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부는 1942년 전라남도 광주 출신의 시인으로, 1962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그는 1960년대 대표적인 시인 중 한 명으로, 소박한 언어로 현실 인식을 담은 시를 주로 창작했으며, 초기에는 반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았으나 1970년대 이후 자기 성찰을 통해 고통을 짊어지는 세계를 그렸다. 현대문학상, 한국문학 작가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2012년 지병으로 별세했다. 그의 작품은 억압받는 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외부 세계의 현실을 통해 내면 세계를 드러내는 특징을 보인다. 주요 저서로는 시집 《이성부 시집》, 《우리들의 양식》 등이 있으며 소설 《소모이 밤》, 《우리들의 양식》, 《백주》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초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공초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광주고등학교 (광주) 동문 - 박상천
박상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제13·14·15·16·18대 국회의원과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평화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민주당 등에서 주요 당직을 맡고 원내총무, 당 대표 등을 지냈다. - 광주고등학교 (광주) 동문 - 이병완
이병완은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비서관, 노무현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하고 국민참여당 창당준비위원장과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거쳐 광주 서구 기초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는 한국여자농구연맹 총재를 맡고 있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대산문학상 수상자 - 고은
고은은 1958년 등단하여 《만인보》를 포함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민주화 운동과 남북한 작가 교류에 기여했으나, 2018년 성추문 논란으로 재평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시인이자 소설가, 수필가, 사회 운동가이다.
이성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이성부 |
한글 이름 | 이성부 |
한자 이름 | 李盛夫 |
로마자 표기 | I Seongbu |
한국어 개정 로마자 표기 | I Seongbu |
출생일 | 1942년 1월 2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전라남도 (현재 대한민국) 광주부 |
사망일 | 2012년 2월 28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시인 |
학력 |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활동 기간 | 1959년 - |
장르 | 시 |
작품 | |
대표 작품 | 우리들의 양식 |
데뷔 작품 | 바람 |
2. 생애
1942년 1월 22일,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광주부(현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3][7] 광주고등학교 재학 중이던 1959년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다.[4] 이후 태광과 순문학 동인으로 활동하며 시인 김현승 문하에서 문학 수업을 받았다.[4]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5]
1962년 《현대문학》 추천 완료로 등단하였고,[11] 1967년에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우리들의 양식〉이 당선되었다.[11] 대학 졸업 후에는 한국일보에서 근무하기도 했다.[5]
초기 시는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경향이 있었으나, 1970년 발표한 「벌판」, 「바다」 등을 기점으로 개인의 고통과 운명을 깊이 성찰하는 세계로 나아갔다. 그는 196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으로, 소박하면서도 진솔한 언어로 현실에 대한 깊은 인식을 담은 시를 주로 창작했다.
주요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 내역 |
---|---|
1970년 | 제15회 현대문학상 |
1977년 | 제4회 한국문학작가상 |
2001년 | 제9회 대산문학상 (시 부문) |
2007년 | 제1회 가천환경문학상 (시 부문) |
2010년 | 제18회 공초문학상 |
2011년 | 제9회 영랑시문학상 |
2011년 | 제24회 경희문학상 |
이성부 시인은 현실 참여적인 시를 통해 억압받는 이들의 삶과 시대정신을 노래한 대표적인 시인이다. 그의 시 세계는 시대 상황과 개인적 성찰을 반영하며 변화해왔다. 초기 시는 현실 비판적인 목소리가 강하게 드러났으나, 1970년대를 거치면서 점차 내면 성찰과 운명에 대한 깊은 응시로 나아갔다. 소박하면서도 힘 있는 언어로 당대 현실과 민중의 삶을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2년 2월 28일 지병으로 별세했다.[11]
3. 작품 세계
주요 작품집은 다음과 같다.연도 작품명 1959 바람 [9][10] 1969 이성부 시집 1974 우리들의 양식 1977 백제행 1981 전야 1989 빈산 뒤에 두고 1991 깨끗한 나라 1996 야간산행 1998 저 바위도 입을 열어 1999 우리 앞이 모두 길이다 2001 지리산, 너를 보내고
3. 1. 초기 작품
1959년 고등학생 시절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고, 1966년에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우리들의 양식」이 당선되어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 시는 매우 직선적이며 반사회적인 메시지를 담는 특징을 보였다. 1960년대 대표적인 시인 중 한 명으로, 소박한 언어를 사용하여 현실 인식이 담긴 시를 주로 창작했다. 시 〈누룩〉은 누룩을 의인화하여, 희생을 통해 이룩하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소망을 노래한 작품이다.[12]
3. 2. 1970년대 이후
초기 시에서는 직선적이고 반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았던 것과 달리, 1970년 발표한 「벌판」, 「바다」 이후로는 자기 성찰에 집중하며 개인의 고통을 직시하고 운명을 받아들이는 세계를 그리는 경향을 보였다.
3. 3. 공통적인 특징
이성부 시의 대표작 중 하나인 〈누룩〉은 누룩을 의인화하여, 희생을 통해 이루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소망을 노래한다.[12]
LTI 한국어 연구소는 이성부의 작품 세계,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 시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6]
: 이성부 시인의 작품,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쓰인 작품들은 억압받는 자들의 목소리를 내고자 하는 시인의 열정적이고 분노에 찬 욕망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그의 시에 반영된 분노는 내면 심리나 자연보다는 외부 세계 또는 당대 사회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역사를 통해 무시되고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을 표현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어둠"과 "밤"의 이미지는 패배와 억압에 대한 수용을 전달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현실과 한계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밤새도록"에서 보듯이 "밤"의 이미지가 항상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것은 아니다. 억압받는 자들에 대한 사랑과 이해가 확장될 때, "밤"의 이미지는 축제의 시간과 장소로 변모한다.[6]
: 시인은 또한 억압의 현실에 대한 진정한 분노는 삶에 내재된 고난과 역경을 경험하고 견뎌낸 데서 나온다고 믿었다. 따라서 그러한 인내를 통해 역사를 통해 억압되고 무시당한 사람들에 대한 연민과 사랑이 자라날 수밖에 없다고 믿었다. 시인은 또한 삶이 제공하는 것을 감내하는 것이 슬픔과 패배를 극복하는 진정한 길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그의 시는 내면 세계의 사건들을 드러내기 위해 외부 세계의 현실을 이야기하는 적절한 어휘와 스타일로 유명하다.[6]
초기 시는 매우 직선적이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었으나, 1970년 발표한 「벌판」, 「바다」 이후에는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의 고통을 받아들이고 운명에 맞서는 단호한 세계를 그렸다. 1960년대를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으로, 소박하면서도 현실 인식이 담긴 언어로 시를 창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 | 수상 내역 | 비고 |
---|---|---|
1970년 | 제15회 현대문학상 | [11] |
1977년 | 제4회 한국문학작가상 | [11] |
2001년 | 제9회 대산문학상 | 시 부문 [11] |
2007년 | 제1회 가천환경문학상 | 시 부문 [11] |
2010년 | 제18회 공초문학상 | [11] |
2011년 | 제9회 영랑시문학상 | [11] |
2011년 | 제24회 경희문학상 | [11] |
5. 저서
5. 1. 시집
wikitext연도 | 시집 제목 | 출판사 |
---|---|---|
1969년 | 《이성부 시집》[5] | |
1974년 | 《우리들의 양식》[2][5] | 민음사 |
1977년 | 《백제행》[5] | 창작과비평사 |
1981년 | 《전야》[5] | 창작과비평사 |
1989년 | 《빈 산 뒤에 두고》[5] | 풀빛 |
1991년 | 《깨끗한 나라》 | |
1996년 | 《야간산행》 | |
1998년 | 《저 바위도 입을 열어》 | |
1999년 | 《우리 앞이 모두 길이다》 | |
2001년 | 《지리산, 너를 보내고》 |
5. 2. 소설
[2]- 소모이 밤 (Night of Dissipation) (1961)
- 우리들의 양식 (Our Meal) (1974)
- 백주 (Daylight) (1977)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Literature Authors Name Authority Database - LTI Korea Library - LibGuides at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ttp://klti.libguide[...]
2015-01-13
[2]
웹사이트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3]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2-05
[4]
웹사이트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5]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6]
웹사이트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7]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
[8]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www.klti.or.k[...]
2014-02-10
[9]
웹사이트
NAVER(한국 현대 문학 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
[10]
웹사이트
NAVER(두산 백과)
http://terms.naver.c[...]
2014
[11]
뉴스
[부고] 이성부 시인 별세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2-29
[12]
서적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한국교육방송공사
2009-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