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안 영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안 영가는 금나라 추존 황족으로, 경조 오고내의 손자이자 세조 완안 발해의 동생이다. 요나라로부터 생여진 절도사로 임명되었으며, 1103년에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금 희종에 의해 효평황제로 추존되었고, 묘호는 목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03년 사망 - 사량좌
북송 시대 유학자 사량좌는 정호와 정이에게 학문을 배워 정문 사선생으로 불렸으며, 지행합일을 강조한 학풍과 《논어설》, 《상채어록》 등의 저서를 남겨 유학 발전에 기여했다. - 1103년 사망 - 알라니아의 마리아
알라니아의 마리아는 조지아 왕 바그라트 4세의 딸이자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로, 미하일 7세 두카스와 니케포로스 3세 보타니아테스와 결혼했으며,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즉위에 영향을 미치고 만년에는 수도원에서 조지아와의 관계를 강화했다. - 1053년 출생 -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는 12세기 초 키예프 루스의 대공으로서 쿠만족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키예프 대공국의 통일을 회복했으며, 저서 "교훈"을 통해 후대에 영향을 미치고 키예프 루스의 마지막 황금기를 이끌었다. - 1053년 출생 - 시라카와 천황
시라카와 천황은 일본의 72대 천황으로, 고산조 천황의 아들이며, 호리카와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원정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고 섭관정치를 약화시키며 천황 중심의 정치 체제 확립과 호쇼지 건설을 통해 불교를 장려했다. - 금나라의 추존황제 - 완안 핵리발
완안 핵리발은 금나라 황족으로, 금나라 건국에 기여한 아들들을 두었다. - 금나라의 추존황제 - 완안 수가
완안 수가는 983년부터 1005년까지 여진족 추장으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금나라 건국 토대를 마련하고 요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려 노력하며 안정적인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 완안 영가 | |
|---|---|
| 기본 정보 | |
![]() | |
| 성 | 완안(完顏) |
| 이름 | 영가(盈歌) |
| 묘호 | 희종(熙宗) |
| 시호 | 헌민공정황제(憲愍恭靖皇帝) |
| 추존 시호 | 태조(太祖) |
| 생애 | |
| 출생 | 1053년 |
| 사망 | 1103년 |
| 가족 | 오고내의 아들 |
| 관직 | |
| 절도사 임명 | 요로부터 절도사에 임명됨 |
| 기타 호칭 | 양할태사(揚割太師) |
2. 생애 및 업적
완안 영가는 여진족 추장으로, 형제 상속을 통해 수장권을 계승받았다. 요나라는 영가에게 생여진 절도사 직을 임명했다[1][2]. 1103년 10월 29일에 51세로 사망했으며, 사후 금나라 희종에 의해 묘호는 '''목종''', 시호는 효평황제로 추존되었다.[2]
2. 1. 여진족 추장
이케우치 히로시의 상세한 연구에 따르면, 시조에서 소조까지의 5대에 걸친 사적은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한다[2]. 『요사』·『금사』에 따르면, 수장권은 경조(景祖) 우구나이(烏古廼)로부터, 그의 차남 세조 완안 발해, 넷째 아들 숙종 완안 파랄숙을 거쳐 막내 영가(盈歌)에게 계승되었다. 이 기간 동안의 상속은 형제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거란(키탄)인의 유목민 왕조인 요나라는 영가에게 생여진(生女真) 절도사 직을 임명했다[1][2]. 참고로, 아구타(아쿠다)는 발해(헤린보)의 차남이다.2. 2. 사망과 추존
1103년 10월 29일에 51세로 사망했다. 그 후 조카 오야수가 뒤를 이었다.[2]금나라 제3대 황제 희종 합랄은 즉위 후 영가를 효평황제로 추시하고, 묘호를 '''목종'''으로 하였다.[2] 황통 4년(1144년) 매장지는 헌릉으로 개칭되었고, '''장순효평황제'''로 증시되었다.[2]
3. 가족 관계
| 부왕 | 금나라 추존 황제 경조 완안 오고내 (재위 1021년 ~ 1074년) |
|---|---|
| 모후 | 소숙황후 당괄씨 |
| 동복형제 | 금나라 추존 황제 세조 완안 핵리발 (재위 1039년 ~ 1092년) |
| 동복동생 | 금나라 추존 황제 숙종 완안 파자숙 (재위 1092년 ~ 1094년) |
| 왕후 | 정혜황후 오고론씨 |
| 장남 | 노국왕 완안 창 (? ~ 1139년) |
| 후궁 | 미상 |
| 5남 | 금원군황 완안 욱 (1099년 ~ 1157년) |
| 기타 | 알대 (달란의 아들), 오달보 (달란의 아들), 광평군왕 사리홀 (종수, 오야의 아들) |
4. 관련 계도
wikitext
참조
[1]
문서
内藤(2015)pp.183-184
[2]
문서
河内(1970)pp.41-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