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찬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찬은 일제강점기, 광복 이후 북한에서 활동한 시인이다. 함경남도 북청 출신으로,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릿쿄 대학과 와세다 대학에서 유학했다. 1927년 조선일보 학생문예 공모에 당선되어 등단한 후, 사회주의 문학 운동에 참여했으나 '별나라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이후 친일 시와 희곡을 창작하여 친일 행적을 보였으며, 광복 후에는 북한으로 돌아가 김일성을 찬양하는 시를 썼다. 그는 혁명 시인으로 불렸으며, 그의 유해는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애국렬사 - 송영 (극작가)
    송영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극작가로, 카프 계열 연극인으로 등단하여 노동 운동 풍자 작품을 발표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 월북하여 북조선연극동맹 위원장을 지냈으며, 김일성 항일 무장 투쟁을 형상화한 희곡으로 알려졌으나 한설야 숙청 시기에 숙청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애국렬사릉에 안장된 것으로 보아 복권된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애국렬사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사회주의자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사회주의자 - 클레멘트 애틀리
    클레멘트 애틀리는 1883년에 태어나 1967년에 사망한 영국의 정치가로, 1945년 총선에서 노동당을 승리로 이끌고 총리가 되어 주요 산업 국유화, 국민건강보험 서비스 설립, 복지 국가 건설 등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이찬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리찬 (시인)

2. 생애

리찬은 함경남도 북청 출신으로,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릿쿄 대학와세다 대학에서 유학했다.

2. 1. 초기 활동 (1927년 ~ 1934년)

이찬은 함경남도 북청 출신으로,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를 졸업했다.[1] 1927년 조선일보 학생문예 공모에 시 〈나팔〉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1929년 일본 릿쿄 대학와세다 대학에서 수학하며 임화 등을 만나 사회주의 문학 운동에 참여했다.[1]

1931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했으나 제적되었고, 같은 해 재일 조선인 좌익 예술 단체 동지사 창립회원 겸 편집부원으로 참여했다.[1] 1932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 중앙위원으로 활동했다.[1] 1932년 '별나라 사건'으로 1934년까지 옥고를 치렀다.[1] 초기에는 현실 참여적인 서술시를 썼다.

2. 2. 전향과 친일 행적 (1934년 ~ 1945년)

이찬은 복역 후 허무적 정서와 나약한 지식인의 고뇌를 담은 시집 《대망》(1937), 《분향》(1938), 《망양》(1940) 등을 간행했다.[1] 그러나 태평양 전쟁 기간에는 친일 시와 희곡을 창작하여 친일 행적을 보였다. 1944년매일신보》와 《신시대》에 실은 〈송출진학도(送出陣學徒)〉가 대표적인 친일 시이다.[3] 이 외에도 『동양지광(東洋之光)』 1944년 3월호에 「영예의 전범을」(원문 일본어)을, 매일신보 1945년 2월 14일과 15일자에 「전사(餞詞) - 징용(徵用)된 벗에게」를 발표하는 등 친일 시문을 남겼다.[4] 이러한 친일 행위로 인해 이찬은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5]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2]

이찬(李燦), 송∙출진학도(送∙出陣學徒) : 매일신보 1944-01-19 일자 02면 10단

2. 3. 광복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활동 (1945년 ~ 사망)

이찬은 광복 후 서울에서 조선문학가동맹에 참가한 것 외에는 주로 함경남도 북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1] 함경남도 혜산군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함남인민일보사 편집국장을 역임했고, 북조선문학예술동맹 서기장을 맡았다.[1] 이 시기 《화원》(1946), 《승리의 기록》(1947), 《쏘련시초》(1947) 등의 시집을 간행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과 관련된 정치적 경향의 시를 창작했다.[1]

1946년에는 〈김일성장군의 노래〉를 작사하여 수령형상창조 문학의 정수로 평가받으며 혁명시인으로 불렸다.[1] 이후 조소문화협회 부위원장, 문화선전성 군중문화국장,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했다.[1] 다부작 영화 《민족과 운명》 카프 작가편에서 그의 생애가 조명되기도 했다.[1] 그의 유해는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1]

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4. 작품 목록

4. 1. 시집

4. 2. 주요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韓国文学者の日本留学一覧表 http://hatano.world.[...] 波田野節子 2016-10-28
[2] 간행물 친일문학 작품목록 http://www.artnstudy[...] 2016-10-25
[3] 뉴스 이찬(李燦), 송∙출진학도(送∙出陣學徒) http://gonews.kinds.[...] 매일신보(每日申報) 1944-01-19
[4] 웹사이트 親日派群像 > 豫想登場人物 親日派 群像(上) > 二. 自進協力者와 威脅에 依한 被動協力者⑤ > 3. 言論界, 文人界, 演藝界 關係 人物② > 李燦(시인)
[5] 저널 친일문학 작품목록 https://web.archive.[...] 2007-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