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립음악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립음악대학은 1883년 런던에 설립된 음악 교육 기관으로, 국립 음악 훈련 학교를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찰스 3세가 후원하고 있으며, 학부 과정부터 박사 과정까지 서양 클래식 음악의 모든 측면을 교육한다. 19세기와 20세기 영국 음악 르네상스를 이끈 많은 작곡가와 연주자를 배출했으며, 14,000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한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음악 박물관 - 리버풀 비틀즈 박물관
리버풀 비틀즈 박물관은 영국 리버풀에 위치하며, 비틀즈를 주제로 2022년 5월 9일 매튜 스트리트에 개관하였다. - 런던의 음악 학교 - 왕립음악원
왕립음악원은 1822년 설립되어 1830년 왕립 헌장을 받은 영국의 음악 교육기관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킹스 칼리지 런던과의 협력, 그리고 16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한 도서관을 갖추고 있다. - 런던의 음악 학교 -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
길드홀 음악 연극 학교는 1880년 런던 시에서 설립된 영국의 예술 학교로, 음악, 드라마, 프로덕션 아트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청소년 교육도 진행하고 바비칸 센터로 이전 후 현대적인 시설을 확충하여 많은 음악가와 배우를 배출했다. - 영국의 자선 단체 - 대영박물관
대영박물관은 한스 슬론 경의 소장품 기증을 바탕으로 1753년 설립되어 1,300만 점 이상의 문화 유물을 소장한 영국의 국립 박물관으로, 다양한 소장품과 건축물로 유명하지만 소장품의 출처 및 소유권 논란 등 여러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 영국의 자선 단체 - 왕립음악원
왕립음악원은 1822년 설립되어 1830년 왕립 헌장을 받은 영국의 음악 교육기관으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킹스 칼리지 런던과의 협력, 그리고 16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한 도서관을 갖추고 있다.
왕립음악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좌표 | display=it |
개교 | 1882년 |
유형 | 공립 |
기부금 | 4,430만 파운드 (2023년) |
예산 | 3,410만 파운드 (2022/23년) |
후원자 | 찰스 3세 |
이사장 | 가이 블랙, 브렌트우드 남작 |
총장 | 제임스 윌리엄스 |
학생 수 | () |
학부생 수 | () |
대학원생 수 | () |
위치 | 프린스 콘서트 로드, 런던 |
국가 | 잉글랜드 |
캠퍼스 | 도시형 |
소속 | Conservatoires UK 왕립음악학교연합회 Universities UK |
웹사이트 | rcm.ac.uk |
학문 분야 | |
랭킹 (공연 예술) | QS 세계 대학 랭킹 (2024): 1위 |
기타 | |
이전 명칭 | (국립 음악 훈련 학교) |
관련 단체 | 왕립음악학교연합회 |
관련 링크 | |
관련 링크 | 왕립음악아카데미 (런던 대학교 소속)와 혼동 주의 Evening Standard (2022년 4월 6일) Performance science Centre for Performance Science Arthur Blomfield |
2. 역사
왕립음악대학은 1883년에 국립 음악 훈련 학교(NTSM)를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NTSM은 앨버트 공의 아이디어로 시작되었으나, 왕립음악원의 대안으로 충분하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1880년 시험 위원회는 NTSM에 "실행력의 결속력"이 부족하다고 보고했다.[5]
1881년, 조지 그로브가 주도하고 웨일스 공의 지원을 받아 왕립음악대학의 초안 헌장이 작성되었다. 왕립음악대학은 이전 NTSM의 부지를 사용하며 1883년 5월 7일에 개교했고, 그로브가 초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7] 초기에는 50명의 장학생과 42명의 유료 학생으로 구성되었다.[8]
그로브는 오케스트라 연주자 양성을 목표로, 헨리 홈스, 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와 함께 대학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데 힘썼다. 초기 대학 오케스트라의 악기 구성과 인원은 다음과 같다.[5]
1894년, 샘슨 폭스의 기부로 사우스켄싱턴의 프린스 콘소트 로드에 새로운 건물이 완공되었다.[9][10][11] 그로브는 1894년 말 은퇴하고, 휴버트 패리가 후임 학장이 되었다.[12]
휴 앨런 경(1919–1937), 조지 다이슨 경(1938–1952) 등이 패리의 뒤를 이어 학장직을 맡았다.[1] 2024년 9월부터는 제임스 윌리엄스가 현재 대학 교장으로 재직 중이다.[1]
왕립음악대학은 영국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현재 후원자는 찰스 3세 국왕이다.[1]
2. 1. 설립 배경 (19세기 후반)
왕립음악대학은 단명하고 실패한 국립 음악 훈련 학교(NTSM)를 대체하기 위해 1883년에 설립되었다. NTSM의 아이디어는 학교가 문을 열기 수십 년 전에 앨버트 공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젊은 학생들을 음악 경력에 맞게 훈련시키기 위한 음악원은 주요 유럽 도시에 설립되었지만, 런던에서는 오랫동안 설립된 왕립음악원이 전문 음악가에게 적절한 훈련을 제공하지 못했다. 1870년에는 런던 오케스트라의 기악 연주자 중 10% 미만이 이 아카데미에서 공부한 것으로 추산되었다.[5]NTSM은 1876년에 아서 설리번을 교장으로 하여 개교했다. 설리번은 마지못해 교장직을 수행했고, 무능했기에 NTSM은 왕립 음악원에 대한 만족스러운 대안을 제공하지 못했다. 1880년에는 찰스 할레, 줄리어스 베네딕트, 마이클 코스타, 헨리 데이비드 레슬리, 오토 골드슈미트로 구성된 시험 위원회가 학교에 "실행력의 결속력"이 부족하다고 보고했다.[5] 다음 해 설리번은 사임했고 존 스테이너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6] 원래 계획은 왕립음악원과 국립 음악 훈련 학교를 단일 조직으로 합병하는 것이었다. NTSM은 동의했지만, 오랜 협상 끝에 왕립음악원은 제안된 계획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했다.[6]
1881년, 조지 그로브가 주도하고 웨일스 공의 지원을 받아 NTSM의 후속 기구에 대한 초안 헌장이 작성되었다. 왕립음악대학은 이전에 NTSM이 사용하던 부지를 차지하고 1883년 5월 7일에 개교했다. 그로브가 초대 원장으로 임명되었다.[7] 경쟁을 통해 선발된 50명의 장학생과 42명의 유료 학생이 있었다.[8]
2. 2. 초기 (1883년 ~ 1918년)
설리번의 절친이었던 그로브는 새로운 음악대학이 NTSM의 자연스러운 발전이라고 주장했다.[5] 실제로는 그의 목표는 설리번의 목표와 근본적으로 달랐다. 그로브는 새로운 교육기관이 오케스트라 연주자를 양성하는 훈련장이 되도록 결심했고, 바이올리니스트 헨리 홈스와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찰스 빌리어스 스탠포드라는 두 명의 주요 조력자를 얻었다.[5] 그들은 유능한 대학 오케스트라가 기악 전공 학생들에게 이로울 뿐만 아니라 작곡 전공 학생들에게도 자신의 음악 소리를 경험할 수 있는 필수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믿었다.[5] 이 대학의 첫 장학생 28명은 오케스트라 악기를 전공했다. 수업료를 내는 기악 전공 학생들을 포함한 대학 오케스트라의 잠재적 규모는 다음과 같았다.[5]
그로브는 제니 린드 (성악), 휴버트 패리 (작곡), 언스트 파우어 (피아노), 아라벨라 고다드 (피아노) 및 월터 파라트 (오르간)를 포함한 다른 음악 분야의 저명한 교사 외에도 12명의 오케스트라 악기 교수를 임명했다.[7]
오래된 부지는 제약이 있었고 1890년대 초 사우스켄싱턴의 프린스 콘소트 로드의 새로운 부지에 새로운 건물이 위탁되었다. 이 건물은 아서 블롬필드 경이 플레미시 매너리스트 양식으로 설계했으며, 붉은 벽돌과 황갈색 웰든 석재로 장식되었다.[9] 건설은 1892년에 시작되었고 건물은 1894년 5월에 문을 열었다.[10] 이 건물은 요크셔의 산업가인 샘슨 폭스의 두 차례의 거액 기부금으로 대부분 지어졌으며, 그의 동상은 웨일스 공의 동상과 함께 현관에 서 있다.[11]
그로브는 1894년 말에 은퇴했고, 휴버트 패리가 그의 뒤를 이어 학장이 되었다.[12]
2. 3. 발전과 확장 (1918년 ~ 현재)
휴 앨런 경(1919–1937), 조지 다이슨 경(1938–1952), 어니스트 불록 경(1953–1959), 키스 폴크너 경(1960–1974), 데이비드 윌콕스 경(1974–1984), 마이클 고프 매튜스(1985–1993), 자넷 리터만 데임(1993–2005), 콜린 로슨 교수(2005-2024)가 1918년 페리 사망 이후 교장직을 맡았다.[1] 2024년 9월부터 제임스 윌리엄스가 현재 대학 교장으로 임기를 시작했다.[1]왕립음악대학 교수진은 200명이 넘는 음악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드미트리 알렉세예프, 마틴 브래빈스, 나탈리 클레인, 대니 드라이버, 마틴 갓, 천자펑, 야콥 린드베르, 마이크 로바트, 패트리샤 로자리오, 브린들리 셰럿, 애슐리 솔로몬, 마크앤서니 터네이지, 막심 벤게로프, 로저 비뇰스, 라파엘 월피쉬, 에롤린 월렌 등 국제적으로 알려진 인물들이 포함되어 있다.[1] 또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등 주요 런던 오케스트라의 수석 연주자들도 교수진에 포함되어 있다.[1]
1882년 설립 이후, 왕립음악대학은 영국 왕실과 관계를 맺어 왔으며, 현재 후원자는 찰스 3세 국왕이다.[1] 엘리자베스 여왕이 40년 동안 총재를 역임했으며, 1993년 찰스 3세(당시 웨일스 공)가 총재가 되었다.[1]
2016년에 개관한 왕립음악대학 기숙사인 프린스 콘소트 빌리지는 400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숙소를 제공하며, 방음 처리된 침실과 전용 연습실을 갖추고 있다.[1]
왕립음악대학은 영국법에 따라 등록된 자선 단체이다.[1]
3. 교육 과정
왕립음악대학은 학부 과정부터 박사 과정까지 서양 클래식 음악의 모든 측면을 교육한다.[17]
3. 1. 학부 과정
본 대학은 학부 과정부터 박사 과정까지 서양 클래식 음악의 모든 측면을 교육한다. 토요일에는 8세에서 18세 사이의 어린이 300명이 교육을 받는 주니어 부서가 있다.[17]3. 2. 대학원 과정
본 대학은 학부 과정부터 박사 과정까지 서양 클래식 음악의 모든 측면을 교육한다.[17]3. 3. 주니어 부서
왕립음악대학은 토요일마다 8세에서 18세 사이의 어린이 300명을 대상으로 주니어 부서를 운영한다.[17]3. 4. 국제 협력
2011년 8월부터 왕립음악대학은 싱가포르의 난양 예술 학원과 협력하여 학부 및 석사 학위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양 기관에서 학위를 수여한다.[18]4. 캠퍼스와 시설
왕립음악대학은 런던 사우스켄싱턴의 프린스 콘소트 로드에 위치해 있으며, 1882년에 개교한 이래로 음악 교육, 연구, 공연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21년에는 4000만파운드 규모의 개발을 통해 부지 면적이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 이 개발로 140석 규모의 퍼포먼스 홀과 예술 인문학 연구 위원회로부터 189만파운드 투자를 받아 2023년에 개선된 최첨단 음향 및 시각 공연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합한 퍼포먼스 스튜디오 등 두 개의 새로운 공연 공간이 추가되었다.[21]
4. 1. 주요 공연 시설
왕립음악대학은 다양한 콘서트 공연장을 갖추고 있다. 아마릴리스 플레밍 콘서트홀은 블롬필드가 설계하고 1901년에 건축되어 2008~09년에 대대적으로 복원된 468석 규모의 아치형 콘서트홀이다.[19] 벤자민 브리튼 극장은 400석 규모이며, 1986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개관하여 오페라, 발레, 음악 및 연극 공연에 사용된다. 1965년에 지어진 150석 규모의 리사이틀 홀과 세 개의 오르간이 구비된 패리 룸을 포함한 여러 개의 소규모 리사이틀 룸도 있다.[19]2021년에 4000만파운드 규모의 개발이 완료되어 부지 면적이 거의 두 배로 늘어났다.[20] 여기에는 140석 규모의 퍼포먼스 홀, 예술 인문학 연구 위원회로부터 189만파운드 투자를 받아 2023년에 개선된 최첨단 음향 및 시각 공연 시뮬레이션 기술을 통합한 퍼포먼스 스튜디오 등 두 개의 새로운 공연 공간이 포함되었다.[21]
4. 2. 왕립음악대학 박물관
왕립음악대학 박물관은 5세기 이상에 걸쳐 다양한 음악 활동을 대표하는 14,000점 이상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다. 박물관에 소장된 악기 중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클라비시테리움과 최초의 기타가 있다. 유산 복권 기금에서 360만파운드를 투자하여 2020-21년에 박물관을 대대적으로 재개발했다.[22]특히 그로브를 비롯한 창립자들의 비전에 힘입어, 왕립음악대학은 15세기부터 현재까지 귀중한 소장 자료들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앤 불린의 악보집, 쇼팽의 즉흥 왈츠, 엘가의 첼로 협주곡, 하이든의 현악 사중주 48번, 작품 64/1,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4번, C 단조, K491과 같은 자필 악보가 포함된다.[22] 더 광범위한 컬렉션에는 허버트 호웰스와 프랭크 브리지의 음악과 스탠리 마이어스의 영화 음악이 있다. 300점 이상의 오리지널 초상화 중에는 존 코스가 1826년에 그린 베버 (작곡가의 마지막 초상화), 토마스 하디가 1791년에 그린 하이든 초상화, 바르톨로메오 나자리가 그린 파리넬리의 전성기 초상화가 있다. 최근 컬렉션에 추가된 것은 러시아 작곡가 알프레트 슈니트케의 레지날드 그레이의 초상화이다. 10,000점의 판화와 사진은 영국에서 음악가들의 가장 방대한 이미지 아카이브를 구성한다. 왕립음악대학의 600,000개의 콘서트 프로그램은 1730년부터 현재까지의 콘서트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1480년경부터 현재까지 800개 이상의 악기와 부속품이 있다.

5. 저명한 동문
왕립음악대학은 1882년 개교한 이래 수많은 저명한 음악가를 배출했다. 특히 19세기와 20세기 영국 음악 르네상스를 이끈 주요 작곡가들을 배출한 것으로 유명하다.
하위 섹션인 "영국 음악 르네상스 주역"과 "20세기 이후 주요 동문"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레지날드 대처 경을 간략하게 언급한다.
5. 1. 영국 음악 르네상스 주역
1882년 개교 이후, 왕립음악대학은 19세기와 20세기의 "영국 음악 르네상스"를 이끈 대부분의 작곡가를 포함하여, 뛰어난 교수진과 졸업생을 배출했다.[23]스탠포드와 패리의 시대의 학생들로는 새뮤얼 콜리지-테일러, 구스타브 홀스트, 랄프 본 윌리엄스, 존 아일랜드가 있었다.[23] 이후 동문으로는 루이즈 앨더, 토마스 앨런 경, 스탠리 베이트, 벤자민 브리튼, 사라 콩놀리 경, 콜린 데이비스, 제임스 골웨이 경, 페기 글랜빌-힉스, 그위네스 존스, 롤랜드 리, 네빌 마리너, 안나 메레디스, 휴 맥린, 타릭 오레간, 제르바스 드 페이어, 트레버 피노크, 안나 러셀, 조앤 서덜랜드 경, 마크-앤서니 터니지, 앤드루 로이드 웨버, 줄리안 로이드 웨버, 제임스 호너, 레지날드 대처 경, 마이클 티펫, 존 윌리엄스 등이 있다.
인물 | 활동 분야 | 출생년도 | 사망년도 |
---|---|---|---|
랄프 본 윌리엄스 | 작곡가 | 1872 | 1958 |
구스타브 홀스트 | 작곡가 | 1874 | 1934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지휘자 | 1882 | 1977 |
조지 버터워스 | 작곡가 | 1885 | 1916 |
아서 블리스 | 작곡가 | 1891 | 1975 |
유진 구센스 | 지휘자 | 1893 | 1962 |
Noel Gay|노엘 게이영어 | 작사가 | 1898 | 1954 |
레지날드 굿올 | 지휘자 | 1901 | 1990 |
컨스턴트 램버트 | 작곡가 | 1905 | 1951 |
크리스찬 던턴 | 작곡가 | 1905 | 1981 |
마이클 티펫 | 작곡가 | 1905 | 1998 |
피터 피어스 | 가수 | 1910 | 1986 |
벤자민 브리튼 | 작곡가 | 1913 | 1976 |
찰스 그로브스 | 지휘자 | 1915 | 1992 |
네빌 마리너 | 지휘자 | 1924 | |
조앤 서덜랜드 | 가수 | 1926 | |
콜린 데이비스 | 지휘자 | 1927 | |
줄리안 브림 | 기타/류트 연주자 | 1933 | |
에드윈 록스버러 | 작곡가/지휘자/오보에 연주자 | 1937 | |
제임스 골웨이 | 플루트 연주자 | 1939 | |
존 윌리엄스 | 기타 연주자 | 1941 | |
Thomas Allen (baritone)|토머스 앨런영어 | 가수 | 1944 | |
앤드루 데이비스 | 지휘자 | 1944 | |
존 릴 | 피아노 연주자 | 1944 | |
앤드루 로이드 웨버 | 작곡가 | 1948 | |
대릴 웨이 | 바이올린 연주자 | 1948 | |
제이슨 쿠착 | 피아니스트/가수/작곡가 | 1969 | |
알피 보 | 가수 | 1973 |
5. 2. 20세기 이후 주요 동문
영국 음악 르네상스를 이끈 새뮤얼 콜리지-테일러, 구스타브 홀스트, 랄프 본 윌리엄스, 존 아일랜드 등이 스탠포드와 패리의 시대에 왕립음악대학에서 수학했다.[23]이후 주요 동문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 루이즈 앨더
- 토마스 앨런 경
- 스탠리 베이트
- 벤자민 브리튼
- 사라 콩놀리 경
- 콜린 데이비스
- 제임스 골웨이 경
- 페기 글랜빌-힉스
- 그위네스 존스
- 롤랜드 리
- 네빌 마리너
- 안나 메레디스
- 휴 맥린
- 타릭 오레간
- 제르바스 드 페이어
- 트레버 피노크
- 안나 러셀
- 조앤 서덜랜드 경
- 마크-앤서니 터니지
- 앤드루 로이드 웨버
- 줄리안 로이드 웨버
- 제임스 호너
- 레지날드 대처 경
- 마이클 티펫
- 존 윌리엄스
아래는 왕립음악대학 출신 주요 인물들을 출생연도 순으로 정리한 표이다.
이름 | 출생연도 | 사망연도 | 분야 |
---|---|---|---|
랄프 본 윌리엄스 | 1872 | 1958 | 작곡가 |
구스타브 홀스트 | 1874 | 1934 | 작곡가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1882 | 1977 | 지휘자 |
조지 버터워스 | 1885 | 1916 | 작곡가 |
아서 블리스 | 1891 | 1975 | 작곡가 |
유진 구센스 | 1893 | 1962 | 지휘자 |
Noel Gay영어 | 1898 | 1954 | 작사가 |
레지날드 굿올 | 1901 | 1990 | 지휘자 |
컨스턴트 램버트 | 1905 | 1951 | 작곡가 |
크리스찬 던턴 | 1905 | 1981 | 작곡가 |
마이클 티펫 | 1905 | 1998 | 작곡가 |
피터 피어스 | 1910 | 1986 | 가수 |
벤자민 브리튼 | 1913 | 1976 | 작곡가 |
찰스 그로브스 | 1915 | 1992 | 지휘자 |
네빌 마리너 | 1924 | 지휘자 | |
조앤 서덜랜드 | 1926 | 가수 | |
콜린 데이비스 | 1927 | 지휘자 | |
줄리안 브림 | 1933 | 기타 연주자, 류트 연주자 | |
에드윈 록스버러 | 1937 | 작곡가, 지휘자, 오보에 연주자 | |
제임스 골웨이 | 1939 | 플루트 연주자 | |
존 윌리엄스 | 1941 | 기타 연주자 | |
Thomas Allen (baritone)영어 | 1944 | 가수 | |
앤드루 데이비스 | 1944 | 지휘자 | |
존 릴 | 1944 | 피아노 연주자 | |
앤드루 로이드 웨버 | 1948 | 작곡가 | |
대릴 웨이 | 1948 | 바이올린 연주자 | |
제이슨 쿠착 | 1969 | 피아니스트, 가수, 작곡가 | |
알피 보 | 1973 | 가수 |
6. 왕실과의 관계
영국 왕실은 1882년 왕립음악대학 설립 이후 꾸준히 관계를 맺어왔다. 현재 대학의 후원자는 찰스 3세 국왕이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40년 동안 총재를 역임했으며, 1993년에는 찰스 3세(당시 웨일스 공)가 총재가 되었다.
7. 수상
왕립음악대학은 매년 RCM과 더 넓은 음악계에 특별한 공헌을 한 개인에게 명예 학위, 회원 자격 및 특별 회원 자격을 수여한다.[24]
수상 경력에는 ARCM(준회원), LRCM(강사), FRCM(회원)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oyal College of Music Annual review and financial statements 2022/23
https://www.rcm.ac.u[...]
Royal College of Music
2024-01-18
[2]
문서
https://www.rcm.ac.u[...]
[3]
간행물
HESA citation
[4]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for Performing Arts 2024
https://www.topunive[...]
2024-10-22
[5]
논문
The South Kensington Music Schools and the Development of the British Conservatoir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2005
[6]
논문
The Proposed College for Music
https://www.jstor.or[...]
1882-01
[7]
논문
Royal College of Music
https://www.jstor.or[...]
1883-06
[8]
간행물
London – Educational establishments
http://www.oxfordmus[...]
2012-01-04
[9]
뉴스
State opening of the Royal College of Music
1894-06-01
[10]
문서
The date 1892 on a tablet in the peak of the central pavilion. The formal opening was in May 1894.
[11]
웹사이트
Royal College of Music | British History Online
http://www.british-h[...]
British-history.ac.uk
2010-05-02
[12]
서적
Grove, Sir George (1820–1900)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5
[13]
웹사이트
Royal College of Music: Director
http://www.aim25.ac.[...]
2012-01-06
[14]
웹사이트
Faculties
http://www.rcm.ac.uk[...]
Royal College of Music prospectus 2012
2012-01-06
[1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CM
http://www.rcm.ac.uk[...]
Royal College of Music
2012-01-06
[16]
간행물
EW charity
309268
[17]
웹사이트
Royal College of Music, Junior Department
http://www.rcm.ac.uk[...]
2008-06-02
[18]
웹사이트
RCM-NAFA degree programme
http://www.rcm.ac.uk[...]
2017-11-02
[19]
웹사이트
Our Venues {{!}} Performances {{!}} Receptions {{!}} Conferences {{!}} Dinners {{!}} RCM
https://venuehire.rc[...]
2024-12-08
[20]
뉴스
Royal College of Music transforms ‘forbidding’ HQ in £40m upgrade
https://www.theguard[...]
2024-12-08
[21]
간행물
Learning in the spotlight: cutting-edge technology to help performers reach their full potential
https://researchonli[...]
2024-05-28
[22]
문서
RCM Library Collections
https://www.rcm.ac.u[...]
[23]
서적
Stanford, Sir Charles Villiers (1852–1924)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2-11
[24]
웹사이트
Honours and Fellowships | Royal College of Music
https://www.rcm.ac.u[...]
2021-10-23
[25]
웹사이트
Report and Accounts for the year ended 31 July 2013
http://www.rcm.ac.uk[...]
2014-07-01
[26]
웹사이트
2014/15 Students by HE provider, level, mode and domicile
https://www.hesa.ac.[...]
Higher Education Statistics Agency
2016-01-19
[27]
문서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2: Performing Arts
https://www.topunive[...]
QS Quacquarelli Symonds Limited 1994 - 2023
[28]
웹사이트
Evening Standard (April 6, 2022)
https://www.standard[...]
2023-07-27
[29]
문서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3: Performing Arts
https://www.topunive[...]
QS Quacquarelli Symonds Limited 1994 - 2023
[30]
웹사이트
Centre for Performance Science
https://performances[...]
2023-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