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옵스는 로마 신화의 여신으로, 부, 풍요, 번영을 상징한다. 라틴어 단어 "Ops"는 "부, 재산"을 의미하며, 농경과 관련된 지하 신으로 숭배되었다. 옵스는 사투르누스의 아내이자 유피테르의 어머니로, 그리스 신화의 레아와 동일시된다. 로마에서는 8월 10일과 12월 19일에 축제가 열렸으며, 조각상과 동전에서는 홀이나 이삭을 들고 앉아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조반니 보카치오의 《여걸전》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신 - 아우로라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는 태양의 도래를 알리는 역할을 하며, 트로이 왕자 티토노스와의 사랑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어 새벽, 희망, 새로운 시작 등을 상징한다. - 로마 신 - 플루톤
플루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부의 제공자"라는 의미를 가진 저승의 신으로, 하데스의 완곡한 이름으로도 불리며 지하 세계의 긍정적인 측면과 풍요를 상징하고, 로마 신화의 디스 파테르와 동일시되며, 그의 이름은 명왕성, 플루토늄 등 여러 과학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 풍요의 신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풍요의 신 - 프레이
프레이는 풍요, 다산, 평화를 주관하는 바니르 신족의 주요 신으로, 뇨르드의 아들이자 프레이야의 오빠이며, 게르드와 결혼하여 피요르니르를 낳았고, 스키드블라드니르, 굴린부르스티 등의 신성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싸우는 운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 왕조의 시조로 묘사되기도 한다.
옵스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풍요) |
신화 | 로마 신화 |
역할 | 땅과 다산의 여신 |
거주지 | 저승 |
상징 | 사자, 탬버린, 왕관, 곡물, 코르누코피아 |
배우자 | 사투르누스 |
부모 | 카엘루스, 테라 |
형제자매 | 사투르누스, 야누스 |
자녀 | 유피테르, 넵투누스, 플루토, 유노, 케레스, 베스타 |
그리스 신화의 대응 신 | 레아 |
축제 | 오피콘시비아 |
성별 | 여성 |
2. 어원 및 명칭
옵스(Ops)는 "부, 재산, 풍요, 선물, 관대함, 다량"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했다.[2] 이 단어는 "일"을 의미하는 "opus"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땅을 경작하고, 쟁기질하고, 씨 뿌리는" 의미로 사용된다.[3] 이러한 농경 활동은 신성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옵스와 콘수스와 같은 지하 신들의 호의를 얻기 위한 종교 의식이 종종 수반되었다. 옵스는 또한 산스크리트어 단어 "ápnas"("재화, 재산")와 관련이 있다.
로마 전통에 따르면, 옵스 숭배는 사비니 출신 로마의 왕 중 한 명인 티투스 타티우스에 의해 시작되었다.[4] 옵스는 곧 부, 풍요, 번영의 여신이 되었다. 옵스는 카피톨리움에 유명한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원래 옵스를 기리는 축제는 8월 10일에 열렸다. 또한 12월 19일에는 오팔리아가 기념되었다. 8월 25일에는 오피콘시비아가 열렸는데, 이는 옵스를 부르는 또 다른 이름으로 씨앗을 뿌리는 시기를 나타냈다. 이 축제에는 그녀의 배우자인 콘수스를 기리는 콘수알리아라는 활동도 포함되었다.
사투르누스(크로노스)는 자식들이 자신을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아이들이 태어날 때마다 잡아먹었다. 오피스는 아들 유피테르를 숨기고 포대기에 돌을 싸서 대신 먹였다. 이후 유피테르는 형제들을 아버지의 뱃속에서 구출했다.
고전 라틴어 문헌에서는 단수 주격 형태(Ops)가 사용되지 않았고, "Opis" 형태만 사용되었다.
3. 숭배
4. 신화
1361-1362년에 피렌체의 작가 조반니 보카치오가 쓴 ''여걸전''(De Mulieribus Claris)은 서양 문학에서 여성의 전기만을 다룬 최초의 책으로 알려져 있다.[5]
당시 로마 문학에서는 ''Ops''라는 단수형 대신 ''Opis''라는 복수형만 사용되었다. 라틴어 ''Ops''는 "유복함, 물건, 풍요, 재능, 사치" 등을 의미하며, "노동", 특히 농작업을 의미하는 ''opus''와 관련이 있다. 이 활동은 신성하게 여겨져 옵스나 콘수스 등 지하 신의 뜻을 얻기 위한 종교 의식에 도입되었다. 산스크리트어 ''apnas''는 "물건, 소유"를 뜻한다.
4. 1. 로마 신화
옵스는 사투르누스의 아내이다. 사투르누스는 그리스 신화의 크로노스와 동일시되지만, 옵스는 크로노스의 아내인 레아와 동일시된다. 조상이나 동전에 묘사될 때는, 지하의 신들이 보통 그렇듯이 앉은 모습으로 그려지며, 상징으로 홀이나 이삭을 갖는다.[5]
옵스는 사투르누스의 여동생이자 카엘루스의 딸로, 유피테르, 넵투누스, 플루토, 유노, 케레스, 베스타의 어머니이다. 신들의 여왕이자 지위가 높은 여신으로 여겨졌다.
사투르누스(크로노스)는 자식들이 자신을 전복할 것이라는 예언 때문에 아이들이 태어날 때마다 잡아먹었다. 오피스는 아들 유피테르를 숨기고 포대기에 돌을 싸서 대신 먹였다. 이후 유피테르는 형제들을 아버지의 뱃속에서 구출했다.
4. 2. 그리스 신화와의 관계
옵스는 사투르누스의 아내이자 그리스 신화의 레아와 동일시되는 신이다. 사투르누스는 크로노스와 동일시된다.[5] 옵스는 조상이나 동전에 묘사될 때, 지하의 신들이 보통 그렇듯이 앉은 모습으로 그려지며, 홀이나 이삭을 상징으로 갖는다. 그리스 신화에 편입되면서, 옵스는 사투르누스의 아내일 뿐만 아니라 그의 여동생이자 카엘루스의 딸로 여겨졌다. 그녀의 아이들은 유피테르, 넵투누스, 플루토, 유노, 케레스, 베스타이며, 신들의 여왕이자 지위가 높은 여신으로 여겨졌다.
5. 도상학
옵스는 조각상과 동전에서 홀, 밀 이삭, 풍요의 뿔을 들고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지하 세계 여신들의 일반적인 모습과 유사하다.[1]
6. 문학 작품
조반니 보카치오가 1361-1362년에 저술한 ''여걸전''(De Mulieribus Claris)에는 옵스에 대한 기록이 있다.[5] 이 책은 서양 문학에서 여성 전기만을 다룬 최초의 책으로 알려져 있다.[5]
참조
[1]
간행물
[2]
사전
https://www.perseus.[...]
perseus.tufts.edu
2016-02-17
[3]
웹사이트
Ops - NovaRoma
http://www.novaroma.[...]
2020-05-24
[4]
웹사이트
Ops - NovaRoma
http://www.novaroma.[...]
2020-05-24
[5]
서적
Famous Women
Harva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