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령 (과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기령은 우봉 이씨 본관에 호는 일천이며, 경성부 출신의 생화학자이다. 경성의학전문학교에서 의학사, 나가사키 대학교에서 이학 석사, 파리 대학교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성제국대학교, 나가사키 의학전문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학술원 종신회원이었다. 또한 육군 소령으로 예편했으며, 대한생화학회 회장, 한국생화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생화학》과 《유기화학》이 있다. 사학자 이병도의 장남이며, 사학자 이병도, 농화학자 이춘녕, 생화학자 이태녕, 핵물리학자 이동녕 등이 그의 가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사키 대학 동문 - 쿠사바 미치테루
쿠사바 미치테루는 신인 만화상 수상으로 데뷔 전부터 주목받은 일본 만화가로, 《판타지스타》를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최근에는 《텔스타 '86》을 연재하고 있다. - 나가사키 대학 동문 - 시모무라 오사무
시모무라 오사무는 갯반디의 루시페린 결정화에 성공하고 해파리에서 에이퀄린과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발견하여 200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생화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생화학자 - 심창구
심창구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후 동경대학교에서 약학 박사 학위를 받고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와 한국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제5대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약학자이자 교육자, 공무원이다. - 대한민국의 생화학자 - 이의경 (약학자)
이의경은 서울대학교에서 약학 학위를 받고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약학자이다. - 인제대학교 교수 - 김규환 (1956년)
김규환은 품질관리 전문가이자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하며 국가품질명장으로 선정될 정도로 전문성을 인정받았고,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내며 정계에 입문하여 산업통상자원위원회 활동과 자유한국당 당직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인제대학교 교수 - 서상목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서상목은 세계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제13, 14, 15대 국회의원, 보건복지부 장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데일리경제 회장이다.
이기령 (과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기령 |
원래 이름 | 李基寧 |
출생일 | 1914년 7월 16일 |
사망일 | 2002년 1월 29일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 대한민국 경기도 광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성부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별명 | 호(號)는 일천(一泉)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요셉) |
본관 | 우봉(牛峰) |
국적 | 대한민국 |
가족 정보 | |
부모 | 이병도(부), 조남숙(모) |
배우자 | 경주 김씨 부인(사별) 모수미(재혼) |
자녀 | 이영무(장남) 이웅무(차남) 이인혜(딸) |
형제 | 이춘녕(아우) 이태령(아우) 이동녕(아우) |
친인척 | 이건무(친조카) |
경력 | |
직업 | 분자생물학자, 생화학자, 저술가, 대학 교수 |
주요 경력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영남대학교 초빙교수 인제대학교 석좌교수 인하대학교 석좌교수 한국생화학회 회장 |
군 복무 | |
군대 |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50년 8월 21일 ~ 1953년 8월 21일 |
계급 | [[파일:소령.JPG|40px]] 대한민국 육군 소령 |
참전 | 한국 전쟁 |
근무 | 육군 수도사단 |
지휘 | 육군 수도사단 예하 군의무대대 군의무장교 육군 수도사단 보병연대 기갑대대 정훈장교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주요 직책 | |
의장 |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
국가 | 국방부 |
직책 | 급식제도 연구위원회 대표상임연구위원 |
임기 | 1962년 7월 2일 ~ 1962년 12월 3일 |
부의장 | 최규하 (최고회의 부의장) |
대통령 | 박정희 (대통령 권한대행) 김현철 (대통령 권한대행) |
수상 | 박정희 (내각수반) 김현철 (내각수반) |
장관 | 박병권 (국방부 장관) |
차관 | 이흥배 (국방부 차관) |
학력 | |
학력 | 프랑스 파리 대학교 대학원 |
웹사이트 |
2. 이력
우봉 이씨를 본관으로 하며 호는 일천(一泉)이다. 경성부에서 태어났으며, 자유중화민국(타이완) 유학 시절에는 리치룽(李岐榮, 이기영)이라는 중국어 이름을 사용했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다.
경성제1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의학전문학교에서 임상병리학을 전공하여 의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일본 나가사키 대학교 대학원에서 생물학 이학 석사 학위를, 프랑스 파리 대학교 대학원에서 생화학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직책 |
---|---|
1936년 |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부수 |
1941년 | 나가사키 의학전문학교 조수 |
1943년 | 경성제국대학교 부속 평강고지요양연구소 조수 |
1945년 | 경성제국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
1946년 |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1979년 명예교수) |
1950년 | 육군 대위 임관, 육군 수도사단 군의무장교 (1950년 8월 21일) |
1951년 | 육군 수도사단 정훈장교 |
1952년 | 육군 소령 진급 |
1953년 | 육군 소령 예편 (1953년 8월 21일) |
1955년 | 대한생화학회 회장 (1966년 퇴임) |
1959년 | 원자력전문학회 자문위원 (1962년 퇴임) |
1962년 | 대한민국 국방부 급식제도 연구위원회 대표상임연구위원 (1962년 7월 2일 ~ 1962년 12월 3일) |
1968년 | 한국생화학회 회장 (1969년 퇴임) |
1979년 |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명예교수 |
1981년 | 영남대학교 생화학과 초빙교수 |
1982년 | 인제대학교 생물학과 석좌교수 |
1989년 | 인제대학교 유전자공학연구소 소장 (1991년 퇴임) |
1989년 | 대한민국 학술원 종신회원 |
1992년 | 인하대학교 화학과 석좌교수 |
2. 1. 본관, 호, 출생
본관은 우봉(牛峰), 호(號)는 일천(一泉)이며 경성부 출생이다. 자유중화민국(타이완) 유학 시절 사용한 중국어 이름은 '''리치룽'''(李岐榮, 이기영)이다.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이다.2. 2. 학력
2. 2. 1. 비학위 수료
2. 3. 주요 경력
연도 | 직책 |
---|---|
1936년 |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부 부수 |
1941년 | 나가사키 의학전문학교 조수 |
1943년 | 경성제국대학교 부속 평강고지요양연구소 조수 |
1945년 | 경성제국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
1946년 |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 (1979년 명예교수) |
1950년 | 육군 대위 임관, 육군 수도사단 군의무장교 (1950년 8월 21일) |
1951년 | 육군 수도사단 정훈장교 |
1952년 | 육군 소령 진급 |
1953년 | 육군 소령 예편 (1953년 8월 21일) |
1955년 | 대한생화학회 회장 (1966년 퇴임) |
1959년 | 원자력전문학회 자문위원 (1962년 퇴임) |
1962년 | 대한민국 국방부 급식제도 연구위원회 대표상임연구위원 (1962년 7월 2일 ~ 1962년 12월 3일) |
1968년 | 한국생화학회 회장 (1969년 퇴임) |
1979년 |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명예교수 |
1981년 | 영남대학교 생화학과 초빙교수 |
1982년 | 인제대학교 생물학과 석좌교수 |
1989년 | 인제대학교 유전자공학연구소 소장 (1991년 퇴임) |
1989년 | 대한민국 학술원 종신회원 |
1992년 | 인하대학교 화학과 석좌교수 |
3. 저술 및 저서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증조부 | 이태용(李泰用) | 1824년 10월 22일 | 1899년 12월 25일 | |
조부 | 이봉구(李鳳九) | 1847년 10월 15일 | 1907년 10월 22일 | 수군절도사 |
조모 | 나주 김씨(羅州 金氏) | 1864년 4월 23일 | 1926년 12월 30일 | |
백부 | 이병묵(李丙默) | 1876년 6월 19일 | 1950년 2월 12일 | |
중부 | 이병훈(李丙薰) | 1880년 8월 17일 | 1953년 7월 29일 | |
고모 | 이병영(李丙暎) | 1900년 | 사망 | |
고숙 | 윤치영(尹致暎) |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 | 한국의 정치인·독립운동가 |
아버지 | 이병도(李丙燾) | 1896년 9월 20일 | 1989년 8월 14일 | 한국의 교육인 |
어머니 | 조남숙(趙南淑) | 1895년 음력 11월 16일 | 1967년 5월 4일 | |
동생 | 이춘녕(李春寧) | 1917년 3월 27일 | 2016년 7월 31일 |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학장 |
조카 | 이장무(李長茂) | 1945년 5월 14일 | 전직 서울대학교 총장 | |
조카 | 이건무(李健茂) | 1947년 9월 19일 | 전직 문화재청 청장 | |
동생 | 이태녕(李泰寧) | 1924년 2월 8일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명예교수 | |
동생 | 이동녕(李東寧) | 1927년 7월 22일 |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명예교수 | |
동생 | 이본녕(李本寧) | 1936년 1월 14일 |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
동생 | 이순경(李順卿) | 1920년 9월 3일 | ||
매제 | 장욱진(張旭鎭) | 1917년 11월 26일 | 1990년 12월 27일 | 화가 |
동생 | 이운경(李雲卿) | 1931년 9월 9일 | 이운경내과의원 원장 | |
매제 | 민헌기(閔獻基) | 1928년 12월 7일 | 2021년 3월 6일 | 민영휘(閔泳徽)의 증손자, 민덕기(閔德基)의 동생 |
부인 | 모수미(牟壽美) | 재혼 | ||
아들 | 이웅무(李雄茂) | 1번째 前 부인 소생 | ||
외조부 | 조성근(趙性根) | 1876년 음력 3월 12일 | 1938년 5월 15일 | |
외숙부 | 조백현(趙伯顯) | 1900년 12월 15일 | 1994년 7월 13일 | 농학자, 토양학자, 농화학자 |
그는 사학자 이병도(李丙燾) 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장남이며 대한제국 육군 무관(武官) 조성근(趙性根)의 외손자이자 농화학자 이춘녕(李春寧), 생화학자 이태녕(李泰寧), 핵물리학자 이동녕(李東寧)의 형이고 서양화가 장욱진(張旭鎭)의 손윗처남이며 농화학자 조백현(趙伯顯)의 생질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