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측파대 변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측파대 변조(SSB)는 무선 통신 기술의 한 종류로, 반송파와 한쪽 측파대만을 전송하여 대역폭과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1915년 존 랜셔 카슨에 의해 특허 출원되었으며, 1927년 대서양 횡단 무선 전화 회선에 처음 상용화되었다. SSB는 AM 방식보다 전력 효율이 높고, 점유 대역폭이 적어 장거리 음성 무선 전송에 널리 사용되었다. SSB는 수학적으로 기저 대역 파형의 직교 진폭 변조(QAM)로 표현되며, 상측파대(USB) 또는 하측파대(LSB)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한다. SSB 신호 생성 방법에는 대역 통과 필터링, 하틀리 변조기, 위버 변조기 등이 있으며, 반송파의 유무에 따라 풀 캐리어 SSB, 리듀스드 캐리어 SSB, 서프레스드 캐리어 SSB로 구분된다. SSB는 음성 암호화 기술로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디지털 암호화 방식에 비해 보안성이 낮다. 잔류 측파대(VSB)는 TV 방송에 사용되며,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는 LSB와 USB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한다. 확장 단측파대(eSSB), 진폭 압축 단측파대 변조(ACSSB), 제어 엔벨로프 단측파대 변조(CESSB) 등 다양한 변형 방식이 존재하며,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에서 다양한 진폭 변조 방식을 지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디오 변조 모드 - 주파수 변조
주파수 변조(FM)는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강하고 고음질 전송이 가능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라디오 변조 모드 - 진폭 변조
진폭 변조(AM)는 정보 신호를 반송파의 진폭 변화로 전송하는 통신 변조 방식으로, 잡음에 약하고 전력 효율이 낮지만 포락선 검파가 가능하여 중파 및 단파 방송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방송에 밀려 사용이 줄었으나 재난 방송 및 사물 인터넷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회로 설계 - 허니웰
허니웰은 1885년 설립된 기업으로, 항공우주, 빌딩 자동화, 안전 및 생산성 솔루션, 성능 소재 및 기술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며, 군사 기술 개발 및 펜탁스 카메라 수입업체로 활동했고, 환경 문제 관련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회로 설계 - 회로도
회로도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의 구성 요소와 연결을 기호와 선으로 나타낸 도식적 표현으로, 표준화된 기호와 규칙을 따르며 전자 제품 설계 및 교육에 필수적인 도구이지만 표기법 통일은 아직 완벽하지 않다.
| 단측파대 변조 | |
|---|---|
| 단측파대 변조 정보 | |
![]() | |
| 종류 | 변조 방식 |
| 약칭 | SSB |
| 관련 주제 | 진폭 변조 직교 진폭 변조 반송파 주파수 혼합 |
| 개요 | |
| 설명 | 단측파대 변조 (Single-Sideband modulation, SSB)는 진폭 변조의 한 종류로, 전력과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변조 방식이다. |
| 원리 | SSB는 AM 신호에서 반송파와 한쪽 측파대를 억압하여 전송 전력을 줄이고, 점유 대역폭을 감소시킨다. |
| 특징 | |
| 장점 | 전력 효율 증가: 반송파와 한쪽 측파대를 제거하여 전송 전력 절감. 대역폭 효율 증가: AM에 비해 필요한 대역폭 감소. |
| 단점 | 복잡한 회로: SSB 신호 생성 및 복조를 위한 회로가 복잡함. 주파수 안정성 요구: 정확한 반송파 주파수 복원이 필요함. |
| 응용 분야 | |
| 무선 통신 | 아마추어 무선, 단파 방송 등에서 사용. |
| 기타 | 점대점 통신, 군용 통신 등. |
| 관련 기술 | |
| 생성 방법 | 필터 방식: 필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측파대만 통과시킴. 위상 변환 방식: 힐베르트 변환 등을 사용하여 위상 성분을 조절. |
| 복조 방법 | 동기 검파: 정확한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하여 복조. 포락선 검파 (근사): 반송파가 억압되지 않은 경우 사용 가능. |
2. 역사
1915년 12월 1일, 존 랜셔 카슨이 SSB 관련 최초의 미국 특허를 출원했다.[16] 미국 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 라디오 회로에서의 단측파대 적용을 실험하였다.[17][18] 1927년 1월 7일, 뉴욕-런던간 대서양 횡단 공용 무선전화 회선에 SSB가 처음 상용화되었다. 고출력 단측파대 송신기는 뉴욕 로키포인트와 잉글랜드 럭비에 설치되었고, 수신기는 메인주 훌턴과 스코틀랜드 쿠파의 매우 조용한 지역에 설치되었다.[19]
무선 송신기는 방송할 오디오 신호와 특정 주파수의 무선 주파수(RF) 신호, 즉 반송파를 혼합하여 작동한다. AM 송신기에서 이러한 혼합은 일반적으로 최종 RF 증폭기(고레벨 변조)에서 발생한다. 저전력으로 혼합한 다음 선형 증폭기에서 증폭하는 방식은 덜 일반적이고 효율성이 훨씬 떨어진다. 두 방법 모두 반송파 주파수에서 강한 신호와 입력 신호의 최대 주파수만큼 반송파 주파수 위아래로 확장되는 주파수에서 약한 신호를 가진 일련의 주파수를 생성한다. 따라서 결과 신호는 원래 입력 오디오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두 배인 스펙트럼 대역폭을 갖는다.[1][2]
단측파대(SSB)는 직교 진폭 변조(QAM)의 특수한 경우로 표현될 수 있다.[9] SSB 신호는 힐베르트 변환을 이용하여 수학적으로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다.
1930년대, 전화 회사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기술의 일부로 장거리 전화선에 SSB를 적용했다. 이 방식을 통해 단일 물리적 회선에 여러 개의 음성 채널을 싣는 것이 가능했으며, AT&T에서 개발한 L-carrier와 같은 기술이 그 사례였다. 단측파대 변조를 이용하면 4000Hz의 채널 간 간격을 두면서 300~3,400Hz의 음성 대역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아마추어 라디오 사용자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단측파대 변조를 이용한 실험을 시작했다. 1957년 미국 전략 항공 사령부는 단측파대 변조 방식을 미공군의 항공기 라디오 표준으로 제정했다.[20] 이때부터 단측파대 변조 방식은 장거리 음성 무선 전송의 사실 표준이 되었다.
3. 기본 개념
SSB는 이러한 각 "측파대"에 전체 원본 신호가 인코딩되어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우수한 수신기는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에서 완전한 원본 신호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두 측파대와 반송파를 모두 전송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전송 신호에서 반송파와 한 개의 측파대를 제거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이러한 단일 측파대 신호는 AM과 같이 최종 증폭기 단계에서 고레벨로 생성될 수 있지만,[1][2] 일반적으로 저전력 레벨에서 생성되어 선형적으로 증폭된다. 선형 증폭의 낮은 효율성은 반송파와 한 개의 측파대를 제거하여 얻은 전력 이점을 부분적으로 상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SB 전송은 사용 가능한 증폭기 에너지를 훨씬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므로 동일한 전력 출력으로 더 장거리 전송을 제공한다. 또한 점유 스펙트럼은 전체 반송파 AM 신호의 절반 미만이다.
SSB 수신은 저렴한 AM 수신기의 주파수 안정성과 선택성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을 요구하므로 방송사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고가의 수신기를 이미 널리 사용하는 지점 간 통신에서는 전송되는 측파대에 따라 성공적으로 조정하여 수신할 수 있다.
4. 수학적 분석
메시지 신호를 , 이 신호의 힐베르트 변환을 , 반송파 주파수를 라고 하면, SSB 신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는 실수이므로, 이것의 푸리에 변환 는 축에 대해 에르미트 대칭이다. 를 에 대해 양측파대 변조하면 대칭축이 로 이동하며, 이때 각 축의 양쪽 대역을 측파대라 부른다. 단측파대 변조는 한쪽 측파대를 제거하여 만 남기는 것이다.
상측파대(USB)와 하측파대(LSB) 신호의 합은 양측파대 억압 반송파 진폭 변조와 같으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4. 1. 상측파대 (USB)
단측파대는 한 개의 베이스밴드 파형이 서로 독립적인 메시지가 아닌 다른 파형에서 파생되는 특수한 경우의 직교 진폭 변조(QAM)의 수학적 형태를 갖는다.
:
여기서 는 메시지(실수값)이고, 는 해당 힐베르트 변환이며, 는 무선 반송파 주파수이다.[9]
이 공식을 이해하기 위해 를 복소수 값 함수의 실수 부분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정보 손실은 없다.
:
여기서 는 허수 단위를 나타낸다. 는 의 해석적 표현이며, 이는 의 양의 주파수 성분만 포함함을 의미한다.
:
여기서 와 는 각각 와 의 푸리에 변환이다. 따라서, 주파수 변환된 함수 는 의 한쪽 측면만 포함한다. 또한 양의 주파수 성분만 가지므로, 역 푸리에 변환은 의 해석적 표현이다.
:
다시 이 표현의 실수 부분은 정보 손실을 유발하지 않는다. 오일러 공식을 사용하여 를 확장하면 다음을 얻는다.
:
의 동기 검파를 통해 를 복구하는 것은 AM과 동일하다. 즉, 를 곱하고, 주파수 주변의 "이중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로우패스 필터링한다. 복조 반송파가 올바른 위상(여기서는 코사인 위상)이 아닌 경우, 복조된 신호는 와 의 선형 조합이 되는데, 이는 음성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복조 반송파 주파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위상이 주기적으로 드리프트될 것이며, 주파수 오차가 충분히 작다면 음성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는 주파수 오차가 커서 부자연스러운 소리의 피치 시프팅 효과를 유발하는 경우에도 때때로 이를 허용한다.
4. 2. 하측파대 (LSB)
단측파대(SSB)는 기저 대역 파형이 다른 기저 대역 파형과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관계를 갖는 특수한 경우의 직교 진폭 변조(QAM)의 수학적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하측파대(LSB)는 이 수학적 모델을 통해 생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를 메시지 신호(실수), 를 힐베르트 변환, 를 반송파 주파수라고 할 때, 하측파대 신호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9]
:
이 공식은 의 음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켤레 복소수)를 이용하여 유도된다. 가 충분히 커서 가 음의 주파수를 갖지 않을 때, 는 또 다른 해석 신호가 되며, 이 신호의 실수 부분이 실제 ''하측 측파대'' 전송이 된다.
:
오일러의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하면,
:
와 같이 표현된다.
상측파대(USB) 신호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때, 하측파대 신호와 상측파대 신호의 합은 다음과 같다.
:
이는 억압 반송파 양측파대 AM의 고전적인 형태와 같다.
5. 실제 구현
SSB 신호는 주로 저전력에서 생성되어 선형 증폭된다. 선형 증폭은 효율이 낮아 반송파와 측파대 하나를 제거하여 얻는 전력 이점을 일부 상쇄시키지만, SSB 전송은 증폭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더 먼 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SSB는 점유 스펙트럼이 전체 반송파 AM 신호의 절반 미만이다.[1]
SSB 수신은 일반 AM 수신기보다 높은 주파수 안정성과 선택성을 요구하여 방송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고가 수신기를 사용하는 지점 간 통신에서는 전송되는 측파대에 맞춰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었다.
5. 1. 대역 통과 필터링
필터를 사용하여 측파대 중 하나를 제거함으로써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측파대인 '''상측파대'''(USB) 또는 덜 일반적으로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 측파대인 '''하측파대'''(LSB)만 남겨둘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반송파는 감소하거나 완전히 제거되어 '''단측파대 억압 반송파'''(SSBSC)로 통칭된다.[1] 두 측파대가 대칭이라고 가정하면, 일반적인 AM 신호에서와 같이 이 과정에서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다. 최종 RF 증폭이 이제 단일 측파대에 집중되므로, 유효 전력 출력이 일반적인 AM보다 크다(반송파 및 중복 측파대는 AM 송신기의 전력 출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SSB는 대역폭과 전력을 상당히 적게 사용하지만, 표준 AM과 같은 단순한 포락선 검파기로는 복조할 수 없다.5. 2. 하틀리 변조기
R. V. L. 하틀리가 고안한 '''하틀리 변조기'''는 위상을 이용하여 원치 않는 측파대를 억제한다. 이 방식을 사용하여 SSB 신호를 생성하려면, 작동 대역폭 내의 단일 주파수에 대해 90° 위상차를 갖는 원본 신호의 두 가지 버전을 만든다. 이 두 신호는 각각 서로 90° 위상차가 있는 반송파(단일 주파수)를 변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신호를 더하거나 빼면 하측파대 또는 상측파대 신호가 생성된다. 이 방식은 SSB 신호에 대한 분석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여 SSB의 동기 검출과 같은 효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기저대역 신호를 90° 위상차시키는 것은 넓은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므로 단순히 신호를 지연시켜서는 안 된다. 아날로그 회로에서는 광대역 90도 위상차 네트워크[10]가 사용된다. 이 방법은 진공관 라디오 시대에 인기가 있었지만, 상업적으로 구현된 제품들이 제대로 조정되지 않아 평판이 나빠졌다. 그러나 자작 및 DSP 분야에서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힐베르트 변환을 사용하여 기저대역 오디오의 위상을 이동시키는 이 방법은 디지털 회로를 통해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다.
5. 3. 위버 변조기
위버 변조기(Weaver modulator영어)[11]는 저역 통과 필터와 직교 믹서만 사용하여 디지털 구현에서 선호되는 방식이다.위버 방식에서 관심 있는 대역은 먼저 0을 중심으로 이동하며, 이는 음성 대역 중간 주파수를 갖는 복소 지수 를 변조하는 것으로 개념화되지만, 해당 주파수(예: 2 kHz)에서 사인 및 코사인 변조기의 직교 쌍으로 구현된다. 이 복소 신호 또는 실 신호 쌍은 원치 않는 측파대를 제거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링되어 0을 중심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0을 중심으로 하는 단측파대 복소 신호는 다른 직교 믹서 쌍을 통해 원하는 중심 주파수로 상향 변환되어 실 신호가 된다.
5. 4. Full, reduced, and suppressed-carrier SSB
무선 송신기는 특정 주파수의 반송파를 방송할 오디오 신호와 혼합하여 작동한다. SSB는 각 "측파대"에 전체 원본 신호가 인코딩되어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우수한 수신기는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에서 완전한 원본 신호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두 측파대와 반송파를 모두 전송할 필요는 없다.[1][2] 전송 신호에서 반송파와 한 개의 측파대를 제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SSB 전송은 사용 가능한 증폭기 에너지를 훨씬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므로, 동일한 전력 출력으로 더 장거리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점유 스펙트럼은 전체 반송파 AM 신호의 절반 미만이다.기존의 진폭 변조 신호는 반송파 신호와 동일한 두 개의 측파대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력과 대역폭을 낭비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SSB 송신기는 일반적으로 반송파 신호의 진폭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다. 반송파가 송신기 신호에서 제거되면 ''반송파 억압 SSB''라고 한다.
수신기가 왜곡 없이 송신된 오디오를 재생하려면 송신기와 정확히 동일한 주파수로 조정되어야 한다. 이는 실제로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SSB 전송은 부자연스럽게 들릴 수 있으며, 주파수 오차가 크면 명료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원래 반송파 신호의 소량을 전송하여 전송된 반송파와 동기화하는 데 필요한 회로를 가진 수신기가 오디오를 올바르게 복조할 수 있다. 이 전송 모드를 감소 반송파 단측파대라고 한다.
신호의 대역폭을 줄이면서 간단한 AM 수신기와 어느 정도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정상 또는 약간 감소된 반송파를 사용하여 단측파대를 전송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 모드를 ''호환 가능(또는 전체 반송파) SSB'' 또는 ''진폭 변조 등가(AME)''라고 한다.
"호환 가능한 단측파대" (CSSB)는 반송파와 함께 반송파 항 위 또는 아래에 주로 있는 일련의 측파대가 전송되는 진폭 및 위상 변조의 한 형태이다. CSSB는 오늘날 전 세계 AM/MW 방송 대역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일부 아마추어 무선 운영자는 여전히 이를 실험하고 있다.
6. 복조
단측파대 수신기의 프런트 엔드는 AM 또는 FM 수신기와 유사하며, 표준 중간 주파수 (IF) 대역 내에서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주파수 이동 버전을 생성하는 슈퍼헤테로다인 RF 프런트 엔드로 구성된다.
IF SSB 신호에서 원래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 단측파대는 곱셈 검파기를 사용하여 비트 주파수 발진기 (BFO)의 출력과 혼합하여 원래의 기저대역 주파수 범위로 주파수를 낮춰야 한다. 즉, 또 다른 헤테로다인 단계일 뿐이다. 이것이 작동하려면 BFO 주파수를 정확하게 조정해야 한다. BFO 주파수가 벗어나면 출력 신호의 주파수가 이동(상승 또는 하강)되어 음성이 이상하고 "도널드 덕"처럼 들리거나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오디오 통신의 경우 BFO 발진기 이동에 대해 1.7 kHz로 일반적인 합의가 있다. 음성 신호는 약 50 Hz 이동에 민감하며 최대 100 Hz까지 허용 가능하다. 일부 수신기는 정확한 IF 주파수에 자동으로 잠그려고 시도하는 반송파 복구 시스템을 사용한다. 반송파 복구는 주파수 이동을 해결하지 않는다. 검출기 출력에서 더 나은 S/N 비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Hz를 중심으로 하는 IF SSB 신호를 고려해 보자. 이동해야 하는 기저대역 주파수는 Hz이다. BFO 출력 파형은 이다. 신호가 BFO 파형과 곱해지면 (일명 ''헤테로다인'') 신호가 와 로 이동하며, 이를 ''비트 주파수'' 또는 ''이미지 주파수''라고 한다. 목표는 Hz가 되도록 를 선택하는 것이다. (의 원치 않는 구성 요소는 로우패스 필터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출력 변환기 또는 인간의 귀가 사용될 수 있다.)
에 대한 두 가지 선택 사항이 있다. 43000 Hz와 47000 Hz이며, 이를 ''로우 사이드'' 및 ''하이 사이드'' 주입이라고 한다. 하이 사이드 주입을 사용하면 45000 Hz 주변에 분포된 스펙트럼 구성 요소가 역순으로 2000 Hz 주변에 분포하며, 이를 역 스펙트럼이라고도 한다. 이는 IF 스펙트럼도 반전된 경우에 실제로 바람직하며, BFO 반전이 적절한 관계를 복원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IF 스펙트럼이 수신기의 반전 단계의 출력인 경우이다. 또 다른 이유는 SSB 신호가 상측파대 대신 실제로 하측파대인 경우이다. 그러나 두 가지 이유가 모두 참이면 IF 스펙트럼은 반전되지 않으며, 비반전 BFO(43000 Hz)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가 약간 벗어나면 비트 주파수가 정확히 가 아니게 되어 앞에서 언급한 음성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7. 음성 암호화 기술로서의 SSB
SSB는 주파수 이동 및 주파수 반전 기저대역 파형(음성 반전) 기술을 활용하여 음성을 암호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방식은 한 측파대 변조된 오디오 샘플의 오디오를 반대 측파대(예: LSB로 변조된 오디오 샘플을 USB 변조를 사용하는 라디오를 통해 실행)를 통해 실행하여 구현된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SSB는 다른 필터링 기술과 함께 음성 암호화를 위한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미국과 영국 간의 무선 전화 통화는 독일군에 의해 가로채져 해독되었는데, 여기에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와 윈스턴 처칠 간의 초기 대화도 포함되었다. 훈련된 운용자는 암호화된 신호를 직접 이해할 수 있을 정도였다. 루스벨트와 처칠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디지털 암호화 시스템인 SIGSALY가 개발되었다.
오늘날 이러한 간단한 반전 기반 음성 암호화 기술은 간단한 기술로 쉽게 해독될 수 있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고 간주된다.
8. 잔류 측파대 (VSB)
단측파대 변조는 음성 신호에는 사용되지만 비디오/TV 신호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어 '''잔류 측파대'''가 사용된다. '''잔류 측파대'''(무선 통신에서)는 부분적으로만 잘리거나 억제된 측파대이다. 비디오가 진폭 변조로 전송되는 경우(아날로그 비디오 형식의) 텔레비전 방송은 큰 대역폭 때문에 이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ATSC 표준화된 8VSB와 같은 디지털 전송에도 사용될 수 있다.
NTSC 또는 ATSC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TV 방송 또는 전송 채널은 6MHz의 대역폭을 갖는다. 대역폭을 절약하기 위해 SSB가 바람직하지만, 비디오 신호는 상당한 저주파수 콘텐츠(평균 밝기)와 사각형 동기화 펄스를 갖는다. 엔지니어링상의 타협점은 잔류 측파대 전송이다. 잔류 측파대에서는 대역폭의 전체 상위 측파대가 전송되지만, 0.75MHz의 하위 측파대만 반송파와 함께 전송된다. 반송파 주파수는 6MHz 폭 채널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1.25MHz 높다. 이는 효과적으로 저변조 주파수에서 AM을, 고변조 주파수에서 SSB를 시스템으로 만든다. 고주파수에서 하위 측파대 구성 요소가 없다는 점을 보상해야 하며, 이는 IF 증폭기에서 수행된다.
9. 아마추어 무선 음성 통신에서의 LSB 및 USB 주파수
아마추어 무선 음성 통신에서 단측파대 통신을 사용할 때, 10MHz 미만의 주파수에서는 하측파대(LSB)를 사용하고, 10MHz 이상의 주파수에서는 상측파대(USB)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2] 예를 들어, 40m 밴드에서는 음성 통신이 LSB 모드를 사용하여 약 7.100MHz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20m 밴드에서는 14.200MHz에서 USB 모드가 사용된다.
이 규칙의 예외는 60미터 밴드(약 5.3MHz)의 5개 채널인데, FCC 규칙에 따라 USB를 사용해야 한다.[13]
10. 확장 단측파대 (eSSB)
확장 단측파대(eSSB)는 고품질 사운드를 지원하기 위해 표준 또는 기존 2.9kHz SSB J3E 모드(ITU 2K90J3E)의 오디오 대역폭을 초과하는 모든 J3E (SSB-SC) 모드이다.
| 확장 SSB 모드 | 대역폭 | 주파수 응답 | ITU 지정자 |
|---|---|---|---|
| eSSB (Narrow-1a) | 3kHz | 100Hz ~ 3.10kHz | 3K00J3E |
| eSSB (Narrow-1b) | 3kHz | 50Hz ~ 3.05kHz | 3K00J3E |
| eSSB (Narrow-2) | 3.5kHz | 50Hz ~ 3.55kHz | 3K50J3E |
| eSSB (Medium-1) | 4kHz | 50Hz ~ 4.05kHz | 4K00J3E |
| eSSB (Medium-2) | 4.5kHz | 50Hz ~ 4.55kHz | 4K50J3E |
| eSSB (Wide-1) | 5kHz | 50Hz ~ 5.05kHz | 5K00J3E |
| eSSB (Wide-2) | 6kHz | 50Hz ~ 6.05kHz | 6K00J3E |
11. 진폭 압축 단측파대 변조 (ACSSB)
ACSSB는 파일럿 톤을 사용하여 송신기에서 심하게 압축된 진폭을 수신기에서 익스팬더를 통해 복원하는 협대역 변조 방식이다. 이는 표준 SSB 무선과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표준 SSB 변조보다 향상된 유효 범위를 제공한다. ACSSB는 또한 협대역 FM 변조에 비해 특정 전력 수준에서 대역폭 감소 및 범위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1][2]
12. 제어 엔벨로프 단측파대 변조 (CESSB)
표준 단측파대 변조를 생성하면 사인파 톤의 평균 엔벨로프 레벨보다 훨씬 높은 엔벨로프 오버슈트가 발생한다(오디오 신호가 피크 제한된 경우에도). 표준 SSB 엔벨로프 피크는 스펙트럼 잘림과 필요한 힐베르트 변환의 실제 구현에서 근사 오차로 인한 비선형 위상 왜곡 때문이다. 최근에는 적절한 오버슈트 보상(소위 제어 엔벨로프 단측파대 변조 또는 CESSB)이 음성 전송에 대해 약 3.8dB의 피크 감소를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 140%의 효과적인 평균 전력 증가를 가져온다.[14]
CESSB 신호의 생성을 SSB 변조기에 통합할 수 있지만, 표준 SSB 무선에서 CESSB 신호의 생성(예: 외부 음성 전처리기의 형태)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표준 SSB 무선의 변조기가 선형 위상을 가져야 하며 CESSB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는 충분한 대역폭을 가져야 한다. 표준 SSB 변조기가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경우 CESSB 프로세스에 의한 엔벨로프 제어가 유지된다.[15]
13. ITU 지정
1982년,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은 진폭 변조 방식을 다음과 같이 지정했다.[1]
| 지정 방식 | 설명 |
|---|---|
| A3E | 양측파대 전체 반송파 – 기본적인 진폭 변조 방식 |
| R3E | 단측파대 감쇄 반송파 |
| H3E | 단측파대 전체 반송파 |
| J3E | 단측파대 억압 반송파 |
| B8E | 독립 측파대 발사 |
| C3F | 잔류 측파대 |
| Lincompex | 연결된 압축기 및 익스팬더 |
참조
[1]
학위논문
Single sideband transmission by 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http://hdl.handle.ne[...]
Naval Postgraduate School
1953
[2]
간행물
Single-sideband transmission by 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https://ieeexplore.i[...]
1952-07
[3]
특허
Method and Means for Signaling with High Frequency Waves
1923-03-27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ingle Sideband Modulation
http://dj4br.home.t-[...]
[5]
IEEE
IEEE, Early History of Single-Sideband Transmission
https://ieeexplore.i[...]
[6]
웹사이트
History Of Undersea Cables
http://massis.lcs.mi[...]
1927
[7]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Single Side Band (SSB) in Amateur Radio
https://www.hamradio[...]
2024-11-23
[8]
웹사이트
Amateur Radio and the Rise of SSB
http://www.arrl.org/[...]
National Association for Amateur Radio
[9]
서적
Communication System Design Using DSP Algorithms
Springer
1995
[10]
웹사이트
Earthlink.net
http://home.earthlin[...]
[11]
문서
A Third Method of Generation and Detection of Single-Sideband Signals
1956-12
[12]
웹사이트
BRATS – Advanced Amateur Radio Tuition Course
http://www.brats-qth[...]
Brats-qth.org
2013-01-29
[13]
웹사이트
FCC Part 97 - Amateur Service rules
http://www.arrl.org/[...]
www.fcc.gov
[14]
웹사이트
Controlled Envelope Single Sideband
http://www.arrl.org/[...]
www.arrl.org
2014-11-01
[15]
웹사이트
External Processing for Controlled Envelope Single Sideband
http://www.arrl.org/[...]
www.arrl.org
2016-01-01
[16]
특허
Method and Means for Signaling with High Frequency Waves
[1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ingle Sideband Modulation
http://dj4br.home.t-[...]
[18]
IEEE
IEEE, Early History of Single-Sideband Transmission
http://ieeexplore.ie[...]
[19]
웹사이트
History Of Undersea Cables
http://massis.lcs.mi[...]
1927
[20]
웹인용
Amateur Radio and the Rise of SSB
http://www.arrl.org/[...]
National Association for Amateur Radio
[21]
문서
영문 위키 푸리에 변환 문서의 테이블 103번째 줄 참고
[22]
웹인용
Communication Systems: SSB 1
http://thesearemyint[...]
[23]
웹인용
Communication Systems: SSB 2
http://thesearemyint[...]
[24]
웹인용
Communication Systems: SSB 3
http://thesearemyi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