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혁 (태권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준혁은 1962년 전라북도 고창 출생으로, 13세에 태권도 검은 띠를 획득한 후,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 재학 중 미국으로 이민했다. 미국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1987년 노스캐롤라이나에 태권도 도장을 설립하여 '블랙 벨트 월드'를 운영하며 태권도를 통해 인성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다. 1997년 세계 태권도 연맹 공인 7단 승단 심사를 치렀으며, 미국 10대 무술 마스터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1년에는 나이트데일 시장 선거에 출마했으며, 국제건강친선연합 회장, 우석대학교 객원교수를 역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메이슨 대학교 동문 - 베서니 홀롱
베서니 홀롱은 토마스 제퍼슨 대학교에서 간호학 학사, 사우스캐롤라이나 의과대학에서 간호학 석사, 조지 메이슨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델라웨어주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거쳐 2017년부터 제26대 델라웨어 부지사로 재직하고 있다. - 조지 메이슨 대학교 동문 - 앤지 고프
앤지 고프는 미국의 뉴스 앵커, 리포터, 팟캐스트 진행자로, 다양한 방송국에서 활동하며 지역 에미상을 수상했고, "The Oh My Goff Show" 팟캐스트를 진행하며 워싱턴 D.C.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무술가 - 장혁
장혁은 1997년 드라마 《모델》로 데뷔하여 《학교》, 《햇빛 속으로》 등에 출연하며 이름을 알렸고, 랩 앨범 발매와 영화 출연을 거쳐, 병역 기피 논란으로 활동을 중단했다가 제대 후 배우 활동을 재개하여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 대한민국의 무술가 - 최영의
최영의는 한국계 일본인으로 극진가라테를 창시하고 무술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다양한 무술 수련과 전일본 가라테 선수권 우승, 극진가라테 창시, 전설적인 일화, 저술 활동 등으로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무술가 - 척 노리스
척 노리스는 대한미국에서 무술을 접한 후 척 노리스 시스템을 창시한 미국의 무술가이자 배우, 영화 제작자로서, 액션 영화와 드라마 출연 외에도 킥스타트 키즈 재단 설립, 공화당 지지 등의 사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인터넷 유머인 '척 노리스 팩트'로도 알려져 있다. - 미국의 무술가 - 레오 퐁
레오 퐁은 중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무술가, 배우, 영화 각본가, 연출가, 제작자로 활동했으며, 웨이 쿤 도라는 자신만의 무술 스타일을 개발하고 여러 영화에 출연 및 연출했으며, 2022년에 사망했다.
| 이준혁 (태권도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이준혁 |
| 별명 | 안산(Ansan), 이준(Jun Lee) |
| 로마자 표기 | Lee Junhyeok |
| 출생일 | 1962년 11월 17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안산시 고창군 |
| 국적 | 미국 |
| 거주지 | 롤리, 노스캐롤라이나 |
| 무술 정보 | |
| 종목 | 태권도 |
| 단 | 9단 |
| 스승 | (정보 없음) |
| 주요 제자 | (정보 없음) |
| 소속 및 활동 | |
| 소속 | (정보 없음) |
| 활동 기간 | (정보 없음) |
| 기타 | 국기원 국제 홍보 대변인 |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초기 생애
이준혁은 1962년 11월 17일 대한민국 전라북도 고창군 안산 마을에서 6형제 중 셋째로 태어났다. 아버지 이인규는 공무원이자 지역 정치인이었고, 어머니 이요순은 주부였다. 어린 시절 대부분을 작은 농장에서 보냈다.
1982년, 이준혁은 서울대학교에서 국제 경제학을 공부하던 중 조지 메이슨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기 위해 미국으로 이민했다. 그는 조지 메이슨 대학교에서 경제학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준혁은 미국에서 태권도 사범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87년 노스캐롤라이나 리서치 트라이앵글 지역에 첫 도장을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미국 내 태권도 붐을 타고 사업을 성공적으로 확장시켰다. 그는 단순히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넘어, 태권도를 삶의 방식으로 여기고 한국의 홍익인간 사상에 기반한 독자적인 교육 철학을 정립하여 제자들을 지도했다. 또한, 1997년에는 미국 최초로 세계 태권도 연맹 공인 하에 공개 7단 승단 심사를 치르는 등, 태권도 발전에 기여하는 활동을 이어갔다.
중학교 시절 고창군에서 오도관 도장을 운영하던 강 사범을 만나 태권도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는 뛰어난 재능을 보여 13세에 검은 띠를 획득했다.
1970년대 초 베트남 전쟁이 끝나면서, 형 이현곤을 비롯한 많은 한국의 젊은 태권도 사범들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이현곤은 미국 버지니아주에 초기 태권도 도장 중 하나를 열었다.[2]
3. 미국 이민
4. 태권도 활동
4. 1. 도장 설립
이준혁과 그의 형 이현곤은 노스캐롤라이나 리서치 트라이앵글 지역이 도장을 열기에 이상적인 장소라고 판단했다. 이 지역은 교육 수준이 높고 중상류층 가족이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이들은 태권도 수업에 대한 관심과 경제적 여유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1987년 2월, 이준혁은 버지니아를 떠나 롤리로 이사했다.[3]
당시는 미국 내 무술 산업이 크게 성장하던 시기였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가 서울 올림픽에서 태권도 겨루기를 시범 종목으로 채택한 점, 그리고 ''가라테 키드''와 같은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젊은 미국인들 사이에서 무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었다.
겨울에 롤리에 도착한 이준혁은 아는 사람이 형 외에는 없었기에, 자신이 소유한 에어로스타 밴에서 생활하며 도장 설립을 준비했다. 그는 개조가 필요한 쇼핑몰의 작은 상업 공간을 임대하여 한 달 동안 직접 수리하고 꾸미는 작업을 진행했다.
초봄이 되자, 약 250.84m2 규모의 도장이 문을 열었다. 이준혁은 낮에는 주유소, 학교, 카운티 박람회 등 다양한 장소에서 무료 무술 시범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도장을 홍보했고, 저녁에는 태권도 수업을 진행했다. 처음에는 수강생 증가가 더뎠지만, 점차 입소문이 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연말에는 도장의 수용 인원을 초과할 정도로 많은 수강생을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성공을 바탕으로 이준혁은 리서치 트라이앵글 지역에 여러 개의 도장을 추가로 개설했으며, 형제들에게 각 지점의 운영을 맡겼다.
4. 2. 교육 철학
이준혁은 태권도가 단순히 발차기와 주먹질 같은 격투 기술을 넘어선, 삶의 방식이라고 생각했다. 그에게 태권도는 개인과 사회 전체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방법이었으며, 도장을 넘어 사범과 제자들이 함께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라고 보았다.[4]
미국에서 활동하면서 이준혁은 문화적 차이로 인해 한국 태권도의 일부 요소가 미국 문화에 그대로 적용되기 어렵다는 점을 일찍 깨달았다. 그는 미국인들이 개인주의를 중시하고 획일성을 선호하지 않는 반면, 한국 문화는 상대적으로 획일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음을 파악했다. 이에 따라 자신이 활동하는 미국 문화에 맞춰 교육 방식을 조정할 필요성을 느꼈고, 전통적인 태권도 문화를 존중하면서도 자신만의 새로운 교육 철학을 접목하고자 노력했다.
미국 사회의 분위기는 그가 자신의 교육 철학을 태권도에 접목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는데, 이는 그의 고향인 한국에서는 쉽게 시도하기 어려웠을 부분이다. 그는 자신의 도장 이름을 '블랙 벨트 월드'로 바꾸고, 한국의 홍익인간 사상을 바탕으로 한 교육 철학을 세웠다. 이준혁은 다음과 같은 9가지 원칙을 통해 자신의 무술 철학을 발전시켰다.[3]
| 번호 | 원칙 | 설명 |
|---|---|---|
| 1 | 국가에 대한 충성 |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기른다. |
| 2 | 부모님께 효도 | 부모님께 효도한다. |
| 3 | 어른 공경 | 어른을 공경한다. |
| 4 | 후배 배려 | 후배를 배려한다. |
| 5 | 스승과의 관계 | 스승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
| 6 | 만물 존중 | 모든 것을 소중히 여긴다. |
| 7 | 정의로운 마음 | 약자를 억압하지 않는다. |
| 8 | 이로운 사용 | 태권도를 다른 사람에게 이롭게 사용한다. |
| 9 | 책임감 | 시작한 일을 끝까지 완수한다. |
이준혁은 모든 사람이 태권도를 수련하고 이러한 가치들을 삶 속에서 실천한다면, 사회가 더 발전하고 자유로워질 것이라고 믿었다. 그는 "세상을 다스리는 법률은 필요 없을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신념을 표현했다.[5]
4. 3. 그랜드마스터 승단 심사
5단 이상의 고단자 심사는 전통적으로 비공개로 진행되었다. 이준혁은 이러한 관행을 깨고 공개 심사를 추진했다. 1997년 11월 23일, 이준혁은 제자들과 다른 태권도 그랜드마스터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개적으로 7단 승단 심사를 치렀다. 이 심사는 미국에서 최초로 세계 태권도가 공인한 공개 7단 심사였다. 심사위원으로는 그랜드마스터 존 리, 정우진, 김동진, K.S. Lee, 이원익 등 저명한 태권도 원로들이 참여했다.[6]심사에서 이준혁은 다양한 태권도 기술 시연과 함께 품새, 겨루기, 격파 시범을 선보였다.
특히 루이빌 슬러거 야구 방망이 격파와 검술 시범이 주목받았다. 그는 특수 제작된 콘크리트 받침대에 놓인 야구 방망이를 단 한 번의 발차기로 격파하는 시범을 보였다. 또한 눈을 가린 상태에서 제자의 복부 위에 놓인 사과를 한국 전통 검으로 정확히 베어내는 고난도 검술 시범도 선보였다.

5. 블랙 벨트 월드
블랙 벨트 월드는 이준혁 사범의 국기원 공인 자기 계발 기관의 이름이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와 버지니아, 그리고 미국 외 지역에 위치해 있다.
6. 정치 활동
2011년, 이준혁은 현직 시장인 러셀 킬렌에 맞서 나이트데일 시장 선거에 출마했다. 민주당의 지지를 받았으나, 조직화된 정당을 "영광스러운 정치 마피아"로 여기는 지역 사회 분위기 속에서 현직 시장에게 도전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7]
그의 출마는 지역 사회에 봉사하려는 신념에서 비롯되었으며, 교육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선거 과정에서 이준혁은 현직 시장과 도시 미화, 도시 개발, 교육 개혁 등 다양한 정책 분야에서 대립각을 세웠다. 치열한 경쟁 끝에 이준혁은 4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아쉽게 패배했다.
7. 기타 활동
태권도 국제 봉사 단체인 국제건강친선연합 (ICG)의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전 미국 태권도 위원회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우석대학교 태권도학과 객원교수로 임명되었다. 그는 7시간 안에 5000장의 격파를 성공하여 비공식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1] 무술 월드 매거진(Martial Arts World magazine)에 의해 미국 10대 무술 마스터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8]
2002년부터는 분단된 한반도가 민주적이고 자유로운 통일 국가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북한을 방문하기 시작했다. 그는 태권도와 자유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남북 간 교류와 화합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참조
[1]
뉴스
Korean Taekwondo Master Kicks for Muscular Dystrophy
The News and Observer
1990-07-29
[2]
웹사이트
K.S. Lee's Tae Kwon Do Carolina
http://nctkd.com/lee[...]
[3]
인터뷰
Interview with Grandmaster Jun Lee II
2019-10-03
[4]
간행물
Is Taekwondo in Crisis
Martial Arts World News
2019
[5]
문서
The History of Tae Kwon Do
The History of Tae Kwon Do
1996-03
[6]
문서
The Master's Test
Taekwondo Times
1996-03
[7]
뉴스
Wake Dems Endorse Democrat as Kightdale Mayorial [sic] Candidate, but Other Dems Object?
http://bluenc.com/co[...]
BlueNC
2011-09-06
[8]
간행물
Martial Arts World Magazine
2002-05
[9]
뉴스
Korean Taekwondo Master Kicks for Muscular Dystrophy
The News and Observer
1990-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