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한 요제프 로슈미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요제프 로슈미트는 1821년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태어난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이다. 그는 벤젠의 고리형 구조를 처음으로 제안하고, 기체 운동론을 통해 공기 분자의 크기를 최초로 결정하여 로슈미트 상수를 계산했다. 로슈미트는 빈 공과대학에서 물리학과 화학 학위를 받았으며, 빈 대학교에서 물리화학 교수로 재직하며 루트비히 볼츠만의 스승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를로비바리 출신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카를 헤르만 프랑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나치 독일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주데텐란트의 독일 편입을 주장하고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에서 유대인과 반체제 인사 탄압 및 공포 정치를 주도했으며, 종전 후 전쟁 범죄로 처형되었다.
  • 카를로비바리 출신 - 토마시 보코운
    토마시 보코운은 체코 출신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골키퍼이며, NHL 올스타전에 출전하고, 체코 국가대표팀으로 여러 국제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600경기 이상을 소화했다.
  •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 볼프강 파울리
    오스트리아 출신 이론물리학자 볼프강 파울리는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 파울리 배타 원리 발견, 비상대론적 스핀 이론 공식화, 중성미자 존재 예측 등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융과의 협력으로 심리학과 물리학의 접점을 탐구하고 194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 에르빈 슈뢰딩거
    에르빈 슈뢰딩거는 파동역학 창시와 슈뢰딩거 방정식 유도로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한 오스트리아 이론물리학자로서, 노벨 물리학상 수상, '슈뢰딩거의 고양이' 사고 실험, 색채 과학 및 철학 연구, 『생명이란 무엇인가』 저술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나 사생활 논란도 있었다.
  • 물리화학자 - 길버트 뉴턴 루이스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열역학, 화학 결합, 산-염기 반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미국의 물리화학자이다.
  • 물리화학자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요한 요제프 로슈미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요한 요제프 로슈미트
원어 이름Johann Josef Loschmidt (독일어)
Josef Loshmidt (독일어)
출생1821년 3월 15일, 오스트리아 제국 카를스바트 (현재의 체코 카를로비바리)
사망1895년 7월 8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적오스트리아
분야화학, 물리
지도 교수요제프 슈테판
알려진 업적로슈미트 상수
로슈미트 패러독스
참고 자료
웹 인용Joseph Loschmidt: Structural formulae, 1861
화학식C=6, H=6
H=3, C=3, N=3
저널 인용Zur Grösse der Luftmoleküle
CODATA2006http://physics.nist.gov/cgi-bin/cuu/Value?n0

2. 생애

요한 요제프 로슈미트(Johann Josef Loschmidtde)는 1821년 오스트리아 제국 시기 카를로비바리(Karlsbad, 현재 체코) 근교 푸치른(Puchlern)의 가난한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달베르트 체코(Adalbert Tschechode) 신부의 도움으로 교육을 받아 수도원 학교와 프라하의 대학에서 공부하며 뛰어난 수학 실력을 키웠다. 이후 으로 옮겨 빈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공부했다. 졸업 후 여러 직업을 거치다 빈 대학교 교수가 되어 1891년까지 물리화학을 가르쳤으며, 루트비히 볼츠만과 같은 제자를 길러냈다. 66세에 오랜 동반자였던 카롤린 마이어(Karoline Mayerde)와 결혼하여 아들 요제프를 두었으나, 아들은 일찍 사망했다. 그의 가족 묘는 빈 중앙 묘지에 있다.

사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53년 플로리즈도르프(Floridsdorf)에 로슈미트가세(Loschmidgassede)가 명명되었고, 베를린 샬로텐부르크(Charlottenburg)에도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2010년에는 빈 대학교 화학 연구소의 대강당이 요제프 로슈미트 홀(Josef-Loschmidt-Hörsaalde)로 개칭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요한 요제프 로슈미트(Johann Josef Loschmidtde)는 오스트리아 제국 시기 카를로비바리(Karlsbad, 현재 체코 카를로비바리) 근교 푸치른(Puchlern)의 가난한 소작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안톤 로슈미트(Anton Loschmidt)는 재봉과 농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어린 시절, 아달베르트 체코(Adalbert Tschechode) 신부의 권유로 교육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1833년부터 1837년까지 슐라켄베르트(Schlackenwert, 현재 체코 오스트로프)에 있는 피아리스트 수도원에서 수학했다.

이후 프라하로 이주하여 1839년에는 프라하의 독일어권 대학에 진학했다. 이곳에서 철학 교수였던 프란츠 세라핀 엑스너(Franz Seraphin Exnerde)를 만났다. 엑스너 교수는 로슈미트에게 수학적 모델을 심리학 문제에 적용해 볼 것을 제안했다. 이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이 과정을 통해 로슈미트는 뛰어난 수학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1841년, 로슈미트는 으로 거처를 옮겼다. 그는 빈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공부했고, 1846년에 학위를 취득하며 학업을 마쳤다.

2. 2. 경력

1846년 공과대학에서 물리학과 화학을 전공하고 졸업했으나, 바로 과학 분야의 직업을 얻지는 못했다. 처음에는 제철소에서 근무했으며, 이후 에서 질산칼륨을 생산하는 회사를 직접 설립했다. 하지만 이 회사는 결국 파산했다. 1856년부터는 에 있는 한 중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하기 시작했다. 1866년에 빈 대학교에 자리를 얻게 되었고, 1868년에는 조교수로 임명되었다. 이후 1872년부터 은퇴하는 1891년까지 빈 대학교에서 물리화학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유명한 물리학자 루트비히 볼츠만의 스승이기도 했다.

2. 3. 결혼과 가족

66세 때, 로슈미트는 오랜 동거인이자 가정부였던 Karoline Mayer|카롤린 마이어de(1846년~1930년)와 결혼했다.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887년에 외아들 Josef|요제프de가 태어났다. 묘비명에는 "(우리의) 외아들"이라고 적혀 있으나, 아들은 아버지보다 먼저 1898년 유아기에 사망했다. 로슈미트 가족의 묘는 빈 중앙 묘지(구역 56B-2-23)에 있다. 가족 묘비에는 로슈미트 부부와 아들 외에 네 번째 인물로 "아들보다 2년 먼저 태어난 Karoline Mayer|카롤린 마이어de(1885년~1950년)"라는 이름도 새겨져 있다.

3. 업적

로슈미트열역학, 전기역학, 광학, 결정 형태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 걸쳐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1861년 벤젠의 고리 구조를 최초로 제안한 것을 들 수 있다. 같은 해 발간된 그의 저서 《화학 연구: 그래픽 표현에 의한 유기 화학의 헌법 공식》(Chemische Studien I: Constitutions-Formeln der organischen Chemie in graphischer Darstellungdeu)에서는 오늘날 사용되는 구조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분자 구조를 표현했다.

또한, 1865년에는 기체 분자 운동론을 적용하여 공기 분자의 크기를 처음으로 계산했으며, 이를 통해 로슈미트 상수를 결정했다.

3. 1. 벤젠 구조 제안

1861년, 로슈미트는 벤젠최초로 고리형 구조로 제안했다.[1] 같은 해 발행된 그의 저서 《화학 연구: 그래픽 표현에 의한 유기 화학의 헌법 공식》(Chemische Studien I: Constitutions-Formeln der organischen Chemie in graphischer Darstellungde)에서 그는 368개의 분자 구조를 제시했는데, 이 중 121개는 방향족 화합물이었다.[2] 로슈미트가 사용한 "헌법 공식"은 오늘날 사용되는 구조식처럼 이중 결합삼중 결합을 명확하게 선으로 표시했으며, 원자의 공간적 배열을 효과적으로 나타냈다.[2]

이 저서에는 오존과 시클로프로판의 구조도 포함되어 있었다.[2] 특히 시클로프로판은 이후 21년 뒤인 1882년에야 아우구스트 프로인트(August Freundde)에 의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2] 로슈미트는 페닐 고리(벤젠 고리)가 시클로프로판과 유사한 구조일 것이라고 언급하며 벤젠의 고리 구조를 인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했다.[2]

아우구스트 케쿨레가 1865년 벤젠의 고리 구조를 발표하기 전에 로슈미트의 연구를 접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일부 과학사학자들은 케쿨레가 로슈미트의 선구적인 연구, 특히 그의 "구성식"에서 벤젠 구조에 대한 중요한 영감을 얻었을 수 있다고 본다.[2]

3. 2. 로슈미트 상수 계산

1865년, 로슈미트는 기체 분자 운동론을 이용하여 공기 분자의 크기를 최초로 결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로슈미트 상수를 계산했다.

참조

[1] 문서 Kinetic theory of gases
[2] 서적 Chemische Studien https://books.google[...] Carl Gerold's Sohn 1861
[3] 웹사이트 Joseph Loschmidt: Structural formulae, 1861 http://www.ch.ic.ac.[...] 2008-09-28
[4] 서적 Pioneering Ideas for the Physical and Chemical Sciences https://www.springer[...] Springer
[5] 웹사이트 Famous chemistry firsts https://loschmidt.ch[...]
[6] 저널 Zur Grösse der Luftmoleküle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2022 CODATA Value: Loschmidt constant (273.15 K, 100 kPa) https://physics.nist[...] NIST 2024-05-18
[8] 문서 Piarist
[9] 서적 Chemische Studien http://books.google.[...] Carl Gerold's Sohn 1861
[10] 웹인용 Joseph Loschmidt: Structural formulae, 1861 http://www.ch.ic.ac.[...] 2008-09-28
[11] 저널 Zur Grösse der Luftmoleküle http://books.google.[...]
[12] 웹사이트 http://physics.ni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