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악 고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악 고고학은 과거의 음악적 행위와 소리의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음악학 및 고고학의 방법을 결합한다. 고대 음악의 재구성을 위해 악기, 음악 장면의 표현, 문헌 증거 등을 연구하며, 신경생리학, 생물학, 심리학 연구로 확장되기도 한다. 실험 고고학, 음악학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과거 음악 공연 재현, 악기 복원 등을 시도하며,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등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다. 1977년 국제 음악학회 회의에서 처음 시도되었으며, 1981년 국제 전통 음악 협의회 내에 연구 그룹이 설립되었다. 국제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ISGMA)이 설립되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 음악 고고학 프로젝트(EMAP)가 진행되기도 했다. 그레이엄 로슨, 엘렌 히크만 등이 주요 연구자이며, ICTM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 ISGMA 등 국제적인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고학의 분과 - 데이터 고고학
    데이터 고고학은 데이터의 물리적 표현과 맥락적 의미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기원, 변천 과정, 사회 정치적 함의를 밝히고 데이터 계보 조사, 기술적 맥락적 요소 탐구, 데이터 복구 기술 등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 고고학의 분과 - 선사고고학
    선사고고학은 문자가 발명되기 전 인류의 과거를 연구하는 고고학의 한 분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시기에 걸쳐 연구가 이루어지며, 항공 사진 촬영, 층위 측정 등의 방법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유적을 조사하고, 기후 변화, 유물 보존, 윤리적 문제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하여 과거를 복원하려 노력한다.
  • 음악사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 음악사 - 음악사학
    음악사학은 음악과 음악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작곡가와 작품 연구를 넘어 음악 이론, 사상, 장르 및 사조의 변천, 다른 예술 장르와의 관계, 사회, 문화, 경제, 정치와의 연관성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서양, 동양, 한국음악사학으로 나뉜다.
음악 고고학
분야
학문 분야고고학, 음악학, 민족음악학
학문 간 연계고고학, 음악학, 민족음악학 간의 학제적 연구
개요
정의고고학적 방법과 이론을 음악 연구에 적용하는 학문
목표고대 음악의 다양한 측면을 밝히는 것 (기원, 연주 방식, 사회적 역할 등)
연구 방법
주요 연구 방법유물 분석 (악기, 예술 작품 등)
고문헌 연구
실험 고고학
민족음악학적 비교 연구
연구 대상
주요 연구 대상고대 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
악기 제작 도구
음악 관련 유적 (벽화, 조각 등)
음악 관련 문헌 기록
관련 분야
관련 학문 분야고고학
음악사
민족음악학
악기학
고대 언어학
고미술사
참고 문헌
주요 참고 자료해당 분야의 학술 논문, 서적, 연구 보고서 등

2. 정의

음악 고고학자 아제 보트(Adje Both영어)에 따르면, "가장 넓은 의미에서 음악 고고학은 과거의 음악적 행동과 소리의 현상을 연구하는 것이다."[2] 이 학문은 음악학고고학의 방법론을 결합하여 활용하지만, 아직 명확한 이론적, 방법론적 기반이 확립되지 않아 국제 연구자 커뮤니티의 주요 관심사로 남아 있다.[3]

주요 연구 목표는 고대 음악 재구성과 관련된 악기(소리를 내는 장치), 음악 장면 묘사, 문헌 증거 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물의 고고학적 분석 및 문서화(연대 측정, 설명, 기원 및 문화적 맥락 분석 포함)는 악기 사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때로는 기능적 복제품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문헌 연구에는 초기 악보나 관련 기록 조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악 고고학은 인간의 음악 제작 전제 조건을 탐구하는 신경생리학, 생물학, 심리학 연구까지 포괄하는 다면적 융합 학문 분야이다.[6] 실험 고고학과 음악학 연구의 교차점에 위치하며,[7] 과거 음악 공연 재현이나 악기 복원 등을 통해 과거의 음악적 행태를 이해하고자 한다.

융합 학문의 특성상, 연구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협력팀을 통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팀은 주로 음악학자와 고고학자로 구성되지만, 심리학자, 악기학자, 생물학자, 화학자, 역사학자 등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8] 예를 들어, 인간 생리학자는 발굴된 유해 분석을 통해 과거 인류의 노래나 음색 능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9]

정확한 연구를 위해서는 모든 정보와 데이터 소스를 동등하게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과학적 접근법으로 얻은 정보는 과거의 음악적 행태, 음향 유물, 음향 공간에 대한 해석을 심화시킨다.[10] 고고학 연구자들은 과거 행태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등을 이용해 발굴 자료의 분류연대 측정을 수행하며, 데이터 해석 시 이 두 요소 모두 동일하게 중요하다.[11]

3. 연구 분야 및 방법

음악 고고학자인 아제 보트(Adje Both)에 따르면, 음악 고고학은 "가장 넓은 의미에서 과거의 음악적 행동과 소리의 현상을 연구하는 것"이다.[2] 이 분야는 고대 음악 재구성과 관련된 다양한 대상을 연구하며, 주요 대상으로는 소리를 내는 장치인 악기, 음악 장면을 묘사한 표현물, 초기 악보 및 문헌 자료 등이 있다.

음악 고고학은 음악학고고학의 방법을 결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유물의 고고학적 분석과 문서화는 중요한 연구 방법으로, 유물의 연대 측정, 상세 설명, 기원 및 문화적 맥락 분석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악기 사용 방식을 이해하고, 때로는 기능적 복제품 제작도 가능하다.[3] 초기 악보나 문헌 자료 조사 역시 중요하다.

음악 고고학은 다면적 접근 방식을 가진 융합 학문 분야로[6], 실험 고고학과 음악학 연구의 교차점에 위치한다.[7] 따라서 연구는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연구팀은 주로 음악학자와 고고학자로 구성되며, 심리학자, 악기학자, 생물학자, 화학자, 역사학자 등도 참여하여 과거 음악 행태 이해에 기여한다.[8] 예를 들어, 인간 생리학자는 발굴된 유해 분석으로 과거 인류의 노래나 음색 능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9] 또한 인간의 음악 제작 능력의 전제 조건을 탐구하기 위해 신경생리학, 생물학, 심리학 연구까지 범위를 넓히기도 한다.

연구 과정에서는 고고학적 방법론이 적극 활용된다. 발굴 자료의 분류연대 측정(예: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과거 행태 파악에 필수적이다.[11] 정확한 결과를 위해 모든 정보원을 동등하게 고려해야 하며, 다양한 과학적 접근은 과거 음악 행태, 음향 유물, 음향 공간 해석을 심화시킨다.[10] 다만 이론 및 방법론적 기반 확립은 아직 진행 중이며, 이는 관련 학계의 주요 과제이다.[3]

4. 역사

음악학과 고고학을 결합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는 1977년 국제 음악학회의 버클리 회의에서 이루어졌다. 이 회의에서는 "음악과 고고학"이라는 주제로 원탁 회의가 열렸으며, 고대 문화의 음악 유적에 대한 전문가들이 초청되었다. 이 회의가 열리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은 아시리아학자인 앤 D. 킬머가 우가리트에서 발굴된 유물을 토대로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체계를 해독하고, 후르리어로 된 청동기 시대 후기 찬송가를 서양 악보로 표기한 연구 결과였다. 킬머는 회의에서 이러한 재구성 방법과 그 결과로 얻어진 소리를 직접 시연했다.

이 버클리 회의는 1981년 국제 전통 음악 협의회(ICTM) 내에 ICTM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이 공식적으로 설립되는 출발점이 되었다. 이 연구 그룹은 1982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첫 번째 회의를 개최한 후, 1983년 뉴욕에서 ICTM의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다. ICTM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은 이후 스톡홀름(1984), 하노버/볼펜뷔텔(1986), 생제르맹앙레(1990), 리에주(1992), 이스탄불(1993), 예루살렘(1994/1995, 음악 도상학 연구 그룹과 공동 개최), 키프로스 리마솔(1996) 등지에서 국제 회의를 개최하며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

1998년에는 엘렌 힉만과 리카르도 아이히만이 고고학자들과의 더 긴밀한 협력을 목표로 국제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ISGMA, ISGMA)을 설립했다. 이 그룹은 ICTM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에서 파생되었으며, 독일 고고학 연구소(DAI)와 지속적으로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ISGMA는 연구 보고서와 관련 단행본을 출판하기 위해 "Orient-Archäologie"의 하위 시리즈로 "Studien zur Musikarchäologie"를 발간했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ISGMA의 회의는 독일 연구 재단(DFG)의 후원을 받아 미하엘슈타인 수도원에서 2년마다 개최되었다. 이후 ISGMA는 베를린 민족학 박물관(2006, 2008), 중국 톈진 음악원(2010), 쑤저우 및 베이징(2012) 등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했으며, 독일과 중국이 번갈아 개최국을 맡는 방식으로 활동을 이어갔다.

한편, ICTM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 역시 별도로 활동을 지속했다. 몇 년간의 활동 중단 후, 2003년 줄리아 L. J. 산체스가 앤서니 시거의 주도로 연구 그룹을 재결성하여 로스앤젤레스(2003), 노스캐롤라이나 윌밍턴(2006), 뉴욕(2009), 스페인 바야돌리드(2011), 과테말라(2013) 등에서 회의를 개최했다. 2013년에는 새로운 인쇄 시리즈인 ICTM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 간행물Ekho Verlag를 통해 출판되기 시작했다.

2011년 에든버러에서는 예술 인문학 연구 위원회(AHRC) 등의 지원을 받아 '고대 음향학'(Palaeophonicseng)이라는 공개 콘서트가 열렸다. 이 행사는 고고학자, 작곡가, 영화 제작자, 연주자들의 협력을 통해 음악 고고학 연구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소리와 멀티미디어 창작물을 선보이며 분야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다.

2013년에는 EU의 문화 지원 프로그램(EACEA)으로부터 5년간 자금을 지원받는 유럽 음악 고고학 프로젝트(EMAP)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유럽의 고대 음악에 대한 순회 전시회와 콘서트 및 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5]

5. 주요 연구자

6. 연구 네트워크

음악 고고학에 관한 ICTM 연구 그룹은 1980년대 초에 설립되었다.[15] 2013년에는 음악 고고학에 관한 ICTM 연구 그룹 출판물 도서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국제 음악 고고학 연구 그룹 (ISGMA)[16]은 1998년에 설립되었다. 이 연구 그룹은 독일 고고학 연구소 베를린 오리엔트부(DAI, Deutsches Archäologisches Institut|도이체스 아르헤올로기셰스 인스티투트de, Orient-Abteilung)와 베를린 민족학 박물관 민족 음악학부(Ethnologisches Museum Berlin|에트놀로기셰스 무제움 베를린de, SMB SPK, Abteilung Musikethnologie, Medien-Technik und Berliner Phonogramm-Archiv)에서 운영하고 있다.

MOISA: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음악과 문화 유산의 연구를 위한 국제 학회는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 음악과 음악 이론, 그리고 오늘날까지의 문화 유산을 보존, 해석, 가치화하기 위해 2007년 이탈리아에서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17]

영국 선사 시대 음향 및 음악 연구 네트워크는 예술 인문학 연구 위원회와 공학 및 자연 과학 연구 위원회의 자금 지원을 받아 루퍼트 틸크리스 스카레, 그리고 셰필드 대학교 건축학과의 지안 캉 교수가 이끌었다. 이 네트워크는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연구자 목록과 다른 관련 사이트로의 링크를 유지하고 있다.[18]

7. 갤러리

전통 음악 활을 연주하는 남자. 가장 오래된 현악기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ncient Classic Maya music https://www.mexicolo[...] 2020-11-03
[2] 간행물 Music Archaeology: Som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https://www.jstor.or[...] ICTM 2009
[3] 웹사이트 Einführung in die Musikarchäologie http://www.dainst.or[...] 2011
[4] 뉴스 Musik früherer Jahrhunderte: Von wegen alte Leier http://www.spiegel.d[...] 2013-12-28
[5] 웹사이트 http://www.archaiolo[...]
[6] 서적 JSTOR : a history https://www.worldca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7] 논문 Guest Editor's Preface: Special Edition on Music and Poverty http://dx.doi.org/10[...] 2013
[8] 논문 Music Pluralism, Music Realism, and Music Archaeology http://link.springer[...] 2019-11-06
[9] 논문 Physiological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music theater voice http://dx.doi.org/10[...] 2012-02
[10] 논문 Music Archaeology: Som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https://www.jstor.or[...] 2009
[11] 서적 Between Dirt and Discussion: Methods, Methodology, and Interpretation in Historical Archaeology Springer-Verlag 2006
[12] 문서 'Musikarchäologie - Forschungsgrundlagen und Ziele' Die Musikforschung 2003
[13] 서적 The sound of archaeology: Concept, content, planning. Musikmuseet 1974
[14] 웹사이트 Publications — Hunter College http://www.hunter.cu[...] 2011-04-20
[15] 웹사이트 ICTM Study Group on Music Archaeology -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http://www.ictmusic.[...]
[16] 웹사이트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Study Group on Music Archaeology - musicarchaeology http://www.musicarch[...]
[17] 웹사이트 The MOISA Society http://www.moisasoci[...]
[18] 웹사이트 Acoustics and Music of British Prehistory Research Network http://ambpnetwork.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