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현정은 오호 십육국 시대 전량의 군주로, 장중화의 서자이자 장요령의 동생이다. 355년에 즉위하여 363년 장천석에게 살해당할 때까지 재위했으며, 전량의 군주이자 동진의 서평공으로 활동했다. 재위 기간 동안 여러 권신들의 섭정을 받았으며, 동진의 연호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63년 사망 - 율리아누스
율리아누스는 361년부터 363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기독교를 배척하고 로마 전통 종교를 부흥시키려 하여 '배교자'로도 불리며, 종교 정책과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페르시아 원정 중 사망하여 그의 짧은 통치는 로마 제국의 종교적, 정치적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 350년 출생 - 모용위
모용위는 오호 십육국 시대 전연의 황제이며, 모용준의 아들로 11세에 즉위하여 숙부와 모용평의 섭정을 받았으나 370년 전진의 침공으로 전연이 멸망하고 처형되었다. - 350년 출생 -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로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로는 4세기 후반 안티오키아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로서,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강조하고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을 구분하는 기독론을 주장했으며, 후대에 네스토리우스에게 영향을 미쳤다. - 전량의 군주 - 장무 (전량)
장무는 전량의 통치자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정계에 입문하여 형의 암살 후 양주자사와 서평공이 되어 전량의 독립적인 정권 성립을 이끌었으며, 진나라에 충성을 맹세하거나 전조에 복속하기도 했으나 영토 확장과 백성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려 노력했다. - 전량의 군주 - 장천석
장천석은 오호십육국시대 전량의 마지막 군주로, 권력 투쟁으로 즉위했으나 혼란스러운 통치와 불안정한 외교 정책을 펼치다 전진의 침공으로 멸망하여 동진으로 망명했다.
| 장현정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장현정 (張玄靚) 또는 장현정 (張玄靖) |
| 칭호 | 경도공 (敬悼公, 동진) 충공 (沖公, 전량) |
| 자 | 원안 (元安, Yuánān) |
| 통치 정보 | |
| 작위 | 전량의 군주 서평공 (西平公) |
| 재위 기간 | 355년–363년 |
| 이전 통치자 | 장좌 |
| 후임 통치자 | 장천석 |
| 섭정 | 장관 (355년–359년) 송혼 (359년–361년) 송징 (361년) 장옹 (361년) 장천석 (361년–363년) |
| 연호 | 건흥 (建興, Jiànxīng): 355년–361년 승평 (升平, Shēngpíng): 361년–363년 |
| 시호 | 경도공 (敬悼公, Jìngdaò, "공손하고 두려워함") 충 (沖, Chōng, "어린 통치") |
| 묘호 | 없음 |
| 생애 | |
| 출생 | 350년 |
| 사망 | 363년 |
| 아버지 | 장중화 |
| 어머니 | 정보 없음 |
| 배우자 | 정보 없음 |
| 자녀 | 정보 없음 |
| 관직 및 지위 | |
| 초기 작위 (355년) | 대장군, 량주목, 호강교위, 서평공, 가량왕 (大將軍 涼州牧 護羌校尉 西平公) |
| 칭호 (355년–359년) | 량왕 (涼王) |
| 칭호 (359년–361년) | 대장군, 량주목, 호강교위, 서평공 (大將軍 涼州牧 護羌校尉 西平公) |
| 칭호 (361년 이후) | 대도독농우제군사, 호강교위, 량주자사, 서평공 (大都督隴右諸軍事 護羌校尉 涼州刺史 西平公) |
2. 생애
장현정은 전량 환왕 장중화의 서자로, 장요령의 동생이다. 어머니는 곽태비(郭太妃)였을 가능성이 높다. 353년, 아버지 장충화가 사망하고 형 장요령이 즉위했으나, 실제 권력은 장충화의 형 장조에게 있었다.
354년, 장조는 장요령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으며, 동진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때 장조는 장현정을 양무후(凉武侯)에 책봉했다.[4]
355년, 송혼과 장거 등은 폭정을 일삼던 장조를 살해하고 장현정을 서평공(西平公)으로 추대했다.
2. 1. 즉위 과정
354년 장조는 장요령을 죽이고 스스로 즉위했으나, 폭정을 일삼아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4] 355년 7월, 송혼(宋混)과 장거(張琚) 등은 장조를 살해하고 장현정을 서평공(西平公)으로 추대했다.[5] 이들은 장조가 사용하던 연호 화평을 폐지하고 건흥 43년으로 복귀했다.이후 수도 고장(姑臧)에 들어온 장관(張瓘)은 장현정을 양왕(凉王)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섭정으로서 국정을 전횡하였다. 356년 장관은 전진에 복속하여 전량은 전진의 속국이 되었다.[6]
장관은 자신의 권력을 믿고 가혹한 통치를 일삼았다. 359년 6월, 장관은 송혼을 의심하여 죽이려 했으나, 이를 눈치챈 송혼이 먼저 군사를 일으켜 장관을 공격했다. 결국 송혼이 승리하여 장관과 그의 일족은 모두 처형되었고, 송혼이 새로운 섭정이 되었다.
2. 2. 권신들의 섭정
359년, 장관이 송혼에게 살해되고, 송혼이 정권을 잡았다. 송혼은 장현정에게 양왕(凉王) 칭호를 버리고 양주목(凉州牧)을 자칭하게 하였다.[5]361년 송혼이 병사하자 그의 동생 송징이 정권을 잡았으나, 곧 장옹에게 살해되었다. 장옹은 포악한 정치를 펼쳤기 때문에 반정이 일어나 자살하였으며, 장천석이 정권을 잡았다. 장천석은 동진의 연호 승평을 받들어 사용하였다.
2. 3. 최후
363년 장흠(張欽)이 장천석(張天錫)을 죽이려다 실패하자, 장천석은 유숙(劉肅)에게 군대를 이끌고 궁궐로 들어가 13세의 장현정을 암살하게 했다. 장천석은 장현정이 병으로 죽었다고 주장하며 스스로 황위에 올랐다. 장현정은 충공(沖公)이라는 시호를 받았고,[7] 동진 효무제(孝武帝)는 경도공(敬悼公)이라는 시호를 하사하였다.3. 연호
전량은 초기에는 서진의 연호 건흥을 사용했으나, 361년부터 동진의 연호를 따랐다.[1] 361년에 목제의 승평, 362년에서 363년에는 애제의 융화를 사용하였다.[1]
4. 가계
張玄靚|장현정중국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5. 전량 내에서의 평가 및 기타
張玄靚|장현정중국어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들의 섭정을 받으며 실권이 없었다. 장조가 살해된 후, 송혼과 장거 등이 장현정을 서평공(西平公)에 추대하였다.[5] 359년 송혼이 장관을 살해하고 정권을 잡았고,[6] 장현정에게 양왕(凉王) 칭호를 버리고 양주목(凉州牧)을 자칭하게 하였다. 361년 송혼이 병사하자 장옹이 정권을 잡았다가, 장천석에게 살해되었다.
363년, 장천석은 스스로 즉위하기 위해 장현정을 살해하고, 시호를 충공(沖公)이라 하였다.[7] 효무제는 경도공(敬悼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장현정의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자연재해가 발생했다. 357년 5월에는 동원에서 땅이 함몰되어 늪이 되었고, 수십 장에 걸쳐 화재가 발생했다. 같은 해 6월에는 큰 바람과 천둥, 어둠, 궁궐 수해가 발생했다. 359년 6월에도 큰 비와 천둥, 어둠, 평지 및 궁궐 수해가 발생했다.
5. 1. 전량 내에서의 평가
장현정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들의 섭정을 받으며 실권이 없었다. 장조가 살해된 후, 송혼(宋混)과 장거(張琚) 등이 장현정을 서평공(西平公)에 추대하였다.[5] 359년에는 송혼이 장관(張瓘)을 살해하고 정권을 잡았으며,[6] 장현정에게 양왕(凉王) 칭호를 버리고 양주목(凉州牧)을 자칭하게 하였다. 361년 송혼이 병사하자 장옹(張邕)이 정권을 잡았다가, 장천석(張天錫)에게 살해되었다.363년, 장천석은 스스로 즉위하기 위해 장현정을 살해하고, 시호를 충공(沖公)이라 하였다.[7] 효무제는 경도공(敬悼公)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5. 2. 기타
장현정의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자연재해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357년 5월에는 동원에서 땅이 함몰되어 늪이 되었고, 수십 장에 걸쳐 화재가 발생했다. 같은 해 6월에는 큰 바람과 천둥, 어둠, 궁궐 수해가 발생했다. 359년 6월에도 큰 비와 천둥, 어둠, 평지 및 궁궐 수해가 발생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장현정의 비극적인 죽음을 통해 권력 암투의 폐해를 지적하고, 어린 군주가 권력 다툼의 희생양이 된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한다.참조
[1]
서적
Shiliuguo Chunqiu
[2]
서적
十六国春秋
[3]
서적
十六国春秋
[4]
서적
晋書
[5]
서적
晋書
[6]
서적
晋書
[7]
서적
十六国春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