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허는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 웨이위안 현에서 발원하여 산시성 셴양 시와 시안 시를 지나 황허 중류의 퉁관에서 합류하는 강이다. 총 길이는 818km이며, 유역의 분지를 관중이라고 부른다. 중국 문명의 초기 발상지 중 하나로, 주, 진, 한, 당 왕조의 수도가 이 강 유역에 위치했다. 징수이, 뤄수이, 바수이, 펑수이 등의 지류가 있으며, 고대부터 실크로드와 연관되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최근에는 환경 문제와 수질 악화가 심각하며, 한시와 지명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쑤성의 강 - 자링강
자링강은 중국 간쑤성에서 발원하여 여러 성을 거쳐 충칭에서 양쯔강과 합류하는 총 길이 1,345km의 강으로, 쓰촨 분지를 가로지르는 구불구불한 흐름과 수운 교통로로서의 중요성, 그리고 중국 남서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특징이다. - 간쑤성의 강 - 황하
황하는 중국 북부를 흐르며 황토 고원에서 운반된 황토로 인해 '노란 강'이라 불리지만, 잦은 범람과 유로 변경으로 '중국의 슬픔'이라고도 불리며 현재 수자원 부족과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 정부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강 - 자링강
자링강은 중국 간쑤성에서 발원하여 여러 성을 거쳐 충칭에서 양쯔강과 합류하는 총 길이 1,345km의 강으로, 쓰촨 분지를 가로지르는 구불구불한 흐름과 수운 교통로로서의 중요성, 그리고 중국 남서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특징이다. - 산시성 (섬서성)의 강 - 한강 (한수이)
한강은 중국 산시성에서 발원하여 얀쯔강과 합류하는 주요 강으로, 한중시, 안캉시, 우한시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하며, 단장커우 댐 건설과 남수북조 프로젝트에 활용된다. - 황하의 지류 - 뤄허강 (허난성)
뤄허강은 허난성을 흐르는 강으로, 뤄난현에서 발원하여 황허와 합류하며, 뤄양시 등 여러 도시를 지나고, 청동기 시대 문화가 번성했던 곳이다. - 황하의 지류 - 펀허
펀허는 중국 산시성을 흐르는 강으로, 고대 중국의 핵심 지역을 관통하며 산진 문명을 길러냈고, 현대에는 주요 도시를 지나며 공업 용수 공급 및 관개 시설 확대에 기여하며,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웨이허 | |
---|---|
개요 | |
명칭 | 渭河 (웨이허) |
별칭 | 渭水 (웨이수이) |
길이 | 818km |
유역 면적 | 135,000km² |
발원지 | 간쑤성웨이위안현 |
하구 | 황하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
2. 지리
웨이강의 기원은 간쑤성(감숙성) 웨이위안 현(위원현) 남부 산악 지역이며, 본류인 칭위안강(清源河)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발원지는 황허(황하)의 지류인 타오강(도강)의 지류 만바강(만파강)의 발원지에서 1.6km도 떨어져 있지 않다. 칭위안강과 북서쪽에 있는 두 개의 작은 지류가 합류하여 형성된 웨이강의 본류는 란저우(난주)에서 황허와 110km도 떨어져 있지 않지만, 황허가 란저우에서 북쪽으로 급격하게 꺾여 오르도스 루프(하투만)를 형성하기 때문에 웨이강과 황허는 황허의 흐름을 따라 20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야 만난다.
웨이위안 현 시내 동쪽에서 여러 지류와 합류한 후, 웨이강은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우산 현(무산현)을 거쳐, 간구 현(감곡현)에서 다시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톈수이(천수) 북쪽으로 굽어지기 전까지 20km를 더 동쪽으로 흐른다. 톈수이 동쪽에서 지강(耤河)을 합류한 후, 리판산(육반산)에 진입하여 관중 평원(관중분지)의 주요 강이 된다. 웨이강은 다리 현(대려현)과 퉁관 현(동관현) 사이 경계 남쪽, 황허가 동쪽으로 굽어 화베이 평원(화북평원)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황허로 흘러 들어간다.
2. 1. 위치 및 흐름
웨이강의 기원은 간쑤성(감숙성) 웨이위안 현(위원현) 남부 산악 지역에서 시작되며, 본류인 칭위안강(淸源河)의 가장 서쪽에 위치한 발원지는 황허(황하)의 지류인 타오강(도강)의 지류 만바강(만파강)의 발원지에서 1.6km도 떨어져 있지 않다. 칭위안강과 북서쪽에 있는 두 개의 작은 지류가 합류하여 형성된 웨이강의 ''본류''는 란저우(난주)에서 황허와 110km도 떨어져 있지 않지만, 황허가 란저우에서 북쪽으로 급격하게 꺾여 오르도스 루프(하투만)를 형성하기 때문에 웨이강과 황허는 황허의 흐름을 따라 20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야 만난다.
웨이위안 현 시내 바로 동쪽에서 수많은 다른 지류와 합류한 후, 웨이강은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우산 현(무산현)에 이르며, 간구 현(감곡현)에서 다시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톈수이(천수) 북쪽으로 굽어지기 전까지 20km를 더 동쪽으로 흐른다. 톈수이 동쪽에서 지강(耤河)을 합류한 후, 웨이강은 리판산(육반산)에 진입하여 관중 평원(관중분지)의 주요 강이 된다. 웨이강은 다리 현(대려현)과 퉁관 현(동관현) 사이의 경계 남쪽, 황허가 급격히 동쪽으로 굽어 화베이 평원(화북평원)으로 들어가는 지점에서 황허로 흘러 들어간다.
간쑤성 웨이위안 현 서쪽에 있는 니아오수산(조서산)을 발원지로 한다. 산시성 셴양 시 남쪽, 시안 시 북쪽을 흘러 황허 중류의 퉁관에서 합류한다. 전체 길이는 818km이며 유역의 분지를 관중(웨이허 평원)이라고 부른다.
지류로는 "경위"라는 숙어의 유래가 된 징수이(징허, 泾河), 뤄수이(낙하, 洛河), 바수이(파허, 灞河), 바이거이가 위안전과 헤어진 펑수이(풍하, 沣河) 등이 있다.

2. 2. 주요 지류
웨이허의 주요 지류로는 "경위"라는 숙어의 유래가 된 징허(泾河), 뤄허(洛河), 바허(灞河), 펑허(沣河) 등이 있다.2. 3. 기후
웨이허 유역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여름은 덥고 겨울은 시원하고 건조하다. 북쪽의 건조한 스텝과 사막, 칭링 산맥의 숲 사이에 위치해 있다. 자연 식생은 스텝-숲이었겠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변화되어 대부분 농업 지역이다.[2]3. 역사
웨이허 강은 황하의 지류이자 중국 문명의 초기 발상지 중 하나로, 주나라, 진나라, 한나라, 당나라 등 여러 왕조의 수도가 그 유역에 위치했다.[3][4]
1953년 발행된 인민폐 제1차 시리즈 5,000위안 지폐에는 웨이허교(渭河桥)와 다리를 건너는 기차의 모습이 디자인되어 있다. 1960년 싼먼샤 댐 건설은 웨이허 강 하류에 퇴적 문제를 일으켰고,[8] 1972년 바오지샤 관개 지구 조성으로 유량이 감소했다.[9][10] 2003년에는 홍수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와 이재민이 발생했다.[11]
이후 황하의 범람과 해운의 발달로 웨이허 강의 역할은 감소했다. 현재는 물 부족과 수질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중국 수질 기준에서 최악의 등급인 "열등 5"로 평가받고 있다.[13]
3. 1. 고대 문명의 중심지
중국 신화에서 거인 콰푸는 불타는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황허 강과 웨이강의 물을 마시며 태양을 쫓아갔다.[3] 웨이강 계곡은 주 왕조, 진 왕조, 한 왕조, 당 왕조의 수도가 위치해 있었던 중국 문명의 초기 발상지 중 하나였다. 간쑤성 웨이강 발원지 주변의 딩시 시 지역에는 다양한 초기 문화의 신석기 시대 유적이 많이 있다. 웨이강은 중국 문명의 가장 초기 중심지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 최초의 대규모 관개 시설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4] 일부 중국 역사학자들은 웨이강이 선농과 염제의 가문에 이름을 부여한 고대 장 강이라고 믿고 있으며, 이들은 이곳에서 농업의 초기 발전을 이룬 중국의 전설적인 영웅들이다.[5]"서쪽으로 가는 중국의 자연적인 관문"[6]으로서, 웨이강의 발원지는 북쪽 실크로드의 발달에도 주목할 만하다. 북쪽 실크로드의 중국 구간은 장안 (당시 중국의 수도)에서 웨이강 발원지에 있는 바오지, 톈수이, 란저우, 둔황, 우사오링 산을 거쳐 타클라마칸 사막 북쪽으로 우회하여 카슈가르로 연결되었으며, 파르티아로 가는 길이었다.[7]
위수 주변에는 예로부터 많은 도읍이 세워졌다. 주로 서주의 풍읍과 호경, 진나라의 함양성과 전한, 수나라, 당나라의 장안성이 있다.
은나라 말기에 위수 북쪽 기슭에서 낚시질을 하던 태공망을 사냥 중이던 주나라의 문왕이 만났다는 이야기가 사기에 전해진다. 보계시에는 이 고사에 따른 姜太公钓鱼台|강태공 낚시터중국어가 있다.
진나라 시황제 때 북쪽 기슭의 함양이 도읍으로 건설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남쪽 기슭에 건설된 장안이 도읍이 되었다. 삼국 시대, 촉의 제갈량이 실시한 북벌은 한중에서 친링 산맥을 넘어 위수 상류로 나와 장안을 목표로 하는 작전이었다. 유명한 오장원의 전투의 무대가 된 오장원 (현재 보계시 기산현)은 이 강의 남쪽 기슭에 위치한 대지이다.
수나라, 당나라 시대에 다시 도읍이 되었으며, 뤄양과의 교통에서 남쪽으로부터의 식량 수송을 담당했다. 시가의 소재로도 채택되어, 북쪽 기슭의 위성은 도읍에서 멀리 여행하는 사람을 보내는 한시에 많이 읊어지고 있다.
3. 2. 실크로드와의 연관성
웨이허 강 계곡은 중국 문명의 초기 발상지 중 하나로, 주 왕조, 진 왕조, 한 왕조, 당 왕조 등 여러 왕조의 수도가 위치했던 곳이다.[3][4]"서쪽으로 가는 중국의 자연적인 관문"[6]으로서, 웨이허 강 유역은 북쪽 실크로드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북쪽 실크로드는 장안에서 시작하여 웨이허 강 발원지에 있는 바오지, 톈수이, 란저우, 둔황 등을 거쳐 타클라마칸 사막 북쪽을 우회하여 카슈가르로 연결되었으며, 파르티아로 가는 길이었다.[7]
사기에는 은나라 말기, 주나라의 문왕이 웨이허 강 북쪽 기슭에서 낚시를 하던 태공망을 만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 보계시에는 이 고사를 기리는 장소가 있다.
삼국 시대, 촉의 제갈량이 실시한 북벌은 한중에서 친링 산맥을 넘어 웨이허 강 상류로 나와 장안을 목표로 하는 작전이었다. 오장원의 전투의 무대가 된 오장원 (현재 보계시 기산현)은 웨이허 강 남쪽 기슭에 위치한 대지이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장안은 다시 수도가 되었고, 웨이허 강은 뤄양과의 교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당시 웨이허 강 북쪽 기슭의 위성은 도읍에서 멀리 여행하는 사람들을 보내는 한시에 자주 등장했다.
3. 3. 근현대
중국 신화에서 거인 콰푸는 불타는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황허 강과 웨이강의 물을 마시며 태양을 쫓아갔다.[3] 웨이강 계곡은 주 왕조, 진 왕조, 한 왕조, 당 왕조의 수도가 위치해 있던 곳으로, 중국 문명의 초기 발상지 중 하나였다. 간쑤성 웨이강 발원지 주변의 딩시 시 지역에는 다양한 초기 문화의 신석기 시대 유적이 많이 있다. 웨이강은 중국 문명의 가장 초기 중심지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 최초의 대규모 관개 시설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4] 일부 중국 역사학자들은 웨이강이 선농과 염제의 가문에 이름을 부여한 고대 장 강이라고 믿고 있으며, 이들은 이곳에서 농업의 초기 발전을 이룬 중국의 전설적인 영웅들이다.[5]"서쪽으로 가는 중국의 자연적인 관문"[6]으로서, 웨이강의 발원지는 북쪽 실크로드의 발달에도 주목할 만하다. 북쪽 실크로드의 중국 구간은 장안 (당시 중국의 수도)에서 웨이강 발원지에 있는 바오지, 톈수이, 란저우, 둔황, 우사오링 산을 거쳐 타클라마칸 사막 북쪽으로 우회하여 카슈가르로 연결되었으며, 파르티아로 가는 길이었다.[7]
웨이허교(渭河桥)는 1953년 발행된 인민폐 제1차 시리즈의 5,000위안 지폐 디자인에 등장하며, 기차는 다리를 건너고 있다.
1960년 싼먼샤 댐 건설로 웨이강 하류에 광범위한 퇴적 문제가 발생했다.[8] 1972년 바오지샤 방수로 건설과 바오지샤 관개 지구 조성으로 경작지에 관개가 이루어지면서 유량이 감소했다.[9][10]
2003년 9월, 광범위한 강우로 인한 홍수로 30명 이상이 사망하고 30만 명 이상이 일시적으로 이재민이 되었다.[11] 웨이강의 생태적 측면은 웨이강의 유량과 관련하여 연구되었다.[12]
예로부터 위수 주변에는 많은 도읍이 세워졌다. 주로 서주의 풍읍과 호경, 진나라의 함양성과 전한, 수나라, 당나라의 장안성이 있다.
은나라 말기에 위수 북쪽 기슭에서 낚시질을 하던 태공망을 사냥 중이던 주나라의 문왕이 만났다는 이야기가 사기에 전해진다. 보계시에는 이 고사에 따른 유적지가 있다.
진나라 시황제 때 북쪽 기슭의 함양이 도읍으로 건설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남쪽 기슭에 건설된 장안이 도읍이 되었다. 삼국 시대, 촉의 제갈량이 실시한 북벌은 한중에서 친링 산맥을 넘어 위수 상류로 나와 장안을 목표로 하는 작전이었다. 유명한 오장원의 전투의 무대가 된 오장원 (현재 보계시 기산현)은 이 강의 남쪽 기슭에 위치한 대지이다.
수나라, 당나라 시대에 다시 도읍이 되었으며, 뤄양과의 교통에서 남쪽으로부터의 식량 수송을 담당했다. 시가의 소재로도 채택되어, 북쪽 기슭의 위성은 도읍에서 멀리 여행하는 사람을 보내는 한시에 많이 읊어지고 있다.
후에 황하의 범람으로 수운에 지장이 생기기 시작하고, 또 시대와 함께 하천 주운보다 해운이 주류가 되면서 국도도 중국 동쪽으로 옮겨져 위수의 역할은 대폭 감소했다. 현재는 만성적인 물 부족과 생활 폐수, 공업 폐수에 의한 수질 악화가 심각하며, 중국의 수질 기준으로는 최악의 "열등 5"로 인정받고 있다.[13]
4. 문화
당나라의 시인 잠삼은 「견위수사진천(見渭水思秦川)」에서 웨이허를 언급했다. 왕유는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서 "위성(渭城)의 아침 비는 가벼운 먼지를 적시고"라며 웨이허를 배경으로 시를 읊었다. 육유는 「새상곡(塞上曲)」에서 웨이허를 노래했으며, 위남현백(渭南縣伯)이라는 칭호 때문에 '육위남(陸渭南)'이라고도 불린다. 그의 문집은 『위남문집』이다.
시코쿠 남서부 고치현 한다 지방, 에히메현 난요 지방에 걸쳐 있는 지역은 시만토강을 웨이허에 비유하여 "위남"이라고도 불린다.
도쿠시마현도쿠시마시 도쿠시마성이 있는 산은 중세에 "위산(위노야마)"이라 불렸고, 시내를 흐르는 스케토강은 "위수", 산 주변 항구는 "위진(위노쓰)"이라 불렸다. 무로마치 막부 간레이 호소카와 요리유키가 주변 풍경을 장안에 비유하여 스케토강을 위수로 칭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4. 1. 한시 속의 웨이허
당나라의 시인 잠삼은 「견위수사진천(見渭水思秦川)」이라는 시에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위수는 동으로 흘러가고
>
언제 옹주에 다다를까
>
기대하며 두 줄기 눈물
>
고향을 향해 흘러가네
왕유는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라는 시에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 위성(渭城)의 아침 비는 가벼운 먼지를 적시고
>
객사의 푸르름은 버들빛을 새롭게 하네
>
그대에게 권하노니 다시 한 잔 술을 다 마시게
>
서쪽 양관(陽關)을 나서면 고향 친구 없으리라
육유는 「새상곡(塞上曲)」이라는 시에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 늙었지만 오히려 만리 길 가고 싶어 하고
>
가볍게 말에 오르니 몸이 가벼워지네
>
옥관을 떠나는 길에서는 마음은 쇠와 같고
>
술을 잡고 어찌 위성 듣는 것을 방해하랴
또한, 육유는 위남현백(渭南縣伯)의 칭호를 받았기 때문에 '육위남(陸渭南)'이라고도 불리며, 그의 문집은 『위남문집』이라고 불린다.
4. 2. 지명
시코쿠 남서부의 고치현 한다 지방, 에히메현 난요 지방에 걸쳐 있는 지역은 "위남"이라고도 불린다("위남 해안" 등). 원래 한다 지방의 일부가 "이남"이라고 불렸으나, 메이지 시대에 고치현 이남 지역과 에히메현 난요 지역의 교육자들이 회합을 가졌을 때, 양 지역에 걸쳐 사용하는 호칭으로 "위남"이 제창되었다 . 이는 시만토강을 위수에 비유하고, 문무를 겸비한 인재를 배출한 땅에 빗댄 것으로 여겨진다 .도쿠시마현도쿠시마시의 도쿠시마성이 있는 산은, 중세에 "위산(위노야마)"이라고 불렸고, 시내를 흐르는 스케토강은 "위수", 산 주변에 발전한 항구는 "위진(위노쓰)"이라고 불렸다. 이에 대해서는, 무로마치 막부의 간레이로 아와 수호를 맡았던 호소카와 요리유키가, 주변 풍경을 장안의 그림 같은 경치에 비유하여 스케토강을 위수로 비유하여 명명했다는 전설이 있지만, 원래 "이노야마"라고 불렀던 산에 "위산"의 글자를 사용했다는 설도 있다 . 1585년에 아와국의 영주가 된 하치스카 이에마사는 이 지역을 "도쿠시마"라고 명명했지만, 에도 시대 초기에 지명을 "위진"(혹은 "이노쓰")으로 되돌린 시기가 있다 . 이로 인해, 도쿠시마 시가를 동서남북으로 나눌 때 각각 위동·위서·위남·위북으로 불렀다 . 이 중 위북 지구와 위동 지구에 대해서는 현대에도 행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ei-River Gansu
https://www.britanni[...]
Wei-River-Gansu-and-Shaanxi-provinces-China
[2]
논문
Birds and Beasts Were Many: the Ecology and Climate of The Guanzhong Basin in the Pre-Imperial Period
2020
[3]
서적
《现代汉语词典》
The Commercial Press
2016-09-01
[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Concise
https://archive.toda[...]
[5]
논문
Ji 姬 and Jiang 姜: The Role of Exogamic Clans in the Organization of the Zhou Polity
[6]
논문
Exploration of Ancient Sites in Northern Afghanistan
[7]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ed. Andy Burnham
[8]
웹사이트
陕西省东庄水利枢纽工程建设有限公司
https://www.dzhwater[...]
2022-04-11
[9]
논문
Impact of Baojixia water diversion works on the hydrologic regime in the Wei River basin
https://www.scienced[...]
2012-01-01
[10]
논문
A remote sensing-based method for high-resolution crop water footprint quantification in an irrigation district with complex planting structure
https://www.scienced[...]
2023-02-01
[11]
웹사이트
"17,000 Houses Collapse, 200,000 Evacuated in Flood-Hit China', Agence France-Presse 2 sept 03"
http://www.mindfully[...]
2006-03-21
[12]
논문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nstream flow requirements for the Wei River—the largest tributary of the Yellow River
[13]
뉴스
中国、黄河支流渭河が深刻な汚染
http://japanese.cri.[...]
CRL online
2011-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