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키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워키토키는 휴대용 양방향 무선 통신 장치로, 1937년 캐나다의 도널드 힝스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 작전에서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모토로라에서 개발한 배낭형 SCR-300과 한 손에 들어오는 SCR-536(핸디토키)이 대표적이다. 이후 기술 발전을 거쳐 군사, 공공 안전, 산업, 레저, 개인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한국 전쟁 이후 미군을 통해 도입되어 군, 경찰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생활 무전기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워키토키의 역사는 휴대용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한다. 초기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민간에도 널리 보급되었다.
워키토키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형태의 무선 통신 장비이다.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전원 공급 장치(배터리), 스피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된다. 일부 모델은 CTCSS(아날로그 스켈치) 및 DCS(디지털 스켈치)와 같은 고급 스켈치 기능, 음성 변조 및 트렁킹 기능을 제공한다. 현대의 워키토키는 소형화, 경량화되어 휴대성이 뛰어나다.
2. 역사
1940년 모토로라(Motorola)의 전신인 갈빈 제조 회사가 개발한 최초의 휴대용 송수신기 SCR-300은 "워키토키"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주파수 변조 방식을 채택했다. 다니엘 E. 노블이 설계를 주도하고 헨릭 마그누스키, 마리온 본드, 로이드 모리스, 빌 보겔 등 여러 엔지니어가 개발에 참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모토로라는 진폭 변조를 채용한 휴대형 "핸디토키"(Handie-Talkie, HT) SCR-536도 생산했다. SCR-536은 SCR-300에 비해 성능은 낮지만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었다. 두 기기 모두 진공관을 사용했고 고전압 건전지로 작동했다. 1951년 5월 22일, 모토로라는 "핸디토키"를 상표로 등록하여(등록 번호 71560123), 다른 무선기기 제조 회사는 이 명칭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1970년대 중반, 미국 해병대는 헬멧 장착형 AN/PRR-9 수신기와 AN/PRT-4 송수신기를 대체하기 위한 소대 무전기 개발을 시작했다. 1976년 매그나복스(Magnavox)에서 처음 생산된 AN/PRC-68은 1980년대에 해병대에 지급되었으며, 미국 육군에서도 채택되었다.
"핸디토키"의 약어 HT는 휴대용 아마추어 무선 라디오를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11] "워키토키"는 종종 일반 용어로 사용되거나 장난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공공 안전 및 상업 사용자는 휴대용 무전을 단순히 "라디오"라고 부른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잉여 모토로라 핸디토키가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들에게 보급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모토로라 공공 안전 라디오는 민방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마추어 무선 단체에 대여되거나 기증되었다. 다른 제조업체들은 상표 침해를 피하기 위해 "휴대용 송수신기" 또는 "핸디 송수신기"와 같은 명칭을 사용했다.
2. 1. 초기 개발
1937년, 캐나다의 발명가 도널드 힝스는 광산 회사인 코민코(CM&S)를 위해 최초의 휴대용 무선 신호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는 이 시스템을 "팩셋(packset)"이라고 불렀으나, 이후 "워키토키(walkie-talkie)"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4][5] 힝스의 모델 C-58 "핸디토키"는 1940년에 시작된 비밀 연구 개발 노력의 결과로 1942년까지 군에서 사용되었다.[6]
1940년, 모토로라(Motorola)의 전신인 갈빈 제조 회사는 미군을 위해 배낭형 워키토키 SCR-300을 개발했다. 이 장치는 주파수 변조(FM) 방식을 사용했으며, 다니엘 E. 노블(Dan Noble)이 설계를 주도하고 헨릭 마그누스키(Henryk Magnuski) 등 여러 엔지니어가 개발에 참여했다.[8]
알프레드 J. 그로스는 라디오 기술자이자 Joan-Eleanor system의 개발자 중 한 명으로, 1938년부터 1941년까지 워키토키의 초기 기술 개발에도 참여했으며, 때때로 워키토키를 발명한 것으로 인정받기도 한다.[7]
최초의 휴대용 워키토키는 1941년 모토로라에서 제작한 AM SCR-536 송수신기였으며, "핸디토키"(Handie-Talkie, HT)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9]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워키토키는 군사 작전에서 중요한 통신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최초의 워키토키는 배낭형인 모토로라의 SCR-300이었으며, 1940년 갈빈 제조 회사(모토로라의 전신)의 엔지니어링 팀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팀에는 주파수 변조 방식을 고안한 다니엘 E. 노블과 주요 무선 주파수 공학 엔지니어인 헨릭 마그누스키 등이 참여했다.[8]
모토로라는 SCR-300 외에도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형태의 핸디토키(Handie-Talkie) SCR-536을 개발했다.[9] 이 장치는 진폭 변조(AM) 방식을 사용했다.
도널드 힝스의 모델 C-58 워키토키는 1942년부터 군에 사용되었으며, 1940년부터 시작된 비밀 연구 개발 노력의 결과였다.[6] 1951년 5월 22일, 모토로라에 의해 핸디토키가 상표 등록(등록 번호 71560123)되어, 다른 무선기 제조 회사는 휴대형 무선기에 그 호칭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2. 3. 전후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워키토키 기술은 민간 분야로 확산되었다. 레이시온(Raytheon)은 SCR-536의 군사용 대체품인 AN/PRC-6을 개발하였다. 잉여 모토로라 핸디토키는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들에게 보급되었다. 1970년대 중반, 미국 해병대는 소대 무전기 개발을 시작하여 매그나복스(Magnavox)의 AN/PRC-68을 도입했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전쟁 이후 미군으로부터 무전기가 도입되어 군, 경찰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3. 기술적 특징
3. 1. 통신 방식
20세기까지는 아날로그 방식이 주류였지만, 최근에는 주파수 이용 효율이 높은 디지털 방식으로 이행되고 있으며, DTMF 키보드로 중계국에 톤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도 추가되었다. 또한 음성에 반응하여 송수신을 자동 전환하는 기능 (VOX), 핸즈프리 오퍼레이션 기능 등으로 편리해졌으며, 소형 경량화도 현저하다. 경비, 경찰, 군사, 이벤트 운영, 야외 활동 등, 폭넓은 분야에서 다용되고 있다.
3. 2. 구성 요소
워키토키는 송신기, 수신기, 안테나, 전원 공급 장치(배터리), 스피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된다. 일부 모델은 CTCSS(아날로그 스켈치) 및 DCS(디지털 스켈치)와 같은 고급 스켈치 기능, 음성 변조 및 트렁킹 기능을 제공한다.
3. 3. 소형화 및 경량화
현대의 워키토키는 소형화, 경량화되어 휴대성이 뛰어나다. 일부 개인용 UHF 워키토키는 카드 한 벌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기도 한다. 워키토키는 경비, 경찰, 군사, 이벤트 운영, 야외 활동 등, 폭넓은 분야에서 다용되고 있다.[17]
4. 종류
워키토키는 사용 목적, 출력, 주파수 대역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4. 1. 용도별 분류
워키토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크게 군사용, 공공 안전용, 산업용, 레저용, 개인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군사용: AN/PRC-148 다중대역 팀 간 무전기(MBITR)와 같이 높은 내구성과 보안성을 갖춘 워키토키가 사용된다. 이들은 다양한 대역과 변조 방식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암호화 기능을 포함하기도 한다.[1]
- 공공 안전용: 경찰, 소방, 구조 등 공공 안전을 위해 사용되는 워키토키는 견고하고 신뢰성이 높아야 한다.
- 산업용: 건설 현장, 공장 등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워키토키는 방수, 방진, 방폭 등의 기능이 요구될 수 있다.
- 레저용: 등산, 캠핑 등 레저 활동에 사용되는 워키토키는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이 간편하다.
- 개인용 (생활 무전): 일반인이 별도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워키토키로, 대한민국에서는 생활 무전기로 분류된다. 미국의 FRS, 유럽의 PMR446, 호주의 UHF CB 등이 대표적이다.[1]

저전력 워키토키는 무선 면허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어린이용 장난감으로도 많이 판매된다.[1]
4. 2. 출력별 분류
저출력 형식은 무면허 운용이 가능하여 장난감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다. 북미의 완구용 워키토키는 27MHz 시민 밴드 2ch 수정으로 송신 출력 100mW 미만이며, 신형 기종은 49MHz 대역 FM 방식으로 무선 전화 및 유아 감시 장치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고 있다. 최저 가격대 제품은 1주파수 수정 방식이 많다.[1]5. 현대적 응용
현대 사회에서 워키토키는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되고 있다.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들은 "핸드헬드 트랜시버"(HT)라고도 불리는 워키토키를 널리 사용한다. 야에수, 아이콤, 켄우드 등 많은 회사들이 아마추어 용도로 특화된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장비들은 광대역 수신기, 다중 대역 지원, 다양한 변조 방식 지원 등 상업용 장비에는 없는 여러 기능을 갖추고 있다.[12][13] D-STAR와 같은 디지털 음성 모드를 지원하는 HT도 등장하여 좁은 대역폭, 동시 음성 및 메시징, GPS 위치 보고 등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여러 국가에서는 면허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개인용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의 FRS, 유럽의 PMR446, 호주의 UHF CB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개인용 워키토키는 저렴하고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지만, 간섭 문제로 인해 면허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기도 한다.[1] 개인용 워키토키는 엄격한 규제를 받으며, 대부분 UHF 할당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GPS 수신기와 결합되거나, 방송 라디오 수신기, 문자 메시지 및 사진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모델도 있다.
저출력 워키토키는 장난감으로도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1] 북미에서는 27MHz 시민 밴드 또는 49MHz 대역 FM 방식을 사용한다.[1]
그 외에도 워키토키는 건설, 경비, 이벤트 운영, 야외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4] 본질 안전 워키토키는 가연성 증기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중공업 환경에서 유용하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워키토키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도 등장했다. 복서(Voxer), 젤로(Zello) 등이 대표적이며, VoIP를 사용하여 셀룰러 요금제의 통화 시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15] 고테나(goTenna)와 같은 회사는 스마트폰 앱과 페어링하여 작동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기반 워키토키 제품을 제공한다.[16]
5. 1. 아마추어 무선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들 사이에서 워키토키(HT 또는 "핸드헬드 트랜시버"라고도 함)는 널리 사용된다. 모토로라와 같은 회사에서 개조한 상업용 장비도 드물지 않지만, 야에수, 아이콤, 켄우드와 같은 많은 회사들이 아마추어 용도로 특별히 설계된 모델을 개발한다. 상업용 및 개인용 장치와 표면적으로 유사하지만(주로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CTCSS 및 DCS 스퀼치 기능 포함), 아마추어 장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른 장비에는 없는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광대역 수신기, 종종 비 아마추어 무선 대역을 청취하기 위한 무선 스캐너 기능 포함.
- 여러 대역; 일부는 2미터 또는 70cm와 같은 특정 대역에서만 작동하지만, 다른 장비는 사용 가능한 여러 UHF 및 VHF 아마추어 할당을 지원한다.
- 아마추어 할당은 일반적으로 채널화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승인된 대역에서 원하는 주파수를 다이얼링할 수 있다(상업용 HT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미 프로그래밍된 여러 채널로 라디오를 조정할 수만 있음). 이것은 가변 주파수 작동("VFO") 모드로 알려져 있다.
- 여러 변조 방식: 일부 아마추어 HT는 FM 이외의 변조 모드(예: AM, SSB, CW)[12][13] 및 무선 텔레타이프 또는 PSK31과 같은 디지털 모드를 허용할 수 있다. 일부는 추가 하드웨어 없이 패킷 라디오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내장된 TNC를 가질 수 있다.
디지털 음성 모드는 일부 아마추어 HT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 무선 서비스에 새로 추가된 것은 차세대 디지털 협대역(NXDN)과 아마추어 무선용 디지털 스마트 기술 또는 D-STAR이다. 이러한 기술을 갖춘 핸드헬드 라디오는 좁은 대역폭, 동시 음성 및 메시징, GPS 위치 보고, 광범위한 국제 네트워크를 통한 호출 부호 라우팅 라디오 통화 등 여러 고급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상업용 워키토키는 때때로 아마추어 주파수에서 작동하도록 재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는 비용상의 이유 또는 공공 안전 등급 상업용 장비가 가격에 맞춰 제작된 아마추어용 장비보다 더 견고하게 제작되고 더 나은 디자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5. 2. 개인용 무선 서비스
여러 국가에서 면허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개인용 무선 서비스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FRS, 유럽에서는 PMR446, 호주에서는 UHF CB가 있다. 이러한 개인용 워키토키는 대량 생산으로 인해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이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지만, 때때로 간섭 문제가 발생하여 면허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불편을 주기도 한다.[1]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FRS와 GMRS 주파수가 겹쳐 GMRS 주파수를 불법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 GMRS 주파수를 사용하려면 면허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를 무시하거나 인지하지 못한다.[1] 캐나다는 미국 GMRS 사용자로부터의 심한 간섭 때문에 해당 주파수를 면허가 필요 없는 사용을 위해 재할당했다.[1] 유럽 PMR446 채널은 미국의 UHF 아마추어 할당 중간에 위치하며, 미국 FRS 채널은 영국에서 공공 안전 통신을 방해한다.[1]개인용 워키토키 디자인은 엄격하게 규제되며, 일반적으로 (CB 라디오 및 미국의 MURS 할당과 같은 예외를 제외하고) 분리할 수 없는 안테나를 요구하고, 개조된 라디오를 금지한다.[1] 판매되는 대부분의 개인용 워키토키는 UHF 할당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라디오 전면에 채널 변경 및 기타 설정을 위한 버튼과 짧고 고정된 안테나가 있다.[1]
개인용 양방향 라디오는 GPS 수신기와 결합되기도 한다. Garmin의 Rino 시리즈는 GPS 수신기를 FRS/GMRS 워키토키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서로 디지털 위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1] 일부 개인용 라디오는 AM 및 FM 방송 라디오 수신기, NOAA 날씨 라디오 등을 포함하며, 문자 메시지 및 사진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1]
소비자용 라디오는 마일 또는 킬로미터 등급으로 사거리를 표시하지만, 숙련된 사용자는 이러한 등급이 과장되었다고 생각한다.[1]
대부분의 개인용 워키토키 트래픽은 UHF 스펙트럼의 27 MHz 및 400–500 MHz 영역에 있지만, "Part 15" 49 MHz 대역과 "Part 15" 900 MHz 대역을 사용하는 일부 장치도 있다.[1] 미국에서는 FCC Part 15 전력 출력 규칙을 준수하는 한 이러한 대역의 장치에 면허가 필요하지 않다.[1] TriSquare라는 회사는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워키토키를 eXRS라는 이름으로 미국에서 판매하고 있다.[1]
저출력 형식은 무면허 운용이 가능하여 장난감으로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1] 북미의 완구용 워키토키는 27MHz 시민 밴드 2ch 수정으로 송신 출력 100mW 미만이며, 신형 기종은 49MHz 대역 FM 방식을 사용한다.[1]
5. 3. 기타 응용
워키토키는 건설, 경비, 이벤트 운영, 야외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14] 일부 워키토키는 GPS 수신기, 방송 라디오 수신기 등 다른 장치와 결합되기도 한다.본질 안전 워키토키는 가연성 증기 주변에서 무전을 사용할 수 있는 중공업 환경에서 자주 필요하며, 무전기의 손잡이와 스위치가 작동 시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워키토키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도 등장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낮은 지연 시간의 비동기 통신을 제공하며, VoIP를 사용하므로 셀룰러 요금제의 통화 시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복서(Voxer), 젤로(Zello) 등이 있다.[15]
고테나(goTenna)와 같은 회사에서는 스마트폰 기반 워키토키 제품을 제작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과 페어링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동하는 방식을 제공한다.[16]
참조
[1]
서적
Military Communications: From Ancient Times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ABC-CLIO
[2]
웹사이트
Stabo FREECOMM 600 Bedienungsanleitung
https://www.libble.d[...]
[3]
웹사이트
User manual Stabo Freecomm 650 (English - 2 pages)
https://www.manua.ls[...]
[4]
뉴스
Walkie-Talkie Inventor Receives Order of Canada
http://www.telecomha[...]
2001-08-17
[5]
뉴스
CBC.ca - The Greatest Canadian Invention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TM-11296 - Radio set AN/PRC-6
http://www.radiomanu[...]
Dept. of the Army
2017-01-13
[7]
웹사이트
Al Gross
https://web.archive.[...]
Lemelson-MIT Program
2018-10-11
[8]
웹사이트
The SCR-300 Backpack Radio
https://warfarehisto[...]
Sovereign Media
2018-12-28
[9]
뉴스
Riding Radio Waves For 75 Years, Motorola Milestones
http://nl.newsbank.c[...]
2003-09-25
[10]
웹사이트
Radio set AN/PCR-6
http://www.virhistor[...]
2017-01-13
[11]
서적
Now You're Talking! All You Need to Get Your First Ham Radio License
https://www.worldcat[...]
American Radio Relay League
2002
[12]
웹사이트
Tokyo HyPower HT750
http://www.rigpix.co[...]
[13]
웹사이트
Mizuho MX2
http://www.rigpix.co[...]
[14]
뉴스
Hytera Launches PoC Walkie Talkie PNC370
https://elcomercio.p[...]
2021-05-31
[15]
뉴스
Smartphone? Presto! 2-Way Radio
https://www.nytimes.[...]
2012-09-05
[16]
웹사이트
Best Walkie Talkie Apps
https://www.walkie-t[...]
Walkie Talkie Guide
2020-09-01
[17]
웹사이트
Motorola XiR P8600i Radio - Quantum Communications Solutions
https://qcsolution.i[...]
2024-03-04
[18]
웹사이트
walkie-talkie
https://www.merriam-[...]
[19]
웹인용
TM-11296 - Radio set AN/PRC-6
http://www.radiomanu[...]
Dept. of the Army
2017-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