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산어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산어보는 정약전흑산도 근해의 해양 생물을 연구하여 기록한 책이다. 어류, 무린류, 개류, 잡류로 분류하여 총 155종(또는 226종)의 생물에 대한 이름, 모양, 습성, 맛, 쓰임새 등을 상세히 기록했다. 흑산도 주민 장덕순의 도움을 받아 자료를 수집했으며, 《본초강목》보다 진보한 분류 체계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책의 제목을 '현산어보'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과 반박이 있으며, 이 내용을 바탕으로 2021년 영화 《자산어보》가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생 생물 - 저서생물
    저서생물은 물 밑바닥이나 표면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통칭하며, 수생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여러 요인으로 위협받고 있다.
  • 수생 생물 - 강도래목
    강도래목은 땋은 날개를 가진 곤충으로, 씹는 턱과 긴 더듬이 등을 가지며 유충은 수생 생활을 하고 수질 오염에 민감하여 환경 지표종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생물학 책 - 자연의 체계
    칼 린네가 1735년에 처음 출판한 《자연의 체계》는 동물, 식물, 광물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자연 분류 체계를 담은 저서로, 1758년 10판부터 동물 분류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나, 인종 분류에서 식민주의적 편견에 대한 비판도 받는다.
  • 생물학 책 - 마이크로그라피아
    로버트 훅의 마이크로그라피아는 현미경으로 관찰한 대상들의 정밀한 기록과 구리판화를 통해 미세 세계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며, 과학적 관심사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 책이다.
자산어보
기본 정보
한글자산어보 (현산어보)
한자玆山魚譜
로마자 표기Jasan eobo (Hyeonsan eobo)

2. 내용

정약전흑산도 근해의 어류와 수중 생물 155종(또는 226종)의 이름, 형태, 크기, 습성, 맛, 이용, 분포 등을 자세히 기록했다.[2] 수록된 생물 중에는 무엇을 말하는지 확실하지 않은 것도 있으며, 무린류 중에서는 인어가 나오기도 한다.[1]

청어와 고등어의 회유 및 분포에 관한 기록은 현대의 연구 자료와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5]

정약전은 생물학자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헌에만 의존하지 않고 실제로 보고 들은 것을 토대로 내용을 충실히 기록하려고 노력했다.[1]

2. 1. 분류 체계

정약전은 흑산도 근해의 수산생물을 크게 4가지로 분류했다.

  • '''인류(鱗類)''': 비늘이 있는 어류
  • '''무린류(無鱗類)''': 비늘이 없는 어류
  • '''개류(介類)''': 딱딱한 껍질을 가진 생물
  • '''잡류(雜類)''': 어류가 아니지만 물에 사는 생물 (해충(海蟲), 해금(海禽), 해수(海獸), 해초(海草))[12]


잡류는 다시 해충(바다 벌레), 해금(바닷새), 해수(바다 짐승), 해초(바다 풀)로 나뉜다.[12]

이러한 분류 방식은 당시 동양 최고의 박물지였던 이시진의 《본초강목》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생물군을 발굴하고 더 세분화했다는 점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12]

정약전은 린류, 무린류, 개류 아래에 하위 분류를 설정하고, 여기에 근연종을 '종'으로 분류하여 총 55항목, 226종을 다루었다. 예를 들어, "상어" 항목에서는 20종을 다루고 있다.[1]

분류 구성과 내용[13]
구별류(類)종(種)
1린류(비늘 있는 어류)2072
2무린류(비늘 없는 어류)1943
개류(껍데기가 있는 것)1266
3잡류(雜類)해충(바다벌레)14
해금(바다새)15
해수(바다짐승)11
해초(바다 풀)135
55226



정약전의 분류법은 오늘날의 과학적 분류법과 비교하면 유치하고 비과학적이지만, 당시에는 서구 선진국에서도 근대 과학적 동식물 분류법이 확립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1]

2. 2. 상세 정보

정약전흑산도 근해의 어류와 수중 식물을 조사하여 각 생물의 이름, 모양, 크기, 습성, 맛, 쓰임새, 분포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담았다.[2] 청어와 고등어의 회유 및 분포에 관한 기록은 현대의 연구 자료와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5] 일부 생물의 경우, 정보가 불확실하거나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부정확한 내용(예: 인어)도 존재한다.[1]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본은 없고 필사본만 남아 있다.[3] 흑산도 근해의 생물을 린류(비늘이 있는), 무린류(비늘이 없는), 개류(딱딱한 껍질을 가진), 잡류(물고기가 아니지만 물에 사는 생물)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잡류는 다시 해충, 해금(바닷새), 해수(바다 짐승), 해초로 나뉜다.[2]

분류 구성과 내용[13]
구별류(類)종(種)
1린류2072
2무린류1943
개류1266
3잡류해충14
해금15
해수11
해초135
55226



이러한 분류 방식은 당시 동양 최고의 박물지인 이시진의 《본초강목》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생물군을 찾아내고 좀 더 구체적으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4]

2. 3. 표 (분류 구성과 내용)

분류 구성과 내용[13]
구별류(類)종(種)
1(鱗, 비늘 있는 어류)2072
2무린(無鱗, 비늘 없는 어류)1943
개류(介類, 껍데기가 있는 것)1266
3잡류(雜類)해충(海蟲, 바다벌레)14
해금(海禽, 바다새)15
해수(海獸, 바다짐승)11
해초(海草)135
55226



정약전흑산도 근해의 어류와 수중 식물을 인류(비늘 있음), 무린류(비늘 없음), 개류(딱딱한 껍질을 가짐), 잡류(물고기가 아니지만 물에 사는 생물)로 분류했다.[12] 잡류는 다시 해충(바다 벌레), 해금(바다 새), 해수(바다 짐승), 해초(바다 풀)로 나뉜다.[12]

이러한 분류 방식은 당시 동양 최고의 박물지인 이시진의 《본초강목》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생물군을 찾아내고 좀 더 구체적으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2]

린, 무린, 개의 3류에는 하위 분류로 '류'가 설정되어 있으며, 린류 20항목, 무린류 19항목, 개류 12항목, 잡류 4항목, 총 55항목이 있다. 각 '류'에는 근연종을 '종'으로 분류했다. 예를 들어, "상어" 항목에서는 20종을 다루고 있다.[1]

정약전의 분류법은 오늘날의 과학적 분류법과 비교하면 유치하고 비과학적이지만, 당시에는 서구 선진국에서도 근대 과학적 동식물 분류법이 확립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1]

3. 청안

자산어보에는 '청안'(𤲟案)이라는 말이 자주 나오는데, 이는 '청안'이라는 단어 뒤에 나오는 내용은 정약용의 제자인 이청(또는 이충익)이 내용을 보충하였다는 의미이다.[3] 그런데 이것이 이청이 스스로 후대에 보충하여 쓴 것인지 아니면 정약전이 정약용의 제자인 이청으로부터 내용을 전해 받은 다음 쓴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4. 편찬 과정

정약전은 흑산도 주민들을 찾아다니며 자료를 수집했으나, 말이 잘 통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책을 가까이했던 주민 장덕순(창대)은 정약전과 말이 통했을 뿐만 아니라, 침착하고 정밀한 관찰력을 지니고 있었다. 정약전은 장덕순이 평소에도 초목, 조류, 어류의 성질과 특징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깊이 생각하여 터득하고 있다는 것에 놀라 장덕순에게 도움을 요청했다.[1]

이러한 일화를 바탕으로 영화 《자산어보》(2021년 개봉)가 제작되었다(정약전 역: 설경구, 창대 역: 변요한).

5. 독음 논쟁

'자산어보'의 독음 논쟁은 '''자(玆)'''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에 대한 이견에서 비롯되었다. '현산어보'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여러 근거를 통해 '자산어보'가 올바른 독음임이 밝혀졌다.

참조

[1] 웹사이트 자산어보(玆山魚譜)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02-08
[2] 위키소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한국사/근대사회의 태동/문화의 새 기운/실학의 융성#『자산어보』 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한국사/근대사[...]
[3] 웹사이트 자산어보(玆山魚譜) 해제(解題) https://library.kore[...] 고려대학교도서관 2022-02-11
[4] 논문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의 『자산어보』(玆山魚譜)에 담긴 해양 박물학의 성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 위키소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의 사상/조선후기의 사상/조선후기의 과학사상#자산어보 글로벌_세계_대백과사전/동양사상/한국[...]
[6] 서적 다산의 아버님께 보림출판 2009
[7] 서적 현산어보를 찾아서 청어람출판 2002
[8] 문서 玆
[9] 서적 우리 과학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2007
[10] 문서 로해와 탐진에 대한 설명
[11] 문서 흑산도, 소우이도, 대흑산, 홍도에 대한 설명
[12] 논문 정약전의 자산어보에 담긴 해양 박물학의 성격 서울대학교
[13] 웹사이트 자산어보(玆山魚譜) 해제(解題) https://library.kore[...] 고려대학교도서관 2021-04-01
[14] 서적 다산의 아버님께 보림출판 2009
[15] 서적 현산어보를 찾아서 청어람출판 2002
[16] 서적 우리 과학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