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량카다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량카다이는 몽골 제국의 장군으로, 수부타이의 아들이자 젤메의 조카였다. 그는 몽골의 동유럽 원정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으며, 몽골-남송 전쟁에서 쿠빌라이 휘하에서 대리국을 정복하고 운남 지역의 지배권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1257년에는 베트남을 침공하여 하노이를 점령했으며, 이후 남송을 공격하기 위해 광서와 호남 지역으로 진격했다. 몽골 제국 황위 계승 전쟁에서는 쿠빌라이를 지지했으며, 1271년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우량카다이는 몽골 장군 수부타이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출신 부족인 우량카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 젤메의 조카였다.[5][6] 전설에 의하면 수부타이는 다뉴브 강가에서 아들 우량카다이가 죽기를 바랐다고 한다.[5]
1257년, 우량카다이는 남쪽으로 진군하여 쩐 왕조 대월국에 들어가(몽골의 베트남 침공), 다이라성(하노이)을 포위하여 쩐리의 군대를 무찌르고 복속시켰다. 쩐 왕조는 3년마다 공물을 바치기로 했다.[9]
2. 어린 시절과 유럽 원정
1233년 3월, 오고타이 치세에 요동 지방을 지배하던 대진국의 포선만누를 토벌하기 위해 구유크와 카치운 가문의 알치다이가 파견되었다. 우량카다이는 이 원정에서 구유크를 따라 포선만누의 군대를 격파하는 공을 세웠다.
2. 1. 유럽 원정 참여
우량카다이는 1241년 몽골의 동유럽 원정에서 공을 세웠다.[19][21] 장 피에르 아벨 레뮈사에 의하면, 우량카다이는 중국으로 보내지기 전에 몽골군 키에반 루스 침공, 몽골군 제1차 폴란드 침공, 몽골군 게르만 정복에 참가하였다고 한다.[21]
1236년에 시작된 바투의 서방 원정(몽골의 유럽 침략)에서 구유크와 아버지 수부타이 등과 함께 출정했다. 도중에 구유크는 원정군 총사령관 바투와 다툼이 있어 오고타이의 명령으로 몽골 본토로 소환되었지만, 우량카다이는 그 후에도 바투의 원정군에서 피아스트 왕조의 폴란드 왕국을 공격하는 등 동유럽에서의 작전에 종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3. 중국 및 베트남 원정
1259년, 우량카다이는 몽골군의 조직적인 공격의 일환으로 탕롱(하노이)을 떠나 광시 지역을 침략하여 남송을 공격했다. 이 공격은 몽케 칸 지휘하에 사천에서 공격하는 군대와 산둥과 허난에서 공격하는 다른 몽골군과 협공으로 이뤄졌다.[3][12]
1259년 11월 17일경, 쿠빌라이는 호북성의 예주(鄂州)를 포위 공격하던 중, 우량카다이의 군대가 탕롱에서 광시의 용주(永州)와 계림(桂林)을 거쳐 호남성의 담주(潭州)까지 진격했다는 보고를 받았다.[3] 이후 우량카다이의 군대는 북쪽으로 진격하여 양쯔강 북쪽 강둑에서 쿠빌라이의 군대와 합류했고, 두 군대는 1259년 8월 11일 몽케 칸이 조어성 전투에서 사망하면서 발생한 툴루이 왕위 계승 전쟁 때문에 북중국으로 돌아갔다.[3]
3. 1. 운남·티베트 침공
몽골군의 남송 침공 초기 단계에서 우량카다이는 3,000명의 몽골 기병을 이끌고 사천성(Sichuan)으로 진군했다.[16][2] 우량카다이는 쿠빌라이 칸(Kublai Khan)과 함께 중국 남서부의 대리국을 상대로 성공적인 전투를 수행했고, 쿠빌라이 칸이 북중국으로 돌아간 후 티베트(Tibet)의 여러 부족을 평정했다. 그 후 1257년 겨울에는 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쩐 왕조(Trần dynasty)의 다이비엣 왕국을 공격했다.[8][22] 우량카다이는 쿠빌라이 칸보다 훨씬 많은 군사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전투에서 귀중한 역할을 했다.[8][22]
1251년, 몽케가 4대 몽골 황제에 즉위하자 몽골-남송 전쟁의 일환으로 운남·대리 원정이 결정되었다. 남송 원정군 우익군의 대장으로 쿠빌라이가 임명되자, 우량카다이는 이 노장에게 배속되었다. 이듬해 1252년, 아들 아주(阿朮)와 함께 사천 방면으로 남하하여 금사강을 건너 대리국에 접근했다. 쿠빌라이의 우익군은 대리를 포위하여 항복을 받아내고, 대리국 왕 단흥지(段興智)를 포로로 잡았다(단흥지는 옛 영토를 보장받고, 관령으로서 마하라사에 봉해졌다). 운남성에 도원수가 설치되었고, 이 공적으로 우량카다이는 대원수가 되었다.
이때 쿠빌라이는 형이자 황제인 몽케와 전선 방침을 두고 대립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쿠빌라이는 남송 원정군 사령관에서 해임되고 본거지 상도(上都) 금련천으로 북환했지만, 우량카다이는 우익군의 지휘권을 위임받고, 후에 차가타이 칸국의 6대 당주가 되는 아비슈카, 카치운(カチウン)가의 차크라, 에질 등의 왕족들과 함께 그대로 운남 원정군에 남게 되었다. 우량카다이의 우익군은 그대로 남정한 후 북쪽으로 되돌아가 동방 삼왕가의 수반 템게 오치긴(テムゲ・オッチギン)가의 당주 타가찰(タガチャル)이 지휘하는 좌익군이 양양을 함락시키고, 악주에서 합류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3. 2. 베트남 침공
1257년 가을, 우량카다이는 쩐타이똥(陳太宗)에게 중국 화남으로 가는 길을 요구하는 서신을 세 통 보냈다.[23] 서신을 전달한 세 사신단이 잇달아 수도 탕롱(Thang Long)에 감금되자,[24] 우량카다이는 장군 트레첵두(Trechecdu)와 아주(Aju)와 함께 후방에서 침공하였다.[23] 베트남 사료에 따르면, 몽골군은 최소 3만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가운데 최소 2천 명은 대리국(大理國)에서 온 이족(彝族) 군대였다.[15] 서방 자료에서는 몽골군이 약 3천 명, 이족 군대가 1만 명이었다고 추정한다.[18] 1258년, 우량카다이는 탕롱을 함락시켰다.[22][25][17] 중국 문헌에는 우량카다이가 악천후로 점령 9일 만에 베트남에서 철군했다고 잘못 기록되어 있지만, 그의 군대는 1259년까지 떠나지 않았다.[25][17]
3. 3. 광서·호남 침공
1259년, 우량카다이는 탕롱을 떠나 남송을 공격, 오늘날 광서로 진격하였다. 그의 공격은 몽케 칸이 지휘하는 사천 진격군과 산동 및 하남 진격군과 협공으로 이뤄졌다.[17][26] 1259년 11월 17일경, 쿠빌라이는 호북 악주(鄂州)를 포위하는 가운데, 전령으로부터 우량카다이의 군대가 탕롱에서 광서 영주(永州, 오늘날 남녕)와 계림(桂林)을 경유하여 담주(潭州, 오늘날 장사)로 진군한다는 보고를 받았다.[17]
이후 우량카다이의 군대는 화북으로 돌아가고자 양쯔강 북쪽에 있었던 쿠빌라이에게 합류하고자 싸우면서 길을 뚫었다. 1259년 8월 11일, 두 군대는 몽케 칸의 사망으로 발생한 황위 경쟁으로 인해 조어성을 포위하다 화북으로 돌아갔다.[17]
안남(베트남)에서 북상하여 남송을 공격, 호남 방면에서 수도 임안을 위협할 기세였다. 동시에 몽케는 형제와 기타 왕족, 제후들과 함께 본군을 이끌고 사천에 진입하였고, 전선에 복귀한 쿠빌라이는 다가찰과 함께 중도 연경(燕京)에서 개봉으로 남하하여 악주를 공격할 계획이었다고 한다. 1259년 8월 18일, 몽케가 합주(合州, 현재 충칭시) 포위 중 조어산(釣魚山)에서 죽자, 운남의 몽케 본군은 북쪽으로 철수하기 시작했다.
우량카다이의 우익군은 남쪽에 고립되는 형세가 되어, 퇴로를 찾아 광서의 계림, 호남, 강서 각 도시를 공격하면서도 화남 방면을 헤매게 되었다. 9월 하순 쿠빌라이는 장강 북안까지 와서 몽케의 사망 소식을 접했다. 그러나 우량카다이 군을 회수하기 위해 장강을 건너 맞은편 악주를 포위했다. 3개월 동안 쿠빌라이는 이곳에 머물면서 남송 측과 가사도가 이끄는 부대와 휴전 협상을 벌였다.
이 사이에 우량카다이 군은 마침내 쿠빌라이 측과 연락이 닿게 되었으므로, 쿠빌라이는 몽케의 대리인으로서 남송 원정에 참가한 전군에 철수 명령을 내리고, 우량카다이 군과 합류하기 위해 부관이자 정비(正妃) 차부이의 조카인 바아틀을 전군(殿軍)으로 남겨두고, 12월 23일 이듬해 쿠릴타이 개최를 예상하며 악주를 떠나 장강을 건너 북쪽 상도 개평부 본거지로 급히 향했다. 그 후 우량카다이 군과 바아틀이 이끄는 군과 합류했지만, 1260년 3월 휴전 협정대로 양군이 배다리를 놓은 장강을 건너려던 중 가사도의 군대의 공격을 받았다. 피해는 경미했다.
4. 몽골 제국 황위 계승 전쟁
1248년 괴욱이 죽은 후, 괴욱의 첫 번째 황후 오굴가이미슈가 섭정 감국이 되어 자신의 아들을 차기 몽골 황제로 추대하기 위해 쿠릴타이 개최를 계획했으나, 우량카다이는 조치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왕족들과 함께 바투의 원정군에도 참가했던 툴루이의 장자 몽케의 추대를 주장하였다. 조치 가문과 툴루이 가문에 의해 몽케를 옹립하는 쿠릴타이가 열렸는데, 이에 오굴가이미슈의 사자가 반역을 의심하며 추궁하자, 우량카다이는 “이는 이미 쿠릴타이에서 결정된 사항이다”라고 주장하여 논박했다고 한다.
우량카다이와 바아투르의 군대는 쿠빌라이 즉위를 결정한 쿠릴타이로부터 약 4개월 후인 1260년 5월 상도 개평부에 도착했다. 같은 달, 카라코룸의 쿠릴타이에서 선출된 아리크부카가 카안에 즉위했다. 두 명의 카안이 병립하게 되면서 쿠빌라이와 아리크부카 사이에 황위 계승 전쟁이 발발했는데, 우량카다이는 쿠빌라이를 지지했다.
5. 만년
지원(至元) 6년(1271년)에 71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중통(中統) 3년(1262년) 산동의 한인(漢人) 군벌 이규(李璮)의 반란에는, 죠치 카살 가문의 왕족 카피치가 이끄는 토벌군의 후방 부대에 아들 아주를 파병하기도 했다.[1]
6. 가계
『원사』에는 곽곽대(闊闊帯)와 아술(阿朮)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 두 사람은 각각 『집사』의 쿠쿠추(كوكچو)와 아주(آجو)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집사』에 따르면, 수부타이가 직접 이끌었던 "천인대(千人隊, 민강(民干))"를 계승한 것은 코코추였다고 한다. 이 코코추는 『원사』에 기록되는 "도원수(都元帥) 코코테이"와 동일인물로 보이며, 이자겸(李璮)의 진압 직후 전사하였다.[13] 사후 그 지위는 그의 동생 아주에게 계승되었다.[14]
아주는 남송 원정의 부장급으로 활약하여 남송 평정에 큰 공을 세웠다.
- 천인대장 수부타이
- * '''대원수 우량카다이'''
- ** 도원수 코코추/코코테이
- ** 도원수·중서좌승상 아주
하남왕 부릴기테이
* 강절행성 평장정사 통통
참조
[1]
서적
Cuộc kháng chiến chống xâm lược Nguyên Mông thế kỉ XIII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2]
서적
Between winds and clouds: the making of Yunnan (second century BCE to twentieth century 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3]
저널
The deaths of two Khaghans: a comparison of events in 1242 and 1260
[4]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archive.org/[...]
[5]
서적
Genghis Khan and the Quest for God: How the World's Greatest Conqueror Gave Us Religious Freedom
Penguin
[6]
서적
Subotai the Valiant: Genghis Khan's Greatest General
https://books.google[...]
Praeger
[7]
서적
Nouveaus Mélanges Asiatiques
Schubart and Heidelhoff
[8]
서적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서적
Descending Dragon, Rising Tiger: A History of Vietnam
Reaktion Books
[10]
저널
Subutai Batar: The General of the Khan
2020
[11]
저널
Mongols in Vietnam: end of one era, beginning of another
[12]
서적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문서
『元史』巻5世祖本紀2
[14]
문서
堤1992
[15]
서적
Cuộc kháng chiến chống xâm lược Nguyên Mông thế kỉ XIII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
[16]
서적
Between winds and clouds: the making of Yunnan (second century BCE to twentieth century 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9
[17]
저널
The deaths of two Khaghans: a comparison of events in 1242 and 1260
[18]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archive.org/[...]
[19]
서적
Genghis Khan and the Quest for God: How the World's Greatest Conqueror Gave Us Religious Freedom
Penguin
[20]
서적
Subotai the Valiant: Genghis Khan's Greatest General
https://books.google[...]
Praeger
[21]
서적
Nouveaus Mélanges Asiatiques
Schubart and Heidelhoff
[22]
서적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서적
Descending Dragon, Rising Tiger: A History of Vietnam
Reaktion Books
[24]
저널
Subutai Batar: The General of the Khan
2020
[25]
저널
Mongols in Vietnam: end of one era, beginning of another
[26]
서적
Khubilai Khan: His Life and Tim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