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모무라 오사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모무라 오사무는 일본의 생화학자로, 1928년 교토부에서 태어나 나가사키 의과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갯반디의 루시페린 결정화에 성공했으며,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등에서 해파리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1962년에는 해파리에서 에이퀄린과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발견하여 2008년 마틴 챌피, 로저 첸과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또한 문화훈장 수훈, 명예 시민으로 추대되었으며, 201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가사키 대학 동문 - 쿠사바 미치테루
    쿠사바 미치테루는 신인 만화상 수상으로 데뷔 전부터 주목받은 일본 만화가로, 《판타지스타》를 통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최근에는 《텔스타 '86》을 연재하고 있다.
  • 나가사키 대학 동문 - 이기령 (과학자)
    이기령은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나가사키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생화학자로서,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을 지냈다.
  • 일본의 생물학자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일본의 생물학자 - 오보카타 하루코
    오보카타 하루코는 STAP 세포 연구로 주목받았으나 연구 부정 의혹으로 논란이 되어 박사 학위가 취소되고 공동 저자의 자살을 야기한 일본의 과학자이다.
  • 일본의 화학자 - 모리 마모루
    모리 마모루는 일본의 우주비행사이자 과학자이며, 홋카이도 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일본 최초의 우주비행사로 선발되어 우주 비행을 했으며, 일본과학미래관 관장을 역임했다.
  • 일본의 화학자 - 요시노 아키라
    요시노 아키라는 리튬이온전지 개발에 기여한 일본 화학자로, 코발트산리튬과 폴리아세틸렌을 이용한 전지 원형 개발 및 탄소계 물질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기본 개념 확립을 통해 리튬이온전지 상용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여 201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시모무라 오사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모무라 오사무
2008년 시모무라
원어 이름下村 脩
로마자 표기Shimomura Osamu
출생일1928년 8월 27일
출생지후쿠치야마시, 일본
사망일2018년 10월 19일
사망지나가사키시, 일본
국적일본
연구 분야 및 경력
분야유기화학
직장프린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의과대학
우즈 홀 해양 생물학 연구소
모교나가사키 대학교
나고야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히라타 요시마사
학위 논문 제목해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구조
학위 논문 발표 연도1960년
학위 논문 URL해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구조
알려진 업적이크올린의 발견
녹색 형광 단백질의 발견
수상
수상 내역아사히상 (2006년)
문화공로자 (2008년)
문화훈장 (2008년)
노벨 화학상 (2008년)
골든 구스상 (2012년)

2. 내력

1928년 교토부 후쿠치야마시에서 육군 군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만주, 사세보시, 오사카부 등지를 거쳐 중학생 시절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로 피난을 가 원자폭탄을 경험하고 종전을 맞이했다. 나가사키 대학에서 유기 화학 생물 발광 연구를 시작한 후, 1960년 나고야 대학 이학부 연구생으로 히라타 요시마사 교수의 연구실에서 갯반디(ウミホタル일본어)의 발광 단백질인 루시페린 결정화에 성공하여 이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0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우즈 홀 해양생물학 연구소(MBL) 등에서 갯반디, 오완 해파리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2008년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과 개발"로 마틴 챌피, 로저 첸과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폴 크루그먼, 로저 첸, 마틴 챌피, 시모무라 오사무, 고바야시 마코토마스카와 도시히데가 2008년 노벨상 수상자 기자 회견에 참석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28년 교토부 후쿠치야마시에서 육군 군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친가는 나가사키현 운젠시 미즈호정에 있었으며 대대로 촌장을 지낸 명문가였다.[3] 만주국, 사세보시, 오사카부 등에서 거주하다가, 중학생 시절 어머니의 친가가 있는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피난하여 근로 동원 생활을 했다. 구제 나가사키현립 사세보 중학교(사세보미나미 고등학교, 사세보키타 고등학교의 전신), 오사카부립 스미요시 중학교를 거쳐 16세 때 이사하야시에서 원자 폭탄을 경험했다(폭심지에서 20km 떨어진 곳).[4][5] 종전 후 나가사키현립 이사하야 중학교를 졸업했다.

전쟁으로 황폐해진 전후 일본에서 교육 기회는 매우 제한적이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가사키 의과대학 약학부(현재 나가사키 대학 약학부)에 입학했다.[6] 의과대학 캠퍼스는 원자 폭탄 폭발로 완전히 파괴되어 약학부가 시모무라의 집 근처 임시 캠퍼스로 이전해야 했다.[4] 1951년 이학사 학위를 받았고, 1955년까지 연구 조교로 남았다.[4]

1956년 나고야 대학의 히라타 요시마사 교수의 조교로 일하게 되었다.[6] 히라타 교수 밑에서 1958년 이학 석사 학위를, 1960년 나고야 대학에서 유기 화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7][8] 히라타는 시모무라에게 물에 적시면 빛나는 갑각류 ''Vargula hilgendorfii''(일본어: ウミホタル일본어, 문자 그대로 "바다 반딧불이")의 으깨진 잔해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 밝히는 어려운 과제를 부여했다. 시모무라는 이 현상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성공적으로 확인했고, ''일본 화학회 회보''에 "결정성 Cypridina 루시페린"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예비 결과를 발표했다.

2. 2. 일본에서의 연구 활동

1955년 나고야 대학 이학부 유기 화학 연구생이 되었고, 1958년 4월에는 나가사키 대학 약학부 조수가 되었다.[6] 1960년에는 히라타 요시마사 교수의 연구실에서 갯반디(ウミホタル일본어)의 발광 단백질인 루시페린 결정화에 성공하여 나고야 대학에서 이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7][8] 같은 해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연구원으로 초빙되었다.[21][36]

1963년 9월, 귀국 후 나고야 대학 이학부 부속 수질 과학 연구 시설 조교수가 되었으나,[37] 미국 시절과 달리 연구 환경에 어려움을 겪었다. 1965년 아내의 조언으로 프린스턴 대학 선임 연구원 직을 얻어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 거점을 옮겼다.[21][22]

시모무라의 주요 연구 업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956년갯반디 루시페린 결정화에 성공[28]
1957년논문 "Crystalline Cypridina Luciferin" 발표[31]
1959년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구조 관련 연구 발표
1960년5-이미다졸론에 관한 연구 발표
1960년"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구조(제2~3보)" 논문으로 나고야 대학에서 이학 박사 학위 수여



1981년 보스턴 대학교 객원 교수를 겸임(2000년까지)하고, 1982년 우즈 홀 해양생물학 연구소 상석 연구원이 되었다. 2001년 우즈 홀 해양 생물학 연구소를 퇴직했다.

2. 3. 미국으로의 이주와 연구 활동

1960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우즈 홀 해양생물학 연구소(MBL) 등에서 갯반디, 해파리(오완 해파리)(オワンクラゲ일본어)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차례차례 해명하였다.[38]

1960년(쇼와 35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도미하여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존슨 교수를 사사하였다. 이후 나고야 대학 조교수를 거쳐 1965년(쇼와 40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갔다. 1965년(쇼와 40년) 10월부터 1982년(쇼와 57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 선임 연구원, 1982년(쇼와 57년)부터 2001년(헤이세이 13년)까지 우즈 홀 해양 생물학 연구소(MBL) 선임 연구원을 맡았다. 또한, 1981년(쇼와 56년)부터 2000년(헤이세이 12년)까지 보스턴 대학교 의과대학 객원 교수를 겸임했다. 2001년(헤이세이 13년)에는 보스턴 대학교 명예 교수가 되었다.

연구 활동을 통해 바다 반딧불이, 오완 해파리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잇따라 해명하였다. 특히 프린스턴 대학교 시절 프라이데이 하버 실험소에서 수행한 오완 해파리로부터의 이쿠올린 및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1962년)과 그 후의 연구는 생물 발광의 학문적 세계에 머무르지 않고, 오늘날 의생물학의 중요한 연구 도구로 사용되어 의학, 임상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4. 노벨상 수상과 이후 활동



시모무라 오사무는 2004년 영국 왕실 현미경 학회에서 Pearse Prize를 수상했고, 2005년에는 일리노이주 현미경 학회에서 Emile Chamot Award를, 2006년에는 아사히 신문사에서 아사히상을 수상했다.[36] 2008년에는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과 개발"로 마틴 챌피, 로저 첸과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39]

2001년 우즈홀 해양생물학 연구소를 퇴직한 후 자택에 연구실을 만들어 연구를 계속하였다.[36] 2007년 나가사키 대학 명예 동문 칭호를 받았다.[36] 2008년 우즈홀 해양생물학 연구소 특별 선임 연구원 및 나고야 대학 특별 초빙 교수로 취임하였다.[39] 2009년에는 나고야 대학 특별 교수가 되었다.

2009년 1월 1일 후쿠치야마시 명예 시민[40], 3월 21일에 사세보시 명예 시민, 다음날 22일에 나가사키현 명예 현민 표창을 받았다. 모교 중 하나인 사세보 미나미 고등학교에 현창비가 건립되었다.[41]

2010년 4월 2일 올챙이멍게와 인연이 있는 쓰루오카 시립 가모 수족관(별명 해파리 수족관)에서 하루 명예 관장을 맡았다. 4월 6일에는 모교인 나가사키 현립 이사하야 고등학교에 동상이 건립되었고[42], 4월 7일에는 나가사키 대학에 메달 레플리카를 대여했다.[43]

2014년에는 시모무라 가문의 친족 묘소가 있는 사이타마현후카야시에서 후카야시 친선 대사로 위촉되었다.[44]

2018년 10월 19일 오전 6시 15분, 노쇠로 나가사키시에서 사망했다.[45][46] 종3위에 추서되었다.[47][48]

3. 연구 업적

시모무라 오사무는 유기 화학 및 해양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특히 생물 발광 연구의 선구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존슨 교수의 지도로 워싱턴 대학교의 프라이데이 하버 연구소에서 채집한 생물 발광 해파리 ''Aequorea victoria''를 연구했다.[9] 1962년, 이 해파리에서 에이퀄린과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발견했고,[10] 이 업적으로 200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17]

1960년, 풀브라이트 프로그램 장학생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우즈 홀 해양생물학 연구소(MBL) 등에서 갯반디, 오완 해파리(オワンクラゲ일본어)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2010년경에는 매사추세츠주 팰머스에 있는 자택의 발광 단백질 연구실에서 연구를 계속했다.[18][19][20]

3. 1. 갯반디 루시페린 연구

1955년부터 히라타 요시마사의 유기 화학 연구실에 연구생으로 소속되었다.[27] 히라타로부터 주어진 연구 과제는 "반딧불이의 루시페린 정제와 결정화"였다. 이것은 프린스턴 대학교 그룹이 20년 이상 전부터 해결하려고 했던,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25] 시모무라는 연구에 몰두하여 10개월 후인 1956년 2월에 "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결정화"에 성공했다.[28] 27세의 시모무라가 이룬 업적이었다.[29] 그 후에도 실험을 계속하여 논문으로 발표했다.[30]

발표 논문은 다음과 같다.

연도논문 제목
1957년"Crystalline Cypridina Luciferin"[31]
1959년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구조
1959년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구조 2-3
1960년5-이미다졸론에 관한 연구 1-2



1959년부터 1963년까지 나가사키 대학의 조수를 맡았다.[32] 프린스턴 대학교의 프랭크 존슨 교수는 시모무라의 논문에 감명을 받아 프린스턴 대학에 초빙했고, 시모무라는 이를 수락했다. 히라타는 하버드 대학교 유학 체험으로부터 박사 학위에 의해 보수가 배증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전문학교 졸업으로 대학에 입학조차 하지 않은 시모무라에게 논문 박사 학위를 주었다.[33] 1960년 4월, "반딧불이 루시페린의 구조(제2~3보)" 논문에 대해 나고야 대학으로부터 이학 박사 학위가 수여되었다.

3. 2. 오완 해파리 발광 연구

시모무라 오사무는 프린스턴 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존슨 교수의 지도로 여러 여름 동안 워싱턴 대학교의 프라이데이 하버 연구소에서 채집한 생물 발광 해파리 ''Aequorea victoria''를 연구했다.[9] 1962년, 이들의 연구는 ''A. victoria''에서 에이퀄린과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발견하는 성과로 이어졌다.[10] 이 업적으로 시모무라 오사무는 2008년 노벨 화학상을 3분의 1 지분으로 수상했다.

프린스턴 대학교 시절 프라이데이 하버 실험소에서 수행한 오완 해파리로부터의 이쿠올린 및 녹색 형광 단백질(GFP) 발견(1962년)과 그 후의 연구는 생물 발광 학문 분야 뿐만 아니라, 오늘날 의생물학의 중요한 연구 도구로 사용되어 의학 임상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3. 생물발광 연구의 선구자

1960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우즈 홀 해양생물학 연구소(MBL) 등에서 갯반디, 해파리(오완 해파리)(オワンクラゲ일본어)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차례차례 밝혀냈다.[9] 1962년, 오완 해파리(Aequorea victoria)에서 에이퀄린과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발견했고,[10] 이 업적으로 2008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유기 화학 및 해양 생물학을 전공한 생물학자이며, 특히 생물 발광 연구의 선구자이자 일인자이다. 구제 나가사키 의과대학, 나고야 대학, 프린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우즈홀 해양 생물학 연구소 등에서 발광 생물에 대한 연구를 지속했다. 그 중 하나인 오완 해파리의 녹색 형광 단백질 발견은 이후 생명 과학, 의학 연구용 중요한 도구로 발전하여 2008년 노벨 화학상 수상으로 이어졌다.[17]

1960년,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도미하여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존슨 교수를 사사했다. 이후 나고야 대학 조교수를 거쳐 1965년 다시 도미했다. 1965년 10월부터 198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 선임 연구원, 1982년부터 2001년까지 우즈 홀 해양 생물학 연구소(MBL) 선임 연구원을 맡았으며, 1981년부터 2000년까지 보스턴 대학교 의과대학 객원 교수를 겸임했다. 2001년에는 보스턴 대학교 명예 교수가 되었다.[38]

바다 반딧불이, 오완 해파리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잇따라 해명했다. 특히 프린스턴 대학교 시절 프라이데이 하버 실험소에서 수행한 오완 해파리로부터의 이쿠올린 및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1962년)과 그 후의 연구는 생물 발광 학문에만 국한되지 않고, 오늘날 의생물학의 중요한 연구 도구로 사용되어 의학 임상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수상 및 서훈

연도수상 및 서훈
2004년피어스 상 (왕립 현미경 학회)[11]
2005년에밀 샤모 상[12]
2006년아사히상
2008년노벨 화학상
문화훈장[13]
문화공로자
2010년학습원 대학 명예 박사 (이학)[18]
2012년골든 거스 상[14]
2013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2014년사이타마현 후카야시 친선 대사[44]
2018년종삼위 (추서)[47][48]


5. 기타

시모무라 오사무는 일본 국적을 유지하며 미국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그는 "굳이 미국인으로 바뀔 필요가 있나? 일본인이라도 미국에서 살 수 있다. 연구비를 받는 데에도 차별은 없었고, 거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라고 말했다.[19]

노벨 화학상 수상에 대해 "수상한다면 생리학·의학상일 거라고 생각했기에, 화학상 수상은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 화학상은 예상 밖이었다"라고 말했다.[51]

시모무라는 발광 생물 연구를 50년 동안 계속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공동 연구자들과 동료들의 지원 덕분이라고 감사하며,[52] 자신의 모든 연구는 나가사키 대학의 야스나가 슌고 교수, 나고야 대학의 히라타 요시마사 교수, 프린스턴 대학교의 프랭크 존슨 교수, 이 세 명의 은사에게 이끌려 생겨났다고 말했다.[53]

5. 1.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자료에는 시모무라 오사무가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었다는 내용이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시모무라 오사무와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는 이 자료를 통해 작성할 수 없다.

5. 2. 인물 및 일화

시모무라 오사무는 1928년 교토부 후쿠치야마시에서 일본 제국 육군 장교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만주오사카부 등지를 거쳐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서 원자폭탄을 경험했다.[3] 16세 때, 폭격기 ''Bockscar''의 소리를 들었고, 폭발 섬광으로 약 30초 동안 시력을 잃었으며, "검은 비" 폭탄 낙진에 젖었다.[4][5]

나가사키 대학 약학부에서 공부하고, 나고야 대학에서 히라타 요시마사 교수의 지도 아래 갯반디(Vargula hilgendorfii)의 발광 단백질인 루시페린 결정화에 성공했다. 1960년 풀브라이트 유학생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 보스턴 대학교, 우즈 홀 해양생물학 연구소(MBL) 등에서 해파리 등 발광 생물의 발광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2008년 "녹색 형광 단백질(GFP)의 발견과 개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3]

전쟁으로 황폐해진 전후 일본에서 교육 기회가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나가사키 의과대학 약학부(현재 나가사키 대학 약학부)에 입학하여 1951년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4][6] 1956년 나고야 대학의 히라타 요시마사 교수의 조교로 일하게 되었고,[6] 1958년 이학 석사 학위, 1960년 유기 화학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7][8]

아내 아케미는 나가사키 대학교에서 만난 유기 화학자이며, 연구 동반자였다. 아들 시모무라 츠토무는 컴퓨터 보안 전문가로 케빈 미트닉 체포에 관여했다. 딸 사치 시모무라는 버지니아 연방 대학교 영어학부 학부 연구 책임자이다.

시모무라는 일본 국적을 유지하며 미국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그는 "굳이 미국인으로 바뀔 필요가 있나? 일본인이라도 미국에서 살 수 있다. 연구비를 받는 데에도 차별은 없었고, 거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라고 말했다.[19]

노벨 화학상 수상에 대해 "수상한다면 생리학·의학상일 거라고 생각했기에, 화학상 수상은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 화학상은 예상 밖이었다"라고 말했다.[51]

시모무라는 발광 생물 연구를 50년 동안 계속할 수 있었던 것은 많은 공동 연구자들과 동료들의 지원 덕분이라고 감사하며,[52] 자신의 모든 연구는 세 명의 은사, 즉 나가사키 대학의 야스나가 슌고 교수, 나고야 대학의 히라타 요시마사 교수, 프린스턴 대학교의 프랭크 존슨 교수에게 이끌려 생겨났다고 말했다.[53]

참조

[1] 뉴스 Osamu Shimomura, 90, Dies; Won Nobel for Finding a Glowing Protein https://www.nytimes.[...] 2018-10-24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08 http://nobelprize.or[...]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Foundation 2008-11-04
[3] 웹사이트 Aglow in the Dark: The Revolutionary Science of Biofluorescence http://www.hup.harva[...] 2017-11-28
[4] 웹사이트 Nobel laureate lectur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2008-12-08
[5] 웹사이트 Osamu Shimomura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08 Interview http://nobelprize.or[...]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Foundation 2009-01-12
[6] 웹사이트 Woods Hole cell biologist wins Nobel Prize http://www.boston.co[...] 2017-11-28
[7] 웹사이트 Former Associate Professor Osamu Shimomura Wins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www.nagoya-u.[...] Nagoya university 2008-12-05
[8] 웹사이트 下村脩先生が2008年ノーベル化学賞をご受賞 http://www2.chem.nag[...] Nagoya University 2008-12-05
[9] 웹사이트 Nobel goes to former Princeton researcher for discovery made here http://www.princeton[...] 2017-11-28
[10] 웹사이트 GFP History http://www.conncoll.[...] Marc Zimmer 2008-12-09
[11] 웹사이트 About the Pearse Prize http://www.rms.org.u[...] Royal Microscopical Society 2016-06-10
[12] 웹사이트 Emile Chamot Award Recipient http://www.smsi.org/[...] State Microscopical Society of Illinois 2008-12-09
[13] 뉴스 Donald Keene, 7 others win Order of Culture, http://www.yomiuri.c[...] Yomiuri Shimbun 2008-10-29
[14] 웹사이트 Green Fluorescent Protein http://www.goldengoo[...] The Golden Goose Award 2015-05-27
[15] 웹사이트 Bioluminescence: Chemical Principles and Methods http://www.worldscib[...] 2017-11-28
[16] 웹사이트 下村脩さん死去 2008年にノーベル化学賞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8-10-21
[17] 웹사이트 ニュース - 科学&宇宙 - ノーベル化学賞はGFP発見者と開発者(記事全文) http://www.nationalg[...]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公式日本語サイト 2008-10-08
[18] 간행물 「学習院大学がノーベル化学賞受賞者・下村脩博士に名誉博士号を授与」 http://www.u-pressce[...] 학습원대학
[19] 뉴스 「化学賞は意外」「クラゲ85万匹採取」下村さん語る https://megalodon.jp[...] 朝日新聞 2008-10-08
[2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08 https://web.archive.[...] Newsdesk
[21] 간행물 「ノーベル賞受賞の原点-長崎大学」 http://www.nagasaki-[...] 長崎大学 2009-03-22
[22] 뉴스 「受賞はサプライズ」と何度も繰り返す下村さん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10-09
[23] 뉴스 化学賞の下村さん、江崎さんと野依さんと電話座談会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10-09
[24] 논문 The discovery of aequorin and green fluorescent protein https://doi.org/10.1[...] 2005
[25] 간행물 研究の原点は長崎大学にある。下村脩博士 http://www.nagasaki-[...] 長崎大学
[26] 서적 Aglow in the Dark: The Revolutionary Science of Biofluorescenc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27] 웹사이트 名古屋大学理学研究科物質理学専攻化学系一同 下村脩先生祝辞情報 http://www2.chem.nag[...]
[28] 간행물 研究の原点は長崎大学にある。下村脩博士 http://www.nagasaki-[...] 長崎大学
[29] 서적 Aglow in the Dark: The Revolutionary Science of Biofluorescenc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30] 웹사이트 下村先生のノーベル化学賞受賞を祝して http://www.chemistry[...] 日本化学会 2008-10-08
[31] 간행물 Crystalline Cypridina Luciferin(第1報) Bulletin of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Vol.30 No.8 (1957) pp.929-933 http://www.chemistry[...]
[32] 웹사이트 名古屋大学特別招へい教授・下村脩 経歴 http://www.iar.nagoy[...]
[33] 서적 Aglow in the Dark: The Revolutionary Science of Biofluorescenc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34] 웹사이트 nobelprize.org/nobel_prizes/chemistry/laureates/2008/shimomura-slides.pdf, 2008年12月10日, pp. 9,10. https://www.nobelpri[...]
[35] 뉴스 家族も総出でクラゲ捕り…ノーベル化学賞・若き日の下村さん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10-08
[36] URL 長崎大学名誉校友称号第3号を下村脩氏に授与 http://www.nagasaki-[...]
[37] 문서 旧大気水圏化学研究所の前身 http://dhas.hyarc.na[...]
[38] 기타 特別招へい教授 下村脩 プロフィール http://www.iar.nagoy[...] 名古屋大学高等研究院
[39] 기타 2008年度ノーベル化学賞受賞者の下村脩 先生および2008年度ノーベル物理学賞受賞者の小林誠 先生を名古屋大学特別招へい教授として招致 http://www.iar.nagoy[...] 名古屋大学
[40] 뉴스 ノーベル賞下村さん:科学とは、分かろうとする努力だ http://www.ryoutan.c[...] 2017-11-24
[41] 뉴스 下村さんが佐世保市の名誉市民に 「ほろっとしている」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09-03-21
[42] 기타 『諫高99年目の春、そして夏』 https://web.archive.[...] 諫高だより 2010-05-31
[43] 기타 下村脩名誉博士顕彰記念館にノーベル化学賞のレプリカメダルを展示 http://www.ph.nagasa[...] 長崎大学薬学部 2010-04-08
[44] 간행물 深谷市親善大使 http://www.city.fuka[...] 埼玉県深谷市 2018-03-14
[45] 웹사이트 下村脩さん死去 2008年にノーベル化学賞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11-08
[46] 뉴스 下村脩さん死去=クラゲ蛍光たんぱく発見-08年ノーベル賞 https://web.archive.[...] 時事ドットコム 2018-10-21
[47] 뉴스 叙位叙勲 読売新聞 2018-11-17
[48] 간행물 官報 2018-11-27
[49] 문서
[50] 뉴스 「やり始めたら、やめたらダメよ」下村さん、子たち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08-10-09
[51] 뉴스 ノーベル化学賞に下村脩氏、クラゲから「蛍光たんぱく」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08-10-09
[52] 기타 nobelprize.org/nobel_prizes/chemistry/laureates/2008/shimomura-slides.pdf https://www.nobelpri[...] 2008-12-10
[53] 서적 Osamu Shimomura, Bioluminescence: Chemical Principles and Methods https://web.archive.[...] World Scientific 2006
[54] 뉴스 よみうり寸評 読売新聞 2008-10-10
[55] 기타 nobelprize.org/nobel_prizes/chemistry/laureates/2008/shimomura-slides.pdf https://www.nobelpri[...] 2008-12-10
[56] 웹사이트 ノーベル賞の下村です 鶴岡・加茂水族館に電話 http://www.kahoku.co[...] 河北新報 2008-10-26
[57] 웹사이트 BGMに乗り館長解説 加茂水族館 下村さんとの交流パネル展 http://www.shonai-ni[...] 荘内日報 2009-12-09
[58] 웹사이트 ノーベル賞の下村さん、お礼と激励メール 加茂水族館 http://mytown.asahi.[...] 朝日新聞 2011-04-23
[59] 웹사이트 加茂水族館から松島へ、クラゲ届ける 震災影響で飼育数減少 http://www.yamagata-[...] 山形新聞 2011-04-23
[60] 웹사이트 SMSI - Awards 2005 http://www.smsi.org/[...]
[61] 웹사이트 朝日賞:過去の受賞者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09-11-07
[62]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08 http://www.newsdesk.[...] 2008-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