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스캐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키스캐너는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익명으로 위키백과를 편집한 IP 주소를 추적하는 데이터베이스였다. 이는 기관의 IP 주소를 통해 편집자를 추적하여, 해당 편집이 기관의 공식 입장인지, 개인적인 일탈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를 지닌다. 위키스캐너는 언론 보도를 통해 다이볼드, CIA, FBI,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실 등 다양한 기관의 편집 사례를 공개하며, 위키백과의 익명 편집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위키백과 공동 설립자 지미 웨일스는 위키스캐너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익명 편집의 윤리적 문제와 정보 왜곡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키백과 논란 - Lsjbot
Lsjbot은 Lars Sverker Johansson이 개발한 위키백과 문서 자동 생성 봇으로, 세부아노어 위키백과와 스웨덴어 위키백과에 기여했으며, 문서 내용 부족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위키백과의 성차별 문제 해결에 기여한다고 주장했다. - 위키백과 논란 - 헨리크 바투타 사건
헨리크 바투타 사건은 폴란드어 위키백과에 가상 인물에 대한 허위 정보가 유포되어 위키백과의 신뢰성 문제와 허위 정보 확산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다. - 인터넷 프라이버시 - 구글 스트리트 뷰
구글 스트리트 뷰는 구글이 제공하는 파노라마 가상 거리 보기 서비스이며, 2007년 미국에서 처음 출시되어 전 세계 83개국에서 360도 거리 모습을 제공하며,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위해 얼굴과 번호판을 흐리게 처리한다. - 인터넷 프라이버시 - 잊힐 권리
잊힐 권리는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제기된 개념으로, 유럽 연합에서 법제화가 추진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인터넷 자기게시물 접근배제요청권 가이드라인 발표 및 디지털 잊힐 권리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 인터넷 프로토콜 - IPTV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이며, 고속통신망과의 통합, 양방향 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망 사업자 제한 등의 제한 사항도 존재한다. - 인터넷 프로토콜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위키스캐너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위키스캐너 |
유형 | 데이터베이스 도구 |
상업적 여부 | 아니오 |
소유자 | 버질 그리피스 |
저자 | 버질 그리피스 |
출시일 | 2007년 8월 13일 |
서비스 상태 | 오프라인 (2013년부터) |
사용 언어 | 중국어 네덜란드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폴란드어 |
상세 정보 | |
주요 기능 | 위키백과 편집과 기관 연결 데이터베이스 |
목적 | 기관/단체의 위키백과 편집 추적 및 공개 |
특징 | 익명 편집의 출처 IP 주소 추적 |
참고 사항 | 위키백과 내 주의사항 참조 |
개발 및 접근 | |
개발자 | 버질 그리피스 |
접근 | 등록 불필요 |
FAQ | WikiScanner FAQ (아카이브) |
현재 페이지 | Virgil Griffith's current page |
2. 디자인 및 기술적 배경
위키백과는 특정 문서를 제외하고 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제3자를 사칭하여 자신이나 관련 항목의 내용을 유리하게 수정하는 행위(자작극)가 문제시되었지만, 그 실태는 쉽게 드러나지 않았다.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 내용은 개별 IP 주소별로 열람할 수 있었지만, IP 범위나 조직 단위로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위키스캐너를 사용하면,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사용한 특정 IP 범위 또는 조직의 이름과 해당 편집 작업의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위키스캐너의 데이터베이스는 2002년 2월 7일부터 2007년 8월 4일 사이의 익명 편집(위키백과에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편집) 3,400만 건을 포함하고 있다.[3] 그리피스는 이 데이터베이스가 위키백과의 월별 공개 데이터베이스 덤프에 포함된 익명 편집을 수집하여 구축되었으며, IP2Location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기관을 해당 IP 주소에 연결하여, 최소 한 번 이상 익명으로 위키백과를 편집한 187,529개의 기관을 발견했다고 밝혔다.[3]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그리피스는 "자신이 싫어하는 기업이나 단체의 체면을 깎아내리는 약간의 소동을 일으킬 수 있다면 좋겠다"라고 말했다.[33] 또한, 위키스캐너의 FAQ 페이지에서 위키스캐너의 유용성에 대해 언급했다.[34]
그리피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시스템을 가진 위키백과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서 위키스캐너의 유용성을 주장한다. 그는 위키미디어 재단에 고용된 적이 없으며, "위키스캐너는 100% 비영리 목적이다"라고 밝혔다. 위키백과에서는 사용자 등록 없이도 문서를 편집할 수 있지만, 이때 문서 편집 기록에는 사용자 이름 대신 IP 주소가 공개된다. 그리피스는 WikiScanner의 FAQ 페이지에서 2002년 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총 34,417,493건의 IP 사용자 편집을 데이터베이스화했다고 밝혔다. IP 주소에서 원격 호스트로의 변환 목록은 2,668,095개이며, 그중 187,529개의 호스트에서 한 번 이상 위키백과 편집이 확인되었다.[34]
2. 1. 기술적 한계
위키스캐너는 IP 주소로 이루어진 익명 편집에서만 작동하며, 사용자 이름으로 로그인한 편집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관의 권한 있는 사용자가 편집했는지, 권한 없는 침입자가 편집했는지, 아니면 기관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공공 접근 컴퓨터 사용자가 편집했는지 구분할 수 없다.[6]바티칸의 컴퓨터에서 이루어진 편집에 대해 컴퓨터 전문가 케빈 커런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그 사람이 직원이었는지, 아니면 악의적으로 바티칸 시스템을 해킹하여 IP 주소를 '스푸핑'했는지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6]
위키스캐너 FAQ에서는 편집이 회사의 대표가 아닌 회사의 네트워크에 로그인한 컴퓨터에만 확실하게 귀속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편집이 침입자가 아닌 권한 있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보장이 없다고 덧붙였다.[3] 이러한 침입의 가능성은 조직의 네트워크 보안에 달려 있으며, 바티칸 도서관과 같은 조직은 공공 접근 터미널 또는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7]
그리피스는 FAQ 페이지에서 이러한 비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34]
3. 언론 보도 및 반응
위키스캐너는 와이어드, BBC, 뉴욕 타임스 등 주요 언론에 보도되어 다양한 조직의 위키백과 편집 활동을 폭로하며 큰 파장을 일으켰다. 언론 보도는 주로 특정 기관의 이해관계가 반영된 편집, 비판적인 내용 삭제, 홍보성 내용 추가 등에 초점을 맞췄다.
와이어드는 알 자지라, 폭스 뉴스 채널, 민주당 상원 의원 및 CIA와 같은 조직의 편집을 공개했다.[8] BBC는 다이볼드, 민주당 의회 캠페인 위원회, 바티칸에서 시작된 편집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10] 더 타임스는 BBC의 IP 주소가 위키백과를 편집했다고 보도했다.[11]
AP 통신은 사이언톨로지 컴퓨터가 비판을 삭제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보도했으며,[13] 뉴욕 타임스 또한 자체 컴퓨터에서 편집이 이루어졌음을 인정했다.[14] 와이어드.com은 전 공화당 상원의원 콘래드 번스의 사무실도 비판적인 내용을 편집했다고 보도했다.[2]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총리 및 내각부 직원이 정부 관련 기사에서 잠재적으로 유해한 세부 사항을 제거하기 위해 익명으로 편집한 사실이 드러났다.[18][19] 국방부 직원도 5,000회 이상 편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2][23]
보스턴 글로브는 위키스캐너를 통해 펩시, 월마트, 엑손모빌, 로열 더치 셸 등 기업들의 편집 사실을 보도했다.[24] 인디펜던트는 이해 관계가 있는 편집자가 위키백과의 다양한 기사에 "검열 개입"을 했다고 밝혔다.[25]
포춘 매거진은 위키스캐너 사용을 "비즈니스의 101가지 바보스러운 순간" 중 하나로 언급하며, 워싱턴 포스트와 뉴욕 타임스 직원의 편집 사례를 소개했다.[26]
풍자 작가 스티븐 콜베어는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위키스캐너를 통해 드러난 기업 및 정부의 위키백과 편집 행위를 풍자적으로 비판하며, 기업과 정부가 위키백과에서 무엇이 진실이고 아닌지를 결정하는 민주적 과정에 참여할 "권리"라고 언급했다.[9]
일본에서는 NHK의 TV 프로그램에서 버질 그리피스가 위키백과를 이용한 기업의 자사 홍보 활동을 비판했다.
3. 1. 주요 편집 사례
위키스캐너를 통해 여러 기관 및 기업에서 이해관계에 따라 위키백과 문서를 편집한 사례가 드러났다. 와이어드는 초기 보도에서 대부분의 편집이 "비교적 무해했다"고 평가했지만,[2] 이후 여러 언론 보도를 통해 다양한 편집 사례가 밝혀졌다.기관/단체 종류 | 기관/단체 | 편집 내용 (간략) |
---|---|---|
기업 | 다이볼드, 애플, 엑손모빌, 월마트, 닌텐도, 에이벡스 등 | 자사에 유리한 내용 추가, 불리한 내용 삭제 |
정부 기관 | CIA, FBI, 오스트레일리아 총리실 및 국방부, 바티칸 등 | 2003년 이라크 침공, 관타나모 수용소 관련 기사 편집 등 |
정치권 | 민주당 의회 캠페인 위원회, 공화당, 영국 보수당 등 | 정당 및 정치인 관련 정보 편집 |
언론사 | 알 자지라, 폭스 뉴스 채널, 뉴욕 타임스, 요미우리 신문 등 | 자사 및 관련 기사 편집 |
기타 | 국제 앰네스티, 국제 연합, 네슬레 등 | 관련 정보 편집 |
일본 정부 부처 | 후생노동성, 농림수산성, 문부과학성, 궁내청 등 | 사라진 연금 문제 관련, 나가쓰마 아키라 의원 비방 등 |
이 외에도 일본어판 위키백과에서는 후생노동성이 사라진 연금 문제로 정부를 추궁하던 민주당 의원 나가쓰마 아키라를 비방하는 내용을 추가하는 등[50][49] 여러 정부 부처에서 편집이 이루어진 사실이 밝혀졌다.[51][53]
3. 1. 1. 한국어판 위키백과의 경우
2006년 10월 24일, 주일본 미국 대사관의 IP 사용자가 한국어 위키백과의 "조선의 역사#근대" 문서를 삭제하고, "조선에는 역사가 없다. 예로부터 중국, 일본, 편협한 오랑캐의 속국"이라고 기입했다.[56][57][58] 이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부정하고 폄훼하는 내용으로, 당시 한국 사회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이 외에도 대한민국 국회의원, 정부 부처, 기업 등이 자신에게 유리한 내용을 추가하거나 불리한 내용을 삭제하는 등 위키백과 문서를 편집한 사례가 위키스캐너를 통해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행위는 정보의 객관성과 중립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4. 위키백과 커뮤니티의 반응
위키백과 공동 설립자 지미 웨일스는 위키스캐너에 대해 "굉장하고 강력하게 지지한다"고 언급하며, 정보 투명성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29][13] BBC는 익명의 위키백과 대변인의 말을 인용하여 이 도구가 투명성을 "또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기관이나 개인이 정말 해서는 안 되는 기사를 편집하는 것을" 방지한다고 칭찬했다.[10]
위키미디어 재단 대변인 제이 월시는 위키백과의 언어 중립성과 이해 상충 방지가 핵심이라고 언급하며, "신뢰할 수 있는 편집은 이해 상충 관계가 없는 사람에게서 나올 것이며, 이 경우 캐나다 정부 내 컴퓨터에서 편집을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해당 부처 내 사람이면 이론적으로 이해 상충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할 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30] 지미 웨일스는 익명 편집자에게 경고를 줄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며, 편집 시 사용자에게 소속 기관을 알리는 것이 편집자들이 한 번 더 생각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14]
5. 윤리적 쟁점 및 사회적 영향
위키스캐너는 위키백과 편집 시 사용된 특정 IP 범위 또는 조직의 이름과 편집 내용을 공개하여, 정보 조작이나 반달리즘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 개발자 버질 그리피스는 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싫어하는 기업이나 단체의 체면을 깎아내리는 약간의 소동을 일으킬 수 있다면 좋겠다"라고 말했다.[33] 위키스캐너 FAQ 페이지에서는 위키스캐너가 논쟁의 여지가 있는 주제에 대해 위키백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34]
그리피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시스템을 가진 위키백과의 문제점에 대한 대응으로 위키스캐너의 유용성을 강조한다. 그는 익명 편집을 허용하면서도 백엔드 분석을 통해 정보 조작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리피스는 위키미디어 재단에 고용된 적이 없으며, 위키스캐너는 100% 비영리 목적이라고 밝혔다.
위키스캐너는 정보 투명성을 높이고 권력을 감시하는 긍정적 기능이 있지만, 개인 정보 침해 및 표현의 자유 위축 가능성도 존재한다. 익명 편집자의 신원이 노출될 경우, 내부 고발자나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들의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수 있다. 위키스캐너와 같은 도구는 위키백과 편집에 대한 사회적 감시를 강화하고, 정보 조작 시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참조
[1]
뉴스
Wikiscanning
https://www.nytimes.[...]
2007-12-09
[2]
간행물
See Who's Editing Wikipedia - Diebold, the CIA, a Campaign
https://www.wired.co[...]
2012-09-15
[3]
웹사이트
WikiScanner FAQ
http://virgil.gr/31.[...]
2007-08-18
[4]
웹사이트
WikiScanner2 PreviewNew!
http://katrina.cs.ca[...]
[5]
웹사이트
Virgil Griffith's WikiScanner Page
http://virgil.gr/wik[...]
[6]
웹사이트
Did Vatican alter Wikipedia info on Adams?
http://www.belfastte[...]
2009-05-18
[7]
웹사이트
Rules for Readers in the Biblioteca Apostolica Vaticana
http://www.vaticanli[...]
Vatican Library
2006-09-15
[8]
뉴스
Vote On the Most Shameful Wikipedia Spin Jobs
http://blog.wired.co[...]
Wired blogs
2007-08-17
[9]
뉴스
The Colbert Report
Comedy Central
2007-08-21
[10]
뉴스
Wikipedia 'shows CIA page edits'
http://news.bbc.co.u[...]
BBC
2007-08-16
[11]
뉴스
Exposed: guess who has been polishing their Wikipedia entries?
http://business.time[...]
2011-12-04
[12]
웹사이트
Wikipedia edits
https://www.bbc.co.u[...]
BBC
2007-08-16
[13]
웹사이트
New online tool unmasks Wikipedia edits
http://creativemac.d[...]
2007-08-16
[14]
뉴스
Seeing Corporate Fingerprints in Wikipedia Edits
https://www.nytimes.[...]
2007-08-19
[15]
웹사이트
Student's program sends PR chaos in Wiki-scandal
http://www.maltastar[...]
Maltastar.com
2007-08-19
[16]
웹사이트
Government computers linked to Wikipedia edits
http://www.ctvnews.c[...]
CTV
2007-08-20
[17]
뉴스
CIA and FBI computers used for Wikipedia edits
https://www.reuters.[...]
2007-08-16
[18]
뉴스
PM's staff edited Wikipedia
http://www.smh.com.a[...]
2007-08-25
[19]
뉴스
Government caught Wiki-watching
http://www.theage.co[...]
2007-08-25
[20]
웹사이트
PM 'not behind Wikipedia edit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08-25
[21]
웹사이트
PM's Dept denies making Wikipedia change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08-25
[22]
뉴스
PM's staff edit Wikipedia entries
http://www.news.com.[...]
2007-08-24
[23]
웹사이트
Defence blocks staff's Wikipedia acces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7-08-25
[24]
뉴스
Behind the e-curtain
http://www.boston.co[...]
2007-08-26
[25]
뉴스
Wikipedia and the art of censorship
http://news.independ[...]
2012-09-17
[26]
뉴스
101 Dumbest Moments in Business - 96. WikiScanner
https://money.cnn.co[...]
2007-12-18
[27]
뉴스
Government buffing Prentice's Wikipedia entry
https://www.cbc.ca/n[...]
CBC News
2008-06-04
[28]
웹사이트
Prentice's Staff Scrubbing Copyright Controversy From Wikipedia Entry
http://www.michaelge[...]
michaelgeist.ca
2008-06-04
[29]
웹사이트
New Tool Outs Would-Be Wikipedia Tricksters
http://www.technewsw[...]
TechNewsWorld
2007-08-16
[30]
뉴스
Copyright rewrite war rages on Prentice Wikipedia page
https://www.theglobe[...]
2010-10-09
[31]
뉴스
「ウィキスキャナー」どんな仕組みになってるの?
http://sankei.jp.msn[...]
2022-09-23
[32]
웹사이트
WikiScanner
https://virgil.gr/pa[...]
2021-03-07
[33]
웹사이트
New online tool unmasks Wikipedia edits
http://creativemac.d[...]
Associated Press
2007-08-16
[34]
웹사이트
WikiScanner FAQ
http://virgil.gr/31.[...]
2023-01-03
[35]
뉴스
Vote On the Most Shameful Wikipedia Spin Jobs -- UPDATED
https://www.wired.co[...]
2024-02-20
[36]
뉴스
See Who's Editing Wikipedia - Diebold, the CIA, a Campaign
https://www.wired.co[...]
2024-02-20
[37]
뉴스
Wikipedia 'shows CIA page edits'
http://news.bbc.co.u[...]
[38]
뉴스
Wal-Mart, CIA, ExxonMobil Changed Wikipedia Entries
http://www.foxnews.c[...]
[39]
뉴스
国交省でウィキペディア書き込み? 暫定税率維持狙い(夕刊フジ)
夕刊フジ
[40]
문서
大村秀章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1]
문서
山谷えり子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2]
문서
山谷えり子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3]
문서
山谷えり子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4]
문서
山谷えり子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5]
문서
山谷えり子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6]
문서
山谷えり子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7]
문서
山谷えり子 - Wikipedia
https://ko.wikipedia[...]
[48]
웹사이트
山谷えり子の「経歴」 削除された気になる部分
https://www.j-cast.c[...]
2006-10-14
[49]
서적
ウィキペディアで何が起こっているのか 変わり始めるソーシャルメディア信仰
九天社
[50]
문서
長妻昭 - Wikipedia
https://ko.wikipedia[...]
[51]
웹사이트
総務省や文科省もWikipediaを編集していた 「WikiScanner」日本語版で判明
https://www.itmedia.[...]
2024-02-20
[52]
서적
ウィキペディアで何が起こっているのか 変わり始めるソーシャルメディア信仰
九天社
[53]
웹사이트
2007年9月10日付Sankei WEB掲載記事
https://web.archive.[...]
2007-09-10
[54]
웹사이트
http://wiredvision.j[...]
[55]
웹사이트
日本語版『Wikiscanner』を使ってみよう
http://wired.jp/wv/2[...]
[56]
문서
朝鮮の歴史 - Wikipedia
https://ko.wikipedia[...]
[57]
뉴스
言葉も国境も越える!日韓リアルタイム翻訳掲示板
http://www.enjoykore[...]
enjoy korea
2007-09-22
[58]
뉴스
嫌韓意識を煽るアメリカ大使館
http://kikko.cocolog[...]
きっこの日記
2007-09-21
[59]
문서
読売新聞 - Wikipedia
https://ko.wikipedia[...]
[60]
뉴스
任天堂やソニーもWikipediaを検閲? Wikiscannerによる調査で判明
http://www.technobah[...]
[61]
문서
エイベックス - Wikipedia
https://ko.wikipedia[...]
[62]
문서
削除を行ったIDの投稿履歴 - Wikipedia
https://ko.wikipedia[...]
[63]
문서
「219.166.51.136」の投稿記録 - Wikipedia
https://ko.wikipedia[...]
[64]
웹사이트
CIAやFBI なぜバレたのか ウィキペディアの修正疑惑
https://www.j-cast.c[...]
2007-08-20
[65]
뉴스
オランダ王族もWikipediaを自己編集
http://www.itmedia.c[...]
ITmedia
2007-09-03
[66]
웹사이트
Sony edits Wikipedia, downplaying Halo 3's graphics
https://arstechnica.[...]
2024-02-20
[67]
웹사이트
マイクロソフトもWikipediaでソニーのPS2、PS3をこき下ろしていた - GIGAZINE
https://gigazine.net[...]
2024-02-20
[68]
웹사이트
101 Dumbest Moments in Business - WikiScanner (96) - FORTUNE
https://money.cnn.co[...]
2024-02-20
[69]
웹사이트
New Tool Outs Would-Be Wikipedia Tricksters
http://www.technewsw[...]
[70]
간행물
"Anonymous calling": The WikiScanner scandals and anonymity on the Japanese Wikipedia
http://dx.doi.org/10[...]
2018-12-01
[71]
웹인용
Virgil Griffith's WikiScanner Page
http://virgil.gr/wik[...]
2016-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