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구르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구르팅은 2004년 네오위즈가 출시한 MMORPG로, 2005년 한국에서, 2005년 일본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6년 MMORPG로의 대규모 업데이트 이후 유저 감소로 2007년 한국, 2010년 일본, 2011년 태국에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게임은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MORPG 방식을 따랐으며, 검, 글러브, 스피릿, 뮤라 4종류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오위즈 게임즈의 게임 - 차구차구
    차구차구는 다양한 국가 프로 축구팀과 선수, K리그 경기장 및 가상 경기장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축구 게임으로, 대한민국 K리그를 포함한 실존 팀과 2005년부터 2011년까지의 선수 및 코칭 스태프 데이터를 포함한다.
  • 네오위즈 게임즈의 게임 - 알투비트
    알투비트는 방향키와 Ctrl 키를 사용하여 음악에 맞춰 별을 획득하고 장애물을 피하는 리듬 게임으로, 다양한 게임 모드와 채널 구분을 제공하며 초고속 모드와 엄격한 판정을 특징으로 한다.
  • 중단된 다인용 온라인 게임 -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요소가 융합된 그리무아르 세계에서 쌍둥이 남매 란과 레인이 미라지 몬스터를 포획하여 파티를 구성하고 크기 변환 및 노세노세, 바라바라 시스템을 활용해 전투를 하는 롤플레잉 게임으로, 확장판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맥시마》가 출시되었으며 다양한 파이널 판타지 캐릭터 카메오 출연, 치비 스타일 그래픽, 하마우즈 마사시 작곡 음악이 특징이다.
  • 중단된 다인용 온라인 게임 - 배틀본 (비디오 게임)
    배틀본은 기어박스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하고 2K 게임즈에서 배급한 히어로 슈터 게임으로, 1인칭 슈팅 게임에 MOBA 요소를 결합하여 영웅 캐릭터를 선택해 팀 기반 전투를 벌이는 게임이었으나, 판매 부진과 경쟁작의 등장으로 개발이 중단되고 서버가 종료되었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거상
    거상은 다양한 부대를 활용한 전투, 용병 고용 및 장수 전직, 환수·신수 소환, 아이템 연마, 무도장 시스템, 경제 시스템, 상단 시스템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온라인 게임이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 - 길드워 2
    길드워 2는 아레나넷이 개발하고 엔씨소프트가 배급하는 MMORPG로, 5개의 종족과 9개의 직업을 선택하여 캐릭터를 생성하고, PvE, PvP, WvW 전투, 제작, 탐험, 레이드 콘텐츠와 엘더 드래곤과의 전투를 중심으로 티리아 대륙의 운명을 다루는 핵심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요구르팅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요구르팅
영어 제목Yogurting
일본어 제목ヨーグルティング
개발 정보
개발사NTIX Soft
추가 개발사레드덕
배급사네오위즈
일본 배급사겅호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태국 배급사이니3디지털
디자이너김안나
기술 정보
엔진게이트3D (그래픽)
캐릭터 모션 엔진힌지
네트워크/서버 엔진게이트넷
출시 정보
출시일 (한국)2005년 5월 10일
출시일 (일본)2005년 11월 26일
게임 정보
장르MMORPG
모드다인용
플랫폼Windows
이용 등급12세 이상 이용가
미디어내려받기

2. 역사

2006년 9월 28일, MMORPG(요구르팅 2학기)로 크게 변화하면서 상황이 나아지길 바라던 운영진들의 바람과는 달리, 사태는 더 악화되었다. 에피소드의 난이도가 대폭 상승하고, 필드에서도 홀로 사냥하고 레벨을 쉽게 올릴 수 있게 되자, 유저수가 조금 늘었으나, 에피소드에서 인기척이 없어졌다. 그리고 무기와 옷이 허물에 불과하고 일부 기존의 무기나 옷이 별아이템화 되고, 누구나 가질 수 있게 되어 큰 비난을 얻으며 급속도로 유저들의 숫자가 줄었다.

2007년 1월 23일, 2월 27일에 서비스가 종료됨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공지되었다. 서비스 종료가 공지됨과 동시에 별의 공급 및 사용이 중단되었으며, 2월 13일 이미 게이머들이 결제한 사이버 캐시와 게임내의 유료 아이템이 피망에서도 쓸 수 있도록 변환되었다. 그리고 폐쇄공지후 별로 구입 할 수 있는 모든 아이템들을 폐쇄시까지 무료로 마음껏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예정대로 2월 27일 대한민국에서의 게임 서비스는 2년 6개월 만에 종료되었다.[6]

일본 쪽에서는 2005년 11월 24일부터 서비스를 계속해 왔었다. 국내에서 출간되지 않았던 공식 비주얼 설정집 등이 나오는 등 나름대로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서비스 업체에선 2010년 5월 14일에 서비스 종료를 선언했다. 여러 이벤트, 캐시까지 추가 하면서 운영을 해왔지만, 원래 제작사 측에서 개발을 중단한 이유로 새로운 시스템 추가가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태국 쪽에서도 원인 불명의 해저 케이블 고장으로 렉이 심각해져 플레이어 수가 적어지고, 원래 제작사 측에서 개발을 중단한 게임을 계속 운영하기가 어려워 2011년 3월 29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 1. 개발

원래 타프시스템에서 '''루시아드'''(Lussiard영어)라는 이름으로 제작하고 있었으나, 2차 클로즈 베타 후 개발이 중단되었다. 네오위즈에 인수, 엔틱스소프트로 사명이 바뀐 뒤 대폭 수정을 거쳐 '''요구르팅'''으로 재탄생하였다. 개별 서비스가 아닌 네오위즈 피망(게임포털)에서 서비스하였다. 그 후 엔틱스소프트는 바이오 벤처회사 엔비텍으로 넘어가며, 엔비텍의 주식을 엔틱스소프트에 넘기는 형식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바이오 벤처회사로 변신하였고, 게임개발 부서를 "레드덕"이라는 이름으로 분할한 뒤 네오위즈의 자회사로 넘겼다.

프로게이머 김동수가 원래 자신의 꿈은 개발자라고 스타리그를 뛰쳐나가 루시아드를 개발하다 해설로 복귀한 계기가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요구르팅은 다양한 문화적 생동감으로 살아 숨쉬는 거리를 뜻하는 'Yogurt Cities'에서 착안했다. 모험과 에피소드를 테마로 '상큼하고 건강한 즐거움(yogurt)'에 진행동사형인 'ing'가 합쳐진 의미로, '항상 새롭고 상큼한 즐거움'을 유저들에게 줄 수 있는 새로운 게임을 만들자는 개발 목표가 반영되었다.

요구사양은 펜티엄 4 1.8Ghz, 램 512MB, 지포스 4 Ti 128MB 이상이었다.

2. 2. 서비스 연혁

2004년 6월 23일, 한국에서 네오위즈(Neowiz)가 요구르팅(Yogurting)을 발표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클로즈 베타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2005년 5월 10일, 한국 서버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2005년 7월 28일에는 일본 서비스 상세 내용이 발표되었고, 9월 1일 일본 서버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9월 9일 일본 서버 프리오픈 베타 테스트가 시작되어 “하모니카 월드”, “카스타네트 월드”가 오픈되었고, 9월 12일에는 “플루트 월드”가 오픈되었다. 11월 20일 일본 서버 베타 테스트가 종료되었고, 11월 24일 일본 서버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2006년 9월 28일, MMORPG(요구르팅 2학기)로 크게 변화하면서 상황이 나아지길 바라던 운영진들의 바람과는 달리, 사태는 더 악화되었다. 에피소드의 난이도가 대폭 상승하고, 필드에서도 홀로 사냥하고 레벨을 쉽게 올릴 수 있게 되자, 유저수가 조금 늘었으나, 에피소드에서 인기척이 없어졌다. 그리고 무기와 옷이 허물에 불과하고 일부 기존의 무기나 옷이 별아이템화 되고, 누구나 가질 수 있게 되어 큰 비난을 얻으며 급속도로 유저들의 숫자가 줄었다.

2007년 1월 23일, 2월 27일에 서비스가 종료됨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공지되었다. 서비스 종료가 공지됨과 동시에 별의 공급 및 사용이 중단되었으며, 2월 13일 이미 게이머들이 결제한 사이버 캐시와 게임내의 유료 아이템이 피망에서도 쓸 수 있도록 변환되었다. 그리고 폐쇄공지후 별로 구입 할 수 있는 모든 아이템들을 폐쇄시까지 무료로 마음껏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예정대로 2월 27일 대한민국에서의 게임 서비스는 2년 6개월 만에 종료되었다.[6]

일본 쪽에서는 2005년 11월 24일부터 서비스를 계속해 왔었다. 국내에서 출간되지 않았던 공식 비주얼 설정집 등이 나오는 등 나름대로 반응을 얻었다. 그러나 서비스 업체에선 2010년 5월 14일에 서비스 종료를 선언했다. 여러 이벤트, 캐시까지 추가 하면서 운영을 해왔지만, 원래 제작사 측에서 개발을 중단한 이유로 새로운 시스템 추가가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태국 쪽에서도 원인 불명의 해저 케이블 고장으로 렉이 심각해져 플레이어 수가 적어지고, 원래 제작사 측에서 개발을 중단한 게임을 계속 운영하기가 어려워 2011년 3월 29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2. 3. 사건 및 문제점

요구르팅에는 여러 사건 및 문제점이 있었다.

  • 719 사태: 2005년 7월 19일, 오픈 베타 서비스 2개월도 안 되어 발생한 업데이트 문제이다. 특정 에피소드의 무기 드랍률을 높이고 다른 곳의 경험치를 낮추는 등 밸런스 조정에 실패하여 다음 날 운영자가 해명 및 복구 조치를 취했다.

  • 913 사태: 2005년 9월 13일, 요구르팅의 주요 특징을 없애는 업데이트가 시행되었다. 등수제와 도중난입 폐지, 캐릭터 정보 보기 및 파워업 횟수 표시, 무기 강화 100% 성공 및 친구 목록 확장 아이템 추가 등으로 많은 유저가 이탈하여 서버 통합이 이루어졌다.

  • 소소섭 늑대 사건: 2005년 11월 21일 18시부터 22일 14시까지 소소 서버에서 발생한 사건이다. 특정 에피소드에서 무기 드랍률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게임 내 시세가 폭락했다. 운영진의 뒤늦은 조치와 무기 미회수로 인해 많은 유저가 이탈했다.


2006년 11월 22일, 시스템의 대규모 업데이트로 "요글링 2학기"가 시작되었다.(한국은 9월)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무기/방어구 시스템 변경: 원석 시스템 도입으로 학년/랭크별 장착 제한이 폐지되고, 원석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필드 변경: 일부 필드에 몬스터가 출현하여 원석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 스킬 시스템 변경: 스킬을 구매/습득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무기 간 차이는 외형만 남게 되었다.


이전의 요구르팅은 학원 내 필드에 한정되어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었고, 동호회 분위기의 채팅을 즐기는 유저가 많았다. 다른 온라인 게임 플레이 중간에 플레이하는 '세컨드 플레이' 유저도 많았다.

그러나 과금 아이템 및 전투 중심의 "2학기" 업데이트에 대한 반발이 있었고, 게임 시스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유저들이 대거 이탈했다. 아바타 채팅이나 메타버스로 인식하던 라이트 유저와 게임성 확충을 기대했던 게이머 모두에게 불만족스러운 업데이트였다.

당초 10학년까지 구상되었던 게임 규모는 6학년에서 개발이 중단되었고, 일본판은 5학년까지만 구현되었다.

2007년 1월 23일, 한국 공식 웹사이트에서 서비스 유지가 어렵다는 이유로 2007년 2월 27일부로 한국판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다. 개발 프로듀서는 "2학기" 업데이트와 관련하여 플레이어 의견에 의존해 무리하게 게임 내용을 변경하려 했던 것이 최대 실수였다고 인정했다.([http://www.4gamer.net/news.php?url=/news/history/2007.01/20070124215855detail.html])

겅호(ガンホー)는 한국 서비스 종료 후에도 일본판 서비스를 계속한다고 발표했으나, 개발팀 해체로 인해 신규 개발은 불가능했고, 기존 리소스 조정 등 간단한 커스터마이징만 진행한다고 밝혔다.([https://game.watch.impress.co.jp/docs/20070220/gh_hori.htm]) 실제로는 NPC 대사 변경이나 기존 이벤트 재활용 등 소규모 변경에 그쳤다.

개발팀 지원 없이 신규 요소가 없는 게임 운영은 어려워졌고, 결국 2010년 5월 14일 일본판 서비스도 종료되었다.([https://www.4gamer.net/games/016/G001678/20100215049/]) 2010년 5월 7일 졸업식 이벤트에는 서비스 종료를 아쉬워하는 유저들이 몰려 서버가 다운되기도 했다.

3. 게임 시스템

필드에서는 기본적으로 MMORPG 형식을 따르지만, 개별 "에피소드"는 최대 8명이 함께 진행하는 MORPG 방식이다. 각 "에피소드"에는 적정 레벨(초기에는 POW, 즉 파워업 횟수)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 레벨을 일정 수준 이상 초과하면 "에피소드"에 참여는 가능하나 획득 경험치가 대폭 감소한다.

각 "에피소드"는 여러 개의 맵으로 구성되며, 클리어 조건은 스토리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단순 섬멸전 이상의 재미를 제공한다. 모든 맵을 클리어하면 하나의 에피소드가 종료된다.

"에피소드" 내 전투는 소수의 플레이어가 다수의 적을 상대하는 구도로 진행된다. 적에게서는 무기와 강화 및 현금화에 사용되는 재료가 드롭되지만, "에피소드" 완료 후 함께 싸운 플레이어들에게 무작위로 배분되어 "옆치기"로 인한 분쟁 발생 가능성은 낮다. 경험치는 "에피소드" 완료 시 달성도에 따라 모든 플레이어에게 지급된다.

사용 가능한 무기는 검, 글러브, 스피릿, 뮤라 4종류이며, 데모 화면을 제외하고 언제든 자유롭게 무기를 교체하며 전투할 수 있다.


  • 검 계열: 전방의 적을 가로로 베는 근접 무기로, 최대 3체의 적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다.
  • 글러브 계열: 전방의 적 1체에게 강력한 공격을 가하며, 공격 속도가 빠르다. 노리는 방향에 따라 최대 3체까지 동시 공격이 가능하다. 영어 표기는 "Glorb"인데, 이는 보석(orb)이 박혀 있기 때문이다.
  • 스피릿 계열: 등에 착용하여 정령의 힘을 빌려 원거리 공격을 하는 무기이다. 천사나 폭격기의 날개와 같은 형태가 많으며, 특수 공격은 넓은 범위에 큰 피해를 주어 섬멸전에 유리하다.
  • 뮤라 계열: 헤드폰처럼 귀에 착용하여 소리로 공격하는 중, 장거리 무기이다. 특수 공격 중에는 주변 회복 등의 지원 능력을 가진 것도 있다. 장착 시 춤추는 듯한 포즈를 취하게 되어, 서비스 초기에는 뮤라를 장착한 플레이어들이 모여 "댄스부"를 결성하기도 했다.


"에피소드" 내에서는 회복 아이템인 "우유" 등을 대량으로 소비하게 되므로, 기본 장비인 휴대전화를 통해 NPC에게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다. 구입한 아이템은 택배로 즉시 플레이어에게 전달된다.

3. 1. 개요

3. 2. 무기

요구르팅에서 사용 가능한 무기는 4종류가 있으며, 데모 화면 이외에는 언제든지 무기를 바꿔가며 싸울 수 있다.

  • 블레이드: 몽둥이부터 대검까지, 적을 벨 수 있는 근접 무기이다. 어느 방향으로든 최대 3명까지 공격할 수 있다. 공격 속도는 무기마다 다르며, 글로브보다는 공격력이 약간 낮다. 검 계열 무기는 전방의 적을 가로로 베는 방식으로 공격한다.
  • 글로브: 장갑을 손에 착용하고 빠르게 공격하는 근접 무기이다. 정면으로는 1명만 공격할 수 있지만, 대각선 방향으로는 최대 3명까지 동시에 공격할 수 있다. 공격력은 가장 높다. 영어 표기가 "Glorb"인 이유는 보석(orb)이 박혀 있기 때문이다.
  • 뮤라: 헤드셋처럼 귀에 착용하는 원거리 무기이다. 캐릭터가 춤을 추는 특수기를 사용하여 주변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일부 뮤라는 주변 동료를 치유하거나 상태 이상을 해제하는 스킬을 가지고 있다. 공격력은 블레이드보다 약간 낮다. 뮤라 계열 무기는 소리를 이용해 상대를 공격하는 중~장거리 무기이며, 장착 시 항상 춤추는 듯한 포즈를 취하게 되어 서비스 초기에는 집단으로 뮤라를 착용하고 춤을 추는 "댄스부"가 많이 생겨나기도 했다.
  • 스피릿: 등에 메는 형태로 착용하며, 정령의 힘을 빌려 뮤라보다 더 멀리 있는 적을 공격하는 무기이다. 일반 공격은 가장 약하지만, 스킬의 위력은 강력하다. 루시아드에서는 무기마다 고유의 정령이나 생명체를 소환하여 공격하는 방식으로 설정되기도 했다. 스피릿 계열 무기는 천사나 폭격기의 날개와 같은 모양이 많으며, 특수 공격은 위력이 강하고 범위가 넓어 섬멸전에 유리하다.

3. 3. 등장인물

요구르팅에는 여러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 안나

: 요구르팅 이미지 캐릭터이다. 신입생에게 조언을 해주는 역할을 하며, 화면 오른쪽 아래나 상자 쟁탈 화면에 등장하는 2등신 캐릭터도 안나이다. 차이나와 절친한 친구 사이이며, 재규어노트 해머를 애용한다. 에스티버 학원 세이브 포인트 관리 담당이다.

; 나나

: 안나의 여동생으로, 소월 학원 세이브 포인트 관리 담당이다.

3. 3. 1. 공립 에스티버 학원

요구르팅 게임 세계의 공립 학교이다. 규모가 상당히 큰 현대적인 학교인데, 누가 무슨 목적으로 어떻게 만들었는지 알 수 없다. 학교 아래에는 엄청난 규모의 오래된 도서관이 있으며, "가장 아래층에 여신이 산다"는 소문이 있다. 무한 방과후 현상 이후 유명해진 이 학교에는 다른 학교보다 많은 교사들이 남아 학교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로, 공립학교 치고는 시설이 매우 잘 갖춰져 있다.

  • 안나:
  • 차이나: 학생회의 아이돌이자 너그러운 성격의 미인. 단순히 미인이라 스카우트되었다는 소문이 있다. 학생회다운 활동을 하는 모습은 아무도 본 적이 없다는 캐릭터 설정이지만, 게임 중에서는 진지하게 동아리 예산에 골머리를 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그레이: 전 로봇 연구부 부장이자 현 학생회 집행위원장. 직접 거대 로봇을 설계하기도 했다. 낡은 골동품 조각을 모으고 있는 것 같다. 차원 교실에 있는 크리스틴에게 반하고 있다.
  • 모카: 전설적인 덜렁이. 소심하지만 학생회 서기 일을 나름대로 열심히 하고 있다. 수천에게 짝사랑을 하고 있다.
  • 벤 선생님 (본명 불명): 교육위원회에서 파견되었다. 신입생 교육 및 상황 보고가 업무이다. 1일 2교대 근무이며, 근무 시에는 곰 인형탈을 착용한다. 누가 안에 들어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소심한 성격이다.
  • No.2: 펭귄 모습을 하고 (일본판에서는) 오사카 사투리로 말하는 에스티바 학원 매점 아주머니. 매점은 각 학원마다 운영되는 프랜차이즈 상점이며, 운영자는 번호만 바뀔 뿐 모습과 성격은 모두 비슷하다. 전화로 통판이 가능하다.
  • 사도마루 (요치마루): 무한 방학 현상 후, 갑자기 에스티바 학원에 나타난 이세계의 사무라이. 학원 구석에서 자주 땔나무를 피우고, 우드 헬리안과 담소를 나누며 양고기를 먹는 모습이 목격된다. 약 700년 전부터 온 것 같다. 블레이드 스킬 판매.
  • 비앙카: 미혼. 큰 저택에서 집사 스테파노와 단둘이 산다. 학교의 미소년들을 모두 차지하려고 음모를 꾸미고 있다거나, 상점가에 강력한 지배력을 가진 유력한 마피아의 딸이라는 등 여러 가지 소문이 있다. 거만하지만 학생들의 건강에는 신경 쓰는 좋은 선생님인 것 같다. 화가 나면 미사일 발사기를 난사하며 난동을 부린다. 젊으면 보험료가 저렴하므로 금연할 생각이 없어서 자신의 건강관리는 하지 않는다. 진급 처리도 담당.
  • 스테파노: 비앙카 저택의 집사. 설정상 일반적인 인간일 터이지만, 에피소드 내 전투 장면에서는 5미터 정도나 되는 거구이다.
  • 수천: 자칭 차기 학생회장. 야망만 강한 바보라는 소문도 있다. 바보 그 자체. 부정 입학으로 입학했고, 시험은 부정행위를 했다는 소문도 있다. 희대의 트러블 메이커이지만, 너무 바보라 플레이어 인기가 높다.
  • 아레나: 음악을 매우 사랑하는 보이시한 소녀. 뮤즈 스킬 판매.
  • 현란: 야성적인 외모에 내성적인 성격이 어울리지 않는다. 양을 매우 사랑한다.
  • 칼테: 비앙카 선생님의 조수. 동료인 차트는 연인이다.
  • 리에즈: 멋진 복근을 가진 여자 체육 교사. 벤 선생님의 아내이다.
  • 페이지: 도서관 관리자. 대출 도서 연체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 소문양: 생활지도를 담당하는, 우아한 한복을 입은 기본적으로 점잖은 태도의 여성이지만, 래추를 싫어해서 래추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면 말투가 거칠어진다. 프랑수아라는 애완동물을 기르는 것 같다.
  • 마오=샤오핑: 겉보기에는 남은 교사 중 가장 정상적인 인물.
  • 페코: 흰 고양이.
  • 라민: 검은 고양이.
  • 조니: 온실 관리인. 건장한 거구의 젊은 남성이지만, 많은 에피소드에서 적에게 잡혀 구출 대상이 된다.
  • 메이: 온실 관리 보조. 조니를 좋아하며, 요염이와 친구이다. 마오=샤오핑의 행동을 의심하고 있다.
  • 변곰: 변태가 아니라 변곰. 미성년자에게 부적절한 책의 매매를 제안하는 변태. 전투 스타일은 검은 여성용 비키니에 채찍을 장비한 기이한 차림새이지만 전투력은 높다.
  • 와르그마: 알로하 셔츠를 입은 불량배. 수적으로 압도하는 약한 적.
  • 도와르그마: 펑크 패션을 한 불량배. 와르그마의 상위 호환.
  • 도로시: 도서관에 사는 장난을 좋아하는 유령.
  • 보보칸: 구식 외관의 로봇이지만, 이미 말을 할 정도로 기술이 발달했다. 취사, 세탁, 수색 및 파괴 등 다재다능하다. 로봇 연구회의 성과물이다. 도로시의 충실한 부하로 다수 등장하는 외에, 비앙카 저택에도 배치되어 상당량 양산되고 있는 모양이다.
  • 크리스틴: 골동품에 대해 알고 있다.

3. 3. 2. 사립 소월 학원



'''소월 학원(宵月学院)''' (しょうげつがくいん/宵月学院일본어)은 에스티버가 번화가에 위치한 것과 달리 도심에서 벗어난 산기슭에 위치하여 다소 고립된 지형에 있다. 무한방과 현상 이후 대부분의 교사가 사라지면서, 오컬트 연구부와 학교를 되살리려는 학생회 간의 대립이 두드러진다.

신 교사 건물과 구 교사 건물 모두 오래되었다. 구 교사 건물 교정의 배경음악은 일본풍이며, 구 교사 건물의 여자 유령 교복은 전전(戰前)의 고등여학교에서 볼 수 있었던 유형과 비슷하다. 구 교사 건물 내부에는 남북의 군사분계선이 표시되지 않은 조선반도 지도가 남아 있고, 벚꽃나무 가로수 등 일본의 특징이 나타난다.

  • '''루벤 셰퍼드(ルーベン=シェパード):''' 소월 학원 학생회장. 학교 최고의 검술 실력자이다.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지만 과묵하며, 주로 영어를 사용한다. 최근 임무를 위해 명검을 모으고 있다.
  • '''신소현(シンソヒョン):''' 신문부 부장을 겸임한다. 냉철한 분석력과 뛰어난 화술을 가지고 있으며, 여론 조작 등의 뒷공작에도 능숙하다. 에스티버의 그레이와 정보 교환을 하는 등 다른 학원의 무한 방과후 현상에 대해 잘 알고 있다. 동호회 처리 담당이다.
  • '''수련(水蓮):''' 버몬트 신부에게 길러진 여우 자매의 언니. 청소광이다.
  • '''화련(火蓮):''' 버몬트 신부에게 길러진 여우 자매의 동생. 버몬트 신부에게 반항하며, 카레에 질려 폭시를 부리고 있다. 2개월 동안 목욕을 하지 않았고, 현란에게 반하고 있다.
  • '''암다(暗田):''' 본명은 암다 타이치. 소심하고 변덕스러운 성격으로, 학생들에게 수상한 아이템을 팔아 부비를 번다. 학생회에서 주의 인물로 여기는 트러블 메이커이다.
  • '''버몬트 신부(バーモント神父):''' 40대 중년의 신부. 과거 교황청 최고의 퇴마사였으며, 지하의 여우 요괴를 봉인한 사람이라고 알려져 있다. 특기 요리는 카레. 스피릿 스킬을 판매한다.
  • '''샘 선생님(サム先生):''' 교육위원회에서 파견된 선생님. 신입생 교육 및 상황 보고가 업무이다. 1일 2교대 근무이며, 근무 시에는 곰 인형탈을 착용한다. 벤 선생님과는 성우가 다르다고 하며, 소심한 성격이다.
  • '''요염(妖艶):''' 보건 선생님. 이름과는 달리 10살짜리 여자아이. 7세에 의과대학에 입학, 9세에 졸업한 천재이지만, 평범한 인간관계도 필요하다고 여겨져 소월 학원에 부임했다. 그러나 EVP 발생으로 소월 학원의 유일한 정규 교사가 된다 (EVP조차도 그녀를 교사로 인식하지 못했다). 진급 조건을 충족하면 진급시켜 주며, 유령을 매우 싫어한다. 메이와 친구이며, 진급 처리도 담당한다.
  • '''No.27:''' 전화로 통판이 가능하다.
  • '''인젝트(インジェクト):''' 급식 배급 담당.
  • '''호양(ホヤン):''' 유령 학생. 시인이다.
  • '''메이옌(メイイェン):''' 유령 학생. 오르간 소녀이다.
  • '''샤오린(シャオリーン):''' "그 분"을 가리키는 인물. 오컬트 연구부 부장이다.
  • '''하지(ハチ):''' 주근깨 소녀. 화련과 사이가 나쁘다. 콕코를 돌보고 있다. 글로브 스킬을 판매한다.
  • '''사당의 여인(祠堂の女人):''' 화련과 수련의 어머니이자 사당의 주인.

4. 관련 미디어

4. 1. 대한민국

2005년 4월 26일 - 신지가 부른 OST 〈Always〉가 발매되었다.

2006년에는 관련 서적이 출간되었다.
2007년 1월 23일, 한국 공식 웹사이트는 "더 이상의 서비스 유지가 어렵다"는 이유로 2007년 2월 27일부로 한국판 요구르팅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다. 개발 프로듀서는 "2학기" 업데이트와 관련, 플레이어 의견에 의존해 게임 내용을 무리하게 변경하려 했던 것이 최대 실수였다고 언급하며 운영 실패를 사실상 인정했다. 또한 시스템 완성도 부족과 한국판 및 일본판의 부진을 실패 요인으로 지적했다.

일본판의 경우, 겅호2007년 1월 24일 한국 서비스 종료 후에도 서비스를 계속한다고 발표했지만, 당시 한국 개발팀은 이미 해체된 상태였다. 일본판 지속을 위한 신규 개발, 개발 데이터, 현지화 작업 데이터의 일본 운영 회사 이관 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새로운 몬스터, 지역, 학년 등 신규 개발을 요구하는 메이저 업데이트는 없었고, 겅호 측은 기존 리소스 조정, 배치, 대사, 의상 텍스처 색상 변경 등 일본 운영 회사에서도 가능한 간단한 커스터마이징만 진행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로는 NPC 대사 변경이나 기존 이벤트 재활용 등 서버 측 소규모 변경에 그쳤고, 텍스처 색상 등 클라이언트 패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개발팀 해체로 공식 자료 확보가 어려워진 탓에, 이후 일본판 홈페이지 업데이트는 텍스트 정보만 업데이트되는 단조로운 상태가 계속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목도가 낮아지고 유저 감소에 시달리면서도 일본판 운영은 3년 이상 중단되지 않았다. 하지만 개발팀 지원 없이 신규 요소가 없는 게임 운영은 어려워졌고, 결국 2010년 5월 14일 서비스를 종료했다. 2010년 5월 7일 졸업식 이벤트에는 서비스 종료를 아쉬워하는 유저들이 몰려 게임 서버가 다운되기도 했다.

4. 2. 일본

일본 서비스는 네오위즈와 간호(ガンホー)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간에 3년간의 상용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계약금은 340만 달러와 매출의 일정 비율이었다. 간호의 일본 측 담당자에 따르면, 이것은 계약금뿐만 아니라 일본 시장을 위한 현지화 및 독자적인 전개를 위한 개발 협력금을 포함한다고 한다.

일본 서비스는 "하모니카 월드", "카스타네트 월드", "플루트 월드"의 3개 서버 체제로 정식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2006년 2월부터 테스트용 서버로 "우쿨렐레 월드"가 추가되었다.

하지만 일본판은 대체로 저조한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대해 개발 프로듀서는 "번역 이상의 일본 시장을 위한 현지화는 특별히 하지 않는 것이 기본 방침이었다"라고 언급했으며, 또한 "한국과는 다른 현지화를 추가하지 않은 것은 실패였다"라고도 언급했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판에서는 일본식 이름의 NPC가 극히 적었던 것도 있어, "암다(暗田)" 캐릭터 묘사에 비판이 집중되었다.

초기 게임 시스템은 잠재력을 기대하게 하는 것이었지만 완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고, 일본식 이름의 NPC가 적은 것 외에도 다른 캐릭터 설정에서도 표면적으로는 괜찮은 인물로 묘사되는 학교의 모범생적인 캐릭터에는 서양식·한국식 이름이, 처음부터 수상한 외모나 기이한 행동의 캐릭터에는 동양풍 이름이 많이 붙여지는 등, 개발 스태프의 국제적인 균형 감각 부족이 드러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러한 것들이 일본 시장을 위한 커스터마이징 없이 그대로 일본판에 적용된 것도 한국 문화에 대한 고정관념적인 편견을 가진 계층에게 특히 비판을 받았다. 특히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문제아 NPC 중, 일본식 이름인 "암다"는 겸손하고 교활하며 약해 보이는 오컬트 오타쿠인 반면, 한국식 이름인 "수천"은 고압적이며, 스스로는 강하고 유능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무능한 간떨림인 데다가 바보 같은 행동으로 플레이어들을 휘두르는 문제아라는 설정은 혐한 서적의 묘사와 같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일들은 일본 국내에서 익명 게시판에서 부정적 여론 조성이나 비난이 펼쳐지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첫 번째 메이저 업데이트인 '2가키(2가っき)' 업데이트는 대실패였고, 본가 한국에서는 운영 자체를 종료했지만, 일본에서는 운영이 계속되었다. 하지만 이후 일본판에서도 대규모 업데이트나 새로운 요소 추가가 불가능해져 게임 내 과소화를 막을 수 없게 되어, 2007년 3월 29일, 3개 서버 체제를 폐지하고 "오르간 월드"를 신설, 1개 서버 체제로 운영이 전환되었다.

하지만 상황은 호전되지 않았고, 2010년 5월 14일, 일본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5. 수상 경력

2005년 8월 31일, 8월의 우수게임에 선정되었다.[7] 2005년 12월 16일에는 "2005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기술창작상의 캐릭터부문을 수상하였다.[8]

참조

[1] 웹사이트 Worst Games, Best Names from 1UP.com http://www.1up.com/d[...] Ziff Davis Publishing Holdings Inc. 2007-09-27
[2] 웹사이트 레드덕 신작 '퍼즐 요구르팅' 공개 http://www.zdnet.co.[...] CBS Interactive 2014-11-18
[3] 뉴스 타프시스템, 루시아드 홈페이지 오픈 http://www.gamespot.[...] 게임스팟 2003-01-22
[4] 뉴스 '요구르팅' 5월 10일, 오픈 베타테스트 전격 돌입! http://app.yonhapnew[...] 연합뉴스 2005-04-28
[5] 뉴스 '요구르팅' 일본서 정식서비스 개시 http://www.neowiz.co[...] 네오위즈 2007-11-24
[6] 뉴스 요구르팅, 2년 6개월만에 서비스 종료 http://www.gamemeca.[...] 게임메카 2007-01-23
[7] 뉴스 '요구르팅', 문광부 주최 8월의 우수게임 선정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05-08-31
[8] 뉴스 올해 최고의 게임에 "열혈강호" 선정 http://www.mct.go.kr[...] 문화관광부 2005-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