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아 리빌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아 리빌라는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증손녀이자 티베리우스 황제의 조카손녀였으며, 칼리굴라 황제의 여동생이었다. 그녀는 39년에 칼리굴라를 전복하려는 음모에 연루되어 추방되었고, 클라우디우스 황제에 의해 다시 추방된 후 처형되었다. 리빌라는 칼리굴라 시대에 상당한 명예와 특권을 누렸으나, 오빠의 통제를 받으며 불운한 삶을 살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1년 사망 - 칼리굴라
칼리굴라는 로마 제국의 세 번째 황제로, 초기에는 시민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7개월 만에 정신 이상 증세를 보이며 폭정을 일삼다가 근위대장에게 암살당했다.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아이네이스
《아이네이스》는 베르길리우스가 라틴어로 쓴 서사시로, 트로이 영웅 아이네이아스가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로마를 건설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며, 로마의 기원과 정체성을 강조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지니고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티베리우스 게멜루스
티베리우스 게멜루스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일원으로 티베리우스 황제의 손자였으나, 사촌 칼리굴라와 함께 후계자 구도에 놓인 후 칼리굴라가 황제가 된 후 처형당했다.
율리아 리빌라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기원후 18년경 |
출생 장소 | 레스보스섬, 그리스 |
사망 | 기원후 41년경 (22-23세) |
사망 장소 | 판다타리아 |
매장지 | 아우구스투스 영묘 |
배우자 | 마르쿠스 비니키우스 |
왕조 |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
아버지 | 게르마니쿠스 |
어머니 | 대 아그리피나 |
로마자 표기 | |
이름 | Yullia Ribilla |
참고 문헌 | |
도서 | 마이클 케리건, 나카무라 사치에 역, 2010, 《다크 히스토리3 도설 로마 황제사》, 겐쇼보, 77쪽, ISBN 9784562045792 |
CIL | |
CIL | CIL 6, 891 |
2. 생애
율리아 리빌라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증손녀이자, 티베리우스 황제의 조카손녀이자 양녀였으며, 칼리굴라 황제의 여동생이자,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조카였다. 또한 언니인 대 아그리피나를 통해 네로 황제의 이모였다.[1] 그녀는 부모가 동부 지중해를 여행하는 동안 그리스 섬 중 하나인 레스보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 게르마니쿠스가 서기 19년 안티오크에서 갑작스럽게 죽은 후 어머니와 오빠 칼리굴라와 함께 로마로 돌아왔다. 리빌라는 증조모 리비아의 집에서 자랐고, 나중에는 아버지의 할머니 소 안토니아의 보살핌을 받았다.
그녀는 먼 친척인 소 퀸틸리우스 바루스와 처음 약혼했으나, 퀸틸리우스가 27년에 ''마이에스타스''로 기소되면서 결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2] 33년에 마르쿠스 비니키우스와 결혼했다. 비니키우스 가문은 로마 외곽의 작은 마을 출신으로, 기사 계급이었다.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집정관으로 복무했다. 리빌라의 남편은 온화한 성격을 가졌고 정교한 웅변가였다. 비니키우스는 30년에 집정관, 38/39년에 아시아의 총독을 역임했으며, 리빌라는 남편이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아시아에 동행했을 수도 있다.[3]
칼리굴라 통치 초기, 리빌라는 언니 대 아그리피나, 율리아 드루실라와 함께 베스타 여신과 같은 권리를 받고 황제에 대한 충성 맹세에 이름이 포함되는 등 많은 명예와 특권을 누렸다.[4][5] 또한 칼리굴라 시대에 발행된 동전에는 세 자매의 모습이 새겨지기도 했다.
thumb
그러나 리빌라는 파란만장한 궁정 생활 속에서 오빠 칼리굴라의 완전한 통제를 받았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리빌라는 언니 아그리피나와 함께 칼리굴라에 의해 그의 카타미트들에게 매춘을 강요당했다.[6] 고대 작가들은 칼리굴라와 그의 자매들 사이에 근친상간이 있었다는 소문을 기록하기도 했다.
39년, 리빌라는 칼리굴라를 몰아내고 그의 매형 마르쿠스 아밀리우스 레피두스를 황제로 세우려는 음모에 연루되었다. 이 음모는 아그리피나가 주도한 것으로 추정되며, 리빌라와 아그리피나는 폰티네 제도로 추방되었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율리아 리빌라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증손녀이자, 티베리우스 황제의 조카손녀이자 양녀였다. 또한 칼리굴라 황제의 여동생이자,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조카였으며, 네로 황제의 이모였다.[1] 그녀는 그리스 섬 중 하나인 레스보스에서 태어났는데, 이는 그녀의 부모가 티베리우스가 아드리아해 동쪽 지역에 부여한 ''마이우스 임페리움''을 위해 시리아의 제국 속주에 있는 그의 지휘 기지로 가던 중이었다.어린 시절, 리빌라는 아버지 게르마니쿠스가 서기 19년 안티오크에서 갑작스럽게 죽은 후 어머니, 오빠 칼리굴라와 함께 로마로 돌아왔다.[1] 그녀는 증조모 리비아의 집에서 자랐고, 나중에는 아버지의 할머니 소 안토니아의 보살핌을 받았다.
리빌라는 먼 친척인 소 퀸틸리우스 바루스와 처음 약혼했으나, 퀸틸리우스가 27년에 ''마이에스타스''로 기소되면서 결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2] 33년에 그녀는 마르쿠스 비니키우스와 결혼했다.[3] 비니키우스는 기사 계급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집정관으로 복무했다. 비니키우스는 30년에 집정관, 38/39년에 아시아의 총독을 역임했으며, 리빌라는 남편이 총독으로 재임하는 동안 아시아에 동행했을 수도 있다.[3]
2. 2. 칼리굴라 시대
칼리굴라 통치 초기에 리빌라는 언니 대 아그리피나, 율리아 드루실라와 함께 많은 명예와 특권을 누렸다. 베스타 여신과 같은 권리를 받았고, 황제에 대한 충성 맹세에 그녀의 이름이 포함되었으며, 동전에도 그녀의 모습이 새겨졌다.[4][5]thumb
리빌라는 파란만장하고 특권적인 궁정 생활을 누렸지만, 오빠 칼리굴라의 완전한 통제 아래 있었다.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리빌라는 언니 아그리피나와 함께 칼리굴라에 의해 그의 카타미트들에게 매춘을 강요당했다.[6] 고대 작가들은 칼리굴라와 그의 자매들 사이에 근친상간이 있었다는 소문을 기록하기도 했다.
39년, 리빌라는 칼리굴라를 몰아내고 그의 매형 마르쿠스 아밀리우스 레피두스를 황제로 세우려는 음모에 연루되었다. 이 음모는 아그리피나가 주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리빌라와 아그리피나는 폰티네 제도로 추방되었으며, 추방 중에는 서로 다른 섬으로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 3. 추방과 죽음
칼리굴라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39년에 리빌라와 그녀의 여동생 대 아그리피나는 폰티네 제도로 추방되었다. 추방 중에 둘은 분리되어 각각 다른 섬으로 보내졌을 가능성이 높다.[4] 칼리굴라와 그의 가족이 죽은 후, 리빌라는 새 황제이자 삼촌인 클라우디우스의 명령으로 추방에서 돌아왔다.[7]41년 후반, 리빌라는 메살리나(클라우디우스의 세 번째 아내)의 눈 밖에 나 소 세네카와 간통했다는 혐의로 클라우디우스에 의해 기소되어 다시 추방되었다. 그녀는 아마도 벤토테네로 보내졌을 것이다.[7] 고대 자료를 바탕으로 추론해 보면, 도덕적 또는 가정적 문제보다는 정치적 고려가 율리아 리빌라의 운명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41년 말 또는 42년 초, 클라우디우스는 변호할 기회도 주지 않고 근거 없는 혐의로 리빌라의 처형을 명령했고, 리빌라는 아마도 굶어 죽게 되었을 것이다.[7] 그녀는 고모 리빌라의 딸이자 사촌인 율리아 리비아와 거의 같은 시기에 처형되었다.
리빌라의 유해는 나중에 로마로 옮겨져 아우구스투스 영묘에 안치되었는데, 아마도 아그리피나가 황후가 되었을 때였을 것으로 추정된다.[7] 그녀의 치푸스에서 발견된 묘비명에는 "게르마니쿠스의 딸 리빌라가 여기에 누워있다(LIVILLA GERMANICI CAESARIS FILIA HIC SITA EST)"라고 적혀 있다.[1] 이 치푸스 근처에서 발견된 풍부하고 귀중한 꽃병에는 리빌라의 유해가 들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8]
3. 가계도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율리아 리빌라 | 게르마니쿠스 | 대 아그리피나 | 네로 클라우디우스 드루수스 | 안토니아 마이너 | 마르쿠스 빕사니우스 아그리파 | 대 율리아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 리비아 드루실라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 옥타비아 마이너 | 루키우스 빕사니우스 | 아우구스투스 | 스크리보니 |
4. 대중 문화에서의 묘사
참조
[1]
간행물
CIL 6 891
[2]
서적
Controversiae
[3]
서적
Prosopographie des femmes de l'ordre sénatorial
[4]
서적
Vita Caligulae
[5]
서적
Agrippina
[6]
서적
Vita Caligulae
[7]
서적
Agrippina
[8]
서적
Compendious
[9]
서적
ダークヒストリー3 図説ローマ皇帝史
原書房
[10]
간행물
CIL 6 891
[11]
서적
Compendio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