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컬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오컬트는 라틴어 'occulere'에서 파생된 용어로, 눈으로 보거나 만져서 느낄 수 없는 숨겨진 것을 의미한다. 오컬티즘은 오컬트 신앙, 신비학, 오컬트 연구를 포괄하며, 점성술, 연금술, 마술 등의 실천을 포함하는 오컬트 학을 의미하기도 한다. 19세기 프랑스 마법사 엘리파스 레비에 의해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신지학의 알프레드 퍼시 시넷에 의해 영어권에 도입되었다. 오컬트는 고대부터 존재해왔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오컬트 철학, 오컬트 제학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 현대에는 심령주의, 환상 문학과 함께 합리주의 철학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다. 오컬트는 과학과의 관계, 기독교와의 관계, 영적 실현 추구 등의 특징을 가지며,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컬트 - 프로파간다 두에
    프로파간다 두에는 1877년 이탈리아에서 설립된 프리메이슨 로지로서, 파시스트 정권의 금지 후 재건되어 냉전 시대 반공주의자 모임으로 변모했으나, 리치오 젤리 체포 후 드러난 회원 명단과 스캔들로 인해 비밀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
  • 오컬트 - 심령사진
    심령사진은 사진술로 촬영된 이미지 중 초자연적인 존재나 현상이 담겼다고 주장되지만, 사기 행위, 기술적 오류, 시뮬라크라 현상 등으로 진위 논란이 끊이지 않는 사진이다.
  • 밀교 - 연금술
    연금술은 아랍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이집트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금속 변환 및 불로장생 추구와 정신적 성장을 목표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에서 발전해 온 학문으로, 현대 화학 발전과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 밀교 - 흑태양
    흑태양은 12개의 시그 룬으로 이루어진 검은 원반 형태의 상징으로, 나치 친위대의 중심지였던 베벨스부르크 성의 모자이크에서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신나치, 극우,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상징으로 사용되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오컬트
개요
정의숨겨진 지식 또는 초자연적인 지식에 대한 연구
관련 용어비술, 심령술
어원라틴어 "occultus" (숨겨진, 비밀스러운)
분야
주요 분야점성술
연금술
마법
강령술
역사
기원고대 문명 (이집트, 그리스, 로마 등)
중세 시대연금술, 점성술 발전
르네상스 시대신플라톤주의 부활, 헤르메스주의 영향
근대 시대신지학 협회, 황금 새벽회 등 비밀 결사 등장
사상적 기반
주요 사상영지주의
헤르메스주의
신플라톤주의
카발라
관련 인물
주요 인물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파라켈수스
엘리파스 레비
헬레나 블라바츠키
알레이스터 크롤리
대중 문화
영향문학
영화
음악
게임
참고 자료
관련 서적비밀스러운 가르침 (만리 P. 홀)
오컬트 철학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고대 지혜의 교리 (헬레나 블라바츠키)
관련 정보
관련 항목심령 현상
미스터리
초자연
종교
신화
언어별 명칭
영어Occult
프랑스어Occultisme
독일어Okkultismus
일본어オカルト (Okaruto)

2. 어원 및 정의

오컬트(Occult)는 occulerela의 과거 분사 occultala(숨겨진 것)를 어원으로 하며, 눈으로 보거나 만져서 느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오컬티즘(Occultism)은 오컬트의 파생어로, 오컬트 신앙, 신비학, 오컬트 연구를 의미한다.[3]

'오컬트'는 "초자연 현상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며, "측정 가능한 것에 대한 지식"(일반적으로 과학)과 대조된다. '에소테릭'과 '비전'이라는 용어도 오컬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6세기에는 점성술, 연금술, 자연 마법을 ''오컬트 과학''이라고 불렀다.[4]

''오컬티즘''(occultism)이라는 용어는 1842년 프랑스어 ''l'occultisme''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사제와 귀족에 대항하는 정치적 "오컬트의 시스템"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3] 1853년 프리메이슨 작가 장-마리 라공은 ''Maçonnerie occulte''에서 ''occultisme''를 르네상스 이후 "오컬트 과학" 또는 "오컬트 철학"이라고 불린 이전 관행 및 샤를 푸리에의 사회주의적 가르침과 연관시켰다.

엘리파스 레비는 "오컬티즘"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했다.


프랑스 비밀주의자 엘리파스 레비는 의례 마법에 관한 저서 ''고등 마법의 교리와 의례''(1856년 초판)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앙투안 파브르에 따르면, 엘리파스 레비는 "유럽과 미국에서 비밀주의의 주요 대변인"이었다.[4] ''오컬티즘''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엘리파스 레비와 파푸스와 관련된 다양한 프랑스 비밀 단체와 연관되어 등장했다. 영어에서 ''occultism''의 초기 사용례는 1875년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논문에서 발견된다.[4]

20세기 작가들은 ''오컬티즘''을 다양하게 사용했다.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오컬티즘 반대 논제"에서 이 용어를 비합리성의 광범위한 동의어로 사용했다. 로베르 아마두는 1950년 저서 ''L'occultisme''에서 이 용어를 비밀주의의 동의어로 사용했다. 반면, 다른 작가들은 오컬티즘과 비밀주의를 다르지만 관련된 현상으로 보았다. 1970년대 사회학자 에드워드 A. 티리키안은 오컬티즘을 관행, 기술, 절차를 지칭하고, 비밀주의는 그러한 관행의 기반이 되는 종교적 또는 철학적 신념 체계로 정의하여 구분했지만, 대부분의 비밀주의 연구자들은 이 구분을 거부했다.[4]

21세기에는 오컬티즘이 일반적으로 19세기 중반에 발전한 다양한 비밀주의 경향과 그 후계자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영매주의, 신지학, 인지학, 황금 새벽단, 뉴에이지와 같은 비밀 전통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전통주의 작가 르네 게농은 비밀주의와 오컬티즘을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나, 바우터 하네그라프는 게농의 이러한 용어 사용이 그의 전통주의적 신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학문적으로 유효하지 않다고 지적했다.[3]

바우터 하네그라프는 ''오컬트''와 ''오컬티즘''의 의미를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컬티즘이 동질적인 운동이 아니며 매우 다양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현대적인 사용법에서 오컬티즘은 일반적으로 19세기에 발전한 서양 비밀주의 형태와 20세기의 파생물을 지칭한다고 설명했다.

1990년대 중반, 바우터 하네그라프는 "오컬트"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했다. 그는 "종교 연구의 범주로서, 비전주의자들이 환멸된 세상에 적응하려는 모든 시도, 또는 그 반대로 일반 사람들이 환멸된 세속적 관점에서 비전주의를 이해하려는 모든 시도를 포함한다"는 정의를 고안했다. 이 정의에서 오컬트는 심령주의, 신지학, 황금여명회, 뉴에이지 등을 포함한다.

2. 1. 용어의 기원

라틴어 ''occultus''(숨겨진, 비밀의, 은밀한)에서 유래한 오컬트(occult)는 "초자연 현상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며, "측정 가능한 것에 대한 지식"을 뜻하는 과학과 대조된다.[3] occult sciences영어(오컬트 학)는 16세기에 점성술, 연금술, 자연 마법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4]

''오컬티즘''(occultism)이라는 용어는 1842년 프랑스어 ''l'occultisme''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사제와 귀족에 대항하는 정치적 "오컬트의 시스템"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4] 1853년 프리메이슨 작가 장-마리 라공은 ''Maçonnerie occulte''에서 ''occultisme''를 샤를 푸리에의 사회주의적 가르침과 연관시켰다. 이후 프랑스 비밀주의자 엘리파스 레비가 1856년 출판된 ''고등 마법의 교리와 의례''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엘리파스 레비는 "유럽과 미국에서 비밀주의의 주요 대변인"이었다.[4][5]

영어에서 ''occultism''이라는 용어는 1875년 신지학 창시자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논문에서 처음 발견된다.[4][5]

2. 2. 오컬트 과학

16세기에 오컬트 과학이라는 개념이 발전했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점성술, 연금술, 자연 마법을 포함하지만, 때로는 다양한 형태의 점술이 자연 마법에 포함되기보다는 별도로 포함되기도 했다. 헤르메스주의 학자 바우터 하네그래프에 따르면, 이들은 "오컬트적인 성질, 덕, 또는 힘에 대한 믿음에 크게 의존하는 이론적 틀 안에서 자연과 자연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함께 묶였다.[3] 이러한 오컬트 과학들은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지만, 별개였으며 어떤 경우에는 한 분야의 실천가가 다른 분야를 부당하다고 거부하기도 했다.

계몽주의 시대 동안, 오컬티즘은 과학과 본질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 이후로, "오컬트 과학"의 사용은 주류 과학에 대한 의식적인 논쟁을 암시했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자이자 카드 게임 역사가인 마이클 덤멧은 "미래를 밝히거나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할 가능성을 믿는 사람들은, 그들이 사용하는 방법의 효능이 그들이 생각하는 우주의 작동 방식에 대한 어떤 체계적인 개념과 일치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며, 그 경험적 근거가 아무리 빈약하더라도,"라는 이유로 "오컬트 과학"이라는 용어가 부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3]

인류학자 에드워드 타일러는 1871년 저서 『원시 문화』에서 "오컬트 과학"이라는 용어를 마법의 동의어로 사용했다.[3]

2. 3. 비밀주의(에소테리즘)와의 관계

라틴어 'occultus'에서 유래한 오컬트(occult)는 '숨겨진', '비밀의', '은밀한'의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인 용법에서 '오컬트'는 "초자연 현상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며, 이는 "측정 가능한 것에 대한 지식"(일반적으로 과학)과 대조된다. '에소테릭'과 '비전'이라는 용어도 오컬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6세기에는 점성술, 연금술, 자연 마법을 ''오컬트 과학''이라고 불렀다.

''오컬티즘''(occultism)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l'occultisme''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42년 ''Dictionnaire des mots nouveaux''(새로운 단어 사전)에 게재된 A. 드 레스트랑지의 논문에 이 형태가 등장한다. 그러나 당시에는 ''Ésotérisme chrétien''(기독교 비밀주의) 개념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 사제와 귀족에 대항하는 정치적 "오컬트의 시스템"을 묘사하기 위한 것이었다.[3]

1853년, 프리메이슨 작가 장-마리 라공은 ''Maçonnerie occulte''에서 ''occultisme''를 르네상스 이후 "오컬트 과학" 또는 "오컬트 철학"이라고 불린 이전 관행 및 샤를 푸리에의 사회주의적 가르침과 연관시켰다. 프랑스 비밀주의자 엘리파스 레비는 의례 마법에 관한 저서 ''고등 마법의 교리와 의례''(1856년 초판)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 레비는 고대 오컬트 과학 또는 오컬트 철학의 대표자라고 주장했다. ''occultisme''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된 것은 그의 용법에서 비롯되었으며, 앙투안 파브르에 따르면 레비는 "유럽과 미국에서 비밀주의의 주요 대변인"이었다.[4] ''오컬티즘''은 19세기 프랑스에서 엘리파스 레비와 파푸스와 관련된 다양한 프랑스 비밀 단체와 연관되어 등장했다.

영어에서 ''occultism''의 초기 사용례는 1875년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논문 "몇 가지 질문, '히라프'에게"에서 발견된다. 이 논문은 미국의 영매 잡지 ''Spiritual Scientist''에 게재되었다.[4]

20세기 작가들은 ''오컬티즘''을 다양하게 사용했다. 테오도어 아도르노는 "오컬티즘 반대 논제"에서 이 용어를 비합리성의 광범위한 동의어로 사용했다. 로베르 아마두는 1950년 저서 ''L'occultisme''에서 이 용어를 비밀주의의 동의어로 사용했다. 반면, 다른 작가들은 오컬티즘과 비밀주의를 다르지만 관련된 현상으로 보았다. 1970년대 사회학자 에드워드 A. 티리키안은 오컬티즘을 관행, 기술, 절차를 지칭하고, 비밀주의는 그러한 관행의 기반이 되는 종교적 또는 철학적 신념 체계로 정의하여 구분했다. 이 구분은 앙투안 파브르가 채택했다가 나중에 포기했고, 대부분의 비밀주의 연구자들은 이 구분을 거부했다.[4]

21세기에는 이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비밀주의 학자들을 포함하여 19세기 중반에 발전한 다양한 비밀주의 경향과 그 후계자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따라서 오컬티즘은 일반적으로 영매주의, 신지학, 인지학, 황금 새벽단, 뉴에이지와 같은 비밀 전통을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전통주의 작가 르네 게농은 비밀주의를 대부분 종교의 핵심에 있는 전통주의, 내면의 가르침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고, 오컬티즘은 영매주의, 신지학, 다양한 비밀 결사와 같은 새로운 종교와 운동을 비하하는 데 사용했다. 게농의 이러한 용어 사용은 세르주 위탱과 뤽 브누아와 같은 후기 작가들이 채택했다. 바우터 하네그라프는 게농의 이러한 용어 사용이 그의 전통주의적 신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학문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지적했다.[3]

''오컬티즘''은 ''오컬트''에서, ''비밀주의''는 ''에소테릭''에서 파생되었다. 그러나 비밀주의 역사가 바우터 하네그라프는 ''오컬트''와 ''오컬티즘''의 의미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오컬티즘은 동질적인 운동이 아니며 매우 다양하다.

현대적인 사용법에서 오컬티즘은 일반적으로 19세기에 발전한 서양 비밀주의 형태와 20세기의 파생물을 지칭한다. 기술적인 의미에서, 특히 신-마르티니스트 환경에서 19세기 프랑스에서 발전한 비밀주의의 형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비밀주의 역사가 앙투안 파브르에 따르면, "오컬트주의적 경향이 제대로 나타난" 것은 엘리파스 레비부터이다. 오컬티즘 발전에 관련된 다른 주요 프랑스 비밀주의자로는 파푸스, 스타니슬라스 드 구아이타, 조세핀 펠라당, 조르주-알베르 푸유 드 푸부르빌, 장 브리카드 등이 있다.

영어권 오컬티즘 발전에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헬레나 블라바츠키와 신지학 협회 관련 인물들, 윌리엄 윈 웨스트코트와 새뮤얼 리델 맥그리거 매더스 등 헤르메스 황금 여명회 고위 인물들, 파스칼 베벌리 랜돌프, 엠마 하딩 브리튼,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 20세기 초 앨리스터 크로울리, 다이온 포춘, 이스라엘 레가르디 등이 있다. 19세기 말까지 오컬트 사상은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 왕국 등 유럽의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되었다.

오컬티즘은 이전 형태의 비전주의와는 달리 "과학적 진보 또는 근대성"을 반드시 거부하지는 않는다. 레비는 과학과 종교 사이의 갈등을 해결할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마법에서 발견되는 고대 지혜로 전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고 믿었다. 앙투안 파브르는 오컬티스트들이 "과학주의의 승리"를 완전히 받아들이기보다는 "대안적 해결책"을 찾고, "과학적 진보 또는 근대성"을 "물질주의의 공허함을 더 분명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포괄적인 비전"과 통합하려고 노력했다고 언급했다. 바우터 하네그라프는 오컬티즘이 "본질적으로" "탈마법화된 세계"에 비전주의를 적응시키려는 시도라고 언급했다. 니콜라스 구드리크-클라크에 따르면, 오컬트 단체들은 일반적으로 "과학적 시험이나 용어를 이용하여 증거와 시연"을 추구한다.

오컬티스트의 또 다른 특징은 이전의 비전주의자들과 달리, 그들이 종종 공개적으로 기독교로부터 거리를 두었고, 어떤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반기독교적 입장을 취하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이는 세속화의 영향이 유럽 사회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반영한다. 기독교를 거부하면서 때로는 기독교 이전의 신념 체계로 돌아가 현대 이교주의의 형태를 받아들였으며, 다른 이들은 힌두교불교와 같은 아시아 종교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오컬티스트들의 또 다른 특징은 "개인의 영적 실현"에 대한 강조였으며, 이는 20세기의 뉴에이지와 인간 잠재력 운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1990년대 중반, 바우터 하네그라프에 의해 "오컬트"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제시되었다. 하네그라프에 따르면, "오컬트"라는 용어는 19세기의 집단뿐만 아니라 "그들이 대표하는 유형의 비전주의"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학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오컬트"라는 용어를 정의하기 위해 하네그라프는 "에틱 범주"로서 "종교 연구의 범주로서, 비전주의자들이 환멸된 세상에 적응하려는 모든 시도, 또는 그 반대로 일반 사람들이 환멸된 세속적 관점에서 비전주의를 이해하려는 모든 시도를 포함한다"는 정의를 고안했다.

이 정의에서 오컬트는 19세기 중반 이후 발전해 온 많은 비전주의적 흐름을 포괄하며, 여기에는 심령주의, 신지학, 황금여명회, 뉴에이지 등이 포함된다. "오컬트"에 대한 이러한 에틱적 이해를 사용하여 하네그라프는 임마누엘 스베덴보리와 18세기의 최면술 운동에서 그 발전을 보기 시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오컬트는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발전한 운동인 심령주의로 "완전히 발전된 형태"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마르코 파시는 하네그라프의 정의를 사용하면 19세기의 비전주의자 집단을 더 넓은 범주의 비전주의자들의 한 부분으로 제시하여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줄리안 스트루베는 레비와 현재 비전주의자로 여겨지는 다른 동시대 저자들이 처음부터 비전주의적 전통을 배경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킨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오히려 레비의 오컬트 개념은 매우 영향력 있는 급진적 사회주의 운동과 광범위한 진보적, 소위 신-가톨릭적 아이디어의 맥락에서 나타났다. 이는 하네그라프의 오컬트 특징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데, 19세기 내내 이러한 특징들이 비전주의자들의 집단이 아닌 이러한 개혁 운동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3. 역사

16세기에는 오컬트 과학이라는 개념이 발전했는데, 이 용어는 점성술, 연금술, 자연 마법을 포함했으며, 때로는 다양한 형태의 점술이 포함되기도 했다.[4] 헤르메스주의 학자 바우터 하네그래프에 따르면, 이들은 "오컬트적인 성질, 덕, 또는 힘에 대한 믿음에 크게 의존하는 이론적 틀 안에서 자연과 자연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탐구를 수행"했다.[4] 이러한 오컬트 과학들은 중복되는 부분이 있었지만, 별개였으며 어떤 경우에는 한 분야의 실천가가 다른 분야를 부당하다고 거부하기도 했다.

계몽주의 시대에 오컬티즘은 과학과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오컬트 과학"이라는 용어는 주류 과학에 대한 의식적인 논쟁을 암시했다. 철학자 마이클 덤멧은 점술과 카드를 이용한 오컬트적 해석이 18세기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오컬트 과학"이라는 용어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인류학자 에드워드 타일러는 1871년 저서 『원시 문화』에서 "오컬트 과학"이라는 용어를 마법의 동의어로 사용했다.

오컬트(Occult)는 occulerela의 과거 분사 occultala(숨겨진 것)를 어원으로 하며, 눈으로 보거나 만져서 느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오컬티즘(Occultism)은 오컬트 신앙, 신비학, 오컬트 연구를 의미한다.[3]

앙투안 페브르에 따르면, 'occultisme'라는 단어는 19세기 프랑스 마법사 엘리파스 레비가 처음 사용했다.[4][5] 영어 형태인 '오컬티즘'은 신지학의 알프레드 퍼시 시넷에 의해 1880년대에 영어권에 도입되었다.[4]

오컬트의 근대적인 형태는 산업 혁명과 자연 과학의 진전 시대에, 심령주의와 환상 문학과 함께, 근대 서구의 합리주의 철학이나 실증주의 풍조에 대한 대안적인 사조로 등장했다고 평가되지만, 기본적으로 그 이전의 다양한 오컬트의 연장선상에서 다발한 여러 조류이며, 하나의 통일된 사상 운동이었던 것은 아니다.[6]

19세기 서양에서는 최면술이나 동물 자기 연구가 의학자와 물리학자에 의해 실천되었다. 역사적으로 과학과 오컬트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7] 근현대의 오컬트는 자연 과학과는 상반되지만, 자연 과학의 성과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영성 진화론, 양자 신비주의 등)

3. 1. 고대 및 르네상스 시대

엘리파스 레비는 1850년대에 "오컬티즘"이라는 용어를 대중화한 프랑스인이다. 그는 전통적인 비전적 사상을 재해석하여 "소위 오컬트적 조류"의 기원으로 불리기도 한다.[1]

오컬티즘은 이전의 비전주의와는 달리 "과학적 진보 또는 근대성"을 반드시 거부하지는 않는다.[2] 레비는 과학과 종교 사이의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마법에서 발견되는 고대 지혜로 돌아감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3] 서양 비전주의의 프랑스 학자 앙투안 파브르는 오컬티스트들이 "과학주의의 승리"를 완전히 받아들이기보다는 "대안적 해결책"을 찾고, "과학적 진보 또는 근대성"을 "물질주의의 공허함을 더 분명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포괄적인 비전"과 통합하려고 노력했다고 언급했다.[4]

헤르메스주의의 네덜란드 학자 와우터 하네그래프는 오컬티즘이 "본질적으로" "탈마법화된 세계"에 비전주의를 적응시키려는 시도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증가하는 과학적 발견이 이전에 존재했던 "환원 불가능한 신비의 차원"을 제거한 탈계몽주의 사회를 의미한다. 그렇게 하면서 오컬티즘은 "마법에 걸린" 세계를 전제로 받아들인 "전통적인 비전주의"로부터 거리를 두었다.[5] 서양 비전주의의 영국 역사가 니콜라스 구드리크-클라크에 따르면, 오컬트 단체들은 일반적으로 "과학적 시험이나 용어를 이용하여 증거와 시연"을 추구한다.[6]

오컬티스트들은 종종 공개적으로 기독교로부터 거리를 두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반기독교적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7] 이는 세속화의 영향이 유럽 사회의 모든 분야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반영한다.[8] 기독교를 거부하면서, 어떤 오컬티스트들은 기독교 이전의 신념 체계로 돌아가 현대 이교주의의 형태를 받아들였으며, 다른 이들은 힌두교불교와 같은 아시아의 종교에서 영향을 받았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가지 모두를 시도하기도 했다.[9]

이러한 오컬티스트들은 "개인의 영적 실현"을 강조하였으며, 이는 20세기의 뉴에이지와 인간 잠재력 운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적 실현은 연금술과 의례 마법과 같은 전통적인 서양 '오컬트 과학'을 통해 장려되었을 뿐만 아니라, 20세기 초부터는 요가와 같은 비서양적 맥락에서 끌어온 관행들을 포함하기 시작했다.

3. 2. 근대 서양

산업 혁명과 자연 과학의 진전 시대에, 근대 서구의 합리주의 철학이나 실증주의 풍조에 대한 대안적인 사조로 심령주의와 함께 오컬트의 근대적인 형태가 등장했다고 평가받는다.[6] 하지만, 이는 이전의 다양한 오컬트의 연장선상에서 다발적으로 나타난 여러 조류이며, 하나의 통일된 사상 운동은 아니었다.[6]

19세기 서양에서는 현대에 오컬트로 여겨지는 최면술이나 동물 자기 연구가, 의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무언가를 추구하는 과학으로서 의학자와 물리학자에 의해 실천되었다. 역사적으로 과학과 오컬트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7] 근현대의 오컬트는 자연 과학과는 상반되지만, 자연 과학의 성과를 수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영성 진화론, 양자 신비주의 등)

4. 주요 특징

오컬트(occult)는 라틴어 ''occultus''에서 유래했으며, '숨겨진', '비밀의', '은밀한'의 의미를 갖는다.[3] 일반적인 용법에서 ''오컬트''는 "초자연 현상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과학이라고 불리는 "측정 가능한 것에 대한 지식"과 대조된다.[4] ''에소테릭''과 ''비전''이라는 용어도 오컬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5] 16세기에 점성술, 연금술, 자연 마법을 지칭하는 데 ''오컬트 과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오컬티즘''(occultism)이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l'occultisme''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53년 프리메이슨 작가 장-마리 라공은 ''occultisme''를 르네상스 이후 "오컬트 과학" 또는 "오컬트 철학"이라 불린 이전 관행 및 샤를 푸리에의 최근 사회주의적 가르침과 연관시켰다.[5] 1856년 프랑스 비밀주의자 엘리파스 레비는 의례 마법에 관한 저서 ''고등 마법의 교리와 의례''에서 이 용어를 사용했다.[6]

영어에서 ''occultism''이라는 용어는 1875년 신지학 창시자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6]

오컬트적 특성은 알려진 합리적인 설명이 없는 속성이다. 예를 들어 중세 시대에는 자성이 오컬트적 특성으로 여겨졌다.[7] 에테르도 그러한 요소 중 하나였다.[8] 뉴턴의 동시대인들은 중력 작용이 "원격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그의 이론을 오컬트적인 것으로 비판했다.[9]

오컬티즘은 이전 형태의 비전주의와 구별되지만, 많은 오컬티스트는 더 오래된 비전적 조류에도 참여했다. 예를 들어, 와 루돌프 슈타이너 같은 오컬티스트는 기독교 신지학자였으며, 야코프 뵈메의 사상을 지지하고 뵈메주의 신지학과 오컬티즘 사상을 통합하려 했다. 그러나 이러한 신지학 협회로부터의 거리는 19세기 말 비전주의자들 사이의 논쟁적인 정체성 형성 관점에서 이해해야 한다.

4. 1. 과학과의 관계

오컬티즘은 이전 형태의 비전주의와는 달리 "과학적 진보 또는 근대성"을 반드시 거부하지는 않는다.[4] 엘리파스 레비는 과학과 종교 사이의 갈등을 해결할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마법에서 발견되는 고대 지혜로 전환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고 믿었다. 서양 비전주의의 프랑스 학자 앙투안 파브르(Antoine Faivre)는 오컬티스트들이 "과학주의의 승리"를 완전히 받아들이기보다는 "대안적 해결책"을 찾고, "과학적 진보 또는 근대성"을 "물질주의의 공허함을 더 분명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포괄적인 비전"과 통합하려고 노력했다고 언급했다.[4] 헤르메스주의의 네덜란드 학자 보터 하네라프(Wouter Hanegraaff)는 오컬티즘이 "본질적으로" "탈마법화된 세계"에 비전주의를 적응시키려는 시도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증가하는 과학적 발견이 이전에 존재했던 "환원 불가능한 신비의 차원"을 제거한 탈계몽주의 사회를 의미한다. 그는 그렇게 하면서 오컬티즘은 "마법에 걸린" 세계를 전제로 받아들인 "전통적인 비전주의"로부터 거리를 두었다고 언급했다. 서양 비전주의의 영국 역사가 니콜라스 구드리크-클라크(Nicholas Goodrick-Clarke)에 따르면, 오컬트 단체들은 일반적으로 "과학적 시험이나 용어를 이용하여 증거와 시연"을 추구한다.[6]

독일 종교 역사가 줄리안 스트루베(Julian Strube)는 레비에 관한 저서에서 종교, 과학, 철학의 "통합"을 위한 오컬티스트들의 바람은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와 펠리시테 드 라 메네(Félicité de La Mennais)의 진보적 가톨릭주의의 맥락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정신주의와 마찬가지로, 그러나 그것에 대한 명시적인 반대 속에서 오컬티즘의 등장은 급진적인 사회 개혁의 맥락에서 보아야 하는데, 이는 종종 "진정한 종교"의 고대 전통의 부흥을 전파하는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과학적 종교"를 확립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19세기의 서양에서는 현대에 오컬트의 범주로 여겨지는 "최면술"이나 "동물 자기"의 연구가 개체로서의 의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무언가를 요구하는 과학으로서 의학자나 물리학자에 의해 실천되어 왔다. 역사적으로 보면 과학과 오컬트의 경계선은 명확한 것이 아니다.[7] 합리적인 이성으로 만물을 이해하려는 근현대의 자연 과학과는 상반되지만, 근현대의 오컬트는 근현대의 것이기 때문에 자연 과학의 성과를 받아들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영성 진화론, 양자 신비주의(Quantum mysticism) 등)

4. 2. 기독교와의 관계

오컬티스트들은 종종 기독교로부터 공개적으로 거리를 두었으며, 일부(예: 앨리스터 크로울리)는 명시적으로 반기독교적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5] 이는 세속화의 영향이 유럽 사회 전반에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5] 기독교를 거부한 오컬티스트들은 때로는 기독교 이전의 신앙 체계로 돌아가 현대 이교주의의 형태를 받아들였고, 다른 이들은 힌두교불교와 같은 아시아 종교의 영향을 받았다. 어떤 경우에는 두 가지 모두를 택하기도 했다.[5]

4. 3. 영적 실현 추구

오컬티즘은 개인의 영적 실현을 강조하며, 이는 20세기 뉴에이지와 인간 잠재력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3] 이러한 영적 실현은 연금술과 의례 마법 같은 전통적인 서양 '오컬트 과학'뿐만 아니라, 20세기 초부터는 요가와 같이 비서양적 맥락에서 가져온 수행법도 포함한다.[3]

5. 현대적 응용

"오컬트"라는 용어는 형용사를 명사화하여 사용되기도 하는데, 특히 언론인과 사회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된다.[1] 콜린 윌슨의 1971년 저서 ''오컬트''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1] 종교나 과학 범주에 쉽게 들어맞지 않는 광범위한 신념과 관행을 담는 "지적 쓰레기통"으로 사용되어 왔다.[1] 하네그라프에 따르면, "오컬트"는 "영이나 요정에서 초심리학적 실험, UFO 납치에서 동양 신비주의, 뱀파이어 전설에서 채널링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념을 담는 범주이다.[1]

최근 학자들은 오컬트가 미디어 및 기술과 얽혀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제프리 스콘스와 존 더럼 피터스는 오컬트 운동이 역사적으로 미디어와 장치를 숨겨진 현실이나 자연 법칙을 드러내는 도구로 활용한다고 주장한다.:21ff:188ff 에릭 데이비스는 《테크노시스》에서 사이버네틱스와 정보 기술 관점에서 고대와 현대 오컬티즘을 설명한다. 유진 태커는 《이 행성의 먼지 속에서》에서 헨리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의 《오컬트 철학 삼서》를 논하며, 공포 장르가 숨겨진 현실을 드러내기 위해 오컬트적 주제를 활용하는지 보여준다.:49–97

5. 1. 대중문화

"오컬트"라는 용어는 형용사를 명사화하여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특히 언론인과 사회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다.[1] 이 용어는 콜린 윌슨의 1971년 저서 ''오컬트''의 출판으로 대중화되었다.[1] 종교나 과학의 범주에 쉽게 들어맞지 않는 광범위한 신념과 관행을 담는 "지적 쓰레기통"으로 사용되어 왔다.[1] 하네그라프에 따르면, "오컬트"는 "영이나 요정에서 초심리학적 실험, UFO 납치에서 동양 신비주의, 뱀파이어 전설에서 채널링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념을 담는 범주이다.[1]

5. 2. 오컬처(Occulture)

"오컬트"라는 용어는 형용사를 명사화하여 "오컬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특히 언론인과 사회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콜린 윌슨의 1971년 저서 ''오컬트''의 출판으로 대중화되었다. 이 용어는 종교나 과학의 범주에 쉽게 들어맞지 않는 광범위한 신념과 관행을 담는 "지적 쓰레기통"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네그라프에 따르면, "오컬트"는 "영이나 요정에서 초심리학적 실험, UFO 납치에서 동양 신비주의, 뱀파이어 전설에서 채널링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신념을 담는 범주이다.

후기 20세기 인더스트리얼 음악 씬에서 사용된 신조어 ''오컬처''는 이 분야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인 음악가이자 오컬티스트인 제네시스 포리지가 처음 만들어냈을 가능성이 높다. 종교학자 크리스토퍼 파트리지는 오컬처를 학문적 의미로 사용하며 오컬처는 "서구의 새로운 영적 환경, 새로운 영적 샘을 공급하는 저수지, 새로운 영성이 자라는 토양"이라고 말했다.

5. 3. 기술과의 관계

최근 학자들은 오컬트가 미디어 및 기술과 얽혀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영화 및 미디어 이론가 제프리 스콘스(Jeffrey Sconce)와 종교학자 존 더럼 피터스(John Durham Peters)는 오컬트 운동이 역사적으로 미디어와 장치를 숨겨진 현실이나 자연의 법칙을 드러내는 도구로 활용한다고 주장한다.:21ff:188ff 에릭 데이비스(Erik Davis)는 그의 저서 《테크노시스》(Techgnosis)에서 사이버네틱스와 정보 기술의 관점에서 고대와 현대의 오컬티즘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철학자 유진 태커(Eugene Thacker)는 그의 저서 《이 행성의 먼지 속에서》(In The Dust Of This Planet)에서 헨리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Heinrich Cornelius Agrippa)의 《오컬트 철학 삼서(Three Books of Occult Philosophy)》를 논하며, 공포 장르가 숨겨진 현실을 드러내기 위해 오컬트적 주제를 활용하는지 보여준다.:49–97

6. 한국의 오컬트

일본에서 오컬트라는 용어는 번역 없이 그대로 사용되었는데, 일련종 주지 하세가와 쇼토쿠는 그 이유를 이 용어가 포괄하는 영역이 넓고 다양해서 번역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오컬트가 "괴기·이상"이라는 느낌으로 받아들여져 정착되었다고 말하며, 비교적·신비적 경향을 가진 동양의 종교나 초심리학처럼 어느 정도 체계적인 것부터, UFO, 아틀란티스 대륙, 무 대륙 등 공상 속의 초고대 문명이나 위사에 대한 관심까지 포함하는 애매하고 잡다한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고 한다.[8]

이러한 오컬트 관련 지식은 학습연구사의 어린이용 잡지에 게재되어 인기를 얻었고, 여기서 파생된 잡지 『무』를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9]

6. 1. 번역 및 수용

일본에서 오컬트라는 용어는 번역 없이 그대로 사용되는데, 일련종 주지 하세가와 쇼토쿠는 그 이유를 이 용어가 포괄하는 영역이 넓고 다양해서 번역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오컬트가 "괴기·이상"이라는 느낌으로 받아들여져 정착되었다고 말한다. 또한 비교적·신비적 경향을 가진 동양의 종교나 초심리학처럼 어느 정도 체계적인 것부터, UFO, 아틀란티스 대륙, 무 대륙 등 공상 속의 초고대 문명이나 위사에 대한 관심까지 포함하는 애매하고 잡다한 의미로 사용되게 되었다고 한다.[8]

이러한 오컬트 관련 지식은 학습연구사의 어린이용 잡지에 게재되어 인기를 얻었고, 여기서 파생된 잡지 『무』를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옴진리교 신자 중에는 『무』의 애독자가 많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종교학자 오타 토시히로는 옴진리교 역시 『무』가 시작한 현대 오컬트 붐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한다.[9]

6. 2. 오컬트 붐

일본에서는 이러한 지식에 대한 기사가 학습연구사의 어린이용 잡지에 게재되어 호평을 받았고, 여기에서 파생된 동사의 잡지 『무』를 통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무』는 옴진리교 신자들 사이에 애독자가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종교학자 오타 토시히로는 옴진리교가 『무』가 시작한 현대 오컬트 붐에서 발생했다고 주장한다.[9]

7. 학술 연구

오컬트는 오랫동안 학술 연구 영역으로 무시되어 왔고, 역사가들도 거의 다루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상황이 개선되고 있으며, 영국, 유럽(러시아 포함), 미국의 오컬트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영국의 오컬트 연구는 다음과 같다.[2]


  • 루스 브랜든, 《심령주의자들: 19세기 및 20세기의 오컬트에 대한 열정》(뉴욕, 1983년)
  • 다이애나 버필드, 〈신지학과 페미니즘: 19세기의 전기에서 몇 가지 탐구〉, 팻 홀든 편, 《여성의 종교적 경험》(런던, 1983년)
  • 자넷 오펜하임, 《저 너머의 세계: 1850년부터 1914년까지의 잉글랜드의 심령주의와 심령 연구》(케임브리지, 1985년)
  • 로지 배로, 《독립적인 정신: 심령주의와 영국 평민, 1850-1910년》(런던, 1986년)
  • 알렉스 오웬, 《어두운 방: 빅토리아 시대 후기 잉글랜드의 여성, 권력, 심령주의》(런던, 1989년. 필라델피아, 1990년)
  • 조이 딕슨, 《뉴에이지의 젠더, 정치, 문화: 잉글랜드의 신지학, 1880-1935년》(뉴저지 주립 대학교 러트거스, 1993년)[3]

참조

[1] 서적 小学館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典 小学館 2012-03-28
[2] 문서 日夏耿之介、齋藤磯雄の用いた訳語。
[3] 웹사이트 occult とは https://dictionary.g[...] 小学館 プログレッシブ英和中辞典
[4] 문서 アントワーヌ・フェーブル「オカルティズムとは何か」(『エリアーデ・オカルト事典』)
[5] 간행물 オカルト 弘文堂
[6] 서적 エゾテリスム思想 白水社
[7] 서적 オカルティズム 講談社
[8] 웹사이트 第79話 オカルトの意味するもの http://www.jtvan.co.[...] 日本テンプルヴァン 2024-07-15
[9] 뉴스 オウム真理教事件の真の犯人は「思想」だった https://synodos.jp/s[...] SYNODO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