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은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의 넷째 딸로, 1901년 6월 18일에 태어났다.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활발하고 장난기 넘치는 성격으로 가족들에게 사랑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언니 마리아와 함께 부상병들을 간호하는 봉사활동을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몰락한 후, 아나스타시야는 가족과 함께 가택 연금 생활을 겪었으며, 1918년 7월 예카테린부르크에서 가족과 함께 볼셰비키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러나 그녀의 생존에 대한 소문이 퍼져, 안나 앤더슨과 같은 사칭범이 등장하기도 했으며, 20세기 가장 인기 있는 역사적 미스터리 중 하나가 되었다. 1991년과 2007년의 유골 발굴과 DNA 검사를 통해 아나스타시야를 포함한 황족 가족 구성원들이 모두 사망했음이 최종적으로 확인되었으며, 1981년 러시아 정교 해외교회와 2000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순교자, 수난자로 시성되었다. 그녀의 삶은 영화, 뮤지컬 등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계 러시아인 -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장녀로 태어나 러시아 혁명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영국 왕족의 도움으로 영국에서 말년을 보냈고, 자선 활동에 헌신하며 격변 속에서 가족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 잉글랜드계 러시아인 -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유일한 아들이자 황위 계승자였던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황태자는 혈우병을 앓았으며 러시아 혁명 후 가족과 함께 처형당했고, 이후 러시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덴마크계 러시아인 -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알렉산드르 3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장녀로 태어나 러시아 혁명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영국 왕족의 도움으로 영국에서 말년을 보냈고, 자선 활동에 헌신하며 격변 속에서 가족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 덴마크계 러시아인 - 비투스 베링
    비투스 베링은 표트르 대제의 명령으로 캄차카 탐험대를 이끌고 시베리아 동부와 북아메리카 북서부 해안을 탐험하여 베링 해협 등 자신의 이름이 붙은 지명을 남긴 덴마크 출신 러시아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이다.
  • 사형된 어린이 - 홍천귀복
    홍천귀복은 태평천국의 제2대 천왕으로, 홍수전의 아들로 태어나 15세에 즉위했으나 천경 함락 후 청군에 체포되어 능지처사형을 당했으며, 그의 짧은 통치 기간과 처형 직전 발언은 여러 해석을 낳고 옥새는 홍콩 역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사형된 어린이 - 유대철
    유대철은 조선시대 천주교 신자이자 성인 유진길의 아들로, 기해박해 당시 14세의 나이로 순교하여 1984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으로 추존되었다.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아나스타시아 니콜라예브나 여대공 사진, 1914년경
사진, 1914년경
본명아나스타시아 니콜라예브나 로마노바
출생1901년 6월 18일 (율리우스력 6월 5일)
출생 장소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테르고프 궁전
사망1918년 7월 17일
사망 장소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예카테린부르크 이파티에프 하우스
매장1998년 7월 17일
매장 장소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트로파블롭스크 대성당
종교러시아 정교회
서명
가문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아버지러시아의 니콜라이 2세
어머니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신분
작위러시아 여대공
칭호성녀 (순교자)
기타 정보
러시아어 표기Анастаси́я Никола́евна Рома́нова (Anastasiya Nikolaevna Romanova)
별칭나스텐카 (Nastenka)
슈비브지크 (shvibzik)
말렌카야 (Malenkaya)

2. 생애

1904년 아나스타시야 여대공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황후의 넷째 딸인 아나스타시야는 1901년 6월 18일에 태어났다.[5] 당시 러시아 황실은 황태자가 될 아들을 원했기 때문에, 그녀의 탄생은 부모와 가족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6][7] 아나스타시야라는 이름은 4세기 순교자 성 아나스타시아에게서 따온 것으로, '부활'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훗날 그녀의 생존 소문과 관련되어 자주 언급되었다.[9]

황제의 자녀들은 가능한 한 단순하게 자랐다. 하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공녀를 '아나스타시야 니콜라예브나'라는 이름과 부칭으로 불렀으며, 칭호나 작위는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아나스타지', '나스타샤', '나스티야', '나스타스', '나스텐카' 등의 애칭으로 불렸으며, '말렌카야'(작은 아이),[11] '슈비브지크'(작은 장난꾸러기)라는 별명도 있었다.[13]

아나스타시야는 언니 마리아와 함께 '작은 쌍'으로 불리며 방을 같이 쓰고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언니 올가, 타티아나는 '큰 쌍'으로 불렸다. 네 자매는 OTMA라는 약칭을 사용하여 편지에 서명하기도 했다.[14]

2009년 황실 가족 유해에 대한 DNA 검사 결과, 아나스타시야의 남동생 알렉세이는 혈우병 B를 앓고 있었으며, 어머니와 한 자매(마리아 또는 아나스타시야)가 보인자임이 밝혀졌다.[15] 만약 아나스타시야가 살아남아 자녀를 낳았다면, 그들은 유전적으로 그 질병에 시달렸을 가능성이 높다.[16]

2. 1. 유년기

1906년 사진


4살 때 아나스타시야가 그린 그림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와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황후의 넷째 딸로, 1901년 6월 18일에 태어났다.[86]

18세기 여제 예카테리나 2세의 아들 파벨 1세는 어머니를 싫어하여 여성의 계승을 금지하는 황위 계승법 (러시아)을 정했다. 그 때문에 로마노프 왕가의 친척들은 황태자가 될 아들의 탄생을 원했다. 아나스타시야 출생 소식을 들은 니콜라이 2세의 어머니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는 "알릭스가 또 여자아이를 낳았어!"라고, 니콜라이 2세의 맏누이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얼마나 실망스러운가! 넷째도 여자애라니!"라고 말하며, 두 사람 모두 실망감을 드러냈다.[87] 니콜라이 2세 역시 실망감을 감출 수 없는 자신의 마음을 진정시키기 위해 알렉산드라와 갓 태어난 아나스타시야를 만나기 전에 긴 산책을 해야만 했다.[88]

아나스타시야의 이름은 4세기의 순교자 성녀 아나스타시야 스렘스카에게서 따왔다.[243] '아나스타시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Αναστασία) 이름으로, '부활'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훗날 아나스타시야 생존설과 결부되어 회자되기도 했다. 또한, 이름의 러시아어 의미 중 하나는 "사슬의 파괴자" 또는 "감옥을 여는 사람"이며, 니콜라이 2세는 그녀의 탄생을 기념하여 전년도 겨울에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발생한 폭동에 참여하여 투옥된 학생들에 대한 사면을 실시했다.[89]

아나스타시야의 작위는 여대공( Великая Княжна|벨리키 크냐즈나ru )으로,[245] 러시아 제국에서 황제의 딸과 손녀들은 모두 이 작위를 받았다.

황실 가족들은 아나스타시야를 '나스탸(Настяru)', '나스타스(Настасru)', '나스텐카(Настенькаru)' 등의 애칭으로 불렀으며, '말렌카야(작은 것, Маленькаяru)',[246] '슈비브지크(장난꾸러기, schwipsig|슈비프지히de)'라는 별명도 사용했다.[247]

니콜라이 2세의 아이들은 비교적 소박하게 자랐다. 아프지 않으면 베개도 없이 간이침대에서 잤고, 아침에는 냉수로 목욕을 했으며, 방은 정갈히 정돈하고 수예를 해서 자선사업에 팔았다.

1914년 ''백색 꽃의 날'' 행사에서 언니, 어머니와 함께 있는 아나스타시야. 백색 꽃의 날은 결핵 환자를 돕기 위해 모두가 흰 꽃을 팔아 기부금을 모으는 자선 행사였다.


아나스타시야는 키가 작고 통통한 체형이었으며, 푸른 눈[17]과 금발을 가지고 있었다.[18] 어머니의 시녀였던 소피 부크스호덴 남작부인은 "그녀의 이목구비는 반듯하고 섬세했다. 그녀는 맑은 머리카락과 섬세한 눈을 가졌고, 그 깊숙한 곳에는 장난기 넘치는 웃음이 있었으며, 거의 맞닿을 듯한 짙은 눈썹을 가지고 있었다"라고 회상했다.[19]

어린 아나스타시야는 기운이 넘치는 악동이었다. 4자매의 아일랜드인 유모 마거릿 이거는 막 걸음마를 배울 무렵의 아나스타시야는 자기가 평생 본 모든 아기들보다 매력적이었다고 회고했다.[244]

똑똑했다는 말도 있지만, 공부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아나스타시야의 선생이었던 스위스인 피에르 질라르, 영국인 찰스 시드니 기브스, 그리고 황후의 시녀였던 릴리 덴과 안나 뷰루보바는 아나스타시야를 활기 넘치고 짖궂은 말썽쟁이로, 연기하는 재능이 배우처럼 뛰어나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도 이따금씩 날카로운 재치가 예민한 부분을 지적하기도 했다.[18][21][22]

아나스타시야의 대담한 행동은 때때로 용인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기도 했다. 어의 예브게니 보트킨(나중에 예카테린부르크에서 황제 일가와 함께 총살당함)의 아들 글레프 보트킨은 아나스타시야가 벌 받을 만한 일을 하기로는 황가에서 기록을 세웠을 것이며, 말썽부리는 분야에서는 실로 천재적이었다고 말했다.[23] 아나스타시야는 하인들을 넘어뜨리거나 선생들에게 장난을 치고, 나무 위에 올라가서는 내려오지 않는 일도 있었다. 한번은 폴란드의 황실 사유지에서 눈싸움을 하는데, 아나스타시야가 눈 속에 돌을 넣고 언니 타티야나에게 던져서 그걸 맞은 타티야나가 쓰러지기도 했다.[18] 7촌 재종고모(니콜라이 1세의 손녀) 니나 대공녀는 “아나스타시야는 거의 사악하다고 할 만큼 고약했다”고 회고했다. 아나스타시야는 놀다가 놀이 상대를 속이거나, 발로 차거나, 할퀴기도 했다. 또 니나가 자기보다 키가 컸기 때문에 그 점을 분해했다.[24]

아나스타시야는 바로 윗 언니인 마리야와 친했다. 마리야와 아나스타시야는 방을 같이 썼으며, 같은 옷을 입는 일도 자주 있었고,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한편 장녀와 차녀인 올가와 타티야나도 방을 같이 썼는데, 마리야와 아나스타시야를 "작은 짝(The Little Pair)", 올가와 타티야나를 "큰 짝(The Big Pair)"이라고 불렀다. 4자매는 종종 편지에 OTMA라고 서명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자매들의 이름의 머릿글자(올가의 O, 타티야나의 T, 마리야의 M, 아나스타시야의 A)를 따온 것이다.[255]

하지만 아나스타시야는 성격이 활기찼을 뿐, 건강은 그리 좋지 않았다. 두 엄지발가락에 모두 건막류가 생겨 고생했고,[26] 등 근육이 약해서 1주일에 2회 안마를 받았다. 아나스타시야는 이 안마를 싫어해서 침대 밑이나 장롱 속에 숨었다.[27]

2. 2. 소녀 시절



어린 아나스타시야는 기운이 넘치는 장난꾸러기였다. 키는 작고 통통했으며, 푸른 눈[248]과 붉은 기가 도는 금발을 가졌다.[249] 4자매의 아일랜드인 유모 마거릿 이거는 아나스타시야가 걸음마를 배울 무렵, 자신이 본 모든 아기들보다 매력적이었다고 회고했다.[244]

총명하다는 평가도 있었지만, 공부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아나스타시야의 선생이었던 스위스인 피에르 질라르는 아나스타시야를 "짓궂고 익살스러우며, 강렬한 유머 감각을 지닌 아이"라고 묘사했다.[109] 영국인 찰스 시드니 기브스, 황후의 시녀였던 릴리 덴과 안나 비루보바는 아나스타시야를 활기차고 짖궂은 말썽쟁이로, 연기하는 재능이 배우처럼 뛰어나다고 회고했다. 그러면서도 이따금씩 날카로운 재치가 예민한 부분을 지적하기도 했다.[249][250][251]

아나스타시야의 대담한 행동은 때때로 용인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기도 했다. 어의 예브게니 보트킨의 아들 글레프 보트킨은 아나스타시야가 벌 받을 만한 일을 하기로는 황가에서 기록을 세웠을 것이며, 말썽 부리는 분야에서는 실로 천재적이었다고 말했다.[252] 아나스타시야는 하인들을 넘어뜨리거나 선생들에게 장난을 치고, 나무 위에 올라가서는 내려오지 않는 일도 있었다. 한번은 폴란드의 황실 사유지에서 눈싸움을 하는데, 아나스타시야가 눈 속에 돌을 넣고 언니 타티야나에게 던져서 그걸 맞은 타티야나가 쓰러지기도 했다.[249] 7촌 재종고모(니콜라이 1세의 손녀) 니나 대공녀는 “아나스타시야는 거의 사악하다고 할 만큼 고약했다”고 회고했다. 아나스타시야는 놀다가 놀이 상대를 속이거나, 발로 차거나, 할퀴기도 했다. 또 니나가 자기보다 키가 컸기 때문에 그 점을 분해했다.[253]

언니들이 하는 것에 비해 아나스타시야는 외모에 큰 신경을 쓰지 않았다.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 포스트 휠러의 아내였던 작가 헤일리 어미니 리브스는 10살짜리 아나스타시야가 페테르부르크 오페라하우스에서 팔목까지 오는 흰색 오페라 장갑을 낀 채로 초콜릿을 먹어 장갑을 더럽히면서도 아무렇지 않아하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254]

아나스타시야는 바로 윗 언니인 마리야와 친했다. 마리야와 아나스타시야는 방을 같이 썼으며, 같은 옷을 입는 일도 자주 있었고,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한편 장녀와 차녀인 올가와 타티야나도 방을 같이 썼는데, 마리야와 아나스타시야를 "작은 짝", 올가와 타티야나를 "큰 짝"이라고 불렀다. 4자매는 종종 편지에 OTMA라고 서명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자매들의 이름 머리글자를 따온 것이다.[255]

하지만 아나스타시야는 성격이 활기찼을 뿐, 건강은 그리 좋지 않았다. 두 엄지발가락에 모두 건막류가 생겨 고생했고,[256] 등 근육이 약해서 1주일에 2회 안마를 받았다. 아나스타시야는 이 안마를 싫어해서 침대 밑이나 장롱 속에 숨었다.[257] 취미는 부모에게 물려받은 사진 촬영이었으며, 항상 상자형 카메라를 놓지 않았다고 한다.[119] 1914년에는 카메라를 의자에 고정하고 거울을 이용해 자신의 모습을 찍은 자화상을 남기기도 했다.[120][121]

2. 3. 그리고리 라스푸틴과의 관계

Григо́рий Ефи́мович Распу́тин|그리고리 예피모비치 라스푸틴ru은 황태자의 혈우병을 고치기 위해 황후가 의존했던 인물이다. 황후는 아나스타시야를 포함한 딸들에게 라스푸틴을 '친구'로 여기고 신뢰하라고 가르쳤다.[262] 1907년 가을, 아나스타시야의 고모 올가 여대공은 황제의 안내를 받아 유아방에서 라스푸틴을 만났는데, 이때 아나스타시야와 형제들은 모두 잠옷 차림이었다. 올가 여대공은 아이들이 라스푸틴을 매우 편안하게 대하는 것을 보았다.[262] 라스푸틴은 1909년 2월, 아이들에게 "하나님의 모든 창조물을 사랑하라"는 내용의 전보를 보내는 등, 이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263]

1908년경 어머니 알렉산드라 황후와 함께 있는 아나스타시야 여대공


오빠 알렉세이와 함께 있는 아나스타시야 여대공


1910년 법정 드레스를 입은 아나스타시야 여대공


하지만 1910년, 여대공들의 유모였던 소피아 이바노브나 튜체바는 라스푸틴이 잠옷 차림의 여자아이들 방에 드나드는 것에 경악하여 그의 출입을 막아달라고 요청했다. 니콜라이 2세는 라스푸틴에게 유아방 출입을 자제할 것을 부탁했고, 아이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눈치채고 어머니가 튜체바에게 화를 낼까 봐 두려워했다.[264] 결국 튜체바는 해고되었고, 이 사건은 황실 내부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265] 튜체바는 크세니야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에게 라스푸틴이 황녀들의 잠자리까지 찾아가 그들을 껴안고 쓰다듬는다는 이야기를 전했고, 크세니야는 라스푸틴을 흘리스트파 이단으로 의심하며 경계했다.[264]

1910년 봄, 유모 중 한 명인 마리야 이바노바 비슈냐코바는 라스푸틴에게 강간당했다고 주장했지만, 황후는 이를 믿지 않고 "라스푸틴이 하는 모든 것은 성스럽다"고 말했다.[266] 올가 여대공은 비슈냐코바의 주장이 즉시 조사되었지만, 오히려 그녀가 카자크 친위병과 동침하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이후 비슈냐코바는 라스푸틴을 볼 수 없는 곳으로 보내졌고, 1913년에는 해고되었다.[267]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라스푸틴이 황후뿐만 아니라 네 여대공까지 유혹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268] 심지어 라스푸틴이 황후 및 여대공들과 성관계를 맺는 포르노 만화까지 유포되었다.[270] 아나스타시야는 라스푸틴에게 보낸 편지에서 "소중하고 유일한 친구께. 얼마나 다시 보고 싶은지 몰라요... 언제나 당신 생각을 해요."라고 쓸 정도로 그를 따랐다.[269]

결국 니콜라이 2세는 라스푸틴에게 페테르부르크를 떠나 팔레스타인으로 순례 여행을 떠나도록 명령했다.[271] 그러나 황실 가족과 라스푸틴의 관계는 1916년 12월 17일 그가 살해당할 때까지 계속되었다.[272]

라스푸틴의 죽음 이후, 아나스타시야와 황실 가족들은 큰 슬픔에 잠겼다. A.A. 모르디노프는 회고록에서 네 여대공이 라스푸틴의 죽음에 냉담하고 눈에 띄게 몹시 언짢아했다고 기록했다.[273] 아나스타시야는 1916년 12월 21일 라스푸틴의 장례식에 참석했고, 황제 일가는 그의 무덤 위에 교회를 지으려는 계획까지 세웠다.[274] 훗날 아나스타시야와 자매들은 라스푸틴의 사진과 기도문이 들어 있는 부적을 지니고 있다가 볼셰비키에게 총살당했다.[275]

2. 4.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봉사 활동

1915년경 표도롭스키 고로도크 마을의 병원을 방문하여 부상병들을 만난 마리아 여대공과 아나스타시야 여대공. 그들은 전쟁 동안 매일 그곳에서 봉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아나스타시야는 언니 마리아와 함께 차르스코예 셀로 부지 내에 있는 사립 병원에서 부상병들을 방문했다.[42] 어머니와 언니들처럼 적십자 간호사가 되기에는 너무 어려서, 두 십 대 소녀는 병사들과 체커당구 게임을 하며 그들의 사기를 북돋우려 노력했다.[42]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고 아나스타시야를 알았던 펠릭스 다셀은 여대공이 "다람쥐처럼 웃었다"고 회상했고, "넘어질 듯이" 빠르게 걸었다고 한다.[42]

2. 5. 러시아 혁명과 감금 생활

1917년 2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가 붕괴되자, 황제 일가는 차르스코예 셀로에 연금되었다. 이후 시베리아 토볼스크로 이송되었으며, 1918년에는 예카테린부르크의 이파티예프 하우스에 감금되었다.[148] 감금 생활의 스트레스와 불확실성은 아나스타시야와 가족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1917년 겨울 토볼스크에서. 왼쪽부터 올가, 니콜라이 2세, 아나스타시야, 타티아나


1918년 봄 토볼스크에서


토볼스크에서 갇힌 몸의 불안과 불확실성은 아나스타시야와 그녀의 가족을 괴롭혔다. 1917년 겨울 아나스타시야는 친구에게 "안녕", "우리 일을 잊지 말아 주세요"라고 쓴 편지를 보냈다.[148] 또한, 로버트 브라우닝의 작품 중 젊은 나이에 죽은 소녀에 대한 슬픈 시 『''Evelyn Hope』』를 소재로 그녀의 영어 가정교사에게 편지를 썼다. 편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When she died she was only sixteen years old.Ther(e) was a man who loved her without having seen her but (k)new her very well. And she he(a)rd of him also. He never could tell her that he loved her, and now she was dead. But still he thought that when he and she will live [their] next life whenever it will be that・・・ (그녀는 죽었을 때, 겨우 16살이었다. 그녀를 본 적은 없었지만 그녀에 대해 너무 잘 알고 사랑했던 남자가 있었다. 그리고 그녀도 그에 대해 들었다. 그는 그녀에게 사랑한다고 말할 수 없었고, 지금 그녀는 죽었다. 그래도 그는 두 사람이 내세를 살 때의 일을 생각했다.・・・)" 이 편지는 스펠링 실수가 많았다.[148]

예카테린부르크에 도착한 알렉산드라가 검사를 받고 물품이 몰수되었다고 경고하는 편지를 보내자, 토볼스크에 남은 세 자매는 타티아나가 중심이 되어 옷에 보석을 꿰맸다. 어머니는 암호로 보석을 의미하는 "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메이드 안나 데미도바에게 "약속대로 약을 처분해라"라고 지시했다.[149][150]

아나스타시야는 인생의 마지막 몇 달 동안 기분 전환 방법을 찾았다. 1918년 봄에 그녀는 가족들과 함께 부모와 다른 사람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연극을 했다. 영어 가정교사에 따르면, 모두가 그녀의 연기에 크게 웃었다고 한다.[153] 1918년 5월 7일의 편지에서는 자신의 슬픔과 남동생 알렉세이의 병세 악화를 숨기고 "우리는 큰 소리로 웃으면서 (통나무로 만든) 그네를 탔고, 착지했는데, 너무 좋았어요! 정말로! 저는 어제 그 이야기를 여러 번 해서 언니들은 지겨워했지만, 저는 아직 그 이야기를 계속할 수 있어요. 우리가 경험했던 멋진 시간! 모두가 순수하게 기뻐하며 외칠 거예요!"라고 말하며, 기쁨의 순간을 표현했다.[154]

2. 6. 이파티예프 하우스에서의 최후

1918년 5월 23일, 병세가 호전된 알렉세이가 여행을 견딜 수 있게 되자 아나스타시야는 올가, 타티아나, 알렉세이와 함께 예카테린부르크의 이파티예프 저택으로 이송되어 가족들과 다시 합류했다.[156] 아나스타시야는 이 저택에서 가장 나이가 어린 마리아와 함께 경호병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했다. 이파티예프 저택의 경호병이었던 알렉산드르 스트레코친은 아나스타시야에 대해 "사람을 잘 따르고 매우 장난스러웠다"라고 회상했다. 다른 경호병은 "악마 같았다! 그녀는 장난을 좋아했고, 거의 피곤해 보이지 않았다. 활기차고, 서커스를 하는 것처럼, 개와 함께 희극적인 판토마임을 하는 것을 좋아했다"라고 말했다.[157] 그러나 또 다른 경호병은 막내 대공녀를 "테러리스트"라고 부르며, 그녀의 도발적인 발언이 때때로 긴장을 유발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158]

아나스타시야와 자매들은 이파티예프 저택에서 세탁하는 법을 배웠고, 6월 말부터는 요리사 이반 하리토노프의 제안으로 부엌에 들어가 빵을 만드는 것을 돕기도 했다.[159][160]

엄중한 감시를 받던 이파티예프 저택에서의 여름은 일가를 어둡고 침울하게 만들었다. 일부 정보에 따르면, 바깥 풍경을 보고 신선한 공기를 쐬기 위해 저택의 창문을 열려고 했던 아나스타시야는 흰색 페인트로 칠해져 잠겨 있는 창문에 매우 실망했다. 이 장면을 목격한 경호병이 발포했지만, 다행히 총알은 빗나갔다. 그 후 그녀는 다시 창문을 열려고 시도하지 않았다고 한다.[161]

7월 14일, 미사를 위해 로마노프 일가를 방문한 예카테린부르크 현지 사제는 죽은 자를 위한 기도를 할 때 아나스타시야와 가족 전원이 관습과 달리 일제히 무릎을 꿇는 등 평소와 다른 모습을 보였다고 보고했다. 극적인 변화를 감지한 사제는 "무언가 끔찍한 일이 그곳에서 일어나고 있다"라고 말했다.[162] 사제는 대공녀들 앞을 지나갈 때, 그녀들로부터 작은 목소리로 "고맙습니다"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163]

7월 15일, 올가를 제외한 세 명의 대공녀는 기분이 좋은 모습을 보였고, 저택에 파견된 청소부들을 위해 자신의 방 침대를 옮기는 것을 도왔다. 자매들은 청소부를 도우며 경호병이 보지 않는 틈을 타 작은 목소리로 말을 걸기도 했다. 네 명의 젊은 여성은 모두 전날과 같은 긴 검은색 치마와 흰색 실크 블라우스를 입고 있었고, 짧은 머리는 "헝클어져 엉망"이었다. 아나스타시야는 신임 경호대장 야코프 유로프스키가 등을 돌려 방을 나설 때 혀를 내밀었다.[164]

7월 16일은 아나스타시야의 인생 마지막 날이었다. 네 명의 대공녀는 오후 4시에 평소처럼 아버지와 함께 정원을 산책했고, 경호병에 따르면 특별히 달라진 점은 없었다. 신중하게 살해 준비가 진행되었고, 일가는 아무것도 모른 채 오후 10시 넘어 잠자리에 들었다.[165] 이날 밤, 반볼셰비키 세력의 백군이 예카테린부르크 근처까지 다가왔기 때문에 야간 외출 금지령이 내려졌다.[166]

3. '아나스타시야 전설'

아나스타시야와 가족은 2000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수난자로 시성되었다. 1981년 러시아 정교회 해외 교단에서는 이미 순교자로 시성한 바 있다. 1998년 7월 17일, 니콜라이 2세, 알렉산드라 황후, 그리고 세 딸의 유해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 성 카테리나 예배당에 안치되었다.[77] 2018년 현재 알렉세이와 마리아(혹은 아나스타시야)의 유해는 정교회에 보관 중이다.[78]

황제 일가 살해 현장인 이파티예프 저택 지하 2층


1918년 7월 16일 밤에서 17일 새벽 1시 30분경, 니콜라이 2세 일가와 시종들은 예카테린부르크 시내 정세 불안을 이유로 이파티예프 저택 지하 2층으로 이동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아나스타시야는 애완견 킹 찰스 스파니엘 제미를 안고 있었다.[167] 알렉산드라는 자신과 알렉세이를 위한 의자를 요구해 아들 왼쪽에 앉았다. 니콜라이 2세는 알렉세이 뒤, 보트킨은 니콜라이 2세 오른쪽에, 아나스타시야와 자매들은 하인들과 함께 알렉산드라 뒤에 섰다. 약 30분 후, 총살대가 들어와 경호대장 유로프스키가 살해 실행을 발표하자, 아나스타시야와 가족들은 비명을 질렀다.[168]

최초 총격으로 니콜라이 2세, 알렉산드라, 요리사, 풋맨이 살해되고 주치의와 메이드가 부상당했다. 몇 분 후 총격이 재개되어 보트킨이 살해되었다. 총살 실행자 중 한 명이 알렉세이를 총검으로 찌르려 했으나 옷 속 보석 때문에 실패했고, 다른 병사가 머리에 총을 쏴 살해했다. 올가타티아나는 각각 머리에 총을 맞고 살해되었다.[169][170]

살아남은 아나스타시야, 마리아, 데미도바는 방 창가 근처에 쓰러졌다. Peter Ermakov|표트르 예르마코프영어는 마리아를 총검으로 찔렀지만 옷 속 보석 때문에 보호받았고, 결국 총으로 머리를 쏴 살해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마리아 두개골에는 총탄 상처가 없다. 마리아와 아나스타시야는 이동 중 살아있는 징후를 보였다. 한 명은 일어나 팔을 뻗어 외치고, 다른 한 명은 입에서 피를 흘리며 신음했다. 전자는 마리아, 후자는 아나스타시야로 추정된다. 예르마코프는 아내에게 아나스타시야를 총검으로 절명시켰다고 말했고, 유로프스키는 최소 한 명이 비명을 질렀고 소총 개머리판으로 후두부를 타격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나 마리아 후두부에는 폭력 흔적이 없고, 아나스타시야 유해는 소각되어 사망 원인 규명이 불가능하다.[171] 많은 보고서에서 아나스타시야가 마지막으로 사망했다고 전한다.[172]

황제 일가 살해에 참여한 체카(비밀경찰) 근무원 아들 미하일 메드베데프는 "아버지에게 들었는데, 시체를 트럭에 실을 때 아버지가 지휘했는데, 대공녀 중 한 명 의상 소매에서 작은 개 시체가 굴러 떨어졌다고 합니다"라고 말했다.[173]

3. 1. 생존설의 배경

1916년경. 왼쪽부터 아나스타시야, 올가, 니콜라이 2세, 알렉세이, 타티아나, 마리아. 뒤에 코사크들이 서 있다.


황제 일가 살해 직후, 아나스타시야의 생존설이 퍼지기 시작했다. 이는 볼셰비키 정부가 '니콜라이 2세는 처형되었지만, 다른 가족은 안전한 곳으로 호송되었다'는 허위 정보를 유포했기 때문이다.[1] 또한, 황제 일가에게 동정적이었던 경호원들이 생존자를 구출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1]

3. 2. 안나 앤더슨

가장 유명한 아나스타시야 사칭자는 안나 앤더슨이다. 안나 앤더슨은 1920년 베를린에서 자살을 시도하다 발견되었다. 그녀는 자신이 아나스타시야이며, 경호원의 도움으로 탈출했다고 주장했다. 안나 앤더슨은 아나스타시야로 인정받기 위해 법정 투쟁을 벌였지만, 1970년 독일 최고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1994년 DNA 검사 결과, 안나 앤더슨은 폴란드 출신 공장 노동자 프란치스카 샨츠코프스카로 밝혀졌다.[178]

아나스타시야의 생존설은 20세기의 가장 유명한 수수께끼 중 하나였다. 수많은 여성들이 자신이 아나스타시야라고 주장하며, 다른 가족이 살해된 상황에서 어떻게 살아남았는지에 관해 다양한 이야기를 제공했다. 소련 공산당 당국이 정권 기반이 굳어질 때까지 "니콜라이 2세는 처형되었지만, 다른 가족은 안전한 곳으로 호송되었다"는 허위 정보를 계속 유포한 것도 이러한 소문의 확산을 부추겼다.[176][177]

황제 일가 살해 후 나타난 로마노프 사칭자는 모두 합쳐 200명 이상이나 되었다고 한다.[178] 이들의 주장은 공통적으로 예카테린부르크의 살해 실행자 중 황제 일가에게 동정하는 인물이 한 명 또는 여러 명 섞여 있었고, 그들이 몰래 가족 중 몇 명을 탈출시켰다는 이야기로 시작한다.[179]

3. 3. 유제니아 스미스

1963년 미국의 잡지 '라이프'는 자신이 아나스타시야라고 주장하는 유제니아 스미스의 자서전을 발표했다. 거짓말 탐지기 전문가들은 그녀를 아나스타시야 본인이라고 결론 내렸지만, 필적 감정가와 인류학자들은 이를 부정했다.[204][205]

3. 4. 기타 생존설

1963년 10월 18일, 미국의 유명한 사진 주간지 ''라이프''에 자신이 아나스타시야라고 주장하는 Eugenia Smith|유제니아 스미스영어의 신간 자서전 발췌 기사가 게재되어 주목을 받았다.[204] 폴리그래프 전문가와 전 CIA 요원이 그녀를 거짓말 탐지기로 30시간 동안 심문하여 아나스타시야 본인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필적 감정가와 2명의 인류학자는 동일 인물일 수 없다고 결론 내렸으며, 타티아나 보트키나로부터 자신이 황제 일가에 대해 쓴 책의 내용과 그녀의 책 사이에 현저한 유사점이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205]

4. 유골 발견과 DNA 검증

나데주다 바실리예바는 1920년 신분 증명서를 위조하여 중화민국에 입국하려다 볼셰비키 당국에 체포되었다. 그녀는 자신이 아나스타시야라고 주장하며 "조지 삼촌"이라 부르며 영국 국왕 조지 5세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편지를 독일어프랑스어로 써서 대사관을 통해 보내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 후 감옥과 정신병원을 전전하다 1971년에 사망했다. 카잔의 병원장은 "그녀는 자신이 아나스타시야라는 주장 외에는 완전히 정신이 온전했다"고 말했다.[206][207]

4. 1. 1991년 유골 발굴

1991년 예카테린부르크 인근 숲에서 황제 일가와 시종들의 유골이 발굴되었다. 그러나 9구의 유골만 발견되었고, 2구의 유골이 부족하여 논란이 일었다. 미국과 러시아 전문가들은 부족한 유골이 마리아의 것인지, 아나스타시야의 것인지를 두고 대립했다.[208][209][210][211][212][213][214]

4. 2. 2007년 추가 유골 발견

2007년 8월 23일, 러시아 고고학자들은 예카테린부르크 근교에서 2구의 불에 탄 유골 일부를 발견했다. 이 장소는 야코프 유로프스키가 남긴 기록에 나오는 매장지와 일치하는 곳이었다.[224] 고고학자들은 유골이 10세에서 13세 사이의 소년과 18세에서 23세 사이의 젊은 여성의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아나스타시야는 17세 1개월, 마리아는 19세 1개월이었으므로, 발견되지 않은 유골은 마리아의 것으로 추정되었다.[224] 유골과 함께 황산 용기 파편, 못, 나무 상자 조각, 다양한 구경의 탄환이 발견되었으며, 유골 탐색에는 금속 탐지기가 사용되었다.[224]

2008년 4월 30일, 스베르들롭스크 주지사 에두아르트 로셀은 미국의 유전자 연구소에서 실시한 검사 결과, 이 두 유골이 알렉세이와 마리아의 것이라고 확인했다고 발표하며 "이제 가족 모두를 찾았다"라고 말했다.[225] 2009년 3월, DNA 감정을 통해 두 유골이 알렉세이와 그의 누나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이로써 황제 일가가 1918년에 모두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살해되었고, 생존자는 없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226]

5. 시성 및 재평가

1981년 러시아 정교회 해외 교단은 아나스타시야를 포함한 로마노프 일가를 순교자로 시성하였다.[229] 2000년 러시아 정교회 역시 이들을 수난자로 시성했다.[230]

1998년 7월 17일 니콜라이 2세 부부와 세 명의 대공녀 유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에 매장되었다.[231]

2009년 10월 16일 러시아 연방 검찰청은 니콜라이 2세 일가를 포함한 볼셰비키에 의한 적색 테러 희생자 52명의 명예 회복을 발표했다.[232]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아나스타시야의 생존설은 수많은 책과 영화의 소재가 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1956년 영화 《추억》, 1997년 애니메이션 영화 《아나스타샤》, 1986년 TV 영화 《아나스타샤/빛・흔들리며》 등이 있다.[79][233][237] 1928년에 제작된 《옷은 여자를 만든다》는 가장 초창기 작품 중 하나이다.[79]

1956년 영화 《추억》에서 아나스타시아를 연기한 잉그리드 버그만. 그녀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추억》에서 안나 코레프 역을 맡은 잉그리드 버그만은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235] 1997년 애니메이션 영화 《아나스타샤》에서 아나스타시야의 목소리는 멕 라이언이 연기했다.[236] 1986년 TV 영화 《아나스타샤/빛・흔들리며》는 안나 앤더슨의 삶을 다루었으며, 성인 안나 앤더슨 역은 에이미 어빙이 연기했다.[237]

PS2용 RPG 게임 《섀도 하츠 II》(2004)에서도 아나스타시야가 메인 캐릭터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238]

참조

[1] 웹사이트 Did Duchess Anastasia Survive Her Family's Execution? https://www.britanni[...] 2020-12-02
[2] 웹사이트 DNA Confirms Remains Of Czar's Children https://www.cbsnews.[...] CBS News 2011-09-08
[3] 간행물 Mystery Sol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Missing Romanov Children Using DNA Analysis 2009
[4] 서적 1995
[5] 서적 1967
[6] 서적 2014
[7] 서적 2014
[8] 서적 2014
[9] 서적 2014
[10] 서적 2004
[11] 서적 1983
[12] 서적 2008
[13] 서적 2014
[14] 서적 1995
[15] 서적 2004
[16] 웹사이트 Case Closed: Famous Royals Suffered from Hemophilia https://www.science.[...] 2016-03-26
[17] 서적 1967
[18] 서적 1923
[19] 서적 1928
[20] 서적 1906
[21] 서적 1921
[22] 서적 1922
[23] 서적 2003
[24] 서적 2003
[25] 서적 1991
[26] 서적 1983
[27] 서적 1997
[28] 서적 1965
[29] 서적 1967
[30] 서적 1997
[31] 서적 1997
[32] 서적 1967
[33] 웹사이트 The Mystery of Redemption http://www.romanitas[...] St. Michael's Press 2007-02-21
[34] 서적 2000
[35] 서적 1998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간행물 Anastasia Dead or Alive? 1995-10-10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문서 Last Act of a Tragedy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Massie (1995)
[72] 서적 Maylunas and Mironenko (1997)
[73] 서적 King and Wilson (2003)
[74] 서적 King and Wilson (2003)
[75] 뉴스 Remains of tzar's heir may have been found https://www.theguard[...] 2007-08-24
[76] 논문 Genomic identification in the historical case of the Nicholas II royal family 2009-03-31
[77] 웹사이트 The Glorification of the Royal Family http://www.struggler[...] 2006-12-10
[78] 뉴스 Russian Orthodox Church Blocks Funeral for Last of Romanov Remains (Published 2016) https://www.nytimes.[...] 2016-02-13
[79] 서적 Russians in Hollywood, Hollywood's Russians: biography of an image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2007
[80] 웹사이트 Nicholas II, Tsar of Russia "https://www.britann[...]
[81] 서적 Born to Rule: Five Reigning Consorts, Granddaughters of Queen Victoria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18-07-15
[82] 웹사이트 Alexander III, Emperor of Russia "https://www.britann[...]
[83] 웹사이트 Christian IX http://kongehuset.dk[...] The Danish Monarchy 2018-07-14
[84] 서적 The Descendants of King George I of Great Britain Clearfield Company
[85] 서적 Lines of Succession: Heraldry of the Royal Families of Europe Little, Brown
[86] 서적 マッシー(1996年)
[87] 웹사이트 В ожидании престолонаследника http://tsarevich.spb[...] Цесаревич Алексей 2014-08-02
[88] 서적 マッシー(1996年)
[89] 웹사이트 Six Years at the Russian Court CHAPTER 15 THE LITTLE PRISON OPENER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8-02
[90] 서적 ラヴェル(1998年)
[91] 서적 Zeepvat(2004年)
[92] 웹사이트 The Strange Anastasia Mystery http://perdurabo10.t[...] The Mind of James Donahue 2014-06-24
[93] 서적 Kurth(1995年)
[94] 웹사이트 The Grand Duchesses — OTMA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1-24
[95] 서적 Zeepvat(2004年)
[96] 서적 マッシー(1996年)
[97] 서적 マッシー(1999年)
[98] 서적 マッシー(1996年)
[99] 서적 マッシー(1996年)
[100] 서적 ラジンスキー上(1993年)
[101] 서적 ラヴェル(1998年)
[102] 서적 植田(1998年)
[103] 서적 ラヴェル(1998年)
[104] 서적 マッシー(1999年)
[105] 서적 ラヴェル(1998年)
[106] 문서 マッシー(1999年)
[107] 문서 ラヴェル(1998年)
[108] 문서 マッシー(1999年)
[109] 문서 ラヴェル(1998年)
[110] 웹사이트 Part One - Old Russia CHAPTER Ⅳ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8-02
[111] 문서 マッシー(1999年)
[112] 웹사이트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The Imperial Children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8-02
[113] 문서 King, Wilson(2003年)
[114] 문서 ラヴェル(1998年)
[115] 문서 Rappaport(2014年)
[116] 웹사이트 Six Years at the Russian Court CHAPTER 22 THE OUTBREAK OF WAR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8-02
[117] 문서 Mironenko, Maylunas(1997年)
[118] 문서 Kurth(1995年)
[119] 문서 ラヴェル(1998年)
[120] 웹사이트 Now that's a historical selfie! A teen Grand Duchess Anastasia is seen capturing her own reflection in 1913 Russia http://www.dailymail[...] Dailymail.co.uk 2013-11-26
[121] 웹사이트 「自撮り写真」の発祥はロマノフ王朝だった!? https://www.excite.c[...] Excite.co.jp 2013-12-03
[122] 웹사이트 Life at Tsarskoe Selo - Pierre Gilliard -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THE WINTER OF 1913-14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8-02
[123] 웹사이트 Victoria's Dark Secrets Chapter6 ANASTASIA http://www.curiousch[...] AlexanderPalace.org 2014-06-24
[124] 문서 ラジンスキー上(2004年)
[125] 문서 マッシー(1996年)
[126] 문서 Mironenko, Maylunas(1997年)
[127] 문서 ラジンスキー上(2004年)
[128] 문서 ラジンスキー上(2004年)
[129] 문서 ラジンスキー上(2004年)
[130] 문서 Mager(1998年)
[131] 문서 マッシー(1996年)
[132] 문서 植田(1998年)
[133] 문서 Kurth(1995年)
[134] 문서 Kurth(1995年)
[135] 문서 Mironenko, Maylunas(1997年)
[136] 문서 Mironenko, Maylunas(1997年)
[137] 문서 Mironenko, Maylunas(1997年)
[138] 문서 ラヴェル(1998年)
[139] 문서 Kurth(1983年)
[140] 문서 ラヴェル(1998年)
[141] 문서 植田(1998年)pp.167-168
[142] 문서 植田(1998年)pp.181-182
[143] 문서 植田(1998年)p.185
[144] 문서 マッシー(1996年)pp.355-358
[145] 문서 マッシー(1996年)pp.382-383
[146] 문서 植田(1998年)p.198
[147] 문서 マッシー(1996年)p.390
[148] 문서 Kurth(1983年)p.14
[149] 문서 Telberg, Wilton(2010年)p.30
[150] 문서 マッシー(1996年)p.410
[151] 문서 ラヴェル(1998年)p.76
[152] 웹사이트 Left Behind – Chapter VII – Journey to Ekaterinburg http://www.alexander[...] Alexanderpalace.org 2014-08-05
[153] 문서 Kurth(1995年)p.177
[154] 문서 Mironenko, Maylunas(1997年)p.619
[155] 웹사이트 OTMA's Camera - Tumblr http://otmacamera.tu[...] Otmacamera.tumblr.com 2014-04-24
[156] 문서 マッシー(1999年)p.325
[157] 문서 King, Wilson(2003年)p.250
[158] 문서 King, Wilson(2003年)p.251
[159] 웹사이트 Царские слуги. Евгений Лукашевский http://3rm.info/prin[...] Москва - Третий Рим 2014-03-25
[160] 문서 マッシー(1999年)p.330
[161] 문서 Telberg, Wilton(2010年)p.407
[162] 문서 Rappaport(2010年)pp.162-163
[163] 문서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p.44
[164] 문서 Rappaport(2010年)p.172
[165] 문서 マッシー(1996年)p.420
[166] 문서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p.45
[167] 문서 ラヴェル(1998年)pp.82-84
[168] 문서 Rappaport(2010年)pp.184-189
[169] 문서 King, Wilson(2003年)p.303
[170] 문서 Rappaport(2010年)p.190
[171] 문서 King, Wilson(2003年)pp.353-367
[172] 문서 ラヴェル(1998年)p.87
[173] 문서 ラジンスキー上(1993年)p.194
[174] 문서 ラヴェル(1998年)p.92
[175] 문서 King, Wilson(2003年)p.314
[176] 서적 King, Wilson(2010年)
[177] 서적 マッシー(1999年)
[178] 웹사이트 - The Pretenders - http://www.romanov-m[...] Romanov-memorial.com 2014-06-25
[179] 서적 マッシー(1999年)
[180] 서적 ラヴェル(1998年)
[181] 서적 ラヴェル(1998年)
[182] 서적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183] 서적 桐生(1996年)
[184] 서적 桐生(1996年)
[185] 서적 ラヴェル(1998年)
[186] 서적 マッシー(1999年)
[187] 서적 ラヴェル(1998年)
[188] 서적 マッシー(1999年)
[189] 서적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190] 서적 ラヴェル(1998年)
[191] 서적 マッシー(1999年)
[192] 서적 マッシー(1999年)
[193] 서적 桐生(1996年)
[194] 서적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195] 서적 桐生(1996年)
[196] 서적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197] 서적 桐生(1996年)
[198] 서적 ラヴェル(1998年)
[199] 서적 マッシー(1999年)
[200] 서적 ラヴェル(1998年)
[201] 서적 植田(1998年)
[202]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1928 Anastasia arrive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5-05-31
[203] 서적 Kurth(1995年)
[204] 서적 マッシー(1999年)
[205] 서적 マッシー(1999年)
[206] 서적 マッシー(1999年)
[207] 웹사이트 Принцесса из Казанской психушки http://www.sovsekret[...] Совершенно секретно 2014-06-17
[208] 서적 マッシー(1999年)
[209] 서적 Kurth(1983年)
[210] 서적 Occleshaw(2010年)
[211] 문서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212] 문서 Occleshaw(2010年)
[213] 문서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214] 문서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215] 문서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216] 문서 サマーズ, マンゴールド(1987年)
[217] 웹사이트 Сравн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документов следствия 1918 — 1924 гг. с данными советских источников http://www.romanovy.[...] данными советских источников 2014-06-17
[218] 문서 マッシー(1999年)
[219] 문서 マッシー(1999年)
[220] 문서 マッシー(1999年)
[221] 문서 King, Wilson(2003年)
[222] 문서 マッシー(1999年)
[223] 문서 ラジンスキー下(2004年)
[224] 웹사이트 Remains of tsar's heir may have been found http://www.theguardi[...] TheGuardian.com 2007-08-24
[225] 웹사이트 DNA confirms IDs of czar's children, ending mystery https://web.archive.[...] Yahoo.com 2008-04-30
[226] 웹사이트 DNA proves Bolsheviks killed all of Russian czar's children https://edition.cnn.[...] CNN.com 2009-03-11
[227] 웹사이트 Case Closed: Famous Royals Suffered From Hemophilia http://news.sciencem[...] Sciencemag.org 2009-10-08
[228] 웹사이트 Mystery Sol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Missing Romanov Children Using DNA Analysis http://www.plosone.o[...] Sciencemag.org 2009-03-11
[229] 문서 King, Wilson(2003年)
[230] 웹사이트 Nicholas II And Family Canonized For 'Passion' https://www.nytimes.[...] NYTimes.com 2000-08-15
[231] 웹사이트 17 July 1998: The funeral of Tsar Nicholas II http://www.romanovfu[...] Romanovfundforrussia.org 2014-03-24
[232] 웹사이트 Генеральная прокуратура РФ удовлетворила заявление Главы Российского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Дома о реабилитации репрессированных верных служителей Царской Семьи и других Членов Дома Романовых http://www.imperialh[...]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Российского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Дома 2009-10-30
[233] 웹사이트 Table of Contents http://www.kingandwi[...] The Romanovs in Film
[234] 웹사이트 Clothes Make the Woman (1928) https://www.nytimes.[...] NYTimes.com
[235] 웹사이트 追想(1956) http://www.kinenote.[...] Kinenote.com
[236] 웹사이트 アナスタシア http://www.kinenote.[...] Kinenote.com
[237] 웹사이트 Anastasia: The Mystery of Anna (1986) https://www.nytimes.[...] NYTimes.com
[238] 웹사이트 登場人物 http://www.shadowhea[...] シャドウハーツII公式サイト
[239] 웹인용 DNA Confirms Remains Of Czar's Children https://web.archive.[...] CBS News 2009-02-11
[240] 저널 Mystery Solved: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Missing Romanov Children Using DNA Analysis 2009
[241] 문서 Massie (1995)
[242] 문서 Massie (1967)
[243] 서적 The Romanov Sisters St. Martin's Press 2014
[244] 웹인용 Six Years at the Russian Court http://www.alexander[...]
[245] 문서 Zeepvat, (2004)
[246] 서적 Kurth (1983)
[247] 서적 Rappaport
[248] 서적 Massie (1967)
[249] 웹인용 Memories of the Russian Court http://www.alexander[...] 2006-12-13
[250] 웹인용 Thirteen Years at the Russian Court http://www.alexander[...] 2006-12-13
[251] 웹인용 The Real Tsaritsa http://www.alexander[...] 2006-12-13
[252] 서적 King and Wilson (2003)
[253] 서적 King and Wilson (2003)
[254] 서적 Lovell (1991)
[255] 서적 Christopher, Kurth, Radzinsky (1995)
[256] 서적 Kurth (1983)
[257] 서적 Maylunas, Andrei, Mironenko, et al. (1997)
[258] 서적 Vorres (1965)
[259] 서적 Zeepvat (2004)
[260] 웹인용 Case Closed: Famous Royals Suffered from Hemophilia http://www.sciencema[...] 2016-03-26
[261] 서적 Massie (1995)
[262] 서적 Massie (1967)
[263] 서적 Maylunas, Andrei, Mironenko, et al. (1997)
[264] 서적 Maylunas, Andrei, Mironenko, et al. (1997)
[265] 서적 Massie (1967)
[266] 간행물 The Mystery of Redemption http://www.romanitas[...] St. Michael's Press 2007-02-21
[267] 서적 Radzinsky (2000)
[268] 서적 Elizabeth: Grand Duchess of Russia Carroll and Graf Publishers, Inc.
[269] 웹인용 Victoria's Dark Secrets http://www.curiousch[...] 2006-12-31
[270] 서적 Christopher, Kurth, Radzinsky (1995)
[271] 서적 Christopher, Kurth, Radzinsky (1995)
[272] 서적 Maylunas, Andrei, Mironenko, et al. (1997)
[273] 서적 Maylunas and Mironenko (1997)
[274] 서적 Maylunas and Mironenko (1997)
[275] 서적 The Romanovs: The Final Chapter
[276] 서적 King and Wilson (2003)
[277] 서적 Rappaport (2008)
[278] 서적 Radzinsky (1992)
[279] 서적 Massie (1995)
[280] 서적 Kurth (1983)
[281] 문서 Some supporters of Anderson's claim acknowledged that the DNA tests proving she could not have been the Grand Duchess had "won the day".
[282] 간행물 Anastasia Dead or Alive? 1995-10-10
[283] 서적 1995
[284] 서적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