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표 (흉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표는 남흉노 선우 어부라의 아들이자 연제씨 일족으로, 196년 부친 사망 후 숙부 호주천이 선우가 되면서 좌현왕(또는 우현왕)이 되었다. 216년 호주천이 한나라 조정에서 작위를 받고 업에 머무르자 병주의 남흉노는 다섯 부로 나뉘었고 유표는 좌부를 지휘했다. 흉노 출신이 유씨 성을 사용하는 것은 유표 때부터 시작되었으며, 채옹의 딸 채문희를 첩으로 삼아 두 아들을 두었다. 가평 연간에 다섯 부를 통일했으나 아들 유연을 낙양에 인질로 보내야 했고, 유표 사후 유연이 한조를 건국했다.

2. 생애

유표는 남흉노 선우 어부라의 아들이며, 연제씨 일족의 일원이다.[1] 196년에 아버지 어부라가 한지에서 사망하자,[9] 숙부 호주천이 수평 계승 순서에 따라 선우 자리를 계승하고 유표는 좌현왕(또는 우현왕)이 되었다.[1][9]

216년, 호주천은 업 (현재의 한단, 허베이)으로 가서 한나라 황실로부터 작위를 받고 그곳에 머물렀다. 병주의 남흉노는 다섯 부로 나뉘었고, 유표는 좌부를 지휘했다.[2] 흉노 출신자가 한족화한 후 유씨 성을 자칭하는 것은 유표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전한 때부터 흉노와 한나라 사이에 인척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표가 후한 조정으로부터 성을 하사받았다는 설도 있지만, 실제로는 어부라의 모계 조상 가운데 한나라 공주의 성을 선택하여 스스로 결정한 것이다.

195년, 동탁의 잔당 이각곽사 등에 의한 반란이 일어났을 때 채옹의 딸 채문희를 납치했다고 여겨진다.[10] 207년 조조가 몸값을 지불하여 채문희가 귀국할 때까지 두 아들을 얻었지만,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가평 연간 (249–254)에 유표는 다섯 부를 통일했으나, 이후 셋, 넷으로 다시 나뉘었다.[3] 유표는 아들 유연을 인질로 황도 낙양에 보내야 했다.[4] 유표의 사후, 그의 지위는 304년에 한조를 건국한 유연이 계승했다. 279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11]

2. 1. 초기 생애와 좌현왕 즉위

유표는 남흉노 선우 어부라의 아들이며, 연제씨 일족의 일원이다.[1] 196년에 아버지 어부라가 한지에서 사망하자,[9] 숙부 호주천이 수평 계승 순서에 따라 선우 자리를 계승하고 유표는 좌현왕(또는 우현왕)이 되었다.[1][9]

흉노 출신자가 한족화한 후 유씨 성을 자칭하는 것은 유표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는 전한 때부터 흉노와 한나라 사이에 인척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표가 후한 조정으로부터 성을 하사받았다는 설도 있지만, 실제로는 어부라의 모계 조상 가운데 한나라 공주의 성을 선택하여 스스로 결정한 것이다.

195년, 동탁의 잔당 이각곽사 등에 의한 반란이 일어났을 때 채옹의 딸 채문희를 납치했다고 여겨진다.[10] 207년 조조가 몸값을 지불하여 채문희가 귀국할 때까지 두 아들을 얻었지만,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216년, 호주천은 업 (현재의 한단, 허베이)으로 가서 한나라 황실로부터 작위를 받고 그곳에 머물렀다. 병주의 남흉노는 다섯 부로 나뉘었고, 유표는 좌부를 지휘했다.[2] 가평 연간 (249–254)에 유표는 다섯 부를 통일했으나, 이후 셋, 넷으로 다시 나뉘었다.[3] 유표는 아들 유연을 인질로 황도 낙양에 보내야 했다.[4] 유표의 사후, 그의 지위는 304년에 한조를 건국한 유연이 계승했다.

2. 2. 흉노의 분할과 좌부 통치

195년 아버지 우부라가 사망하자,[1] 숙부인 호주천이 수평 계승 순서에 따라 선우 자리를 계승하고 유표를 좌현왕(또는 우현왕)으로 임명했다.[1][9] 216년, 호주천이 업 (현재의 한단, 허베이)으로 가서 한나라 황실로부터 형식적인 작위를 받고 그 도시에 머무르는 동안, 병주에 있는 남흉노는 다섯 부로 나뉘었고 유표는 좌부를 지휘했다.[2]

흉노 출신자가 한족화한 후에 유씨 성을 자칭하는 것은 유표로부터인데, 이는 전한부터 흉노와 한나라 사이에 인척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표가 후한 조정으로부터 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어부라의 모계 조상 가운데 한나라 공주의 성을 선택하여 스스로 결정한 것이다.

195년, 동탁의 잔당 이각곽사 등에 의한 반란 당시 채옹(蔡邕)의 딸 채문희(蔡文姬)를 납치했다고 여겨진다.[10] 207년 조조가 몸값을 지불하고 채문희가 한나라로 돌아갈 때까지 두 아들을 얻었지만,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가평 연간 (249–254), 유표는 다섯 부를 통일했는데, 이는 조위 장군 등애의 주목을 받았다.[3] 등애는 위나라 최고 통치자 사마사에게 남흉노를 둘로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유표는 또한 그의 아들 유연을 반란을 막기 위해 인질로 황도 낙양으로 보내야 했다.[4] 그의 사후, 그의 지위는 304년에 한조를 건국한 유연이 계승했다. 279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11]

2. 3. 채문희와의 관계

195년 동탁의 잔당 이각곽사 등에 의한 반란 당시 채옹(蔡邕)의 딸 채문희(蔡文姬)를 납치하여 측실로 삼았다.[10] 207년 조조가 몸값을 지불하고 채문희가 귀국할 때까지 두 아들을 얻었지만, 그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9][10]

흉노 출신자가 한족화한 후 유씨 성을 자칭하는 것은 유표로부터 비롯되었는데, 이는 전한 때부터 흉노와 한나라 사이에 인척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표가 후한 조정으로부터 성을 하사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어부라의 모계 조상 가운데 한나라 공주의 성을 선택하여 유표가 스스로 결정한 것이다.

2. 4. 유연과의 관계

196년 어부라가 사망하자 어부라의 동생 호주천이 선우 자리에 오르고, 유표는 좌현왕이 되었다.[9] 이후 조조에 의해 다섯 부로 나뉜 흉노의 좌부를 통괄했다. 흉노 출신자가 한족화한 후 유씨 성을 자칭하는 것은 유표로부터인데, 이는 전한 때부터 흉노와 한나라 사이에 인척 관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유표가 후한 조정으로부터 성을 하사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어부라의 모계 조상 가운데 한나라 공주의 성을 선택하여 유표가 스스로 결정한 것이다.

195년 동탁의 잔당 이각곽사 등에 의한 반란 때 채옹의 딸 채문희를 납치했다고 여겨진다.[10] 207년 조조가 몸값을 지불하여 채문희가 한나라로 돌아갈 때까지 두 아들을 두었으나, 그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적자로 여겨지는 전조의 조상 유연은 출생 연도가 251년경으로, 유표가 실제로 어부라의 아들이라면 상당히 장수한 셈이다.[11] 279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삼국지연의》에서 유표는 '''좌현왕'''(左賢王)으로 등장하며, 고간이 원군을 요청하자, '''"나는 조조와 원수를 진 일이 없거늘 어찌하여 조조와 나의 사이를 갈라놓으려 하는가?"'''라고 하며 고간의 요청을 거부하였다.

4. 평가 및 논란

일부 현대 중국 학자들은 유표가 우부락의 아들이라는 주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5][6] 예를 들어, 탕창루(唐長孺)와 천융(陳勇)은 기록의 불일치를 지적한다. 195년에 유표가 좌현왕으로 처음 활동을 시작한 시점과 저발수기능이 반란을 일으킨 후 사망한 시점(274년 이후)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길다는 것이다. 유표는 남흉노 선우를 전복하고 우부락을 188년에 유배 보낸, 관련은 없지만 영향력 있는 축거 부족(수축거라고도 함)의 유력한 구성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역사 기록의 여러 구절에서 유연과 그의 가족을 축거로 언급하고 있다.[5][6] 유연은 한나라 공주와의 결혼이라는 고대 관습을 통해 선우 가문, 나아가 한나라와의 관계를 조작하여 한조 건국에 대한 정당성을 확립했을 가능성이 높다.

유표는 195년 이각장안 쿠데타 이후 시인 채문희를 첩으로 삼은 좌현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7] 이들은 두 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러나 강력한 군벌 조조가 도착하여 유표에게 많은 몸값을 지불하고 채문희의 석방을 요구했고, 유표는 주저 없이 이를 받아들였다.[7] 다만, 좌현왕이 실제로 유표였는지는 매우 불확실하다. 기록에 그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고, 그가 대신 우현왕이었을 수도 있으며, 우부락과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참조

[1] 문서 Sanguozhi
[2] 서적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peoples in Central Asia in ancient times 1851
[3] 문서 Sanguozhi
[4] 문서 Jin Shu
[5] 간행물 "〈魏晋杂胡考 一 屠各〉" Commercial Press 2010-12
[6] 웹사이트 [田野调查与研究]去卑监国的败局与屠各刘豹的崛起-文学100 http://www.wenxue100[...] 2023-10-16
[7] 문서 Hou Hanshu
[8] 문서 晋書劉淵劉元海載記
[9] 문서 三国志鄧艾伝
[10] 문서 後漢書
[11] 문서 資治通鑑 2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