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천왕은 고구려의 제10대 왕으로, 산상왕과 소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227년에 즉위하여 248년까지 재위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위나라와 외교적 관계를 맺고 전쟁을 치르는 등 대외 관계에 힘썼다. 특히 위나라의 침략으로 환도성이 함락되자 평양으로 천도하려 했으며, 신라와도 외교적 관계를 맺었다. 248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연불이 중천왕으로 즉위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천왕 - 1차 양맥 전투
    1차 양맥 전투는 245년 가을, 고구려 동천왕이 위나라 유주자사 관구검의 침공에 맞서 비류수 전투와 양맥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이후 관구검에게 패배하여 수도 환도성이 함락된 전투이다.
  • 동천왕 - 비류수 전투
    비류수 전투는 245년 가을, 위나라 관구검이 오환족, 선비족과 함께 고구려를 침공하여 동천왕이 비류수에서 위군을 격파했으나, 이후 관구검의 반격으로 환도성이 함락된 전투이다.
  • 고구려-위 전쟁 관련자 - 중천왕
    중천왕은 고구려의 제12대 왕으로, 왕족 반란 진압과 국상 권한 강화를 통해 왕권 안정에 힘썼으며 위나라의 침공을 격퇴했고, 왕후 연씨와 후궁 관나부인 사이의 갈등으로 관나부인을 처형한 사건이 있었다.
  • 고구려-위 전쟁 관련자 - 관구검
    관구검은 위나라의 장군으로, 공손연 토벌과 고구려 원정에서 공을 세웠으나 사마사의 전횡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고 피살되었다.
  • 248년 사망 - 히미코
    히미코는 3세기경 야마타이국을 다스린 여왕으로, 《삼국지》 위지 왜인전에 기록되어 있으며 주술로 백성을 다스렸다고 전해지지만 실존 여부와 야마타이국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248년 사망 - 왕평 (삼국지)
    왕평은 삼국 시대 촉나라의 장군으로, 조조에게서 유비에게 투항하여 제갈량의 북벌과 위연의 난을 진압하고, 흥세산 전투에서 위나라 군대를 막아 한중을 지켜냈다.
동천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제11대 고구려 국왕
우위거(憂位居) · 교체(郊彘) · 위궁(位宮)
시호동천(東川)
별칭동양왕(東襄王)
생애
출생일209년 9월 (음력)
사망일248년 9월 (음력, 39세)
능묘시원(柴原)
가족 관계
부친산상왕
모친소후(小后)
배우자미상, 후궁
자녀중천왕, 예물, 사구
즉위 전
작위고구려 태자
재위 기간213년 1월 ~ 227년 5월 (음력)
전임자태자 남무 (고국천왕)
후임자태자 연불 (중천왕)
왕위
재위 기간227년 5월 ~ 248년 9월 (음력)
전임자산상왕
후임자중천왕
이름
한국어 (한글)동천왕 또는 동양왕
한국어 (한자)東川王 또는 東壤王
로마자 표기Dongcheon-wang 또는 Dongyang-wang
한국어 (한글, 출생 시)우위거 또는 위궁 또는 교체
한국어 (한자, 출생 시)憂位居 또는 郊彘
로마자 표기 (출생 시)Uwigeo 또는 Wigung 또는 Gyoche

2. 생애

산상왕과 소후(小后)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명은 '교체'였다. 이는 교제(郊祭)에 쓸 돼지와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했다. '위궁'이라는 별명도 있었는데,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사물을 본 모습이 태조왕 궁(宮)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14] 그러나 일부 기록에서는 위궁을 아버지 산상왕의 이름으로 보기도 한다. 또한 그의 가계에 대해서도 삼국사기 내 기록 간에 차이가 있어, 태조왕의 증손자라는 기록과 조카손자뻘이라는 기록이 공존한다.

성품은 너그럽고 어질었으며, 용감하고 힘이 세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다고 전해진다.[15] 213년에 태자가 되었고, 227년 산상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치세 초기에는 중국 남방의 오나라와 우호 관계를 맺었으나, 234년 북방의 위나라와 화친하면서 관계를 전환했다. 236년에는 고구려에 머물던 오나라 사신 호위를 처형하여 위에 보내기도 했으며, 238년에는 위나라가 요동공손연 세력을 토벌할 때 군사를 보내 협력했다.

공손연 세력이 멸망한 후 위나라와 직접 국경을 맞대게 되면서 양국 관계는 악화되었다. 242년 동천왕은 위의 서안평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244년 위나라의 유주자사 관구검이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고구려를 침공했다. 동천왕은 초기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이후 크게 패배하여 수도 환도성이 함락되는 등 큰 위기를 맞았다. 옥저 방면으로 피난했던 동천왕은 부하 유유 등의 활약으로 위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위기를 극복했다.

환도성이 전쟁으로 크게 파괴되자, 247년 평양성을 쌓아 임시로 수도를 옮겼다. 이 평양성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존재한다.[17] 한편, 245년 신라의 북쪽 변경을 침공했다는 기록과 248년 신라와 화친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당시 고구려의 상황을 고려할 때 그 사실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248년에 사망했으며, 나라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어 따라 죽는 자가 많았다고 한다.

2. 1. 출생과 즉위

산상왕과 주통촌 출신 후녀(后女) 사이에서 209년에 태어났다.[1] 아명은 '교체'인데, 이는 교제(郊祭)에 쓸 돼지와 관련된 일화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산상왕은 본래 형사취수로 왕후 우씨와 결혼했으나 자녀가 없었고, 동천왕이 태어나자 그의 어머니인 후녀를 소후(小后)로 삼았다.

'위궁'이라는 별명도 있었는데, 태어나면서부터 눈을 뜨고 사물을 본 모습이 태조왕 궁(宮)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14] 그러나 《삼국사기고구려본기나 중국의 《북사》 등 일부 기록에서는 위궁을 동천왕이 아닌 아버지 산상왕의 이름으로 보기도 한다.

가계상으로는 고구려 제8대 국왕 신대왕의 손자이자 제10대 국왕 산상왕의 아들이다.[1]

성품은 너그럽고 어질어서 화를 내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전해진다. 또한 《삼국지》 기록에 따르면 용감하고 힘이 강했으며, 말타기와 활쏘기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다고 한다.[15]

213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며,[2] 227년 산상왕이 세상을 떠나자 왕위를 계승하였다.[2]

2. 2. 대외 관계와 전쟁

동천왕 재위 기간 동안 고구려는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활발한 대외 활동과 여러 차례의 전쟁을 치렀다. 특히 중국 대륙의 , 와의 관계 및 요동 지역의 공손씨 세력과의 관계가 중요한 변수였다.

치세 초기에는 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233년 의 압박을 받은 공손연이 오의 사신을 참수하자, 살아남은 오 사신 60여 명이 고구려로 도망쳐 왔다. 이들은 오의 황제 손권이 고구려에게 요동 영유를 인정한다는 조칙을 전달했고, 이를 계기로 오와의 동맹 가능성이 열렸다. 그러나 동천왕은 234년 위와 화친하고, 236년에는 고구려에 머물던 오의 사신 호위 등을 참수하여 그 머리를 위에 보내며 위와의 관계를 우선시하는 외교 노선을 선택했다. 237년에는 위의 개원을 축하하는 사절을 파견하기도 했다.

238년, 위가 사마의를 보내 공손연을 토벌할 때, 동천왕은 군사 1,000여 명을 보내 위를 지원하여 공손씨 세력 멸망에 기여했다.[3][2] 이로써 고구려는 오랜 위협이었던 공손씨를 제거했지만, 동시에 강력한 위나라와 직접 국경을 맞대게 되면서 새로운 위협에 직면하게 되었다.[2]

공손씨 멸망 이후 고구려는 국력을 강화하며 위의 변경 지역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242년, 동천왕은 위의 요동 서안평을 공격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이는 고구려-위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244년 8월, 위의 유주자사 관구검이 대규모 병력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공했다.[4][2][5] 동천왕은 직접 군대를 지휘하여 비류수와 양맥곡[16]에서 위군을 연달아 격파하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후 벌어진 전투에서 고구려군은 크게 패배하여 1만 8천여 명의 병력을 잃었다.

같은 해 10월, 관구검은 수도 환도성을 함락시키고 도시를 파괴했으며, 현도태수 왕기를 보내 피난길에 오른 동천왕을 추격했다. 동천왕은 남쪽의 옥저까지 밀려났으나, 부하 장수 유유가 목숨을 건 계책으로 위군 장수를 암살하고 적진에 혼란을 일으켜 위기를 넘겼다.[7] 삼국사기는 이후 동천왕이 밀우유옥구 등과 함께 반격에 나서 위군을 격퇴하고 영토를 회복했다고 기록하고 있다.[8] 동천왕은 유유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기념비를 세우도록 명했다.[7] 다만, 유유의 활약과 위군 격퇴에 대한 삼국사기의 상세한 기록은 중국 측 사료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일부 내용의 시대착오적 서술 등으로 인해 그 신빙성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10][11] 이 전쟁 과정에서 왕을 보좌하고 공을 세운 인물들이 5부 세력이 아닌 왕의 직속 부하들이었다는 점은, 이후 고구려 왕권이 강화되는 배경이 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관구검의 침입으로 수도 환도성이 크게 파괴되자, 동천왕은 247년(246년 설도 있음[6]) 평양성을 새로 쌓고 임시로 수도를 옮겼다.[17] 이 평양성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현재의 평양직할시가 아니라 압록강 유역의 강계 부근, 지안 부근의 평지성, 혹은 환도성의 다른 이름 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17][2][5]

한편, 신라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삼국사기245년 10월 고구려가 신라 북변을 침공했다는 기록과 248년 2월 신라와 화친했다는 기록이 있다.[12] 그러나 위나라와의 전쟁으로 국력이 소모된 상황에서 신라를 공격했다는 기록의 사실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며, 위의 침략을 피해 고구려 유민들이 신라 방면으로 이동한 상황을 반영한 것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12] 이외에 245년 3월에는 동해 방면의 예(濊)족으로부터 미녀를 헌상받아 후궁으로 삼았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2. 3. 신라와의 관계

245년 10월, 신라의 북쪽 변경 지역을 침공했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있다.[12] 그러나 같은 시기 고구려는 북쪽으로부터 위나라 관구검의 침입을 받아 수도인 환도성이 함락되는 등 국가적 위기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라를 공격할 여력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12] 일부에서는 이 기록을 실제 군사적 침공이라기보다는, 위나라의 침략을 피해 고구려 유민들이 신라 국경 지역으로 대거 이동한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12]

이후 248년 2월에는 신라에서 사신을 파견하여 고구려와 화친을 맺었다.

2. 4. 죽음

248년 가을에 병으로 사망하였으며, 재위 기간은 22년이었다. 나라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매우 슬퍼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어 따라 죽는 자가 많았다고 전해진다. 동천왕의 무덤은 평안남도 평양 근처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뒤를 이어 태자 연불(延佛)이 중천왕으로 즉위하였다.[13]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신대왕
아버지산상왕고구려 제10대 왕
어머니소후산상왕의 후비. 관노부 주통촌 출신.
왕후미상
아들연불왕후 소생. 제12대 중천왕.
아들예물왕후 소생. 248년중천왕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살해됨.
아들사구왕후 소생. 248년중천왕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살해됨.
후궁미상삼국사기》 동천왕 19년(245년) 3월 기록. 동해 사람이 바친 미녀.


4. 동천왕을 섬긴 사람들

참조

[1] 서적 Women in Korean history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16-01-30
[2] 웹사이트 King Dongcheon http://world.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6-01-30
[3] 서적 Korea and Japan in East Asian history: a tripolar approach to East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9788985567039 2006
[4] 서적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0-29
[5] 서적 New history of Korea https://books.google[...] Jimoondang 2016-01-30
[6] 서적 Samguk sagi http://db.history.go[...] 2016-01-30
[7] 서적 Hubert & Weems
[8] 서적 Samguk sagi
[9] 서적 Ikeuchi
[10] 서적 Ikeuchi
[11] 서적 Ikeuchi
[12] 서적 https://books.google[...] 책보세 2016-01-30
[13] 서적 Samguk sagi http://db.history.go[...]
[14] 서적 삼국지
[15] 서적 삼국지 https://db.history.g[...]
[16] 서적 삼국지
[17] 웹인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표제어 '고구려' http://encykorea.aks[...] 2013-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