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실어는 멕시코 캄페체주와 킨타나로오주, 과테말라 키체주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이다. 3개의 방언이 존재하며, 네바흐 방언은 키체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많다. 음운론적으로는 단모음과 장모음을 가지며, 자음 체계는 다양한 파열음, 마찰음, 비음 등을 포함한다. 문법적으로는 능격 언어이며, 대명사는 능격과 절대격으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이실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이실어 |
로마자 표기 | Isireo |
자생어 이름 | (정보 없음) |
발음 | /iʂil/ |
사용 국가 | 과테말라, 멕시코 |
사용 지역 | 키체주 |
사용자 수 | 115,000명 (2019년 인구 조사) |
사용자 민족 | 133,329명 이실족 (2019년 인구 조사) |
언어 계통 | 마야어족 |
세부 언어 계통 | 동부 마야어 |
더 큰 마메어군 | 이실어군 |
이실어파 | (정보 없음) |
소수 언어 인정 국가 | 멕시코, 과테말라 |
언어 관리 기관 | 멕시코 국립 원주민 언어 연구소,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 |
ISO 639-3 코드 | ixl |
Glottolog 코드 | ixil1251 |
Glottolog 명칭 | Ixil |
문자 | 라틴 문자 |
방언 | 차훌레뇨 방언, 네바헤뇨 방언 |
언어 생존력 | 취약 (v) |
2. 분포
이실어는 멕시코 캄페체주와 킨타나로오주 일부 지방 자치 단체에서 사용된다. 캄페체 주에서는 캄페체 시의 로스 라우렐레스와 케찰-에드즈나, 참포톤 시의 마야 테쿤에서 사용되며, 킨타나로오 주에서는 마야 발람과 바칼라르 시의 쿠추마탄 마을에서 사용된다.
이실어는 키체 주의 차훌, 코찰, 네바흐 3개 자치구에서 주로 사용되며, 자치구별로 언어 차이가 크다.[6] 2005년 에스놀로그 제15판에서는 각 방언을 별개의 언어로 분류했지만, 2009년에 하나의 언어로 취급하게 되었다.[7][8] 코찰 방언은 네바흐 방언에 비해 키체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매우 많다.[9]
과테말라에서는 이실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방 자치 단체는 키체 주의 산 가스파르 차훌, 산 후안 코찰, 산타 마리아 네바흐이다.
3. 방언
3. 1. 방언 간 어휘 비교
이실어는 키체 주의 3개 자치구(차훌, 코찰, 네바흐)에서 주로 사용된다.[6] 자치구별로 언어 차이가 크며, 2005년 에스놀로그 제15판에서는 각 방언을 별개의 언어로 분류했지만, 2009년에 하나의 언어로 취급하게 되었다.[7][8]
네바흐에 비해 코찰의 언어는 키체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매우 많다.[9]
4. 음운론
이실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나뉜다.
이실어의 모음에는 단모음 a, e, i, o, u와 장모음 aa, ee, ii, oo, uu가 있다.[10]
4. 1. 자음
col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파열음 | 기본 | p | t | k | q | ʼ | |||
방출음 | tʼ | kʼ | qʼ | ||||||
내파음 | bʼ | ||||||||
비음 | m | n | |||||||
마찰음 | v | s | xh | x | j | ||||
파찰음 | 기본 | tz | ch | tx | |||||
방출음 | tzʼ | chʼ | txʼ | ||||||
탄음 | r | ||||||||
접근음 | l | y |
다음은 이실어의 자음이다. 이 외에 차풀 방언에서는 j와 h를 구별하며, ch, chʼ에는 설단음과 설첨음의 구별이 있다.[10][11]
d, g는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단어에 사용된다. w는 v 또는 β에 가깝게 발음된다.[12]
4. 2. 모음
이실어에는 단모음 a, e, i, o, u와 장모음 aa, ee, ii, oo, uu가 있다.[10]
4. 3. 음운 변화
col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파열음 | 기본 | p [pʰ]ipa | t [tʰ]ipa | k [kʰ]ipa | q [qʰ]ipa | ' [ʔ]ipa | |||
방출음 | tʼ [tʼ]ipa | kʼ [kʼ]ipa | qʼ [qʼ]ipa | ||||||
내파음 | bʼ [ɓ]ipa | ||||||||
비음 | m [m]ipa | n [n]ipa | |||||||
마찰음 | v [β~v]ipa | s [s]ipa | xh [ɕ]ipa | x [ʂ]ipa | j [χ]ipa | ||||
파찰음 | 기본 | tz [t͡sʰ]ipa | ch [ȶ͡ɕʰ]ipa | tx [ʈ͡ʂʰ]ipa | |||||
방출음 | tzʼ [t͡sʼ]ipa | chʼ [ȶ͡ɕʼ]ipa | txʼ [ʈ͡ʂʼ]ipa | ||||||
탄음 | r [ɾ]ipa | ||||||||
접근음 | l [l]ipa | y [j]ipa |
5. 문법
이실어는 마야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대명사가 능격과 절대격으로 구분되며 재귀 대명사와 상호 대명사 구별이 모호하다는 특징이 있다.[4][5] 인칭 접사는 A형(능격)과 B형(절대격)으로 나뉜다. 타동사의 주어(A)는 A형, 타동사의 목적어(O)와 자동사의 주어(S)는 B형 접사로 표시된다. 맘어처럼 시간이나 목적을 나타내는 절에서 분열 능격 현상이 나타나지만, 맘어와 달리 이실어에서는 A와 S만 A형이고 O는 B형으로 표시된다.[13] 기본적인 어순은 VSO어순이다.[14]
5. 1. 대명사
이실어의 대명사는 능격과 절대격으로 구분된다.[4] 이 언어 문법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은 재귀 대명사와 상호 대명사를 구별하는 데 있어 모호하다는 점이다.[5]5. 2. 분열 능격
이실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능격 언어이며, 인칭 접사에 A형(능격)과 B형(절대격)의 구별이 있다. 타동사의 주어(A)는 A형 접사로, 타동사의 목적어(O)와 자동사의 주어(S)는 B형 접사로 표시된다. 맘어와 마찬가지로 시간이나 목적을 나타내는 절 안에서는 분열 능격 현상이 일어나지만, 맘어에서는 A, S, O 모두가 동일한 A형 접사로 표시되는 데 반해, 이실어에서는 A와 S만이 A형이고, O는 B형으로 표시된다[13]。5. 3. 어순
이실어는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VSO어순이다.[14]5. 4. 기타
이실어의 대명사는 능격과 절대격으로 구분된다.[4] 이 언어 문법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재귀 대명사와 상호 대명사를 구별하는 데 있어서의 모호성이다.[5]6. 어휘
영어 | 이실어 |
---|---|
하나 | 와'알 |
둘 | 카와알 |
셋 | 옥스왈 |
남자 | 위낙 |
여자 | 이혹 |
개 | 츠'이' |
해 | 크'이 |
달 | 이치' |
물 | 하 |
사슴 | 체 |
재규어 | 브'알람 |
원숭이 | 크'오이 |
토끼 | 우물 |
쥐 | 츠'오 |
새 | 츠'이킨 |
물고기 | 츠'아이 |
벌 | 우스카브 |
검정 | 크'에크 |
하양 | 사크 |
빨강 | 카크 |
노랑 | 크'안 |
녹색 | 차'엑스 |
파랑 | 차'엑스 |
7. 이실어 연구 및 보존 노력
- 아시코나 라미레스, 루카스, 도밍고 멘데스 리베라, 로드리고 도밍고 시닉 봅. 1998. ''산 가스파르 차훌 이실어 사전''. 라 안티구아 과테말라: 프롤렉토 린구이스티코 프란시스코 마로킨.[1]
- 에이레스, 글렌 톰슨. 1991. ''라 그라마티카 이실''. 라 안티구아 과테말라: CIRMA.[2]
- 세딜로 첼, 안토니오, 후안 라미레스. 1999. ''산타 마리아 네바흐 이실어 사전''. 라 안티구아 과테말라: 프롤렉토 린구이스티코 프란시스코 마로킨.[3]
- 잉글랜드, 노라 C. 1994. ''우쿠타ʼ밀 라마크ʼ일 우티조브ʼ아알 리 마야ʼ 아마악ʼ: 자율성 데 로스 이디오마스 마야스: 히스토리아 e 이덴티다드. (2판)''. 과테말라 시티: 초르사마흐.[4]
- 막시밀리아노 포마 S., 타비타 J.T. 데 라 크루스, 마누엘 카바 카바 외. 1996. ''이실어 문법''. 라 안티구아 과테말라: 프롤렉토 린구이스티코 프란시스코 마로킨.[5]
- 옥라후후 키 마야ʼ 아흐츠ʼ이이브ʼ (OKMA). 1993. ''마야ʼ 치이ʼ. 로스 이디오마스 마야스 데 과테말라.''. 과테말라 시티: 초르사마흐.[6]
- 프로그램마 데 레스카테 문화 마야-이실. 1995. ''아크ʼ발 엘루ʼ르 욜 바츠사흐: 이실어 사전''. 과테말라 시티: 초르사마흐.[7]
참조
[1]
서적
Ixiles y Ladinos: El Pluralism Social en el Altiplano de Guatemala
Editorial "Jose de Pineda Ibarra"
1977
[2]
웹사이트
Catálogo de las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Ixil
https://www.inali.go[...]
[3]
웹사이트
Ixil Words
https://www.native-l[...]
2023-11-23
[4]
논문
"Toward a Dialectology of Ixil Maya: Variation across Communities and Individuals"
https://www.jstor.or[...]
[5]
간행물
"Reflexive and Reciprocal Elements in Ixil"
http://eric.ed.gov/E[...]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ERIC
1990
[6]
문서
2003
[7]
웹사이트
Ixil, Nebaj (retired 2009)
http://www.multitree[...]
MultiTree
[8]
웹사이트
Ixil, Chajul (retired 2009)
http://www.multitree[...]
MultiTree
[9]
문서
2017
[10]
문서
1991
[11]
문서
2016
[12]
문서
2016
[13]
문서
2017
[14]
문서
1991
[15]
서적
Manual de Interpretación del Mapa Linguistico de Guatemala
Editorial Nojib'sa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