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의 항복문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항복 문서는 1945년 9월 2일 도쿄 만의 미 해군 전함 미주리 호에서 조인된 문서로, 제2차 세계 대전을 공식적으로 종결시켰다. 이 문서는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고, 천황 및 일본 정부의 권한을 연합군 최고사령관의 통제 아래 두며, 포츠담 선언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약속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조인식에는 일본 외무대신 시게미쓰 마모루와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를 비롯한 여러 연합국 대표들이 서명했다. 항복 문서의 사본은 미국 국립 문서 기록 보관소와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 문서 조인 이후 일본은 연합군의 군정 아래 놓이게 되었고, 이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 등을 통해 주권을 회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본의 항복문서
조약 정보
이름일본의 항복 문서
원어 명칭일본어: 日本の降伏文書 (Nihon no kōfuku bunsho)
시게미쓰 마모루가 항복 문서에 서명하는 모습. 오른쪽에는 가세 도시카즈가 있다.
서명하는 시게미쓰 마모루, 오른쪽은 가세 도시카즈
유형항복
서명일1945년 9월 2일
서명 장소도쿄 만
북위 35도 21분 17초 동경 139도 45분 36초
미국 전함 미주리 갑판 위
효력 발생일1945년 9월 2일 (서명과 동시에)
관련 문서포츠담 선언
위키 소스일본의 항복 문서
국회 도서관 컬렉션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관련 틀틀:제2차 세계 대전, 틀:일본의 항복
기안자(루그랜드 A. 딜러)
서명국일본
연합국
당사국








비준국일본 정부
연합국 정부
언어영어
내용일본의 항복
포츠담 선언의 수락
설명일본국의 연합국에 대한 항복 조건
서명 대표
일본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
미국체스터 니미츠 (미국 해군 원수)
중화민국쉬융창 (중화민국 육군 상장)
영국브루스 프레이저 (영국 해군 원수)
소련쿠즈마 데레비얀코 (소련 육군 중장)
오스트레일리아토머스 블레이미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원수)
캐나다무어 코스그로브 (캐나다 육군 대령)
프랑스자크 르클레르크 (프랑스 육군 원수)
네덜란드콘라트 헬프리히 (네덜란드 해군 중장)
뉴질랜드레오나르드 이시트 (뉴질랜드 공군 대령)

2. 항복 문서 조인식의 배경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참모진은 르그랑 A. 딜러 대령의 지휘 아래 항복 문서 초안을 준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전쟁으로 황폐화된 마닐라의 제한된 자원을 고려할 때 이는 어려운 과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유능한 참모는 수도원 지하실에서 희귀한 양피지를 찾아냈고, 이것은 맥아더의 인쇄업자에게 전달되었다.[2]

3. 항복 문서의 내용

쇼와 천황은 항복 문서 조인에 관한 조서를 발표했다.[36] 일본은 항복문서에서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였고, 일본군과 일본 국민에게 적대 행위 중지를 명령했다. 또한 연합군 포로 및 피억류자를 즉시 석방하도록 했다.

항복 문서에 따라 천황 및 일본 정부의 권한은 연합군 최고사령관의 통제 아래 놓이게 되었으며, 포츠담 선언을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약속했다.

4. 항복 문서 조인식

일본 외무대신 시게미쓰 마모루가 일본 정부를 대표하여 항복 문서에 서명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을 공식적으로 종결시켰다. 테이블 뒤에는 리처드 K. 서덜랜드 장군이 서 있다.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가 연합국(Allied Powers)을 대표하여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일본의 포로였던 웨인라이트 장군과 퍼시벌 장군이 그의 뒤에 서 있다.


1945년 9월 2일, 도쿄 만의 미국 전함 미주리함 갑판에서 23분간 항복 문서 조인식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전 세계에 방송되었다.[33] 일본 측에서는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이 일본 천황과 일본 정부를 대표하여,[3] 우메즈 요시지로 참모총장이 일본 제국 대본영을 대표하여 서명했다.[3][4]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는 4개 연합국(미국, 영국, 소련, 중국)을 대표함과 동시에, 일본과 전쟁 상태에 있던 다른 연합국을 대표하여 서명했다.[31] 맥아더는 매슈 페리가 미일 화친 조약 조인 시 기함 포우하탄호를 정박시켰던 것과 같은 위치에 미주리함을 정박시켰다.[33] 조인식은 오전 9시에 시작되었으며, 먼저 맥아더가 포탑 앞에서 연설을 했다[32]

연합국 측에서는 다음 대표자들이 서명했다.

  • 미국 대표: 체스터 W. 니미츠 해군 원수[3][7]
  • 중화민국 대표: 쉬융창 상장[3][8]
  • 영국 대표: 브루스 프레이저 해군 대장[3][9]
  • 소련 대표: 쿠즈마 데레비얀코 소련군 중장[3][10][11]
  • 오스트레일리아 대표: 토머스 블레이미 육군 대장[3][12]
  • 캐나다 대표: 로렌스 무어 코스그레이브 육군 대령[3][13]
  • 프랑스 대표: 필리프 르클레르 육군 대장[3][14]
  • 네덜란드 대표: 콘라트 헬프리히 해군 중장[3][15]
  • 뉴질랜드 대표: 레너드 M. 이시트 공군 중장[3][16]


항복 문서는 2통이 작성되었는데, 그중 1통(외교사료관 소장)은 캐나다 대표가 서명할 곳을 잘못 적어, 이후 대표들은 서명란을 한 줄씩 밀려서 서명했고, 조인식 종료 후에 국명이 정정되었다.[31]

4. 1. 조인식 준비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참모진은 르그랑 A. 딜러 대령의 지휘하에 항복 문서 초안을 준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전쟁으로 황폐화된 마닐라의 제한된 자원을 고려할 때 이는 어려운 과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유능한 참모는 수도원 지하실에서 희귀한 양피지를 찾아냈고, 이것은 맥아더의 인쇄업자에게 전달되었다.[2] 항복 문서에 사용된 종이는 내구성이 높은 백석 화지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1943년에 궁내성에 중요 기록 용지로 납품된 것이다.[37]

4. 2. 조인식 진행

1945년 9월 2일, 도쿄 만의 미국 전함 미주리함 갑판에서 23분간 항복 문서 조인식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전 세계에 방송되었다.[33] 일본 측에서는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이 일본 천황과 일본 정부를 대표하여,[3] 우메즈 요시지로 참모총장이 일본 제국 대본영을 대표하여 서명했다.[3][4]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는 4개 연합국(미국, 영국, 소련, 중국)을 대표함과 동시에, 일본과 전쟁 상태에 있던 다른 연합국을 대표하여 서명했다.[31] 맥아더는 매슈 페리가 미일 화친 조약 조인 시 기함 포우하탄호를 정박시켰던 것과 같은 위치에 미주리함을 정박시켰다.[33] 조인식은 오전 9시에 시작되었으며, 먼저 맥아더가 포탑 앞에서 연설을 했다[32]

연합국 측에서는 다음 대표자들이 서명했다.

  • 미국 대표: 체스터 W. 니미츠 해군 원수[3][7]
  • 중화민국 대표: 쉬융창 상장[3][8]
  • 영국 대표: 브루스 프레이저 해군 대장[3][9]
  • 소련 대표: 쿠즈마 데레비얀코 소련군 중장[3][10][11]
  • 오스트레일리아 대표: 토머스 블레이미 육군 대장[3][12]
  • 캐나다 대표: 로렌스 무어 코스그레이브 육군 대령[3][13]
  • 프랑스 대표: 필리프 르클레르 육군 대장[3][14]
  • 네덜란드 대표: 콘라트 헬프리히 해군 중장[3][15]
  • 뉴질랜드 대표: 레너드 M. 이시트 공군 중장[3][16]


항복 문서는 2통이 작성되었는데, 그중 1통(외교사료관 소장)은 캐나다 대표가 서명할 곳을 잘못 적어, 이후 대표들은 서명란을 한 줄씩 밀려서 서명했고, 조인식 종료 후에 국명이 정정되었다.[31]

4. 3. 조인식 참석자

5. 항복 문서의 상징적 의미

페리 제독의 깃발은 메릴랜드주 애나폴리스에서 도쿄로 운송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는 항복식에 전시되었다.


항복 문서 서명식 당시 미주리함에는 두 개의 성조기가 게양되었다.[20] 하나는 일반적인 군용 깃발이었고,[20] 다른 하나는 1853년 매튜 페리 제독이 페리 원정 당시 일본 개항을 위해 도쿄 만에 진입했을 때 사용했던 깃발이었다.[20][21]

페리 제독의 깃발은 미국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서 유리 케이스에 담겨 미주리함으로 운송되었으며,[20] 항복 갑판에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전시되었다.[20] 이 깃발은 낡은 천을 보호하기 위해 뒷면이 보이도록 전시되었는데, 이는 별이 오른쪽 상단에 위치하여 마치 깃발이 전진하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21]

시게미츠 마모루는 항복식에 두 개의 서로 다른 성조기가 장식된 것을 알아차렸다고 한다. 현재 페리 제독의 깃발 원본은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복제품은 진주만의 전함 ''미주리'' 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다.[21]

6. 항복 문서의 보관

연합군의 항복 문서 사본은 미국 국립 문서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23] 일본 측 사본은 외무성 외교사료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서명 70주년을 기념하여 2015년에 마지막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24] 사료관의 갤러리와 에도-도쿄 박물관에서 일본 측 사본의 복사본을 볼 수 있다.[24]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원래 항복 문서의 실물 크기 복사본 11부를 제작했으나, 서명 당시 참석한 연합국에 배포하기 위해 이후 이 수를 늘렸다. 필리핀 대표 레그랜드 A. 딜러 대령과 바실리오 발데스 소장에게 주어진 복사본 2부는 현재 매사추세츠주 내틱에 있는 제2차 세계 대전 국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25]

증인 자격으로 필리핀을 대표해 항복했던 미국 장군 조나단 M. 웨인라이트와 싱가포르 전투에서 항복했던 영국 중장 아서 퍼시벌은 맥아더 장군이 문서에 서명할 때 사용한 6개의 펜 중 2개를 받았다. 다른 펜은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나머지 하나는 맥아더의 보좌관에게 전달되었다. 맥아더가 사용한 펜은 마지막 펜을 제외하고 모두 검은색이었으며, 마지막 펜은 밝은 빨간색으로 그의 부인에게 전달되었다.[26] 항복 문서 복사본과 함께 그 펜의 복제품이 미주리함 기념관의 서명 장소를 표시하는 명판 옆 케이스에 보관되어 있다.

중화민국 국립역사박물관에는 재인쇄본이 있으며, 2016년에는 항복 문서가 (다른 7개의 역사적 문서와 함께) 중화민국 문화부에 의해 "국보"로 지정되었다.[27][28][29] 두 통이 작성된 항복 문서 중 연합국 측의 한 통은 미국의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에 보관되어 있으며[31], 다른 한 통은 일본 측 문서로 외무성 외교사료관에서 소장하고 있다[31] . 원본은 중요한 시기에 일반 공개되며, 일본 측 소장 원본이 최근 공개된 것은 종전 70주년이 되는 2015년 8월 31일부터 9월 12일까지였다. 장소는 외교사료관의 전시실에서 일반 명령 제1호와 함께 특별 전시되었다[35] . 평소에는 일본 측 소장 문서의 복제본(완전 등본)이 전시되어 있다[31] .

7. 항복 문서와 관련된 논란 및 수정



일본 측 항복 문서와 연합국 측 항복 문서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었다.

로렌스 무어 코스그레이브 대령(캐나다)은 일본 측 문서에서 자신의 줄 위에 서명하는 대신 아래에 서명하여 그 이후 모든 사람이 의도한 줄 아래에 서명해야 했다. 이는 코스그레이브가 제1차 세계 대전 부상으로 한쪽 눈이 실명된 데 기인했다.[22] 이러한 불일치가 서덜랜드 장군에게 지적되었을 때 그는 연합국 국가의 미리 인쇄된 이름 제목을 지우고 올바른 상대적 위치에 제목을 손으로 다시 썼다. 일본은 처음에 이러한 변경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지만 서덜랜드가 각 변경 사항에 이니셜(약식 서명)을 기입하자 더 이상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다.[22]

8. 항복 문서 조인 이후

항복 문서 조인 이후, 일본은 연합군의 군정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일본 점령 기간 동안 연합군은 일본의 군사력을 해체하고 민주적인 정부를 수립하는 데 힘썼다. 그러나 일부 잔류 일본군은 항복을 거부하고 저항을 계속하기도 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일본은 주권을 회복했지만, 이 조약에는 대한민국이 참여하지 못해 독도 문제 등 여러 현안이 미해결 상태로 남게 되었다. 이후 중화민국-일본 평화 조약(1952년), 소일 공동 선언(1956년) 등이 체결되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통해 국교를 정상화했지만, 과거사 문제는 여전히 양국 관계의 걸림돌로 남아있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강제 징용 문제, 독도 문제 등은 한국인의 대일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일본의 진정한 사과와 과거사 반성을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지만, 일본 정부는 이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9.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9. 1.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9. 2. 한일 관계에 미친 영향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Video Transcript of Japan Signs Final Surrender – 1945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3] 웹사이트 Memories on Board Battleship https://archive.seat[...] 1998-05-21
[4] 웹사이트 http://cas.awm.gov.a[...]
[5] 웹사이트 USS ''Missouri'' BB-63; Japanese Surrender Sept. 2, 1945; p. 3: The Japanese delegation aboard the USS ''Missouri'' BB-63 (second photo on this webpage) http://www.maritimeq[...]
[6] 서적 Japanese Instrument of Surrender
[7] 웹사이트 http://cas.awm.gov.a[...]
[8] 웹사이트 http://cas.awm.gov.a[...]
[9] 웹사이트 http://cas.awm.gov.a[...]
[10] 웹사이트 http://cas.awm.gov.a[...]
[11] 문서
[12] 웹사이트 http://cas.awm.gov.a[...]
[13] 웹사이트 http://cas.awm.gov.a[...]
[14] 웹사이트 http://cas.awm.gov.a[...]
[15] 웹사이트 http://cas.awm.gov.a[...]
[16] 웹사이트 http://cas.awm.gov.a[...]
[17] 웹사이트 The Australian Military Contribution to the Occupation of Japan, 1945–1952 http://www.awm.gov.a[...] Australian War Museum 2012-08-12
[18] 웹사이트 Surrender of Japan (1945)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2021-09-28
[19] 웹사이트 Japanese Instrument of Surrender, 1945 https://www.archives[...] 2021-09-02
[20] 웹사이트 Reminiscences of the Surrender of Japan and the End of World War II https://ussmissouri.[...] USS Missouri Memorial Association 2018-02-07
[21] 뉴스 Hawaii's Back Yard: Mighty Mo memorial re-creates a powerful history http://starbulletin.[...] 2007-08-26
[22] 뉴스 Making a mess of history http://www.cbc.ca/ne[...] 2006-04-27
[23] 웹사이트 On Display: The Japanese Instrument of Surrender https://prologue.blo[...] US National Archives 2015-08-27
[24] 웹사이트 外交史料 Q&A https://www.mofa.go.[...] 2021-05-01
[25] 웹사이트 Rare WWII surrender documents on display in Natick https://www.metrowes[...] Daily News Staff 2020-04-27
[26] 웹사이트 Mightier Than the Sword: The Parker Pens That Ended World War II https://www.national[...] 2020-05-07
[27] 웹사이트 日本國向同盟國投降書(1945年9月2日) – 國史館【Academia Historica】 https://www.drnh.gov[...] 2024-05-01
[28] 웹사이트 國史館典藏28件經文化部公告指定為國寶及重要古物 https://www.drnh.gov[...]
[29] 웹사이트 Ma's exit heralds the end of KMT princelings https://www.taipeiti[...] 2016-05-24
[30] 서적 東京裁判 日本の弁明 「却下未提出弁護側資料」抜粋 講談社学術文庫 1995-08
[31] 웹사이트 外交史料 Q&A 昭和戦後期 https://www.mofa.go.[...] 外務省 2018-06-01
[32] 서적 マッカーサー 中公新書 2009
[33] 웹사이트 国際放送の80年 1946-1951 http://www3.nhk.or.j[...] NHKワールド 2018-06-01
[34] 문서
[35] 웹사이트 戦後70年企画「降伏文書」「指令第一号」原本特別展示降伏と占領開始を告げる二つの文書 https://www.mofa.go.[...] 外務省外交史料館 2015-08-31
[36] 간행물 『官報』号外、昭和20年9月2日、p.1 https://dl.ndl.go.jp[...]
[37] 서적 紙の手技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