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여성지위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여성지위위원회는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교육적 권리와 인권을 증진하고 여성 인권 관련 문제를 감시, 기록하기 위해 1946년 설립된 유엔의 공식 기구이다. 이 기구는 여성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며, 1947년 첫 회의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 회의를 개최하여 여성 권리 증진을 위한 국제적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여성차별철폐협약(CEDAW) 채택을 주도하고, 베이징 행동강령 채택에 기여했으며, 밀레니엄 개발 목표 및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에도 참여했다. 2022년에는 이란이 여성 인권 문제로 회원국 자격을 박탈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흐사 아미니 시위 - 타라네 알리두스티
타라네 알리두스티는 영화 《나는 타라네, 15살》로 데뷔하여 로카르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세일즈맨》을 포함한 다양한 영화 출연과 사회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발언으로 이란의 대표적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 마흐사 아미니 시위 - 마흐사 아미니 사망 사건
2022년 9월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란 도덕 경찰에 체포된 22세 이란 여성 마흐사 아미니가 구금 중 사망하여 이란 정부의 여성 인권 탄압에 대한 항의 시위를 촉발하고 히잡 의무화 정책과 도덕 경찰의 과도한 권력 행사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다. -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 유엔 인권 위원회
유엔 인권 위원회는 1946년 창설되어 인권 증진, 조약 체결 지원, 인권 침해 조사를 수행했으며, 53개국으로 구성되어 특별 절차를 설립했으나, 구성원의 문제와 정치적 편향성으로 비판을 받았다. -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 유엔 통계국
유엔 통계국은 유엔 경제사회국 산하 기관으로서, 전 세계 경제, 사회, 환경 통계 데이터를 수집, 분석, 보급하고 SDGs 지표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 수립 및 평가를 지원하며, 국제전기통신연합과 협력하여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을 추진한다. - 1946년 설립된 단체 - 조선소년단
조선소년단은 1946년 북한에서 창립된 9~15세 청소년 단체로, 주체사상과 김일성 일가 숭배 교육을 하며, 2018년 기준 275만 명의 단원 수를 보유하고, 주요 기념일에 신규 입단이 이루어지며, 일본에서도 조선총련 주도로 운영되고 조선학교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가입한다. - 1946년 설립된 단체 - 조선문학가동맹
조선문학가동맹은 1945년 좌익 문학 단체 통합으로 결성되어 일본 제국주의 잔재 청산 등을 강령으로 내세웠으나, 미군정의 탄압으로 활동이 위축되고 주요 인물들의 월북 이후 와해되었다.
유엔 여성지위위원회 | |
---|---|
기본 정보 | |
유형 | 정부간 국제 기구, 규제 기구, 자문 기구 |
약칭 | CSW |
수장 직함 | 유엔 여성지위위원회 의장 |
수장 | 안토니오 마누엘 레비야 라다메오 |
현황 | 유효 |
설립일 | 1946년 6월 21일 |
본부 위치 | 뉴욕, 미합중국 |
웹사이트 | CSW at unwomen.org |
모(母) 기관 |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
자회사 |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 예방 전문가 그룹 회의 |
2. 역사
유엔 여성지위위원회는 1946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결의에 따라 여성의 정치·경제·사회·교육적 권리와 인권을 증진하고, 여성 인권 관련 문제를 감시하고 기록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여성 문제를 중점으로 한 유일한 유엔 공식 기구였다. 1947년 2월 뉴욕주 레이크 석세스에서 첫 회의가 열렸으며, 당시 참석한 정부 대표 15인 모두 여성이었다는 점이 다른 유엔 관련 조직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활동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결의에 따라 여성의 권리 신장과 여성 관련 문제 감시 및 기록을 위해 1946년에 설립되었다. 1947년 2월 뉴욕주 레이크 석세스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는데, 당시 참석한 정부 대표 15인 모두 여성이었으며, 이는 다른 유엔 관련 조직과 차별되는 점이었다. 현재도 여성지위위원회에 참여하는 대표들 다수가 여성으로 구성되고 있다. 첫 회의에서 여성지위위원회는 다음의 원칙을 선언했다.> 국적, 인종, 언어, 종교에 관계 없이 모든 여성의 지위를 향상하고, 인간의 모든 영역에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누리도록 하기 위해 법률, 법언, 관습법, 법해석 등 모든 법적인 측면에서의 여성 차별을 철폐한다.
여성지위위원회의 초기 업적 중 하나는 세계 인권 선언문에 성평등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권 위원회와 마찰을 겪기도 했지만, 여성지위위원회는 선언문에 들어가는 어휘와 표현을 성인지 감수성을 고려하여 성평등한 어휘가 선언문 전문에 도입되도록 했다.
2. 2. 초기 구성원 (1947년)
국가 | 대표 |
---|---|
오스트레일리아 | 제시 메리 그레이 스트리트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에브도키아 우릴로바 |
중국 | 주이젠 徐亦蓁|쉬이전중국어 |
코스타리카 | 그라시엘라 모랄레스 F. 데 에체베리아 |
덴마크 | 보딜 베그트럽 |
프랑스 | 마리 헬렌 르포쇠 |
과테말라 | 사라 바스테레체아 라미레즈 |
인도 | 샤리파 하미드 알리 |
멕시코 | 아말리아 C. 데 카스티요 레돈 |
시리아 | 앨리스 칸달프트 코스마 |
튀르키예 | 미흐리 펙타시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 엘리자비에타 알렉세예브나 포포바 |
영국 | 메리 서덜랜드 |
미국 | 도로시 케니언 |
베네수엘라 | 이사벨 데 우르다네타 |
유엔 여성지위위원회는 1979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에 관한 협약(CEDAW)과 1995년 베이징 행동강령 채택을 주도하는 등 여성 권리 신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8][14] 또한 밀레니엄 개발 목표 및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여하여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한 국제적 노력을 이끌었다.[18]
3. 주요 활동 및 성과
2022년에는 마흐사 아미니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이란 내 여성 인권 문제로 인해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회원국 자격을 박탈하기도 했다. 이는 위원회 설립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21][22][23][24]
3. 1. 여성차별철폐협약(CEDAW) 채택 주도
1979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에 관한 협약(CEDAW)은 여성의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보장하는 국제 협약이다.[8] 여성지위위원회는 이 협약 채택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여성의 성 및 생식에 대한 권리와 가족계획에 대한 권리 등을 명시하는 데 기여했다.[8][10]
이 협약은 "여성의 생식이 차별의 근거가 되어서는 아니된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9] 모성의 사회적 의미를 긍정하고, 자녀돌봄과 모성 보호를 모든 여성이 보장받아야 할 필수적인 권리로 공표했다.[9] 또한 여성 스스로의 의사와 책임에 따라 자유롭게 자녀 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권리를 보장하고 행사하는 데 필요한 교육 기회와 정보에 접근할 권리를 여성의 인권으로 명시하고 있다.[10]
협약 조인국은 다양한 피임법을 포함한 관련 정보와 교육 등을 자국 여성들에게 제공할 책무를 지니며,[9][11] 여성의 의사에 반해 임신중단을 강제하거나, 여성을 불임으로 만드는 것은 이 조약을 위반하는 행위이다.[11] 한편, 미국은 이 조약을 비준하지 않았다.[12]
3. 2. 세계여성대회 개최
여성지위위원회는 여성의 성 및 생식권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으로 세계여성대회를 개최했다.[13] 1975년 멕시코시티에서 첫 대회가, 1980년 코펜하겐에서 제2차 대회가, 1985년 나이로비에서 제3차 대회가 개최됐다.[13]
3. 3. 베이징 행동강령 채택 (1995년)
1995년 개최된 제4차 세계여성대회에서는 베이징 선언과 베이징 행동강령이 채택되었다.[14] 여기에는 앞서 개최된 세 차례의 여성대회에서 다룬 여성의 요구와 권리에 관한 내용이 반영되었다.[15] 재생산권센터는 베이징 행동강령에 대해 "여성 인권을 가장 포괄적으로 표현한 국제 조약"이라고 평가했다.[16]
이 조약은 특히 여성의 생식권을 기본권으로 명시하며, "모든 여성은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구하기 쉽고 스스로 납득할 수 있는 가족계획법과 법에 저촉되지 않는 인공피임법을 배우고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기술했다.[17] 베이징 행동강령은 또한 가입국에 임신중단에 대한 징벌적인 제도를 개선하고, 그를 대체할 가족계획법과 피임법을 보급하며, 임신중절을 한 사람에게 양질의 요양 치료를 제공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그리고 안전하고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인간의 권리로 여기고, 모든 여성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양질의 의료적 관리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촉구한다.
한편 일부 학자들은 베이징 행동강령이 청소년의 성 문제와 HIV 및 AIDS로 인한 합병증 등의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15]
3. 4.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 및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기여
여성지위위원회는 여성의 재생산 건강을 국제적 의제로 확립하고자 밀레니엄 개발 목표 수립 과정에 참여하여 '모성보건 증진'을 다섯 번째 목표로 포함시켰다.[18] 2005년 유엔은 피임법 보급, 청소년 임신 및 출산 문제 관리, 산전 건강관리와 가족계획법 접근 장벽 감소 등을 기준으로 2015년까지 모성보건에 대한 보편적 접근 달성이라는 조항을 추가했다.[18]
2013년 제57회 회기 합의서는 재생산 건강권을 인간의 기본권으로 중요하게 다루며, 생식 보건 안전 확보를 여성 폭력 예방 수단으로 언급했다.[19] 2013년 여성차별철폐 선언문 또한 재생산 건강 보장을 여성 대상 폭력 방지 수단으로 인식하고, 관련 사회 구조적 요인 문제를 지적한다.[19] 2014년 여성지위위원회 협약은 성교육과 생식 보건 보장을 최우선 과제로 그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다양한 피임법을 포함한 최신 가족계획법을 모든 여성에게 보급하고 재생산 정의 보장을 목표로 한다.[20]
3. 5. 이란 회원국 자격 박탈 (2022년)
이란 이슬람 공화국은 마흐사 아미니 사망 사건과 인권 보장을 요구하는 시위대를 향한 이란 정부의 폭력으로 지탄을 받고 2022년 12월 유엔 여성지위위원회 회원국 자격을 박탈당했다. 회원국의 여성 인권 문제로 그 지위가 박탈된 것은 위원회 설립 후 처음이다.[21][22][23][24]
4. 회의
여성지위위원회는 매년 정기 회의를 개최하여 여성 권리 증진을 위한 국제적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관련 결의안 및 권고안을 채택한다. 회의 보고서는 여성지위위원회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회의 | 개최년도 | 링크 |
---|---|---|
제65차 회의 | 2021 | [https://www.unwomen.org/en/csw/csw65-2021 제65차 회의] |
제64차 회의 | 2020 | [https://www.unwomen.org/en/csw/csw64-2020 베이징+25] |
제63차 회의 | 2019 | [https://www.unwomen.org/en/csw/csw63-2019 제63차 회의] |
제62차 회의 | 2018 | [https://www.unwomen.org/en/csw/csw62-2018 제62차 회의] |
제61차 회의 | 2017 | [https://www.unwomen.org/en/csw/previous-sessions/csw61-2017 제61차 회의] |
제60차 회의 | 2016 | [https://www.unwomen.org/en/csw/previous-sessions/csw60-2016 제60차 회의] |
제59차 회의 | 2015 | [https://www.unwomen.org/en/csw/csw59-2015 제59차 회의] |
제58차 회의 | 2014 | [https://www.unwomen.org/en/csw/csw58-2014 제58차 회의] |
제57차 회의 | 2013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57sess.htm 제57차 회의] |
제56차 회의 | 2012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56sess.htm 제56차 회의] |
제55차 회의 | 2011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55sess.htm 제55차 회의] |
제54차 회의 | 2010 | [https://www.un.org/womenwatch/daw/beijing15/index.html 제54차 회의] |
제53차 회의 | 2009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53sess.htm 제53차 회의] |
제52차 회의 | 2008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52sess.htm 제52차 회의] |
제51차 회의 | 2007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51sess.htm 제51차 회의] |
제50차 회의 | 2006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50sess.htm 제50차 회의] |
제49차 회의 | 2005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9sess.htm 제49차 회의] |
제48차 회의 | 2004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8sess.htm 제48차 회의] |
제47차 회의 | 2003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7sess.htm 제47차 회의] |
제46차 회의 | 2002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6sess.htm 제46차 회의] |
제45차 회의 | 2001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5sess.htm 제45차 회의] |
제44차 회의 | 2000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4sess.htm 제44차 회의] |
제43차 회의 | 1999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3sess.htm 제43차 회의] |
제42차 회의 | 1998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2sess.htm 제42차 회의] |
제41차 회의 | 1997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1sess.htm 제41차 회의] |
제40차 회의 | 1996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40sess.htm 제40차 회의] |
제39차 회의 | 1995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39sess.htm 제39차 회의] |
제38차 회의 | 1994 | [https://www.un.org/womenwatch/daw/csw/38sess.htm 제38차 회의] |
제37차 회의 | 1993 | [https://www.un.org/esa/gopher-data/esc/cn6/1986-93/e1993-27.en 제37차 회의] |
제36차 회의 | 1992 | [https://www.un.org/esa/gopher-data/esc/cn6/1986-93/e1992-24.en 제36차 회의] |
제35차 회의 | 1991 | [http://undocs.org/E/CN.6/1991/14 제35차 회의] |
제34차 회의 | 1990 | [http://undocs.org/E/CN.6/1990/11 제34차 회의] |
제33차 회의 | 1989 | [http://undocs.org/E/CN.6/1989/11/REV.1 제33차 회의] |
제32차 회의 | 1988 | [http://undocs.org/E/CN.6/1988/11/REV.1 제32차 회의] |
1987년 회의 | 1987 | [http://undocs.org/E/CN.6/1987/6 1987년 회의] |
제31차 회의 | 1986 | [http://undocs.org/E/CN.6/1986/17 제31차 회의] |
제30차 회의 | 1984 | [http://undocs.org/E/CN.6/1984/12 제30차 회의] |
제29차 회의 | 1982 | [http://undocs.org/E/CN.6/1982/14 제29차 회의] |
제28차 회의 | 1980 | [http://undocs.org/E/CN.6/642 제28차 회의] |
제27차 회의 | 1978 | [http://undocs.org/E/CN.6/620/REV.1 제27차 회의] |
제26차 회의 | 1976 | [http://undocs.org/E/CN.6/608 제26차 회의] |
제25차 회의 | 1974 | [http://undocs.org/E/CN.6/589 제25차 회의] |
제24차 회의 | 1972 | [http://undocs.org/E/CN.6/568 제24차 회의] |
제23차 회의 | 1970 | [http://undocs.org/E/CN.6/546 제23차 회의] |
제22차 회의 | 1969 | [http://undocs.org/E/CN.6/527 제22차 회의] |
제21차 회의 | 1968 | [http://undocs.org/E/CN.6/495 제21차 회의] |
제20차 회의 | 1967 | [http://undocs.org/E/CN.6/487 제20차 회의] |
제19차 회의 | 1966 | [http://undocs.org/E/CN.6/454 제19차 회의] |
제18차 회의 | 1965 | [http://undocs.org/E/CN.6/442 제18차 회의] |
제17차 회의 | 1964 | [http://undocs.org/E/3749 제17차 회의] |
제16차 회의 | 1963 | [http://undocs.org/E/CN.6/403/REV.1 제16차 회의] |
제15차 회의 | 1962 | [http://undocs.org/E/CN.6/383 제15차 회의] |
제14차 회의 | 1961 | [http://undocs.org/E/CN.6/367 제14차 회의] |
제13차 회의 | 1960 | [http://undocs.org/E/CN.6/350 제13차 회의] |
제12차 회의 | 1959 | [http://undocs.org/E/CN.6/334 제12차 회의] |
제11차 회의 | 1956 | [http://undocs.org/E/CN.6/313 제11차 회의] |
제10차 회의 | 1955 | [http://undocs.org/E/CN.6/286 제10차 회의] |
제9차 회의 | 1954 | [http://undocs.org/E/CN.6/271 제9차 회의] |
제8차 회의 | 1953 | [http://undocs.org/E/CN.6/253 제8차 회의] |
제7차 회의 | 1952 | [http://undocs.org/E/CN.6/227 제7차 회의] |
제6차 회의 | 1951 | [http://undocs.org/E/CN.6/204 제6차 회의] |
제5차 회의 | 1950 | [http://undocs.org/E/CN.175/REV.1 제5차 회의] |
제4차 회의 | 1949 | [http://undocs.org/E/CN.6/154 제4차 회의] |
제3차 회의 | 1948 | [http://undocs.org/E/CN.6/124 제3차 회의] |
제2차 회의 | 1947 | [http://undocs.org/E/615 제2차 회의] |
제1차 회의 | 1946 | [http://undocs.org/E/281/REV.1 제1차 회의] |
참조
[1]
웹인용
Bureau of the Commission
https://www.unwomen.[...]
2024-03-15
[2]
웹사이트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http://www.unwomen.o[...]
[3]
웹사이트
U.N. Elects Saudi Arabia to Women’s Rights Commission, For 2018–2022 Term
https://www.unwatch.[...]
[4]
문서
UN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Fifty-first session.
[5]
웹인용
Expert Group Meeting EGM: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announced.
http://www.unwomen.o[...]
2024-07-26
[6]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https://books.google[...]
UN
2019
[7]
문서
Mrs. W. S. New, Representative of China
http://undocs.org/E/[...]
[8]
웹인용
Short History of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https://www.un.org/w[...]
2017-02-21
[9]
웹인용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ttps://www.refworld[...]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9-08-23
[10]
웹인용
OHCHR {{!}}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ttps://www.ohchr.or[...]
2021-02-16
[11]
저널
Reproductive Health and CEDAW
1995-04
[12]
웹인용
CEDAW Advances Women's Human Rights
https://www.reproduc[...]
2017-02-22
[13]
뉴스
World Conferences on Women
http://www.unwomen.o[...]
2017-03-01
[14]
웹인용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Beijing 1995
https://www.un.org/w[...]
2017-02-22
[15]
저널
Women's Right to Health and the Beijing Platform for Action: The Retreat from Cairo?
1995
[16]
웹인용
BEIJING + 15 No Equality Without Full Enjoyment of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https://www.reproduc[...]
2017-02-21
[17]
웹인용
United Nations, Beijing Declaration and Platform of Action, adopted at the Fourth World Conference on Women, 27 October 1995
http://www.refworld.[...]
2017-02-15
[18]
웹인용
Expanding Millennium Development Goal 5: Universal access to reproductive health by 2015
https://www.unicef.o[...]
2017-02-21
[19]
웹인용
Elimination and prevention of all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2013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Agreed Conclusions
http://www.unwomen.o[...]
2017-02-21
[20]
뉴스
UN document promotes equality for women
https://apnews.com/6[...]
2014-03-22
[21]
웹인용
UK statement at the UN vote on ending Iran's membership on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https://www.gov.uk/g[...]
2022-12-14
[22]
웹인용
In a first, Iran expelled from UN women's rights commission
https://www.timesofi[...]
2022-12-14
[23]
뉴스
Iran ousted from U.N. women's commission after U.S. campaign
https://www.reuters.[...]
2022-12-14
[24]
웹인용
ECOSOC/7109: Economic and Social Council Adopts Controversial Draft Resolution to Remove Iran from Commission on Status of Women, Emphasizing Lack of Rights in Country
https://press.un.org[...]
2022-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