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은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인 문해력 증진에 기여한 개인, 단체, 기구를 선정하여 유네스코가 시상하는 상이다. 한국 정부는 한글 창제의 세종대왕 업적을 기리고자 1989년 유네스코에 제안하여 1990년부터 매년 '세계 문해의 날'에 시상하고 있다. 주로 개발도상국의 모어 발전 및 보급에 기여한 단체를 대상으로 하며, 한국 정부는 상금과 메달 수여에 필요한 재원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네스코의 상 - 유네스코 세계언론자유상
유네스코 세계언론자유상은 언론 자유 옹호 및 증진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귈레르모 까노 이사사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 제정되었으며, 언론인들의 용기와 헌신을 기리고 언론 탄압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매년 세계 언론 자유의 날에 시상한다. - 조선 세종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조선 세종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이자 훈민정음 창제 후 초기 한글 활자본으로, 석가모니의 공덕과 교화를 담고 있으며 국보 제320호로 지정된 조선 전기 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
로마자 표기 | UNESCO Sejongdaewang Munhaesang |
유형 | 문해상 |
수여 기관 | 유네스코 |
후원 | 대한민국 정부 |
첫 시상 | 1989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목적 | |
목적 | 모국어 문해 교육 발전 공헌 |
수상 | |
수상 횟수 | 매년 2개 단체/개인 |
상금 | 미화 20,000 달러 (각 수상자) |
부상 | 메달 및 증서 |
역사 | |
제정 | 1989년 유네스코 |
배경 |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정신 기림, 문맹 퇴치 노력 장려 |
2. 배경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읽고 쓸 줄 알아야 한다. 또한 알 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도 문해력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기에 유엔 산하 기관인 유네스코는 1946년 이래 전 세계적으로 문맹 퇴치 운동을 전개해왔다. 아울러 유네스코는 개인과 공동체 사회에게 문맹 퇴치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9월 8일을 '세계 문해(文解)의 날(International Literacy Day)'로 지정하여 1967년부터 매년 기념행사를 치르고 있다.[7] 세계 문해의 날이란, 문자를 읽고 쓰는 일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날이다.
한국정부는 문해력이 낮은 백성들을 위해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문자를 새로 만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정신과 업적을 전 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세계 문맹 퇴치를 위해 이바지하고자 1989년 6월에 '세종대왕 문해상' 제정을 제안하였다.[8] 유네스코는 이러한 취지에 공감하여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제정, 1990년부터 문맹퇴치에 앞장선 개인이나 단체를 선정하여 매년 세계 문해의 날에 상을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에게는 20000USD의 상금과 은으로 만든 메달을 수여하는데,[10][9] 그 재원은 한국정부가 전액 지원하고 있다.[8][10] 1994년까지는 수상자가 1인(단체)였으나,[11] 1995년부터 본상과 장려상으로 2명이나 2곳의 단체에게 수여해왔으며, 2021년부터는 수상자 3명(단체)을 선정해 수상 규모를 확대했다.[10]
3. 수상 대상
년도 기관/연구소 국가 1990 케랄라 과학 대중화 운동 (Kerala Science Popularization Movement) 인도 1991 가나대학교 성인교육연구소 (University of Ghana Institute of Adult Education) 가나 1992 푸두비아 아리볼리 이야캄(Puduvia Arivoli Iyakkam) (푸두체리) 인도 1993 요르단 교육부 문해 퇴치 및 성인 교육 프로젝트 (Ministry of Education (Jordan) Illiteracy Eradication and Adult Education Project) 요르단 1994 튀니지 여성 국가 연합 (National Union for Tunisian Women) (UNFT) 튀니지 1995 농촌 여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해 및 훈련 시범 사업 (Pilot Literacy and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PROCALMUC)) 에콰도르 전국부녀연합회 (All-China Women's Federation, ACWF) 중국 1996 국방항공부 문화교육부 (Culture and Education Department of the Armed Forces, Ministry of Defense and Aviation) 사우디아라비아 유네스코 디브와 디아 디툼바 클럽 (Club UNESCO Dibwa Dia Ditumba) 콩고 민주 공화국 1997 노트르담 자선활동 재단 여성기업개발 프로그램 (Notre Dame Foundation for Charitable Activities Inc's, Women in Enterprise Development (WED) Programme) 필리핀 토고 목화 회사 (Togolese Cotton Company, SOTOCO) 토고 1998 문해 및 성인 교육 총국 (General Authority for Literacy and Adult Education, GALAE) 이집트 상설 문해 퇴치 그룹 (Permanent Illiteracy Eradication Group, GPLI) 프랑스 1999 니제르 국립 교육부 성인 문해 및 훈련국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Niger) Directorate for Adult Literacy and Training) 니제르 여성 및 인적 개발 증진부 (Ministry for the Promotion of Women and Human Development, PROMUDEH) 페루 2000 청소년 교육 (Juvenile Education) 이라크 문해 및 기초 교육 국장 (National Literacy and Basic Education Directorate) 세네갈 2001 감숙성 천수시 교육위원회 중국 알파티트보닛/알파 담수화 프로젝트 (Alfatitbonit/Alfa Desalin Project) 아이티 2002 부냐드 문해 지역 사회 위원회 (Bunyad Literacy Community Council, BLCC) 파키스탄 이집트 소재 성인 교육 지역 센터 (Egypt-based Regional Centre for Adult Education, ASFEC) 이집트 2003 남아프리카공화국 템발레투 지역 사회 교육 센터 (Tembaletu Community Education Centre in South Africa)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제 반성 서클 (International Reflect Circle, CIRAC) 2004 브라질 정부 산하 알파베티자상 솔리다리아 (Alfabetização Solidária, Solidarity in Literacy) 브라질 칭하이성 문해 교육 실천가 그룹, 중국 정부 후원 중국 2005 아울라 문화 협회 (AULA Cultural Association), 스페인 정부 신청 스페인 골(GOAL), 액션에이드(ActionAid) 신청 수단 2006 모자 교육 재단 (Mother Child Education Foundation, ACEV) 터키 쿠바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 교육대학교 청소년 및 성인 문해 및 교육 강좌 (Youth and Adult Literacy and Education Chair of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Pedagogical University of the Republic of Cuba (IPLAC)) 쿠바 2007 어린이 도서 프로젝트 (Children's Book Project) 탄자니아 토스탄(Tostan) 세네갈 2008 국민 행동 포럼 프로그램: 반성 및 HIV/AIDS (People's Action Forum programme: Reflect and HIV/AIDS) 잠비아 2009 틴 투아 문해 프로그램 (Tin Tua's Literacy Programme) 부르키나파소 우타르프라데시주 니란타르의 프로젝트 "카바르 라하리아(뉴스 웨이브)" (Uttar Pradesh Nirantar's project "Khabar Lahariya (News Waves)") 인도 2010 성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 (EdFoA) of the General Directorate of Adult Training) 카보베르데 함부르크 시 교사 양성 및 학교 개발 주립 연구소의 가족 문해 프로젝트 (Hamburg Family Literacy Project (FLY) of the State Institute for Teacher Training and School Development) 독일 2011 국가 문해 서비스 (National Literacy Service) 부룬디 성인 교육 연구소의 "평생 이중 언어 문해" 프로그램 (Bilingual Literacy for Life" Program of the Institute for the Education of Adults) 멕시코 2012 지역 사회 교육 개발국 (Directorate of Community Education Development) 인도네시아 유나이티드 펜테코스트 교회의 국가 성인 문해 프로그램 (United Pentecostal Church National Adult Literacy Programme) 르완다 2013 게라 지역 모국어 문해 프로그램, 게라 언어 증진 협회 연합 (Mother Tongue Literacy in the Guera Region programme, Federation of Associations for the Promotion of Guera Languages) 차드 인도 인적자원개발부 국가 문해 증진국 사악샤르 바라트(문해 인도) 미션 (Ministry of Education (India) National Literacy Promotion Bureau Saakshar Bharat (Literate India) Mission) 인도 2016 베트남 농촌 지역 도서, 지식 지원 및 지역 사회 개발 센터 (Books for rural areas of Viet Nam, Center for Knowledge Assistance and Community Development) 베트남 마히돌 대학교 아시아 언어 및 문화 연구소 파타니 말레이-태국 이중/다중 언어 교육 프로젝트 (Mahido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Patani Malay-Thai Bi/Multilingual Education Project (PMT-MLE)) 태국 2017 위 러브 리딩(We Love Reading) (요르단) 요르단 콩코르디아 대학교(Concordia University) 학습 연구 센터 (Center for the Study of Learning, CSLP) 캐나다 2018 우루과이 정부 교육문화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Uruguay)) 우루과이 에듀케이션 포 아프가니스탄 (Aid Afghanistan for Education) 아프가니스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4. 역대 수상자
년도 기관/연구소 국가 1990 케랄라 과학 대중화 운동 (Kerala Science Popularization Movement) 인도 1991 가나대학교 성인교육연구소 (University of Ghana Institute of Adult Education) 가나 1992 푸두비아 아리볼리 이야캄(Puduvia Arivoli Iyakkam) (푸두체리) 인도 1993 요르단 교육부 문해 퇴치 및 성인 교육 프로젝트 (Ministry of Education (Jordan) Illiteracy Eradication and Adult Education Project) 요르단 1994 튀니지 여성 국가 연합 (National Union for Tunisian Women) (UNFT) 튀니지 1995 농촌 여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해 및 훈련 시범 사업 (Pilot Literacy and Train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Women (PROCALMUC)) 에콰도르 전국부녀연합회 (All-China Women's Federation, ACWF) 중국 1996 국방항공부 문화교육부 (Culture and Education Department of the Armed Forces, Ministry of Defense and Aviation) 사우디아라비아 유네스코 디브와 디아 디툼바 클럽 (Club UNESCO Dibwa Dia Ditumba) 콩고 민주 공화국 1997 노트르담 자선활동 재단 여성기업개발 프로그램 (Notre Dame Foundation for Charitable Activities Inc's, Women in Enterprise Development (WED) Programme) 필리핀 토고 목화 회사 (Togolese Cotton Company, SOTOCO) 토고 1998 문해 및 성인 교육 총국 (General Authority for Literacy and Adult Education, GALAE) 이집트 상설 문해 퇴치 그룹 (Permanent Illiteracy Eradication Group, GPLI) 프랑스 1999 니제르 국립 교육부 성인 문해 및 훈련국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Niger) Directorate for Adult Literacy and Training) 니제르 여성 및 인적 개발 증진부 (Ministry for the Promotion of Women and Human Development, PROMUDEH) 페루 2000 청소년 교육 (Juvenile Education) 이라크 문해 및 기초 교육 국장 (National Literacy and Basic Education Directorate) 세네갈 2001 간쑤성 천수시 교육위원회 중국 알파티트보닛/알파 담수화 프로젝트 (Alfatitbonit/Alfa Desalin Project) 아이티 2002 부냐드 문해 지역 사회 위원회 (Bunyad Literacy Community Council, BLCC) 파키스탄 이집트 소재 성인 교육 지역 센터 (Egypt-based Regional Centre for Adult Education, ASFEC) 이집트 2003 남아프리카공화국 템발레투 지역 사회 교육 센터 (Tembaletu Community Education Centre in South Africa)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제 반성 서클 (International Reflect Circle, CIRAC) 2004 브라질 정부 산하 알파베티자상 솔리다리아 (Alfabetização Solidária, Solidarity in Literacy) 브라질 칭하이성 문해 교육 실천가 그룹, 중국 정부 후원 중국 2005 아울라 문화 협회 (AULA Cultural Association), 스페인 정부 신청 스페인 골(GOAL), 액션에이드(ActionAid) 신청 수단 2006 모자 교육 재단 (Mother Child Education Foundation, ACEV) 터키 쿠바 라틴 아메리카 카리브 교육대학교 청소년 및 성인 문해 및 교육 강좌 (Youth and Adult Literacy and Education Chair of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Pedagogical University of the Republic of Cuba (IPLAC)) 쿠바 2007 어린이 도서 프로젝트 (Children's Book Project) 탄자니아 토스탄(Tostan) 세네갈 2008 국민 행동 포럼 프로그램: 반성 및 HIV/AIDS (People's Action Forum programme: Reflect and HIV/AIDS) 잠비아 2009 틴 투아 문해 프로그램 (Tin Tua's Literacy Programme) 부르키나파소 우타르프라데시주 니란타르의 프로젝트 "카바르 라하리아(뉴스 웨이브)" (Uttar Pradesh Nirantar's project "Khabar Lahariya (News Waves)") 인도 2010 성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Adul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me (EdFoA) of the General Directorate of Adult Training) 카보베르데 함부르크 시 교사 양성 및 학교 개발 주립 연구소의 가족 문해 프로젝트 (Hamburg Family Literacy Project (FLY) of the State Institute for Teacher Training and School Development) 독일 2011 국가 문해 서비스 (National Literacy Service) 부룬디 성인 교육 연구소의 "평생 이중 언어 문해" 프로그램 (Bilingual Literacy for Life" Program of the Institute for the Education of Adults) 멕시코 2012 지역 사회 교육 개발국 (Directorate of Community Education Development) 인도네시아 유나이티드 펜테코스트 교회의 국가 성인 문해 프로그램 (United Pentecostal Church National Adult Literacy Programme) 르완다 2013 게라 지역 모국어 문해 프로그램, 게라 언어 증진 협회 연합 (Mother Tongue Literacy in the Guera Region programme, Federation of Associations for the Promotion of Guera Languages) 차드 인도 인적자원개발부 국가 문해 증진국 사악샤르 바라트(문해 인도) 미션 (Ministry of Education (India) National Literacy Promotion Bureau Saakshar Bharat (Literate India) Mission) 인도 2014 부르키나파소 ‘비정규교육진흥연맹’ (NGO 국경없는 교육가회 와 공동수상) 부르키나파소 에콰도르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에콰도르 2015 모잠비크 ‘진보협회’ 모국어를 통한 문자 해독과 성 평등을 위한 도약프로그램 (Leap Program for Literacy and Gender Equality through Mother Tongue, Association for Progress) 모잠비크 스리랑카 ‘국립교육원’ 열린 학교 프로그램 (Open School Programm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스리랑카 2016 베트남 농촌 지역 도서, 지식 지원 및 지역 사회 개발 센터 (Books for rural areas of Viet Nam, Center for Knowledge Assistance and Community Development) 베트남 마히돌 대학교 아시아 언어 및 문화 연구소 파타니 말레이-태국 이중/다중 언어 교육 프로젝트 (Mahidol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for Languages and Cultures of Asia, Patani Malay-Thai Bi/Multilingual Education Project (PMT-MLE)) 태국 2017 위 러브 리딩 (요르단) (We Love Reading (Jordan)) 요르단 콘코르디아 대학교 학습 연구 센터 (Concordia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Learning (CSLP)) 캐나다 2018 우루과이 정부 교육문화부 (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 (Uruguay)) 우루과이 에듀케이션 포 아프가니스탄 (Aid Afghanistan for Education) 아프가니스탄 2019 국립 성인 문해교육청(알제리) (National Office for Literacy and Adult Education) 알제리 세네갈 방직 개발회사(세네갈) (Senegalese Textile Development Company) 세네갈 2020 네팔 노령기구(네팔) (Ageing Nepal) 네팔 세계연합학교(영국) (United World Schools) 영국 2021 과테말라 ‘무한한 지평선 익실’ (Limitless Horizons Ixil) 과테말라 인도 ‘국립개방교육원’ (National Institute of Open Schooling)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푸쿠 아동문학재단’ (Puku Children’s Literature Foundation) 남아프리카 공화국 2022 2023 2024
4. 1. 주요 수상자 (1990-2021)
[11]
1990년부터 2021년까지 59개(명)의 단체와 개인이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받았다. 1990년에서 1994년에는 수상자가 1인이었으나, 1995년부터 2020년까지는 2인이었으며, 2021년부터는 3인으로 수상자(단체)가 확대되었다.[12][10]
연도 | 기관/연구소 | 국가 |
---|---|---|
1990 | 과학대중화 운동 | 인도 |
1991 | 성인교육연구소 | 가나 |
1992 | 지식의 등불 운동 | 인도 |
1993 | 교육부 | 요르단 |
1994 | 튀니지 여성연맹 | 튀니지 |
1995 | 농촌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문재전후 훈련 계획 | 에콰도르 |
중국부녀연합 | 중국 | |
1996 | 사우디아라비아 국방항공부 군교육문화국 | 사우디아라비아 |
디브와디아 디툼바 유네스코 클럽 | 콩고민주공화국 | |
1997 | 자선활동을 위한 노트르담 재단의 기업 발전에서의 여성 프로그램 | 필리핀 |
토고면직회사 | 토고 | |
1998 | 문해 및 성인교육 총괄국 | 이집트 |
비문해퇴치를 위한 상설기구 | 프랑스 | |
1999 | 성인문해·훈련국 | 니제르 |
여성지위향상·인력개발부 | 페루 | |
2000 | 청소년교육 | 이라크 |
국립문해기초교육국 | 세네갈 | |
2001 | 간수성 천수시 교육위원회 | 중국 |
폴 게랭-라죠아 문해기금 | 아이티 | |
2002 | 부냐드 문해지역협의회 | 파키스탄 |
성인교육 아랍지역센터 | 이집트 | |
2003 | 남아프리카 템바레투 지역사회 교육센터 | 남아프리카 공화국 |
국제성찰써클 | ||
2004 | AlfaSol(Solidarity in Literacy) | 브라질 |
칭하이성 문해교육 사업단 | 중국 | |
2005 | AULA문화협회 | 스페인 |
GOAL | 수단 | |
2006 | 모자교육재단 | 터키 |
중남미·캐리비안 교육연구소 | 쿠바 | |
2007 | NGO인 아동 도서 프로젝트 | 탄자니아 |
국제 NGO인 토스탄 | 세네갈 | |
2008 | 잠비아의 국민행동포럼 “Reflect and HIV/AIDS" | 잠비아 |
2009 | 부르키나파소의 문해교육단체 틴투아 | 부르키나파소 |
인도의 여성교육단체 니란타르 | 인도 | |
2010 | 카보베르데 성인훈련원의 '성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 카보베르데 |
주립교사훈련 및 학교 개발기관의 '가족 문해 사업' | 독일 | |
2011 | 부룬디의 ‘전국문해서비스’ | 부룬디 |
멕시코 국립성인교육연구소의 ‘두 언어 생활문해 프로그램’ | 멕시코 | |
2012 | 인도네시아 지역사회 교육개발 프로그램 | 인도네시아 |
르완다 펜테코스탈 교회의 성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 르완다 | |
2013 | 인도의 인적자원개발부 소속 국립문해국의 ‘삭사르 바랏 미션’ | 인도 |
아프리카 차드공화국 구에라어 촉진 협회의 ‘모국어 문해 프로그램’ | 차드 | |
2014 | 부르키나파소의 ‘비정규교육진흥연맹’ | 부르키나파소 |
에콰도르의 ‘교육부’ | 에콰도르 | |
2015 | 모잠비크 ‘진보협회’ 모국어를 통한 문자 해독과 성 평등을 위한 도약프로그램 | 모잠비크 |
스리랑카 ‘국립교육원’ 열린 학교 프로그램 | 스리랑카 | |
2016 | 마히돌 대학교 아시아문화언어연구소 | 태국 |
지식협력공유개발센터 | 베트남 | |
2017 | 콘코디아 대학교 학습 및 성과 연구센터 | 캐나다 |
위 러브 리딩 | 요르단 | |
2018 | 교육을 위한 아프가니스탄 지원 | 아프가니스탄 |
교육분화부 | 우루과이 | |
2019 | 국립 성인 문해교육청 | 알제리 |
세네갈 방직 개발회사 | 세네갈 | |
2020 | 네팔 노령기구 | 네팔 |
세계연합학교 | 영국 | |
2021 | 과테말라의 ‘무한한 지평선 익실’ | 과테말라 |
인도의 ‘국립개방교육원’ | 인도 |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푸쿠 아동문학재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 한국의 역할과 의의
한국 정부는 문해력이 낮은 백성들을 위해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문자를 새로 만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정신과 업적을 전 세계에 알리고, 세계 문맹 퇴치에 이바지하고자 1989년 6월에 '세종대왕 문해상' 제정을 제안하였다.[8] 이러한 취지에 공감한 유네스코는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을 제정하여 1990년부터 문맹 퇴치에 앞장선 개인이나 단체를 선정하여 매년 세계 문해의 날에 상을 수여하고 있다. 수상자에게는 20000USD의 상금과 은으로 만든 메달이 수여되는데,[10][9] 그 재원은 한국 정부가 전액 지원하고 있다.[8][10] 1994년까지는 수상자가 1인(단체)였으나,[11] 1995년부터 본상과 장려상으로 2명이나 2곳의 단체에게 수여해 왔으며, 2021년부터는 수상자 3명(단체)을 선정해 수상 규모를 확대했다.[10]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은 주로 개발도상국 모어(母語) 발전·보급에 크게 기여한 개인/단체/기구에게 매년 시상하고 있다. 후보는 유네스코 회원국 정부, 또는 유네스코와 공식 관계를 맺고 있는 국제 비정부기구들이 후보를 추천할 수 있다. 수상자는 국제심사위원단의 추천으로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선정한다. 국제심사위원단은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세계 각 지역별로 안배해 임명한 문해 분야의 남·녀 저명인사 최소 5명으로 구성되며, '유네스코 공자 문해상' 국제심사위원단을 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https://en.unesco.or[...]
[2]
웹사이트
세종대왕상 [King Sejong Prize, 世宗大王賞]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3]
웹사이트
http://www.mcst.go.k[...]
2024-11-00 # 링크 끊김 날짜로 대체
[4]
웹사이트
세종대왕상이 뭐지요?
https://terms.naver.[...]
우리말의 수수께끼
2002-04-20
[5]
웹사이트
'세계문해의 날' 알아보는 문명퇴치를 위한 세계의 노력
https://blog.naver.c[...]
[6]
웹사이트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https://terms.naver.[...]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7]
웹사이트
International Literacy Day
https://www.un.org/e[...]
[8]
웹사이트
세종대왕상 [King Sejong Prize, 世宗大王賞]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9]
웹사이트
UNESCO International Literacy Prizes
https://en.unesco.or[...]
[10]
웹사이트
제32회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수상
https://www.mcst.go.[...]
[11]
웹사이트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역대 수상자(단체) 명단
https://www.mcst.go.[...]
[12]
웹사이트
제32회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https://blog.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