rus-sky.com/h[...] http://rus-sky.com/ 2022-11-11
[143] 서적 Seven League Boots Long Riders Guild Pr
[144] 문서 ソコロフ УБИЙСТВО ЦАРСКОЙ СЕМЬИ http://rus-sky.com/h[...]
[145] 서적 The Last Days of the Romanovs: Tragedy at Ekaterinburg St. Martin's Griffin; Reprint edition
[146] 서적 The Last Days of the Romanovs: Tragedy at Ekaterinburg St. Martin's Griffin; Reprint edition
[147] 서적 The Last Days of the Romanovs: Tragedy at Ekaterinburg St. Martin's Griffin; Reprint edition
[148] 서적 The fate of the Romanovs Wiley; 1 edition
[149] 서적 The Last Days of the Romanovs: Tragedy at Ekaterinburg St. Martin's Griffin; Reprint edition
[150] 웹사이트 17 July 1998: The funeral of Tsar Nicholas II http://www.romanovfu[...] Romanovfundforrussia.org 2014-03-24
[151] 문서 외증조모는 어머니의 아버지의 어머니이며, 올가 여대공의 외증조모는 프로이센의 엘리자베트 공주이다. 한편, 외외증조모는 어머니의 어머니의 어머니를 가리켜 쓰는 호칭이니 올가 여대공의 외외증조모가 바로 [[빅토리아 (영국)|빅토리아 여왕]]이다.
[152] 문서 올가 여대공의 끝종조부인 파벨 알렉산드로비치 대공의 장녀
[153] 문서 그런 농담을 한 번도 들은 적이 없는 [[타티야나 니콜라예브나 여대공|타티야나]]가 충격을 받아 울면서 뛰쳐나가자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마리야]]가 그 군인을 크게 꾸짖었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