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는 1951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안으로, 한국 전쟁 당시 중국 인민지원군을 침략자로 규탄하고 유엔군의 한국 내 주둔을 정당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 공산군의 참전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중국에 대한 제재 결의안이 소련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되자 미국은 유엔 총회에서 중국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추진했다. 결의안은 44개국의 지지를 얻어 채택되었으며, 냉전 시대 미국과 소련 간의 대립이 국제기구의 의사 결정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유엔 관계 - 유엔 총회 결의 제112호
    유엔 총회 결의 제112호는 2차 세계 대전 후 한반도 독립과 통일 문제 해결을 위해 1947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로, 한국 독립 요구를 인정하고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을 설치하여 한국 정부 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나, 미소공동위원회 결렬과 북한 반발로 한반도 분단을 심화시켰다.
  • 한국-유엔 관계 - 한국과 유엔
    대한민국은 북한과 함께 1991년 유엔에 동시 가입한 이후 유엔을 통해 북한 핵 개발 문제 해결과 인권 개선을 위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확보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해왔다.
  • 중국-유엔 관계 -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유엔에서 중화민국을 추방하는 결의로, 중국 대표권 문제 해결과 국제적 영향, 대만의 국제적 고립 및 유엔 가입 문제 등의 논란을 야기했다.
  • 중국-유엔 관계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은 중화인민공화국, 프랑스, 러시아, 영국, 미국 5개국이며,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고 상임이사국 확대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1951년 2월 - 거창 양민 학살 사건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은 6·25 전쟁 중 국군 제11사단에 의해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에서 민간인 719명이 학살된 사건으로, 정부의 은폐 시도와 관련자 처벌, 진상 규명 노력 등의 과정을 거쳤다.
  • 1951년 2월 - 지평리 전투
    지평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 미 제23연대 전투단이 중공군의 대규모 공격을 격퇴하고 미 제1기병사단의 지원으로 승리하여 UN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전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전투이다.
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
결의 정보
결의안 명칭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
원문 명칭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498
채택1951년 2월 1일
회의제327차 총회
찬성44
반대7
기권9
내용
비고중화인민공화국의 침략 행위 규탄
관련 사건한국 전쟁
투표 결과
찬성 국가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볼리비아
브라질
캐나다
칠레
중화민국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덴마크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프랑스
그리스
아이슬란드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이스라엘
레바논
라이베리아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니카라과
노르웨이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시리아
남아프리카 연방
태국
튀르키예
영국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반대 국가벨라루스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우크라이나
소련
스웨덴
미얀마
기권 국가아프가니스탄
버마
에티오피아
인도
파키스탄
사우디 아라비아
스웨덴
예멘
유고슬라비아
관련 링크
역사A&E 텔레비전 네트워크

2. 배경

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 채택을 촉구하는 1951년 미국 정부 제작 포스터. 태국어로 "44개국이 붉은 중국을 규탄한다"고 적혀 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같은 해 말 수십만 명의 중국인민지원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원하며 전쟁에 개입하였다. 이에 미국안전 보장 이사회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제재 조치를 추진하려 했으나, 상임이사국인 소련거부권을 행사하여 번번이 무산되었다.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의 결의안 채택이 어려워지자, 미국은 논의의 장을 유엔 총회로 옮겨 중국을 침략자로 규탄하는 결의안 통과를 시도하게 되었다.

2. 1. 중국 인민지원군의 한국전쟁 개입



1950년 말, 수십만 명의 중국인민지원군 병력이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미국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유엔군에 맞서 싸우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한반도 북부로 이동했다.

이 결의안(유엔 총회 결의 제498호) 표결은 유엔 주재 미국 대표단이 안보리에서 중국 공산당 정부에 대한 조치를 추진하려 했으나 실패한 이후에 이루어졌다. 당시 안보리의 소련 대표는 거부권을 행사하여 미국의 이러한 시도를 번번이 무산시켰다. 이에 미국 대표단은 유엔 총회로 논의의 장을 옮겨, 유엔이 중국을 한국 전쟁의 침략자로 규탄할 것을 촉구했다.

2. 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 채택 실패



1950년 말, 한국 전쟁 중에 수십만 명의 중국인민지원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한반도 북부로 진입하여 미국대한민국이 주도하는 유엔군과 교전하였다.

유엔 주재 미국 대표단은 이러한 중국의 개입에 대응하여 안전 보장 이사회가 중국 정부에 대한 제재 조치를 취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안보리의 상임이사국이었던 소련 대표는 거부권을 행사하여 미국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막았다. 안보리에서 결의안 채택이 불가능해지자 미국 대표단은 유엔 총회로 논의를 옮겨 유엔이 중국을 침략자로 규탄할 것을 촉구했다.

3. 유엔 총회 결의 498 (V)



1950년 말, 수십만 명의 중국인민지원군이 한국 전쟁에서 미국한국이 주도하는 유엔군에 맞서 싸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북한으로 넘어왔다.

이에 미국은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중국에 대한 조치를 취하려 했으나, 소련 대표가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미국의 노력은 번번이 무산되었다. 안보리에서의 결의안 채택이 실패로 돌아가자, 미국 대표단은 유엔 총회로 눈을 돌려 유엔이 중국을 한국 전쟁의 침략자로 규탄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 즉 '한국에서의 침략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 규탄 결의안'(유엔 총회 결의 498 (V))을 상정하였다. 이 결의안은 중국을 침략자로 규정하고, 유엔군의 한국 내 주둔을 정당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한국의 입장과 대응

대한민국 정부유엔 총회 결의 498 (V)를 환영하며, 이를 근거로 중국인민지원군의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하였다. 당시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이 결의안 통과로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정당성을 인정받고 북한의 침략 행위를 규탄할 명분을 얻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