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짜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원짜오는 중국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로, 1917년 칭화대학교에 입학하여 미국 유학 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화민국 시기 옌징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중일 전쟁 이후에는 일본에서 전후 문제 조사를 담당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베이징으로 돌아갔으나, 1957년 '우파'로 지목되어 하방되었다. 이후 중앙민족대학에 우원짜오 장학금이 설치되어 그의 공로를 기리고 있다. 그는 또한 량치차오의 제자인 장쥔마이의 '인생관' 강연에 참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사회학자 - 페이샤오퉁
페이샤오퉁은 중국 사회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로, 중국 농촌 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사회 관계가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한다는 개념을 제시했으며, 중국 사회학 및 인류학 재건과 중국 민족 정책에도 기여했다. - 중국의 사회학자 - 판광단
판광단은 중국의 사회학자, 우생학자, 교육자, 심리학 연구자이자 민주적 정치인으로서, 우생학 사상 대중화에 기여하고 가족 구조와 인종 개선에 대한 견해를 밝혔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박해를 받았다가 사후 명예 회복되었다. - 우시시 출신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 우시시 출신 - 예찬
원말명초의 은둔 화가이자 시인인 예찬은 부유한 지주 출신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혼란기에 유랑 생활을 하며 결벽증과 기행으로 유명하며, 독자적인 평원 산수 화풍인 "소산체"를 확립했다.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구성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구성원 - 자칭린
자칭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푸젠성 당서기, 베이징시 시장, 당서기를 거쳐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과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을 역임했으며 장쩌민의 측근으로 대만 정책을 담당하고 다당제에 반대하는 등 중국 공산당의 입장을 대변했다.
우원짜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01년 12월 20일 |
출생지 | 장쑤성 장인시, 청나라 |
사망일 | 1985년 9월 24일 |
사망지 | 베이징시, 중화인민공화국 |
직업 | 사회학자 |
배우자 | 빙신 |
자녀 | 우칭 (1937년생 정치인) |
모교 | 컬럼비아 대학교 |
2. 생애
우원짜오는 장쑤성 우시시에서 태어나 1917년 칭화대학교에 입학했다. 1923년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다트머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1929년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중화민국 베이핑으로 돌아와 문학 작가 빙신과 결혼했고, 사립 옌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1933년부터 학과 주임 및 법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1939년에는 윈난대학교에 사회학과를 설립했고, 1940년부터 충칭에서 국민 정부 국방 최고위원회 간사로 활동하며 중국의 문화 사회 전반과 소수 민족의 문화 양식을 연구했다. 중일 전쟁 이후 1946년에는 전후 문제 처리를 위한 조사위원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1949년, 장제스의 국민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동할 때, 우원짜오는 미국 대학 교수직 제안을 거절하고 한국 전쟁 초기에 빙신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중국 공산당 정권에 의해 옌징대학교와 칭화대학교 사회학과가 폐교된 후, 1953년부터 베이징 중앙민족학원 민속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57년 민속학 학제가 폐지되자 "우파"로 몰려 판광단, 우쩌린, 페이샤오퉁 등 다른 칭화대학교 출신 교수들과 함께 하방되었다.
1923년 2월 14일, 우원짜오는 칭화대학교가 장쥔마이를 '인생관(人生觀)' 주제의 특강 교수로 초빙하는 데 참여했다. 장쥔마이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인 한스 드리슈를 대동하고 톈진과 베이징을 순회 강연하던 량치차오의 제자였다. 장쥔마이의 강연은 칭화대학교의 미국 유학 준비생들을 대상으로 한 유명한 강연이었으며, 우원짜오의 미국 유학 동기생인 구위슈, 왕화청, 쑨리런 등도 함께 청취했다.
1996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중앙민족대학에 '우원짜오 장학금'을 설치하여 그의 사회 인류학적 공로를 기렸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우원짜오는 중국 장쑤성 우시시에서 태어났다. 1917년 칭화대학교에 입학하여 1923년 졸업 후 미국으로 유학하였다. 다트머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1929년 컬럼비아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중화민국 베이핑으로 귀국한 후 유명 문학 작가 빙신과 결혼하였다. 1929년부터 사립 옌징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교편을 잡았고, 1933년 이후 옌징대학교 사회학과 주임, 법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였다.2. 2. 중화민국 시기 활동
1929년 중화민국 베이핑에 귀국한 후 유명 문학 작가 빙신과 결혼하였다.[1] 같은 해 사립 옌징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교편을 잡았고, 1933년 이후 옌징대학교 사회학과 주임, 법학원 원장 등을 지냈다.[1] 1939년에는 윈난대학교에 건너가 사회학과를 세웠고, 1940년부터는 국민 정부의 전시 수도 충칭에서 국민 정부 국방 최고위원회 간사 직을 맡아 중국 문화 사회 전반과 중화민국의 소수 민족 문화 양식을 연구하였다.[1] 중일 전쟁 승전 이후인 1946년에는 전후 문제 처리를 위한 조사위원으로 일본 정부에 파견되어 머물렀다.[1]2. 3.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활동
1949년 장제스 위원장의 국민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동할 때, 우원짜오는 미국 대학 교수직 제안을 사절하고 한국 전쟁 초기에 빙신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있는 베이징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마오쩌둥, 저우언라이의 중국 공산당 마르크스-레닌주의 정권에 의해 옌징대학교와 칭화대학교 사회학과가 폐교된 후, 1953년부터 베이징 중앙민족학원의 민속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57년 민속학 학제가 폐지되면서 "우파"로 지목되어 판광단, 우쩌린, 페이샤오퉁 등 다른 칭화대 출신 교수들과 함께 하방되었다. 1996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중앙민족대학에 '우원짜오 장학금'을 설치하고 그의 사회 인류학적 공로를 기렸다.2. 4. 사후
우원짜오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해 "우파"로 지목되어 판광단, 우쩌린, 페이샤오퉁 등 다른 칭화대학교 출신 교수들과 함께 하방되었다.[1] 1996년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중앙민족대학에 '우원짜오 장학금'을 설치하고, 우원짜오의 사회 인류학적 공로를 기렸다.[1]3. 인생관 강연
1923년 2월 14일, 미국 유학 직전 우원짜오는 량치차오의 제자이자 법학자 겸 철학자인 장쥔마이를 칭화대학교 '인생관(人生觀)' 특강 교수로 초빙하는 데 참여하였다. 독일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였던 한스 드리슈는 톈진과 베이징에서 순회 강연을 하였다. 장쥔마이의 '인생관' 강연은 칭화대학교의 미국 유학 준비생들을 대상으로 한 유명한 강연이었다(<칭화주간(淸華週刊)>, 1923년).[1] 장쥔마이는 인생관과 자유 의지, 생의 철학, 개인과 사회, 국가와 세계 등의 문제에 관하여 강연하였으며, 우원짜오의 미국 유학 동기생이었던 구위슈(칭화대학교 전 공학 교육자), 왕화청(칭화대학교 전 법학 교수), 쑨리런(중화민국 국민 정부 전 미국 군사학교 유학파 출신 장군) 등도 '인생관' 강연을 함께 청취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吴文藻 - 北京大学社会学系
http://www.shehui.pk[...]
2022-05-22
[2]
논문
STV11 encodes a sulphotransferase and confers durable resistance to rice stripe virus
http://dx.doi.org/10[...]
2014-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