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스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타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가정, 가족, 국가의 화로를 상징한다. 어원은 여러 설이 존재하며, 기원전 12년 아우구스투스는 베스타 신전을 통합하여 숭배를 장려했다. 베스타는 신전에서 영원히 타오르는 불꽃으로 묘사되었으며, 베스타의 무녀들은 순결을 지키며 신성한 불을 관리했다. 베스타는 결혼, 농업과 관련 있으며, 베스탈리아 축제를 통해 숭배되었다.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탄생,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임신, 프리아포스의 부적절함 등 다양한 신화에 등장한다. 베스타 숭배는 로마 밖에서도 이루어졌으며, 소행성 베스타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스티아 - 베스타 신전
    로마 포룸에 위치한 베스타 신전은 화로의 여신 베스타에게 봉헌된 원형 신전으로,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처음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베스타 여사제들이 신성한 불을 관리하고 로마의 중요한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소였으나 여러 차례 파괴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었고 현재 유적은 무솔리니 정권 하에 재건된 것이다.
  • 베스타 - 4 베스타
    1807년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발견하고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가 명명한 4 베스타는 소행성대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소행성이자 분화된 내부 구조와 레아실비아 크레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진 두 번째로 무거운 천체이며, 2011년 탐사선 돈의 관측을 통해 지질학적 역사와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가 밝혀졌다.
  • 베스타 - 베스타 신전
    로마 포룸에 위치한 베스타 신전은 화로의 여신 베스타에게 봉헌된 원형 신전으로, 누마 폼필리우스에 의해 처음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베스타 여사제들이 신성한 불을 관리하고 로마의 중요한 문서들을 보관하는 장소였으나 여러 차례 파괴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에 재건되었고 현재 유적은 무솔리니 정권 하에 재건된 것이다.
  • 불의 여신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불의 여신 - 조왕신
    조왕신은 한국 전통 신앙에서 부엌을 지키며 가정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신으로, 농업 사회에서 풍흉을 좌우하는 존재로 여겨져 숭배되었고, 현대에도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베스타
기본 정보
[[콘센테스]]와 [[디 셀렉티]]
희귀한 인간 형태의 베스타 묘사, 폼페이의 빵집 라라리움의 중앙 인물, 1세기
유형로마
숭배 대상화로, 가정, 가족, 순결, 신성한 불의 여신
거주지포룸 로마눔
상징화로, 신성한 불
동물당나귀
배우자해당 없음
숭배 중심지로마, 베스타 신전
부모사투르누스와 옵스
형제자매유피테르, 넵투누스, 플루토, 유노, 케레스
축제베스탈리아
그리스어 동등 신헤스티아
에트루리아어 동등 신해당 없음

2. 어원

오비디우스는 베스타의 어원을 라틴어 vi stando|비 스탄도la – "힘으로 서다"에서 찾았다. 키케로는 라틴어 이름 ''베스타''가 그리스어 대응어인 ''헤스티아''에서 유래했다고 추측했으며, 코르누투스는 이를 그리스어 ("영원히 서 있다")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어원은 세르비우스에 의해서도 제시되었다. 또 다른 어원으로는 베스타가 라틴어 vestio|베스티오la ("옷을 입다")와 그리스어 ἑστία|헤스티아el (''hestia'', "난로" = ''도시의 중심'')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프랑스의 비교 언어학자 조르주 뒤메질(1898–1986)은 여신의 이름이 원시 인도유럽어 어근 ''*h₁eu-''에서 유래했으며, 파생어 형태인 ''*h₁eu-s-''를 거쳐 ''*h₁w-es-''와 교체되었다고 추측했다.[1][2] 전자는 그리스어 εὕειν , 라틴어 urit|우릿la, ustio|우스티오la 및 베다어 ''osathi''에서 발견되며 모두 '타오름'을 의미하며, 후자는 ''Vesta''에서 발견된다. (베에케스는 그리스 여신 이름인 Ἑστία ''헤스티아''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본다.) 갈리아 켈트어 ''visc'' "불"도 참조하라.

Poultney는 베스타가 움브리아어 신 ''Uestisier'' (생격)/''Vestiçe'' (여격) (마치 라틴어 *Vesticius처럼)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움브리아어 용어 '헌주' ''uestisiar'' (생격 단수), '헌주를 붓다' ''uesticatu'' (명령법)에서 각각 *''westikia'' 및 *''westikato:d''에서 유래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 오스크어 오스크어 점토판이라고도 알려진 아그노네 헌정문에서 'Veskeí'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3]

3. 역사

전설에 따르면 이탈리아에서 베스타 숭배는 알바 롱가와 라비니움에서 시작되었다. 로마의 행정관들은 더 높은 직위에 임명될 때 라비니움을 방문하여 베스타와 페나테스에게 제물을 바쳤다.[4] 베스타 숭배는 가정에서 시작되었지만, 로물루스[5] 또는 누마 폼필리우스[6]의 통치 기간 동안 국가의 공인된 숭배가 되었다. 알바 롱가에는 베스타 여사제가 존재했으며,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어머니인 레아 실비아는 베스타의 여사제였다.[7]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사저 일부를 베스타 여신에게 기증하고 새로운 베스타 신전을 통합했다. 최고 제사장의 직위는 황제의 칭호와 연결되었으며, 황제들은 베스타의 제사장이 되었다.[8] 기원전 12년 4월 28일(플로랄리아의 첫날)은 아우구스투스의 팔라티노 저택에 있는 새로운 베스타 신전을 기념하기 위해 원로원 결의로 선택되었다.[10]

베스타 숭배는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쇠퇴하기 시작했다. 서기 379년경, 그라티아누스는 최고 제사장에서 물러났고,[8] 382년에는 아트리움 베스타에를 몰수했다. 391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신전을 폐쇄하고 성스러운 불을 껐다. 394년, 코엘리아 콘코르디아는 마지막 ''베스탈리스 막시마''에서 물러났다.

3. 1. 기원

전설에 따르면 이탈리아에서 베스타 숭배는 알바 롱가와 라비니움에서 시작되었다. 로마의 행정관들은 더 높은 직위에 임명될 때 라비니움을 방문하여 베스타와 페나테스에게 제물을 바쳤다.[4] 베스타 숭배는 가정에서 시작되었지만, 로물루스[5] 또는 누마 폼필리우스[6]의 통치 기간 동안 국가의 공인된 숭배가 되었다. 알바 롱가에는 베스타 여사제가 존재했으며,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어머니인 레아 실비아는 베스타의 여사제였다.[7]

3. 2. 로마 제국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사저 일부를 베스타 여신에게 기증하고 새로운 베스타 신전을 통합했다. 최고 제사장의 직위는 황제의 칭호와 연결되었으며, 황제들은 베스타의 제사장이 되었다.[8] 기원전 12년 4월 28일(플로랄리아의 첫날)은 아우구스투스의 팔라티노 저택에 있는 새로운 베스타 신전을 기념하기 위해 원로원 결의로 선택되었다.[10]

베스타 숭배는 기독교의 부상과 함께 쇠퇴하기 시작했다. 서기 379년경, 그라티아누스는 최고 제사장에서 물러났고,[8] 382년에는 아트리움 베스타에를 몰수했다. 391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신전을 폐쇄하고 성스러운 불을 껐다. 394년, 코엘리아 콘코르디아는 마지막 ''베스탈리스 막시마''에서 물러났다.

4. 신격

데나리우스 기원전 60년; 베스타는 왼쪽에서 베일을 쓰고 천으로 덮여 있으며, 옆에는 램프가 있다.


베스타는 다른 신들과 싸움에 관여하지 않는 예의 바른 신으로 묘사되었지만, 남근과의 모순된 연관성 때문에 때때로 모호하게 여겨졌다. 20세기 정신분석 지지자들은 베스타를 "남근 모성"의 화신으로 간주했다. 베스타는 모든 신들 중 가장 순결하고 깨끗할 뿐만 아니라, 어머니로 불리며 다산성을 부여받았다. 신화학자들은 베스타에게는 숭배와 제물에 대한 우선권을 받는 가장 오래된 신들 중 하나로 여겨지는 것 외에 특별한 신화는 없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신들과 달리 베스타는 직접적으로 묘사되지 않았지만, 불꽃, 불쏘시개, 의례적인 남근(''fascinus'')으로 상징되었다.[2]

4. 1. 신체

베스타는 불꽃 자체였지만, 남근의 상징은 다산 숭배에서 베스타의 기능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신성한 불꽃을 밝히는 데 사용된 불쏘시개와의 관련성 때문에 여신 자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었다. 그녀는 때때로 속이 빈 나무 조각에 삽입되어 남근처럼 회전하여 불꽃을 밝히는 불쏘시개의 의인화로 여겨졌다.[3]

로마 포룸의 베스타 신전의 신체는 이라는 속설도 있었지만, 시인 오비디우스는 베스타의 신체가 물건이 아닌 타오르는 임을 기록하고 있다.

4. 2. 화로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베스타의 'Hearth(화로)'에 대해 "그들은 불을 베스타에게 신성하게 여긴다. 왜냐하면 그 여신은 지구이며, 우주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신으로부터 천상의 불을 점화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11] 오비디우스도 "베스타는 지구와 같다. 둘 다 영원한 불을 가지고 있다. 지구와 신성한 불은 모두 집을 상징한다."라며 동의했다.[12] 화로의 신성한 불꽃은 로마 국가의 보존과 지속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키케로는 이를 명확히 언급했다. 불꽃의 순수함은 공동체의 생명의 근본이 되는 생명력을 상징했다. 또한, 처녀들의 의례적인 관심이 농업 주기로 확장되어 풍년을 보장했기 때문에 베스타는 ''Mater'' ("어머니")라는 칭호를 얻었다.[13]

4. 3. 결혼

베스타는 세르비우스는 순결한 신부가 순결을 신성하게 여기는 여신 베스타에게 신성한 물건을 차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판단이라고 설명한다.[19] 반면에 로마인들은 신들에게 신성한 물건을 밟는 것은 불운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20] 플라우투스의 ''카시나''에서 신부 카시나는 결혼 후 문지방을 넘어갈 때 발을 조심스럽게 들어올려야 결혼 생활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경고를 받는다.[21] 마찬가지로 카툴루스는 신부에게 "좋은 징조"를 가지고 문지방 위로 발을 유지하라고 경고한다.[22] 신부가 발로 문지방(limen)을 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은 결혼 후 새로운 집에 들어갈 때 남편이 새 신부를 문지방 너머로 안고 들어가는 전통의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로마의 믿음에서 베스타는 모든 결혼식에 참석했고, 야누스도 마찬가지였다. 베스타는 문지방이었고, 야누스는 문이었다. 마찬가지로, 베스타와 야누스는 모든 희생에서 불려졌다. 두 사람을 부르는 것이 단순히 "기도하다"를 의미하게 되었다.[23] 또한 베스타는 모든 희생에서 야누스와 함께 했다.[24][25] 또한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일관되게 인간으로 묘사되지 않았다는 점도 주목했다. 이것은 그들이 "완전히 의인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대 이탈리아 기원의 증거로 제시되었다.[26]

4. 4. 농업

베스타는 서로 다른 설명에서 텔루스와 테라와 연관되어 왔다. 바로는 그의 저서 ''인간사와 신의 고대사''에서 베스타를 텔루스와 연결하며 "그들은 텔루스가... 베스타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녀는 꽃으로 '옷을 입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27] 그러나 베리우스 플라쿠스는 베스타를 테라와 동일시했다.[27] 오비디우스는 베스타가 두 신 모두와 관련이 있음을 암시한다.[27]

5. 베스타 신전

2009년 사진 속 베스타 신전


대부분의 신전과 달리 베스타 신전에는 화로가 있었다. 이 불은 로마 숭배의 종교적 중심지이자, 로마 백성 전체의 공동 화로(''focus publicus'')였다.[28] 베스타 여사제들은 신성한 불을 꺼뜨리지 않아야 했다. 불이 꺼지면 ''arbor felix'' ("상서로운 나무", 아마도 참나무)에서 불을 다시 붙여야 했다. 물은 내부 ''aedes'' 안으로 들어갈 수 없었고, 인근 구역에 있어도 꼭 필요한 시간 이상 머물 수 없었다. 베스탈레스는 불안정한 작은 발이 달린 ''futiles''라는 용기에 물을 담아 날랐다.

베스타 신전에는 ''ignes aeternum'' ("신성한 불")뿐만 아니라, 팔라디움, 팔라스 아테나, ''디 페나테스''도 보관되어 있었다. 이 모든 물건들은 아이네이아스에 의해 이탈리아로 옮겨졌다고 전해진다.[28] 리비우스에 따르면 아테나의 팔라디움은 "''fatale pignus imperii Romani''" ("로마 제국의 운명의 서약")였다. 기원전 390년 골족이 로마를 약탈했을 때, 베스타 여사제들은 그 중요성 때문에 팔라디움을 먼저 묻고 인근 케레로 피신했다. 이러한 물건들은 ''penus Vestae'' (베스타 신전의 신성한 저장소)에 보관되었다.

베스타 신전은 로마의 가장 영적인 신사 중 하나였음에도, 로마적 의미의 ''템플룸''이 아니었다. 즉, 아우구르에 의해 봉헌된 건물이 아니었기에, 로마 관리들의 회의 장소로 사용될 수 없었다. 로마의 베스타 신전이 둥근 모양이어서 ''템플룸''이 아니라고 주장되기도 했다. 그러나 ''템플룸''은 건물이 아니라,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건물을 포함할 수 있는 신성한 공간이었다. 사실, 초기 ''템플라''는 종종 봉헌된 제단이었고, 그 주위에 건물이 세워졌다. 베스타 숭배의 특성 때문에, 로마의 베스타 신전은 정확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템플룸''이 아닌 ''aedes''였다.

6. 베스타의 무녀

로마 조각상에 묘사된 ''최고의 베스타 처녀''


베스타 처녀들은 로마 종교에서 몇 안 되는 정규직 성직자 직책 중 하나였다. 귀족 계급 출신이었으며 30년 동안 절대적인 순결을 맹세해야 했다.[29][30] 베스타 처녀들이 베스타 처녀라고 불린 것도 이 요구 사항 때문이었다. 그들은 특정한 스타일의 옷을 입었고, 불이 꺼지면 채찍질을 당했기 때문에 불을 끄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여사제가 되면 베스타 처녀는 법적으로 아버지의 권위에서 해방되었다.[31] 베스타 처녀들은 포럼 근처의 집(''아 트리움 베스타'')에서 대제사장의 감독을 받으며 함께 살았다. 순결 서약을 어긴 베스타는 incestum으로 재판을 받을 수 있으며, 유죄로 판결되면 ''캠푸스 스켈레리스''( '악의의 들판')에 산 채로 묻혔다.[32][33]

베스타 복장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던 februaela(''lanas'': 양모 실)는 신성왕과 플라멘 디알리스가 제공했다.[34] 베스타들은 일 년에 한 번 신성왕에게 "Vigilasne rex, vigila!"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직무에 충실하라는 의례적인 경고를 했다. 키케로는 베스타들이 로마가 신들과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보장한다고 생각했다.[35]

베스타들의 특이한 임무는 희생 제물에 뿌릴 소금 가루 혼합물인 ''몰라 살사''의 간을 맞추는 데 사용되는 신성한 소금물 무리에스의 준비와 보존이었다(따라서 라틴어 동사 ''임몰라레'', "몰라에 올리다, 희생하다"). 이 반죽 또한 정해진 날에 그들이 준비했다. 그들은 또한 파릴리아를 위한 서피멘을 준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고대 로마에서는 국가를 대규모의 가족으로 여겼기 때문에 국가 체제의 진호신으로서 베스타 숭배도 행해졌다.

베스타의 무녀(vestalisla)는 귀족 계급의 소녀 중에서 선발되었으며, 신관으로 있는 동안에는 처녀가 의무였고, 이 규율을 어긴 자에게는 생매장에 의한 사형이 부과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로마의 건국자 로물루스의 어머니 레아 실비아 (이름에 여러 설이 있음)도 베스타의 무녀였다고 한다.

베스타 신관장(vestalis maximala)은 로마에서 가장 권위를 가진 성직자였으며, 극장 등에서도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최상급의 자리가 할당되었다.

7. 축제

베스탈리아(6월 7일 - 15일)는 가정과 가족의 삶을 나타내는 축제였다.[1] 축제의 첫날에는 1년에 단 한 번, 여성들이 제물을 바치는 ''penus Vestae''(베스타 신전지성소)가 열렸다.[2] 커튼이 열려 있는 동안 어머니들은 맨발에 흐트러진 모습으로 와서 여신에게 축복을 구하며 제물을 바칠 수 있었다.[3] 6월 9일에는 베스타에게 바쳐진 동물인 당나귀에게 꽃과 빵 조각으로 화환을 씌웠다.[4][5] 축제 마지막 날(6월 15일)은 Q(uando) S(tercum) D(elatum) F(as)|분뇨를 합법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때la로, ''penus Vestae''가 엄숙하게 닫혔고, ''플라미니카 디알리스''는 애도를 표했으며, 신전은 ''stercoratio''라는 정화 작업을 거쳤다. 신전의 오물은 ''clivus Capitolinus''라는 길을 거쳐 테베레 강으로 흘러 들어갔다.[2]

페리알레 듀라눔(서기 224년)에서 베스탈리아의 첫날은 ''Vesta apperit[ur]|열림la''이고 마지막 날은 ''Vesta cluditur|닫힘la''이다. 이 해에는 6월 9일에 베스타에게 공개 기도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으며, 아르발 형제단의 기록에도 이날 그녀에게 혈액 제사를 드렸다는 기록이 있다.[6] 354년 달력에서 발견된 2월 13일은 ''Virgo Vestalis parentat''라는 공휴일이 되었는데, 이는 죽은 자를 기리는 축제를 대체한 것으로, 화염 위에서 가축을 희생하는 것이 베스타에게 바쳐졌다. 이것은 또한 베스타 여사제들이 죽은 자의 영혼과 관련된 의식에 처음으로 참여했음을 의미한다.[7]

8. 신화

베스타는 공식적인 신화가 없었으며, 난로와 정조의 추상적인 여신으로 존재했다. 오비디우스의 키벨레 축제에 대한 설명에서만 베스타가 신화에 직접적으로 등장한다.

8. 1.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탄생

플루타르코스는 자신의 저서 《로물루스 열전》에서 프로마티온이 엮은 이탈리아 역사를 인용하여 로물루스의 탄생에 대한 변형된 이야기를 전했다.[36] 이 버전에 따르면, 타르케티우스가 알바 롱가의 왕이었을 때, 그의 화롯가에 유령의 남근이 나타났다. 왕은 에트루스카의 테티스 신탁을 찾아갔고, 그곳에서 처녀가 이 남근과 성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타르케티우스는 자신의 딸 중 한 명에게 그렇게 하도록 지시했지만, 딸은 거절하고 대신 하녀를 보냈다. 화가 난 왕은 그녀를 처형하려 했지만, 베스타가 꿈에 나타나 이를 금지했다. 하녀가 유령에 의해 쌍둥이를 낳자 타르케티우스는 그들을 부하 테라티우스에게 넘겨 죽이라고 명령했다. 테라티우스는 대신 그들을 티베르 강둑으로 데려가 그곳에 눕혔다. 그러자 암늑대가 나타나 그들에게 젖을 먹였고, 새들이 음식을 가져다 먹였으며, 놀란 소치기가 나타나 아이들을 집으로 데려갔다. 그리하여 그들은 살아남았고, 자라서 타르케티우스를 공격하여 그를 물리쳤다.[36]

8. 2. 세르비우스 툴리우스의 임신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는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왕의 탄생에 관한 지역 이야기를 전한다. 그 이야기에 따르면, 누마의 궁궐에 있는 베스타의 난로에서 남근이 솟아났고, 오크레시아가 가장 먼저 그것을 보았다. 그녀는 즉시 왕과 왕비에게 알렸다. 이 소식을 들은 타르퀴니우스 왕은 깜짝 놀랐지만, 점술에 대한 지식이 뛰어났던 타나퀼은 난로의 남근과 인간 여자의 출생으로 뛰어난 자손이 태어날 것이라는 축복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왕은 오크레시아가 그것을 처음 보았으니 그녀와 관계를 갖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불카누스, 혹은 그 집의 수호신이 그녀에게 나타났다. 사라진 후, 그녀는 임신하여 툴리우스를 낳았다.[37] 그의 이름이 세르비우스가 완곡하게 "하인의 아들"을 의미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탄생 이야기는 그의 어머니가 시녀였기 때문에 그의 이름에 근거했을 수 있다.

8. 3. 프리아포스의 부적절함

오비디우스의 《페스티》 6권에서 키벨레는 모든 신, 사티로스, 시골의 신성과 님프들을 잔치에 초대했는데, 실레노스는 그의 당나귀와 함께 초대받지 않고 나타났다.[38] 잔치 도중 어느 시점에 베스타가 휴식을 취하고 있었고, 프리아포스는 그녀를 발견했다. 그가 그녀를 강간하기 위해 접근하자, 실레노스가 데려온 당나귀가 때맞춰 울부짖었고, 이에 베스타는 깨어났고, 프리아포스는 격분한 신들에게 간신히 벗어났다.[38] 《페스티》 1권에서는 로티스와 프리아포스와 관련된 프리아포스의 부적절함과 비슷한 사례가 언급되어 있다. 베스타-프리아포스 이야기는 로티스와 관련된 이야기만큼 잘 전개되지 않았으며, 비평가들은 베스타와 프리아포스에 대한 이야기가 단지 종교 의식을 만들기 위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오비디우스는 그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당나귀가 빵 조각 목걸이로 장식되었다고 말한다. 다른 곳에서는 그는 당나귀들이 제빵소에서 제공한 봉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6월 9일 베스탈리아 동안 숭배를 받았다고 말한다.[38]

9. 로마 밖의 베스타

베스타 숭배는 보빌라에, 라비니움, 티부르에서 증명된다. 보빌라에의 알반 베스타 여사제(Albanae Longanae Bovillenses)는 원래의 알반 베스타 여사제의 계승자로 여겨졌으며, 라비니움에는 로마 건국 이전의 고대 전통에 뿌리를 둔 로렌테스 라비나테스(Laurentes Lavinates)의 베스타 여사제가 있었다. 후기에는 티부르의 베스타 여사제가 비문으로 증명되었다.[1] 아리치아 근처 디아나 네모렌시스 신전에 베스타 여사제가 있었을 수도 있다.[2]

10. 영향

소행성 베스타는 베스타에서 유래되었다.

참조

[1]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74
[2]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69
[3] 간행물 Bronze Tables of Iguvium https://archive.org/[...] 1959
[4] 서적 Fasti
[5]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8
[6]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8
[7]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s://www.perseus.[...] 2015-05-04
[8]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8
[9]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8
[10]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63
[11] 서적 Roman Antiquities
[12] 서적 Fasti
[13] 서적 Vesta 1949
[14] 서적 Romulus
[15]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6] 서적 Ad Aen.
[17] 서적 Fasti
[18] 서적 Ecl.
[19] 서적 Ecl.
[20] 서적 Amores, Satyricon
[21] 서적 Casina
[22]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3] 서적 Natural History, Q.R.
[24] 서적 1962
[25] 서적 Ad. Aen.
[26] 서적 1962
[27] 서적 Fasti 2006
[28] 서적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94
[29] 서적 Numa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Numa
[33] 서적 Noct. Att.
[34] 서적 Fas.
[35] 서적 Font.
[36] 서적 Life of Romulus https://penelope.uch[...]
[37] 서적 Roman Antiquities https://penelope.uch[...]
[38] 서적 Fasti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