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 달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다 달세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여성으로, 파리에서 화장품 의학을 공부한 후 이탈리아에서 미용실을 운영했다. 그녀는 이탈리아 사회당의 정치인이자 저널리스트였던 베니토 무솔리니와 연인 관계를 맺고 그의 정치 활동을 지원했으나, 무솔리니가 라켈레 구이디와 결혼하면서 관계가 단절되었다. 무솔리니가 권력을 잡은 후 이다 달세르는 감시를 받으며 무솔리니를 비난하다가 결국 강제 수용되어 사망했다. 그녀의 아들 베니토 알비노 무솔리니 또한 감시를 받으며 정신병원에서 사망했다. 이다 달세르의 이야기는 파시스트 시대에 억압되었으나, 2005년 이후 재조명되었고, 그녀의 삶을 다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렌토 출신 - 마티아스 갈라스
마티아스 갈라스는 30년 전쟁 당시 합스부르크 제국군에서 활약하며 공을 세웠으나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발렌슈타인 축출에 가담하는 등 부침을 겪은 신성 로마 제국의 군인이다. - 트렌토 출신 - 프란체스카 네리
프란체스카 네리는 1987년 영화 데뷔 후 《사랑인 줄 알았는데 마차였네》, 《욕망의 낮과 밤》, 《조반니의 아버지》로 은리본상을 수상하고 《한니발》, 《콜래트럴 데미지》 등의 할리우드 영화에도 출연한 이탈리아의 배우이다. - 무솔리니가 -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독재자로, 파시스트 운동을 창시하여 총리에 오른 뒤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각 후 처형되었다. - 무솔리니가 - 로마노 무솔리니
로마노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베니토 무솔리니의 아들이며, 앨범 발매와 회고록 출판을 했고, 배우 마리아 시콜로네와 카를라 마리아 푸치니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2006년에 사망했다. - 1937년 사망 - 기타 잇키
기타 잇키는 일본 제국 헌법의 천황제를 비판하고 군사혁명을 통한 국가 개조를 주장한 사상가이자 혁명가로, 그의 사상은 2·26 사건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보적인 면모와 극단적인 민족주의적 경향을 동시에 지녔다는 평가를 받으며 2·26사건 연루 혐의로 사형당했다. - 1937년 사망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이다 달세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이름 | 이다 이레네 달세르 |
출생일 | 1880년 8월 20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티롤 소프라몬테 |
사망일 | 1937년 12월 3일 |
사망지 | 이탈리아 왕국 베네치아 |
배우자 | 베니토 무솔리니 (1914년 결혼, 1915년 이혼) |
자녀 | 베니토 알비노 무솔리니 |
2. 초기 생애
이다 달세르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티롤 백국에 속했던 트렌토 근처 마을 소프라몬테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마을 시장이었다. 그녀는 화장품 의학을 공부하기 위해 파리로 유학을 갔으며, 이후 이탈리아로 돌아와 밀라노에 정착하여 프랑스식 미용실을 열었다.[1]
이다 달세르는 1880년 8월경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티롤 지방 트렌티노 지방 트렌토 인근 Sopramonte|소프라몬테it에서 촌장의 딸로 태어났다. 미용 관련 일을 희망하여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떠나 동양풍 마사지 등 미용 건강법을 공부했다.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돌아온 베니토 무솔리니의 정치 활동은 급격히 가속화되었다. 그는 1919년 이탈리아 전투 파시를 창설했고, 이는 1921년 국가 파시스트당으로 발전했으며 같은 해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2년 로마 진군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무솔리니는 사보이 왕가의 인정을 받아 공식적인 독재자가 되었다.
3. 무솔리니와의 만남과 결혼
1909년경, 고향 트렌토 또는 밀라노에서 이탈리아 사회당의 젊은 정치인이자 저널리스트였던 베니토 무솔리니를 처음 만났다. 당시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어와 독일어를 구사하며 트렌토에서 친 이탈리아, 반 오스트리아 성향의 기사를 쓰고 있었다. 두 사람은 연인 관계로 발전했고, 무솔리니가 사회주의 정치 활동으로 직장을 구하기 어려워지자 달세르는 미용사로 일하며 번 돈으로 그를 경제적으로 지원했다. 이후 달세르는 무솔리니를 따라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밀라노에 프랑스식 미용 살롱[6] "마드모아젤 이다의 동양풍 건강법과 미용 살롱"을 열었다.
1913년, 달세르는 이탈리아 사회당 기관지 《아반티》 편집부에 광고를 내려다 당시 편집장이던 무솔리니와 재회했다. 무솔리니는 당시 당내 급진파를 이끌며 '두체(지도자)'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었다. 재회 후 두 사람의 관계는 더욱 깊어졌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두 사람은 1914년에 결혼했다고 한다.[2][7] 1915년, 달세르는 아들 베니토 알비노 무솔리니를 낳았다. 그러나 이 무렵 사회주의에서 민족주의로 돌아선 무솔리니는 미회수지 병합을 주장하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외치다 사회당에서 제명되었고, 군에 입대하는 등 변화를 겪고 있었다.
달세르는 출정하는 무솔리니에게 결혼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고, 아들 역시 달세르 가문의 일원으로 길러졌다. 설상가상으로 1915년 12월, 무솔리니는 프레다피오 출신의 라켈레 구이디와 결혼했다. 라켈레는 이미 1910년에 무솔리니의 딸 에다를 낳은 상태였다. 무솔리니에게 달세르는 여러 여성 중 한 명이었을 뿐이었지만, 이 일로 깊은 상처를 받은 달세르는 점차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파시스트 정권은 이후 이 관계의 흔적을 지우려 했으나, 밀라노 시가 무솔리니에게 "그의 아내 이다 달세르"와 아들의 양육비 지급을 명령한 기록은 남아있다.[3]
4. 무솔리니의 배신과 탄압
무솔리니가 권력을 잡자, 이다 달세르와 그녀의 아들 베니토 알비노는 경찰의 감시를 받게 되었다. 파시스트 정부 요원들은 무솔리니와 이다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서류 증거를 추적하여 파괴했다.
그러나 이다는 이러한 탄압에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자신이 무솔리니의 정당한 아내임을 주장했다. 그녀는 공개적으로 무솔리니를 반역자라고 비난했으며, 특히 무솔리니가 밀라노에서 활동하던 시절 프랑스 정부로부터 뇌물을 받고 중립국이었던 이탈리아가 프랑스 편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도록 정치 캠페인을 벌였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결국 이다는 베네치아의 산 클레멘테 섬에 있는 정신병원으로 강제 이송되었고, 1937년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녀의 공식적인 사망 원인은 '뇌출혈'로 발표되었다.
4. 1. 라켈레 구이디와의 갈등
베니토 무솔리니가 라켈레 구이디와 결혼하고 이미 1910년에 딸 에다를 낳았다는 사실은 이다에게 이중의 충격을 안겨주었다. 사생활에서 많은 여성 관계를 가졌던 무솔리니에게 이다는 여러 여성 중 한 명에 불과했을지 모르나, 이다는 깊은 상처를 입고 점차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이다는 무솔리니가 정치적으로 성공하고 클라레타 페타치 등 다른 여성들과 관계를 맺는 와중에도 포기하지 않았다. 그녀는 자신과 아들 베니토 알비노의 법적 인정을 끈질기게 요구하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신이야말로 베니토의 진짜 아내"라고 주장하고 다녔다.
무솔리니의 여러 애인들을 물리쳤던 강한 성격의 라켈레 구이디조차 이다에 대해서는 "저 미친 오스트리아 여자"라고 부르며 골머리를 앓았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라켈레는 아들 비토리오 무솔리니를 낳은 후, 부상으로 입원한 남편 무솔리니를 병문안하러 갔다. 그곳에서 아들 알비노의 인정을 요구하는 이다와 마주쳤고, 결국 두 사람 사이에 격렬한 다툼이 벌어졌다. 이다는 라켈레에게 "내가 무솔리니의 아내야! 나만이 그의 곁에 있을 권리가 있어..."라고 소리치며 병실에서 나가라고 했고, 이에 격분한 라켈레는 이다를 때려눕히며 병실에서 싸움이 벌어졌다. 라켈레가 이다의 목을 조르기 직전에 간호사들이 달려와 싸움을 말렸다. 당시 전신에 붕대를 감고 있던 무솔리니는 침대에서 어떻게든 두 사람을 말리려 했지만 소용없었다.
5. 강제 감금과 죽음
(Il Popolo d'Italiait) 건물 앞에서 무솔리니를 향해 "겁쟁이, 돼지, 살인자, 배신자!"라고 소리치거나, 파시스트 당원 집회에 아들 베니토 알비노를 안고 나타나 "동지 여러분! 이 사람이 무솔리니의 아들입니다! 그는 저를 유혹한 뒤, 저와 아이를 버렸습니다!"라고 외치는 등 공개적으로 저항했다. 1927년에는 트렌토를 방문한 교육부 장관 피에트로 페데레(Pietro Fedeleit)가 참석한 정부 관계자 집회에 난입하여 무솔리니에 대한 분노를 쏟아내기도 했다.
결국 무솔리니 정권은 이러한 달세르의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그녀를 정신병 환자로 취급하여 강제로 구금하기로 결정했다. 조카의 집에 머물던 달세르는 국방 의용군 부대에 의해 연행되어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 이후 베네치아의 산 클레멘테 섬에 위치한 정신병원으로 이송되었고, 1937년 그곳에서 뇌출혈로 57세의 나이에 병사했다[5].
아들 베니토 알비노 무솔리니(Benito Albino Mussoliniit)는 어머니와 떨어져 지내야 했으며, 무솔리니의 동생인 아르날도 무솔리니(Arnaldo Mussolini영어) 등의 보호 아래 양육되었다. 1931년에는 어머니의 고향인 소프라몬테(Sopramonteit)의 한 당원에게 입양되어 토리노현 몬칼리에리에서 교육을 받았다[8]. 이후 해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나, 1942년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정확한 사망 경위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어머니처럼 정신병원에 감금되어 사망했다는 설과 전쟁터에서 용감하게 전사했다는 설 등이 전해진다.
6. 아들 베니토 알비노의 운명
베니토 알비노 무솔리니는 정부 요원들에게 납치되어 어머니 이다 달세르가 사망했다는 거짓 정보를 들었다. 그는 어머니와 떨어져 아버지 베니토 무솔리니와 삼촌 아르날도 무솔리니 등의 감시 아래 양육되었다. 1931년, 15세의 나이로 어머니의 고향인 소프라몬테에 사는 파시스트 전직 경찰서장의 양자로 입양되었다[8]. 처음에는 바르나바회의 몬칼리에리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고, 이후 이탈리아 왕립 해군에 입대했으나 파시스트 정부의 밀접한 감시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니토 알비노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자신의 아버지라고 계속 주장했고, 결국 밀라노현 림비아테의 정신병원(Mombello)에 강제로 수용되었다. 그는 1942년 8월 26일, 26세의 나이로 반복적인 혼수 유도 주사를 맞은 후 사망했다. 공식 기록에는 이다와 베니토 알비노가 "자신과 타인에게 위험한 존재"로 묘사되었지만, 병원 기록에 따르면 두 사람 모두 의식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베니토 알비노의 정확한 사망 경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어머니처럼 정신병원에 감금되어 감시 속에 사망했다는 설과 함께, 전쟁터에서 "무솔리니의 아들"로서 용감하게 전사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7. 사후 재조명
베니토 무솔리니와의 첫 결혼에 대한 이다 달세르의 이야기는 파시스트 시대에 억압되었고, 오랫동안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2005년, 이탈리아 언론인 마르코 제니가 이 이야기를 다시 세상에 알렸다. 그는 『L'ultimo filò』와 『La moglie di Mussolini』라는 두 권의 책을 출판했으며, 이탈리아 국영 방송 RAI를 통해 관련 다큐멘터리가 방송되면서 달세르의 삶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이후 2009년에는 마르코 벨로키오 감독이 달세르의 삶을 다룬 전기 영화 ''승리''(Vincere|빈체레it)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조반나 메초조르노가 달세르 역을 맡았으며, 아메리칸 영화 연구소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 2009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공식 초청되었다.
8. 한국의 시각에서 본 이다 달세르와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정치 활동에 박차를 가해, 1919년 이탈리아 전투 파시를 창설하고 1921년에는 이를 국가 파시스트당으로 발전시켰으며, 같은 해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22년 로마 진군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무솔리니는 사보이 왕가의 인정을 받아 이탈리아의 독재자가 되었다.
권력을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무솔리니는 자신의 정치적 야망에 방해가 될 수 있는 과거를 철저히 지우려 했다. 그 대표적인 희생자가 바로 그의 첫 번째 부인으로 알려진 이다 달세르와 아들 베니토 알비노 달세르였다. 무솔리니가 최고 권력자가 되자, 이다 달세르와 아들은 경찰의 삼엄한 감시 아래 놓였으며, 무솔리니와의 관계를 증명할 수 있는 모든 서류는 정부 요원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파괴되었다.
이다 달세르는 이에 굴하지 않고 자신이 무솔리니의 정당한 아내임을 계속 주장했으며, 심지어 무솔리니가 밀라노 시절 프랑스 정부로부터 이탈리아의 참전을 유도하는 대가로 뇌물을 받았다고 폭로하며 그를 반역자로 공개 비난하기도 했다. 그러나 독재 권력 앞에 그녀의 저항은 무력했다.
결국 이다 달세르는 베네치아의 산 클레멘테 섬에 있는 정신병원으로 강제 이송되었고, 1937년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공식적인 사망 원인은 뇌출혈로 발표되었지만, 권력 유지를 위해 전 부인과 아들마저 비정하게 제거한 무솔리니의 행적을 고려할 때 그 발표를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이다 달세르의 비극적인 삶은 파시스트 독재자 무솔리니의 무자비한 권력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권력에 의해 희생된 여성의 인권 문제를 드러낸다. 그녀의 이야기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도 권력형 범죄의 위험성과 인간 존엄성의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a vera storia di Ida Dalser, moglie di Benito Mussolini
https://web.archive.[...]
Associazione Trentini nel Mondo - Onlus
2012-04-25
[2]
문서
"L'altra moglie di Mussolini"
Serena
[3]
뉴스
Power-mad Mussolini sacrificed wife and son
https://www.thetimes[...]
2005-01-13
[4]
웹사이트
Fascismo: il figlio segreto di Mussolini
http://www.storiaxxi[...]
Storia XXI secolo
[5]
뉴스
Power-mad Mussolini sacrificed wife and son
http://www.timesonli[...]
The Times
2005-01-13
[6]
웹사이트
La vera storia di Ida Dalser, moglie di Benito Mussolini
http://archivio.tren[...]
Associazione Trentini nel Mondo - Onlus
2010-12-29
[7]
문서
"L'altra moglie di Mussolini"
Serena
[8]
웹사이트
Fascismo: il figlio segreto di Mussolini
http://www.storiaxxi[...]
Storia XXI secolo
2016-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