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반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슈트반 2세는 아르파드 왕조 출신으로 1116년부터 1131년까지 헝가리의 국왕이었다. 칼만 왕과 시칠리아의 펠리치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쌍둥이 형제 라슬로가 있었다. 1105년 왕세자로 임명되었고, 1116년 칼만 왕의 사망 후 즉위했다. 재위 기간 중 보헤미아, 베네치아,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을 겪었다. 베네치아와의 전쟁에서는 달마티아를 두고 다투었으며,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에서는 세르비아를 침공하기도 했다. 1131년 이질 증세로 사망했으며,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위는 벨러 2세가 계승했다. 그는 자녀 없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유럽 사람 - 벨러 2세
벨러 2세는 1131년부터 1141년까지 헝가리의 왕이었으며, 왕위 계승 갈등 속에서 실명형을 받았으나 왕위에 올라 왕비 옐레나의 영향력 아래 폴란드, 키예프의 지원을 받은 보리스 콘라드와 왕위 다툼을 벌이고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강화 및 팽창 정책을 추진, 만년에는 과음으로 국정을 소홀히 했다. - 헝가리의 쌍둥이 - 바츨라프 3세
바츨라프 3세는 보헤미아의 왕, 헝가리의 왕, 폴란드의 왕이었으며, 1289년 프라하에서 태어나 1306년 폴란드 원정 중 암살당하면서 프르셰미슬 왕조를 단절시켰다. - 헝가리의 쌍둥이 - 마르톤 루아너
스페인 산타크루스데테네리페 출신의 마르톤 루아너는 킥복싱 선수 아버지와 핸드볼 선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는 쌍둥이 자매 마르톤 비비어너를 두고 있다. - 1101년 출생 - 엘로이즈
엘로이즈는 12세기 프랑스의 학자이자 수녀원장으로, 피에르 아벨라르와의 비극적인 사랑과 서신 교환, 그리고 중세 시대 여성의 지적 활동에 대한 독특한 관점으로 유명하며, 수녀원장으로서 여성의 권리와 교육에 대한 사상을 펼쳐 후대에 영감을 주었다. - 1101년 출생 - 후지와라노 다마코
후지와라노 다마코는 헤이안 시대 도바 천황의 중궁이자 스토쿠 천황과 고시라카와 천황의 생모로, 시라카와 법황의 양녀였으며 다이켄몬인 칭호를 받았고, 정치적 격변 후 출가하여 그녀의 생존과 죽음이 호겐의 난 발발의 배경이 되었다.
이슈트반 2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헝가리 국왕, 크로아티아 국왕 |
통치 기간 | 1116년 2월 3일 – 1131년 3월 1일 |
대관식 | 1105년 (주니어 국왕), 1116년 세케슈페헤르바르 |
선임자 | 칼만 |
후임자 | 벨러 2세 |
배우자 | 로베르 1세의 딸 |
왕조 | 아르파드 왕조 |
아버지 | 칼만 |
어머니 | 펠리치아 디 시칠리아 |
출생 | 1101년 |
사망 | 1131년 3월 1일 (추정) |
매장지 | 바라드 대성당 (루마니아)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2. 생애
이슈트반 2세는 칼만과 시칠리아의 펠리치아 사이에서 쌍둥이 형제 라슬로와 함께 태어났으나, 라슬로는 1104년경에 사망했다. 1105년경 칼만은 이슈트반을 헝가리의 왕세자로 임명했다.[2] 칼만은 동생 알모시 공작과 그의 아들 벨러를 실명시켜 왕위 계승을 둘러싼 위협을 제거하려 했다.[3]
1116년 2월 3일 칼만이 사망하고 30일 후, 이슈트반 2세는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에스테르곰 주교 뢰린츠로부터 왕관을 받으며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3] 즉위 초, 보헤미아의 블라디슬라프 1세와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1116년 5월 13일 올샤바 전투에서 패배했다.
같은 해 5월, 베네치아 공화국 함대가 달마티아를 공격하여 크바르네르만의 섬들을 점령했고, 7월에는 자다르, 비오그라드나모루, 시베니크, 스플리트, 트로기르 등이 베네치아에 항복했다. 헝가리 군은 반격하여 베네치아 군을 격파하고, 1117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집정관 오르델라포 팔리에로를 살해했다. 1117년 또는 1118년 헝가리와 베네치아는 5년간의 휴전 조약을 체결했다.[3]
1126년 헝가리는 보헤미아의 소베슬라프 1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3] 1127년 비잔티움 제국의 요안니스 2세 콤니노스 황제가 헝가리를 침공했으나, 헝가리-세르비아 연합군의 반격으로 퇴각했다.[11] 1128년 비잔티움 제국이 다시 헝가리를 공격했지만, 이슈트반 2세는 질병으로 참전하지 못했다.[14] 양국은 1129년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6]
1131년 이슈트반 2세는 이질로 사망했으며,[18] 그의 뒤를 이어 벨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 1. 어린 시절 ( ~ 1116년)
이슈트반 2세는 1101년에 헝가리 왕 칼만과 그의 아내 시칠리아의 펠리치아 사이에서 쌍둥이 형제 라슬로와 함께 태어났다.[1] 동생 라슬로는 1104년경에 사망했다.[1] 1105년경, 칼만 왕은 이슈트반을 헝가리의 왕세자로 임명했다.[2]칼만은 자신의 동생 알모시 공작이 왕위를 노리는 것을 막기 위해, 알모시 공작과 그의 아들 벨러를 실명시켰다.[3]
2. 2. 치세 (1116년 ~ 1131년)
1116년 칼만 왕이 사망한 후, 이슈트반 2세는 헝가리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의 치세는 헝가리 왕국의 내정과 외교 관계에 있어 중요한 시기였다.이슈트반 2세는 즉위 초 보헤미아와 관계 개선을 시도했지만, 1116년 올샤바 전투에서 패배했다. 같은 해 베네치아 공화국이 달마티아를 공격하여 여러 도시를 점령했으나, 헝가리 군은 반격하여 베네치아 군을 격파하고 집정관을 살해했다. 1117년 또는 1118년 헝가리와 베네치아는 5년간의 휴전 조약을 체결했다.
1126년 헝가리는 보헤미아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1127년 비잔티움 제국이 헝가리를 침공했으나, 헝가리-세르비아 연합군의 반격으로 퇴각했다. 1128년 비잔티움 제국이 다시 헝가리를 공격했지만, 이슈트반 2세는 질병으로 참전하지 못했다. 양국은 1129년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1131년 이슈트반 2세는 이질로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벨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2. 2. 1. 초기 (1116년 ~ 1127년)
1116년 2월 3일 칼만 왕이 사망하고 30일 뒤, 이슈트반 2세는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에스테르곰 대주교 뢰린츠에 의해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3] 왕위 계승은 순조롭게 이루어졌는데, 이는 칼만이 자신의 동생 알모시 공작의 왕위 찬탈 시도를 막기 위해 취한 조치 덕분이었다.[3] 즉위 후, 이슈트반 2세는 보헤미아의 블라디슬라프 1세와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양국 군대는 1116년 5월 13일 올샤바 전투에서 충돌했다. 이 전투에서 보헤미아 군은 헝가리 군에 큰 타격을 입혔다.[3] 프라하의 코스마스는 이 패배의 원인을 젊은 왕의 조언자들에게 돌렸지만, 후대 헝가리 연대기들은 이슈트반 2세가 성급한 성격 탓에 조언자들과 상의 없이 행동했다고 기록했다.[3]1116년 5월, 베네치아 공화국 함대가 달마티아를 공격하여 크바르네르만의 섬들을 점령했다. 7월에는 자다르, 비오그라드나모루, 시베니크, 스플리트, 트로기르 등이 베네치아에 항복했다. 헝가리 군은 반격하여 베네치아 군을 격파하고, 1117년에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집정관 오르델라포 팔리에로를 살해했다. 1117년 또는 1118년, 베네치아가 달마티아를 점령한 후 헝가리와 베네치아는 5년간의 휴전 조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베네치아는 아드리아해 해안선을 장악하게 되었다.
1118년, 이슈트반 2세는 오스트리아 변경백국을 침공했고, 같은 해 후반 오스트리아 변경백 레오폴드 3세가 반격했다. 보헤미아 공작 보르지보이 2세는 레오폴드를 지원하여 헝가리 북서부를 약탈했다. 보르지보이 2세는 1120년 블라디슬라프 1세에 의해 폐위된 후 헝가리로 도망쳐 이슈트반 2세의 궁정에 정착했다.
1120년대 초, 이슈트반 2세는 카푸아의 로베르 1세의 딸과 결혼했다. 이 결혼 동맹은 베네치아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카푸아의 노르만 공작들은 교황의 확고한 지지자였으며, 이 결혼은 이슈트반 2세가 아버지의 친교황 외교 정책을 지속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Włodzimierz Dworzaczek에 따르면, 이슈트반 2세는 1121년에 레겐스부르크의 부르크그라프 하인리히의 딸 아델하이드와 결혼했다.[5][6]
1123년 초, 이슈트반 2세의 사촌 아델라이드가 남편 보헤미아 공작 소비에슬라프 1세가 추방된 후 헝가리에 도착했다. 이슈트반 2세는 그녀를 친절하게 맞이했는데, 이는 당시 알모시 공작과의 관계가 우호적이었음을 시사한다.[7] 같은 해, 이슈트반 2세는 볼히니아 공국을 공격했으나, 볼로디미르-볼린스키 포위 공격 초기에 지휘관들이 반대하여 퇴각했다.
1124년 전반기, 이슈트반 2세는 달마티아를 재침공하여 일부 지역을 회복했으나, 베네치아 함대가 돌아오자 다시 빼앗겼다. 1125년경, 알모시 공작은 비잔티움 제국으로 망명했다. 1126년, 이슈트반 2세는 보헤미아의 소비에슬라프 1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2. 2. 2. 후기 (1127년 ~ 1131년)
1127년 비잔티움 제국의 요안니스 2세 황제가 헝가리인들이 비잔티움 제국 국민들을 살해한 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헝가리를 침공했다.[11] 비잔티움 제국 군대는 베오그라드, 니시를 점령했지만, 헝가리-세르비아 연합군의 반격으로 퇴각했다.
1128년 비잔티움 제국 군대가 다시 헝가리를 공격했지만, 이슈트반 2세는 질병으로 인해 직접 참전하지 못했다.[14] 헝가리와 비잔티움 제국은 1129년 10월에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6]
1129년경 이슈트반 2세는 벨러(알모시 공작의 아들)가 생존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에게 톨나 마을을 하사하고 라스키아의 헬레나와 결혼을 주선했다.[17]
1131년 봄, 이슈트반 2세는 이질로 사망했다.[18] 그의 사후, 벨러 2세가 헝가리의 왕위를 계승하였다.
3. 유산
이슈트반 2세의 치세는 잦은 전쟁과 외교 분쟁으로 점철되었다. 그의 군사적 행동은 헝가리에 큰 부담을 주었고,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슈트반 2세는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실명된 벨라를 후계자로 지명하여 왕위 계승의 안정을 도모했다.[17] 하지만 잦은 전쟁으로 인한 국력 소진은 비판받을 부분이다.
이슈트반 2세는 칼만의 아들로서 어린 시절 왕위에 올랐으며, 숙부 칼만으로부터 왕위를 지키기 위해 조기에 즉위식을 가졌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여러 국가와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으며, 특히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4. 가계
이슈트반 2세는 헝가리 아르파드 왕조 출신으로, 게저 1세의 손자이자 칼만 왕의 아들이다.
이슈트반 2세의 가계도 | ||||||||
---|---|---|---|---|---|---|---|---|
바줄 | + | Tátony 씨족의 여성 | ||||||
| | ||||||||
↓ | ||||||||
벨러 1세 | + | 폴란드의 리체자 혹은 아델라이드 | ||||||
| | ||||||||
↓ | ||||||||
게저 1세 | + | 소피아* | ||||||
| | ||||||||
↓ | ||||||||
컬로먼 | + | 펠리치아 | ||||||
| | ||||||||
↓ | ||||||||
이슈트반 2세 | ||||||||
*게저의 첫 번째 부인인지 두 번째 부인이 그의 자녀들의 어머니였는지는 불확실하다. |
《연대기》에 따르면 이슈트반은 "합법적인 아내를 맞이하려는 뜻이 없었고, 스스로 첩과 매춘부를 데려왔다"고 한다.[19] 하지만 그의 조언자들은 "왕국이 비참한 상태이고 왕에게 상속자가 없다"며[20] 그에게 결혼하도록 설득했다. 그들은 카푸아의 로베르 1세의 딸을 군주의 아내로 선택했지만, 그녀의 이름은 기록되지 않았다. 이슈트반은 자녀 없이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4]
서적
Cosmas of Prague: The Chronicle of the Czechs
[5]
서적
Genealogia
Warszawa
1959
[6]
간행물
Stefan II
1996
[7]
서적
Cosmas of Prague: The Chronicle of the Czechs
[8]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9]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0]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1]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1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3]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4]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5]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6]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7]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8]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9]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0]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