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운은 상선과 항만 시설 등을 활용하여 해상에서 화물이나 여객을 운송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도로, 철도에 비해 수송 속도는 느리지만 대량의 화물을 저렴하게 운송할 수 있어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운은 역사적으로 대량·장거리 물류의 핵심이었으며, 항해술과 조선 기술 발달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항공기의 발달로 여객 운송은 쇠퇴했지만, 현재는 국제 무역의 물류를 담당하며, 컨테이너선, 유조선 등 다양한 선박이 사용된다. 해운은 온실 가스 배출, 소음 공해, 유류 오염 등 환경 문제에 영향을 미치며, 국제 해사 기구(IMO)를 중심으로 해결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운 인프라는 부두, 크레인 등 화물 운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선박은 추진 방식, 크기, 화물 종류에 따라 벌크선, 컨테이너선, 유람선, 탱커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해운 | |
---|---|
개요 | |
![]() | |
유형 | 운송 방식 |
사용 분야 | 상업, 무역, 군사 |
관련 활동 | 해운업, 항만, 선박 건조 |
특징 | |
장점 | 대량 화물 운송 가능 비교적 저렴한 비용 광범위한 지역 커버 |
단점 | 속도 제약 날씨 영향 항만 시설 필요 |
종류 | |
선박 유형 | 컨테이너선 유조선 벌크선 여객선 군함 |
운송 화물 | 컨테이너 화물 액체 화물 (원유, 화학 제품) 건화물 (곡물, 광물) 사람 |
주요 경로 | |
해상 경로 | 태평양 횡단 대서양 횡단 인도양 항로 수에즈 운하 파나마 운하 |
산업 및 경제적 영향 | |
해운 산업 | 선박 회사 항만 운영 해상 보험 선박 관리 |
무역 | 국제 무역의 핵심 요소 글로벌 공급망 관리 |
경제 성장 | 국가 경제 발전 기여 관련 산업 성장 촉진 |
법규 및 협약 | |
국제 협약 | 해상 안전 협약 (SOLAS) 해양 오염 방지 협약 (MARPOL) 선박의 톤수 측정에 관한 국제 협약 (ITC) |
국내 법규 | 각 국가의 해운법 항만법 선박 안전법 |
안전 및 환경 문제 | |
안전 문제 | 해적 행위 선박 사고 화재 및 폭발 |
환경 문제 | 해양 오염 (기름 유출, 폐기물 투기) 선박 배출 가스 해양 생태계 파괴 |
기술 발전 | |
선박 기술 | 친환경 선박 기술 자율 운항 선박 스마트 선박 |
항만 기술 | 자동화된 하역 시스템 스마트 항만 관리 시스템 |
참고 자료 | |
관련 링크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수산부 국제해사기구(IMO) |
2. 특징
해운은 상선(선박)과 항만 시설, 여객용 항만 터미널 등을 필요로 한다. 넓은 의미로는 해운 조직(해운 회사) 및 해운 정책까지 포함한다. 해운은 도로 교통이나 철도에 비해 운송 속도는 느리지만, 대량의 중량 화물을 저렴한 가격에 운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임해 지역에는 도시와 공업 지대가 발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제 무역에서 해운의 역할 비중이 높다.
해운은 예로부터 대량·장거리 물류의 핵심이었으며, 지중해, 북해, 인도양 등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항해술과 조선 기술이 발달하면서 대륙 간 항해가 가능해졌고, 해운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한 국가의 해운 선대(다양하게 상선, 상선 해군 또는 상선대라고 불림)는 민간 선원이 운영하는 선박으로, 승객 또는 화물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상선에는 내륙 목적지를 연결하는 강 및 운하 시스템을 통한 수로 운송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근세 시대에 한자동맹의 도시들은 북유럽의 강과 항만을 개척하기 시작했다. 마찬가지로, 세인트로렌스 해로는 캐나다와 미국의 오대호 항구 도시를 대서양 해상 항로와 연결하고, 다양한 일리노이 운하는 오대호와 캐나다를 뉴올리언스와 연결한다. 광석, 석탄 및 곡물은 미국 중서부의 강을 따라 피츠버그 또는 앨라배마주 버밍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문 해기사들은 상선 선원, 상선 항해사, 상선 해병 또는 단순히 선원, 항해사 또는 해병으로 알려져 있다.
2005년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이상의 상선은 총 30,936척이었다. 2010년에는 국가별 상선 해군 능력 목록을 포함하여 38,988척으로 26% 증가했다.[3] 2018년 12월 기준, 모든 상선 선원의 4분의 1이 필리핀에서 태어났다.[4]
3. 역사
연도 사건 1869년 민간의 선박 보유 해금[23] 1870년 상선 규칙 발포. 이후 고노이케조나 미쓰비시 상사 등이 상선을 취득[23] 1885년 일본우선 설립 (미쓰비시 상사와 공동운수회사의 과당 경쟁에 정부가 개입)[23] 1945년 민간 회사 화물선 등 운영 폐지, 해운총감부의 국가 선박 운영 결정 (제2차 세계 대전 전황 악화)[24] 1962년 해원조합의 대규모 스트라이크 실시 (주 48시간 노동 요구). 49개 항에서 822척 정선, 5월 10일 타결[25]
3. 1. 고대
유럽 항구에서 미국 항구로 항해하는 화물선은 해류 등의 요인에 따라 보통 10~12일이 걸린다.[6] 컨테이너선 운송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선박 운영자는 연료 소비를 줄이고자 순항 속도를 줄여 운송 시간을 늘리기도 하는데, 이를 "저속 운항"이라고 한다.[7]
3. 2. 현대
해운은 예로부터 대량·장거리 물류의 요체였으며, 지중해, 북해, 인도양 등에서 활발한 해운이 이루어졌다. 항해술과 조선 기술의 발달로 대륙간 항해가 이루어지면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호화로운 여객선이 다수 건조되어 대륙간 교통 등 장거리 여객 수송의 주역이었지만, 항공기의 발달과 함께 여객 항로는 쇠퇴하였다. 21세기 현재는 근해나 해협 등 단거리 교통로로서의 연락선·페리, 그리고 선상 여행 자체를 즐기는 크루즈 여객선 등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화물 수송에서는 현대에도 국제간 무역의 물류의 주축이며, 대형 컨테이너선이나 거대한 유조선으로 대표되는 선박에 의해 전 세계의 항구가 연결되어 있다.
4. 국제 해운
국제 해운은 상선(선박)과 항만 시설, 여객용 항만 터미널 등을 필요로 한다. 더 넓게는 해운 조직(해운 회사) 및 해운 정책까지 포함한다. 해운은 도로나 철도에 비해 속도는 느리지만, 대량의 중량 화물을 저렴하게 운송할 수 있어 국제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장점은 임해 지역에 도시와 공업 지대 발달을 촉진했다.
4. 1. 화물 컨테이너
국제 물류에서 잡화와 식품류의 대부분은 ISO 668 규격의 화물 컨테이너에 담겨 컨테이너선으로 운송된다.4. 2. 석유, 가스 탱커
원유나 액화 천연 가스(LNG), 액화 석유 가스(LPG), 액체 상태의 석유 제품 등은 유조선에 의해 수송되고 있다.4. 3. 벌크 화물
벌크선으로 석탄, 철광석, 목재, 곡물 등을 운송한다.[1]4. 4. 자동차
자동차는 주로 자동차 전용선(Pure Car Carrier, 약칭: '''PCC''', Pure Car and Track Carrier, 약칭: '''PCTC''')으로 수송된다.예를 들어, 2007년 일본 국내에서 생산된 4륜 자동차 총 1,160만 대 중 56.5%인 654만 대가 해외로 수출되었으며[18], 그 대부분이 자동차 전용선에 의해 운송되었다. 최대 자동차 전용선은 승용차 환산 6,500대를 운반할 수 있다[19].
5. 사업의 형태
유럽에서 대항해 시대에는 해운과 관련된 사업이 발달했다. 당시 해운은 상업자가 직접 선박을 소유하여, 원거리 상품을 매매하는 형태였다. 이 때문에 선박이 조난당하거나 해적에게 습격당하는 등 상업자가 짊어지는 리스크가 매우 높아져, 상업상의 리스크 분산 방안으로 주식회사가 발달했다. 또한, 침몰 등 해난 사고의 리스크를 분산하기 위해 화물 및 선박에 대한 보험 (해상 보험)도 발달했다.[20]
현대 해운 회사는 물류 회사이며, 운반하는 상품의 매매가 본질적인 목적은 아니다. 또한, 리스크 분산을 위해 선박을 임차하는 경우가 많아 선박 자산 운용 회사로서의 측면이 강하다. 선박은 각지에 있는 선주라고 불리는 개인 사업자가 소유하고 있으며, 해운 회사에 대여하고 있다. 선주는 전 세계에 존재한다.[21]
또한, 대형 해운 회사는 육상·항공을 포함하여, 짐의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의 일관 수송을 취급하게 되었다(일반적으로 종합 물류라고 불린다).[22]
6. 대한민국의 해운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운이 발달하였다. 석유, 철광석 등 대부분의 공업 원료를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해상 교통은 매우 중요하다. 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등 대규모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제주도, 울릉도, 독도, 백령도 등 한반도 본토와 섬 지역을 연결하는 여객 운송도 활발하다.
6. 1. 현황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해운이 발달하였다. 대한민국은 석유와 철광석 등 대부분의 공업 원료를 해외로부터 수입하기 때문에 해상 교통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대한민국은 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등 대규모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제주도, 울릉도, 독도, 백령도 등 한반도 본토와 섬 지역 간 여객 운송도 이루어지고 있다.주요 해운 회사는 다음과 같다.
6. 2.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운이 발달하였다. 석유, 철광석 등 대부분의 공업 원료를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기 때문에 해상 교통은 매우 중요하다. 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등 대규모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제주도, 울릉도, 독도, 백령도 등 한반도 본토와 섬 지역을 연결하는 여객 운송도 활발하다.일본에서는 상법에 따라 해상 운송을 규제하고 있다. 海運일본어은 상법에 규정된 운송 영업으로 규제된다.[23]
제684조일본어 이 편 (제747조일본어를 제외한다.)에서 "선박"이란 상행위를 할 목적으로 항해에 제공되는 선박 (단주 기타 노만으로 운전하거나 주로 노만으로 운전하는 배를 제외한다.)을 말한다.
일본의 해운 역사에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869년 (메이지 2년) | 민간의 선박 보유 해금[23] |
1870년 (메이지 3년) | 상선 규칙 발포. 이후, 고노이케조나 미쓰비시 상사 등이 상선을 취득. |
1885년 (메이지 18년) | 미쓰비시 상사와 공동운수회사의 과당 경쟁에 정부가 개입하여 일본우선 설립[23] |
1945년 (쇼와 20년) 5월 1일 |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황 악화에 따라, 민간 회사에 의한 화물선 등의 운영이 폐지되고, 해운총감부에 의한 국가 선박의 운영이 결정[24] |
1962년 (쇼와 37년) 4월 23일 | 해원조합이 주 48시간 노동을 요구하며 대규모 스트라이크를 실시. 49개 항에서 822척이 정선. 같은 해 5월 10일에 타결[25] |
일본의 해운 회사는 1963년에 성립된 해운 재건 2법에 의해 해운 집약이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대형 해운 회사 간의 합병이 이루어져 2024년 현재 대형 해운 회사는 일본우선(Nippon Yusen Kaisha), 상선미쓰이(Mitsui O.S.K. Lines), 가와사키 기선(Kawasaki Kisen Kaisha)의 3사 체제로 되어 있다.
플라자 합의로 인한 엔고로 해운사들이 어려움을 겪었지만, 2000년대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해운업이 다시 활기를 띠었다. 그러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다시 어려움을 겪었다.[27] 하지만, 2009년 이후 자원 및 에너지 수송 부문의 수요가 회복되면서, 장기적으로 해운업은 성장 산업으로 전망된다.
6. 3. 과제
대한민국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해운이 발달하였다. 대한민국은 석유와 철광석 등 대부분의 공업 원료를 해외에서 수입하기 때문에 해상 교통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대한민국은 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등 대규모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제주도, 울릉도, 독도, 백령도 등 한반도 본토와 섬 지역 간 여객 운송도 이루어지고 있다.주요 해운 회사는 다음과 같다.
7. 해운의 환경 영향
해운의 환경 영향에는 온실 가스 배출, 음향, 유류 오염 등이 있다.[11] 1970년대부터 공선(空船)에 적재된 평형수가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지적되어 왔다.
7. 1. 해결 노력
국제 해사 기구(IMO)는 2012년 해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이 전 세계 인위적인 배출량의 2.2%에 달했으며,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을 경우 2050년까지 50~25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12][13] IEA는 암모니아가 2050년까지 해운 연료 수요의 약 45%를 충족할 것으로 예측한다.[14]2021년 유럽 해상 운송 환경 보고서는 해당 분야의 환경 영향을 평가했다.[15] 해운은 EU 운송 배출량의 13.5%를 차지하며, 도로 운송(71%) 및 항공(14.4%)에 뒤처진다.[15][16][17] 선박의 SO2 배출량은 더 엄격한 규제로 인해 감소했다. 해상 활동은 수중 소음을 상당히 증가시켰고 비 토착종의 확산에 기여했다. 석유 운송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 동안 EU 해역에서 8건의 주요 유류 유출 사고만 발생했다.[15]
8. 해운 인프라
해운을 하기 위해서는 상선(선박)과 함께 해상 운송을 가능하게 해주는 항만 시설 및 여객용 항만 터미널 등이 필요하다. 더 넓은 의미로는 해운 조직(해운 회사) 및 해운 정책까지 포함한다. 해운은 도로 교통이나 철도에 비해서는 수송 속도가 느리지만, 대량의 중량 화물을 싼 가격에 수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점 때문에 임해 지역에는 도시와 공업 지대가 발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제 무역에서 해운의 역할 비중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관계로 해운이 발달하였다.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석유와 철광석 등 대부분 공업 원료는 해외로부터 의존하기 때문에 해상 교통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 현재는 이를 위해서 대한민국에서는 부산항, 울산항, 인천항 등 대규모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제주도, 울릉도, 독도, 백령도 등 한반도 본토와 섬 지역 내·외를 연결시키는 여객 운송도 하고 있다.
항만이 화물을 효율적으로 보내고 받기 위해서는 부두, 볼라드, 말뚝, 크레인, 벌크 화물 처리 장비 등 인프라가 필요하며, 이는 시설의 역할을 지원하는 장비 및 조직을 의미한다. 부두마다 다를 수 있으며, 하나는 복합 운송(크레인으로 철도와 연결된 컨테이너선)의 요구 사항을 처리하고, 다른 하나는 곡물, 석탄 또는 연료와 같은 벌크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한 (컨베이어, 엘리베이터, 탱크, 펌프와 같은) 벌크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다른 곳은 여객 터미널이나 혼합 모드 운영을 위해 설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만, 해항 및 마리나는 모두 선박을 수용하며, 부두, 안벽, 선창 및 정박지와 같은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9. 해상 운송 수단
선박과 기타 수상선은 해상 운송에 사용된다. 유형은 추진 방식, 크기 또는 화물 유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레저 또는 교육용 선박은 여전히 풍력을 사용하지만, 일부 소형 선박은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를 구동하기 위해 내연 기관을 사용하거나, 제트 보트의 경우 내장형 워터 제트를 사용한다. 에버글레이즈와 같이 흘수 심도가 얕은 지역에서는 호버크래프트와 같은 일부 선박이 대형 푸셔 프로펠러 팬에 의해 추진된다.[2]
선박은 운항 방식에 따라 정기선과 부정기선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정기선'''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운행되며, 악천후와 같은 잠재적인 지연 요인에 대처하기 위해 더 나은 장비를 갖추도록 요구한다. 일반적으로 부정기선보다 더 높은 출력을 가지며, 뛰어난 내항성을 갖추고 있어 건조 비용이 훨씬 더 비싸다.
- '''부정기선 (트램선)'''은 정해진 운항 노선이 없이 적합한 화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운항한다.
대부분의 현대적인 상선은 주요 해상 운송 유형과 보조 해상 운송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9. 1. 주요 해상 운송 유형
주요 해상 운송 유형 | |
---|---|
사진 | 설명 |
![]() | 벌크선은 광석이나 식량(쌀, 곡물 등)과 같이 포장되지 않은 대량 화물 (벌크 화물)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는 화물선이다. 갑판에 있는 큰 상자 모양의 해치(화물창 덮개)를 통해 식별할 수 있으며, 이 해치는 선창을 적재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벌크선은 건조하거나 습윤할 수 있다. 대부분의 호수는 벌크선을 수용하기에는 너무 작지만, 미국의 오대호와 세인트로렌스 수로에서는 1세기 이상 동안 대규모 호수 화물선이 운항되었다. |
![]() | 컨테이너선은 트럭 크기의 컨테이너에 모든 화물을 싣는 화물선으로, 컨테이너화라고 불리는 기술을 사용한다. 이들은 상업적 복합 운송의 일반적인 수단이다. 비공식적으로 "박스 보트"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 건화물의 대부분을 운송한다. 대부분의 컨테이너선은 디젤 엔진으로 추진되며 10명에서 30명 사이의 선원이 승선한다. 일반적으로 선미에 대형 숙소 구획이 있으며, 이는 기관실 바로 위에 있다. |
![]() | 유람선은 쾌락 여행에 사용되는 여객선으로, 여행 자체와 선박의 편의 시설이 경험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간주된다. 유람은 관광 산업의 주요 부분이 되었으며, 2006년 기준으로 매년 수백만 명의 승객이 탑승하고 있다. 이 산업의 급속한 성장은 2001년 이후 매년 9척 이상의 신규 건조 선박이 북미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유럽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선박도 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같은 소규모 시장은 일반적으로 고성장 지역에 도입된 새로운 선박에 의해 대체된 오래된 톤수로 서비스된다. 발트해에서는 항구가 크루즈페리로 연결된다. |
![]() | 다목적 선박(일부에서는 일반 화물선이라고도 함)은 벌크 상품에서 분할 화물 및 중량 화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최대의 무역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기어드(크레인 제공)되어 있으며, 현대적인 예시는 해운 컨테이너와 곡물 운송을 위해 장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항해에서 다양한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대형 개방형 선창과 트윈데크가 있다. 승무원은 분할 화물을 고정하는 데 능숙하며 선박에는 다양한 고박 장치 및 기타 해상 고정 장비가 장착되어 있다. |
![]() | 정기선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정기적인 장거리 해상 노선을 따라 한 항구에서 다른 항구로 사람들을 수송하도록 설계된 여객선이다. 정기선은 화물이나 우편물을 운반할 수도 있으며, 때로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정기선은 일반적으로 거친 바다와 원양에서 발생하는 악조건을 견딜 수 있도록 높은 여유 갑판으로 튼튼하게 건조되었으며, 장거리 항해 시 연료, 식량 및 기타 소모품을 대량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박은 대부분의 여객 운송 회사의 주류였지만, 항공 여행의 성장으로 인해 여객선은 꾸준히 감소했다. 유람선은 나중에 공백을 채웠으며, 여전히 바다에 대한 애정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며, 이전 여객선보다 더 많은 편의 시설을 제공한다. |
![]() | 냉동선(일반적으로 리퍼라고 함)은 일반적으로 에어컨이 필요한 부패하기 쉬운 상품, 주로 과일, 고기, 생선, 채소, 유제품 및 기타 식품을 운송하는 데 사용되는 화물선이다. |
![]() | 롤온/롤오프 선박은 자동차, 트레일러 또는 철도 차량과 같은 바퀴 달린 화물을 운송하도록 설계된 선박이다. RORO(또는 ro/ro) 선박에는 항구에 있을 때 화물을 효율적으로 "롤 온" 및 "롤 오프"할 수 있는 내장형 경사로가 있다. 강과 기타 짧은 거리를 운행하는 소형 페리에는 여전히 내장형 경사로가 있지만, RORO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순수 자동차/트럭 운반선(PCTC)을 포함한 대형 원양 선박에 사용된다. |
![]() | 탱커는 원유, 석유 제품, 액화 석유 가스, 액화 천연 가스 및 화학 물질과 같은 액체를 운송하기 위한 화물선이며, 또한 식물성 기름, 와인 및 기타 식품도 운송한다. 탱커 부문은 세계 톤수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
9. 2. 보조 해상 운송 유형
바지선은 평평한 바닥의 보트로, 주로 무거운 상품의 강 및 운하 운송을 위해 건조된다. 대부분의 바지선은 자체 추진하지 않으므로 예인선이나 토잉보트가 밀거나 당겨야 한다. 운하의 바지선은 초기 산업 혁명을 지원했지만, 철도와의 경쟁에서 밀려났다.
케이블 부설선은 해저 통신 케이블을 부설하는 심해 선박이다. 대형 상부 구조와 트랜섬에서 공급되는 스풀이 특징이며, 다이나믹 포지셔닝 시스템(DPS)을 갖추고 있다.

연안 무역선은 '''코스터'''라고도 하며, 동일한 섬 또는 대륙의 여러 위치 간의 무역에 사용되는 선박이다. 흘수가 얕고 자체 하역기를 갖춘 경우도 있다.
준설선은 얕은 바다나 담수 지역에서 바닥 퇴적물을 수집하여 다른 위치에 폐기할 목적으로 굴착하는 데 사용되는 선박이다.
페리는 승객과 차량을 싣고 다니는 운송 수단이다. 대중교통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며, 다리나 터널보다 낮은 비용으로 운송을 허용한다.

예인선은 다른 선박을 예인하거나 밀어서 조종하는 데 사용되는 보트이다.

오픈 해치 일반 화물선은 산림 제품, 벌크 화물, 단위 화물, 프로젝트 화물 및 해운 컨테이너를 운송하도록 설계되었다.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은 특히 크고 무겁거나 부피가 큰 상품을 이동시킨다.

참조
[1]
서적
Maritime Economic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7-01-01
[2]
웹사이트
Rank Order - Merchant marine
https://web.archive.[...]
2007-05-21
[3]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eb.archive.[...]
[4]
간행물
Why 10 million Filipinos endure hardship abroad as overseas workers
https://web.archive.[...]
2018-12
[5]
문서
Philadelphia and Columbia Railroad
[6]
웹사이트
Service Details
http://cms.molpower.[...]
2015-07-29
[7]
뉴스
Meet the World's Largest Cargo Ships
2013-01-08
[8]
웹사이트
Maritime Labour Convention
http://www.ilo.org/d[...]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06-02-23
[9]
웹사이트
Aims and Objectives
http://www.nautinst.[...]
The Nautical Institute
2015-07-29
[10]
웹사이트
Go-Maritime.net
http://www.go-mariti[...]
[11]
서적
World Seas: An Environmental Evaluation
[12]
간행물
Third IMO GHG Study 2014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2018-12-16
[13]
간행물
Second IMO GHG Study 2014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14]
뉴스
In the voyage to net-zero, which green shipping fuel will rule the seas?
https://www.reuters.[...]
2023-05-15
[15]
웹사이트
EU maritime transport: first environmental impact report acknowledges good progress towards sustainability and confirms that more effort is needed to prepare for rising demand
https://www.eea.euro[...]
2024-12-07
[16]
웹사이트
In the EU, the maritime transport sector is on the road to sustainable development, but new challenges will come from increased demand
https://www.informar[...]
2024-12-07
[17]
웹사이트
Gửi hàng đi mỹ bằng đường biển
https://hpttrans.com[...]
2024-12-07
[18]
기타
[19]
서적
船のすべてがわかる本
ナツメ社
2009-02-09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학술지
わが国明治期の会社制度の展開過程・(続編)
1993
[24]
뉴스
船舶の運営は大本営に一元化
1945-05-02
[25]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6]
웹사이트
https://www.mlit.go.[...]
[27]
웹사이트
視界不良、海運に大波 郵船・川汽が通期赤字
https://web.archive.[...]
2009-07-28
[28]
보고서
外国輸送機関別輸送量の推移(貨物 輸送トンキロ)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2
[29]
웹사이트
26.輸送機関別貨物輸送量の推移
https://www.mlit.go.[...]
2007-08-15
[30]
웹사이트
18.旅客輸送実績
https://www.mlit.go.[...]
2007-08-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지분 매각으로 ‘저평가’ 꼬리표 뗀 HMM…정부 첨단산업 투자 속도 붙는다
전지현X강동원이 다가 아니다…이미숙→오정세까지, '북극성'의 인물들
HMM "SK해운 인수 대신 벌크선 직구"
무역보험공사, 美 최대 해운사에 3.5억불 보증패키지 지원
잘나가던 해운업 ‘관세 충격’ 어쩌나…“북미 물동량 7.8%↓, 운임도 하락할 것”
‘새 정부 출범 후 주가 최대 하락’, 장중 3%대 급락…투자처 어디서 찾을까
부산신항에서 열흘 만에 또…60대 노동자 홋줄 사고로 숨져
"올해 2분기 전국 무역항 물량 2% 감소…수출입 물동량 줄어"
2분기 항만 물동량 2% 감소···대미 수출 물동량은 8.4%↓
현대글로비스, 분기 사상 최대 매출·영업익 달성
전재수 “해수부 부산이전이 선거용? 아무리 정치인이 간이 커도…” 반박
“이제 아시아 바다도 우리가 접수”...HMM 소형 컨테이너선 10척 확보해 투입
HMM, 소형 선박 10척 도입…"아시아 공략"
HMM, 캘리포니아 오렌지 수입 운송 3년 연속 1위
세계 최대 광물중개社에 무보, 2억달러 금융지원
'극한호우'에 침수 피해 속출…전국서 4명 사망·1명 실종
HMM '남유럽 관문' 스페인 터미널 넓힌다
HMM, 스페인 터미널 넓힌다...글로벌 물류 인프라 확장 ‘올인’
HD현대, 탄소 저감형 컨테이너선 개발 시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