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렬사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애국렬사릉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혁명렬사를 위한 묘역으로, 1986년에 개관했다. 이곳에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고위급 정치인, 한국 전쟁 당시 납북된 인사, 비전향 장기수 등 다양한 인물들이 안장되어 있다. 묘역 입구에는 애국렬사들의 위훈을 기리는 문구가 새겨져 있으며, 묘비에는 망자의 사진이 부착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묘지 - 대성산혁명렬사릉
대성산혁명렬사릉은 북한 평양 대성산 기슭에 있는 묘역으로, 항일 투쟁과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약 160명의 혁명가, 군인, 정치가 등의 묘소가 안장되어 있으며, 김정숙 묘를 중심으로 김일성 일가와 혁명 1세대 인물들의 묘가 있고 북한 체제 선전과 우상화에 활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묘지 -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윈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원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중국인민지원군 전사자들을 안장하고, 전쟁의 희생을 기리며 평화와 화해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묘역이다. - 묘지 - 몽마르트르 묘지
몽마르트르 묘지는 파리 18구 몽마르트르 언덕 서쪽에 위치한 묘지로, 유명 예술가들의 안식처이자 파리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관광지이지만, 방문객 집중 현상과 상업적 이용 논란 등의 사회적 이슈도 존재한다. - 묘지 - 대성산혁명렬사릉
대성산혁명렬사릉은 북한 평양 대성산 기슭에 있는 묘역으로, 항일 투쟁과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약 160명의 혁명가, 군인, 정치가 등의 묘소가 안장되어 있으며, 김정숙 묘를 중심으로 김일성 일가와 혁명 1세대 인물들의 묘가 있고 북한 체제 선전과 우상화에 활용된다.
애국렬사릉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애국렬사릉 |
한자 표기 | 愛國烈士陵 |
로마자 표기 | Aeguk Yeolsa Neung |
영문명 | Patriotic Martyrs' Cemetery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형제산구역 신미동 |
설립일 | 1986년 9월 17일 |
설명 | |
개요 | 북한의 평양에 있는 묘지이다. |
참고 | 신미리에 위치한다. |
관련 정보 | |
웹사이트 | The Pyongyang Times |
2. 역사
1986년에 개관하였다. 2007년 중앙일보 확인 당시, 이곳에 안치된 사람은 662명이었다.[14] 이후 애국렬사, 고위급 정치인, 한국 전쟁 때 남한에 억류되었으나 전향을 거부한 비전향 장기수 등의 시신을 매장 또는 안치하여 규모가 확장되었다.
애국렬사릉 입구에 설치된 대형 동판에는 다음과 같은 문장이 적혀 있다.[3]
3. 구성
조국의 해방과 사회주의건설, 나라의 통일위업을 위하여 투쟁하다가 희생된 애국렬사들의 위훈은 조국청사에 길이 빛날 것이다.
각 묘에는 묘비가 세워져 있고, 묘비에 망자의 돌사진이 새겨져 있다. 이 돌사진은 1998년에 김정일의 직접 지시로 추가되었다.[3] 애국렬사릉은 조선로동당 당원이나 조선인민군 군인의 전사자나 순직자, 그리고 북한 정부 관료 등 국가에 공로가 있는 사람들이 안장되어 있다.[3] 2008년에는 북한 국내 10곳에 새롭게 애국렬사릉을 건설했다.[3]
조선로동당 고급 간부급 정치가나 조선인민군 장관급 군인, 북한 정부 각료급 국가 공로자는 평양시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안장된다.[3]
4. 안장된 인물
애국렬사릉에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고위 정치인 및 관료, 문화예술인, 과학자, 군인, 남한 출신 좌익 인사, 비전향 장기수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안장되어 있다.
대성산혁명렬사릉에는 주로 항일 유격대원들이 묻혀 있는 반면, 애국렬사릉에는 김일성과 노선이 달랐던 독립운동가나 한국 전쟁 때 납북된 인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한 인물 등 다양한 부류의 인물들이 안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다가 한국 전쟁 때 납북된 김규식, 최동오, 조소앙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고위 정치인으로는 홍명희, 허정숙 등이 있다. 문예인으로는 무용가 최승희, 작곡가 리면상 등이, 학자로는 경제학자 김광진, 국어학자 이극로 등이 묻혀 있다.
대한민국에서 사망한 김삼룡, 김달삼, 최일천, 조봉암, 김종태, 최영도, 최백근, 이현상 등은 가묘 형태로 묘소가 마련되어 있다. 연안파 출신 군인 김무정과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총책임자인 김동원, 비전향 장기수 리인모 등도 이곳에 안장되어 있다. 최용건은 원래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안장되어야 하지만 김일성의 마음에 들지 않아 애국렬사릉에 묻혔다.[4]
4. 1. 항일 독립운동가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들로는 주로 당시에는 김일성과 노선이 달랐으나 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거나 한국 전쟁 때 납치된 인물들이 묻혀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가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치된 김규식, 최동오, 조소앙, 조완구, 윤기섭, 엄항섭 등의 묘소가 있다.[6][9]
이름 | 한자 | 생몰년 | 비고 |
---|---|---|---|
조기천 | 趙基天 | 1913–1951 | 시인[2] |
조소앙 | 趙素昻 | 1887–1958 | 독립운동가 |
조완구 | 趙琬九 | 1881–1952 | 독립운동가 |
최동오 | 1889–1963 | 독립운동가 | |
김규식(Kim Kyu-sik) | 金奎植 | 1881–1950 | 독립운동가 |
엄항섭 | 嚴恒燮 | 1898–1962 | 독립운동가 |
이현상 | 李鉉相 | 1905–1953 | 독립운동가, 정치인 |
리극로 | 李克魯 | 1893–1982 | 독립운동가 |
유동열 | 柳東說 | 1879–1950 | 독립운동가 |
윤기섭 | 1887–1959 | 독립운동가 |
4. 2. 고위 정치인 및 관료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다가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치된 김규식, 최동오, 조소앙, 조완구, 윤기섭 등이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들로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어 있다.[5]홍명희, 허정숙, 강량욱, 백남운, 연형묵, 변호사 허헌 등은 고위급 정치인 출신으로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어 있다.
4. 3. 문화예술인
문예인으로는 무용가 최승희, 작곡가 리면상, 소설가 이기영과 한설야, 시인 조기천과 이찬 등이 묻혀있다.[2],[4]4. 4. 과학자
계응상(계응상/; 1893–1967), 도상록 등이 묻혀 있다.[5]4. 5. 군인
조선인민군 군인으로는 연안파의 김무정,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총책임자인 김동원 등의 묘소가 있다. 리인모를 비롯하여 비전향 장기수들도 사망하면 이곳에 묻히고 있다. 최용건은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안장되는 것이 원칙이나, 김일성의 마음에 들지 않아 이곳에 묻혔다.[4]- 현철해 (1934~2022), 군인[4]
- 김창섭(Kim Chang-sop) (1946~2020), 장군[5]
- 김영춘(Kim Yong Chun) (1936~2018), 정치인이자 장군[4]
- 무정 (1904~1951), 장군[4]
- 박인용, 전 조선인민군 장군.[3]
4. 6. 남한 출신 좌익 인사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들로는 주로 당시 김일성과 노선이 달랐으나 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거나 한국 전쟁 때 납치된 인물들이 묻혀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가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치된 김규식, 최동오, 조소앙, 조완구, 윤기섭, 엄항섭, 이준(가묘), 이용(이준의 아들), 유동렬 등의 묘소가 있다.고위급 정치인 출신으로는 홍명희, 허정숙, 강량욱, 백남운, 연형묵과 변호사 허헌 등이 있다. 문예인으로는 무용가 최승희, 작곡가 리면상, 소설가 이기영과 한설야, 시인 조기천과 이찬, 학자로는 경제학자 김광진과 국어학자 이극로, 과학자 계응상, 도상록, 배우 황철 등이 묻혀 있다.
한글학자 리만규, 리극로, 여운형의 딸이자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을 지낸 려연구 등도 이곳에 안치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사망한 김삼룡, 김달삼, 최일천, 조봉암, 김종태, 최영도, 최백근, 이현상 등은 가묘 형태로 묘소가 마련되어 있다. 군인으로는 연안파의 김무정과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총책임자인 김동원 등의 묘소가 있고, 리인모를 비롯하여 비전향 장기수들도 사망하면 이곳에 묻히고 있다. 최용건의 경우는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안장되는 게 원칙인 인물이지만 김일성의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곳에 묻혔다.
4. 7. 비전향 장기수
리인모를 비롯한 비전향 장기수들이 사망하면 이 곳에 묻힌다.[1]4. 8. 기타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들로는 주로 당시에는 김일성과 노선이 달랐으나 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지지하거나 한국 전쟁 때 납치된 인물들이 묻혀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가 한국 전쟁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납치된 김규식, 최동오, 조소앙, 조완구, 윤기섭, 엄항섭, 이준(가묘), 이용(이준의 아들), 유동렬 등의 묘소가 있다.고위급 정치인 출신으로는 홍명희, 허정숙, 강량욱, 백남운, 연형묵과 변호사 허헌 등이 있다. 문예인으로는 무용가 최승희, 작곡가 리면상, 소설가 이기영과 한설야, 시인 조기천과 이찬, 학자로는 경제학자 김광진과 국어학자 이극로, 과학자 계응상, 도상록, 배우 황철 등이 묻혀 있다.
한글학자 리만규, 리극로, 여운형의 딸이자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을 지낸 려연구 등도 이곳에 안치되었다.
대한민국에서 사망한 김삼룡, 김달삼, 최일천, 조봉암, 김종태, 최영도, 최백근, 이현상 등은 가묘 형태로 묘소가 마련되어 있다. 군인으로는 연안파의 김무정과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총책임자인 김동원 등의 묘소가 있고, 리인모를 비롯하여 비전향 장기수들도 사망하면 이곳에 묻히고 있다. 최용건의 경우는 대성산혁명렬사릉에 안장되는 게 원칙인 인물이 오직 김일성의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곳에 묻혔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1-03-18
[2]
웹사이트
북한의 열사릉, 그 상징과 폭력: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
http://www.prometheu[...]
2013-08-13
[3]
웹사이트
Remains of martyrs buried in Patriotic Martyrs Cemetery in Sinmi-ri
http://www.pyongyang[...]
2021-09-19
[4]
웹사이트
북한의 열사릉, 그 상징과 폭력: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
https://web.archive.[...]
Prometheus
2006-08-13
[5]
웹사이트
Remains of martyrs buried in Patriotic Martyrs Cemetery in Sinmi-ri
http://www.pyongyang[...]
2021-03-18
[6]
웹사이트
北朝鮮、空手家・中村日出夫氏の遺骨を愛国烈士陵に安置
https://dailynk.jp/a[...]
2023-07-14
[7]
웹사이트
Composer Kim Ok Song
http://www.naenara.c[...]
2013-03-23
[8]
웹사이트
작곡가 김옥성
http://www.naenara.c[...]
2013-03-14
[9]
웹사이트
北, 희극작가 김세륜 등 11명 애국열사릉 안치
https://www.yna.co.k[...]
2014-09-05
[10]
웹사이트
The Six Most Famous North Korean Women Today
https://koryogroup.c[...]
2019-12-03
[11]
웹사이트
이승기
https://terms.naver.[...]
2021-01-03
[12]
text
[13]
웹사이트
신미리
https://encykorea.ak[...]
2023-09-23
[14]
뉴스
한국 언론이 처음 가 본 북한 `열사릉`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