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천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천석은 전량의 군주로, 346년에 태어나 376년 전량 멸망 시기까지 통치했다. 장준의 아들이자 장조의 동생이었던 그는, 조카 장현정을 보좌하며 섭정을 시작했으나 장옹을 제거하고 스스로 권력을 장악했다. 이후 동진과의 관계를 강화했으나, 측근 정치와 전진과의 갈등으로 국정이 혼란해졌고, 결국 전진의 침공으로 전량은 멸망했다. 장천석은 전진에 항복했다가 동진으로 망명하여 산기상시를 지냈으며, 문학적 재능을 인정받았으나 정신 질환으로 인해 중요한 직책을 맡지 못했다. 398년에 사망하여 도공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웨이시 출신 - 가후
가후는 후한 말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전략가로, 여러 군주를 섬기며 뛰어난 책략과 통찰력으로 활약하여 위나라 건국에 공헌했고 사후 숙후에 추증되었다. - 우웨이시 출신 - 장조 (전량)
장조는 전량의 인물로, 동생 장중화 사후 권력을 장악하여 왕을 자칭하고 폭정을 일삼다가 장관의 반란으로 살해당했다. - 동진의 관료 - 서광 (동진)
서광은 동진 시대의 관료이자 사학자로서, 《진기》 편찬, 차복의주 제정 참여, 유유의 유송 건국 지지, 유교적 가치관에 따른 국가 충성 및 사회 질서 중시 등의 활동을 했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동진의 관료 - 환이
환이는 서진과 동진 시대에 활약하며 관직을 역임하고 왕돈과 소준의 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소준의 난에서 항전하다 전사하여 사후 정위로 추증되고 간 시호를 받았다.
장천석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장천석 (張天錫) |
작위 | 시평공 (西平公) |
칭호 | 사지절 (使持節) 대도독 (大都督) 대장군 (大將軍) 호강교위 (護羌校尉) 양주목 (涼州牧) |
시호 | 도공 (悼公, 동진에서 추증) |
성 | 장 (張) |
휘 | 천석 (天錫) |
자 | 순가 (純嘏) |
생년 | 346년 |
몰년 | 406년 |
아버지 | 장준 |
통치 정보 | |
통치 시기 | 363년 ~ 376년 |
연호 | 승평 (升平) |
연호 기간 | 363년 ~ 376년 |
이전 통치자 | 장현정 |
계승자 | 없음 |
기타 정보 | |
왕조 | 전량 |
사후 칭호 | 귀의후 (歸義侯) |
2. 생애
장준의 막내아들로 346년에 태어났다.[1] 354년 형 장조에 의해 장녕후(長寧侯)에 책봉되었고, 361년 중령군(中領軍)에 임명되었다.[1] 장옹이 정권을 장악하고 포악한 정치를 하자, 장천석은 반정을 일으켜 장옹을 자살하게 하고 정권을 잡았다.[2] 363년 장흠이 장천석을 암살하려다 실패하자, 장천석은 장현정을 살해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2]
366년 전진에서 독립하고 동진의 종주권을 받들었다.[2] 367년 이엄이 다스리는 농서 지방을 공격하여 세력 확대를 시도했으나, 이엄이 전진에 항복하면서 전진의 구원군과 싸워 패배하고 왕맹과 평화 협정을 맺었다.[2]
371년 전연을 멸망시킨 전진이 전량을 공격하자, 장천석은 전진에 복속하여 속국이 되었다.[2] 이후 주색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았고, 후계자 문제로 인해 국정에 혼란이 발생했다.[2] 376년 부견이 전량을 공격하여 멸망시키자, 장천석과 전량 왕족들은 포로로 장안에 끌려갔고, 장천석은 귀의후(歸義侯)에 봉해졌다.[2]
383년 비수대전에 참전했던 장천석은 전진군이 패주하는 틈을 타 동진에 항복했고, 동진 조정은 장천석을 산기상시(散騎常侍)에 임명하였다.[2] 이후 동진에서 살다가 398년 사망하여 도공(悼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2]
2. 1. 출생과 초기 생애
장준의 막내 아들로 346년에 태어났다.[1] 아버지 장준이 사망한 해에 태어났는데, 사망 전에 태어났는지 후에 태어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2] 어머니는 장준의 후궁 유태후였다.[2]354년, 형 장조가 동진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장녕후(長寧侯)에 봉해졌다.[1][2] 형 장조의 통치 기간이나, 355년 장조가 전복된 후 통치자가 된 조카 장현정의 통치 기간 동안, 동진의 수도 건강을 방문했다.[2] 이때 그의 비표준적인 세 글자 자 공충고(恭沖古)에 대한 농담이 오갔고, 그는 처음 글자인 "공(恭)"을 떼고 충고(沖古)로 바꿨다.[2]
361년 9월, 중령군(中領軍)에 임명되어, 중호군(中護軍) 장옹과 함께 어린 조카 장현정의 보정(補正)을 맡았다.[1][3] 장옹은 오만하고 제멋대로인 인물로, 무리를 지어 정치를 전횡하고 많은 사람을 처형했으므로, 당시 사람들은 이를 한탄했다.[3] 장천석의 복심(腹心)인 곽증·유숙은 "장옹의 횡포는, 옛 군주였던 장조를 떠올리게 할 정도입니다"라고 호소하자, 장천석은 장옹의 암살을 결의했다.[3]
361년 11월, 장천석은 병사 400명을 거느리고 입조(入朝)하여, 장옹과 마주치자 복심인 유숙·조백거가 즉시 덤벼들었으나, 달아났다. 장천석은 병사 300명을 모아 반격했다.[3] 그러나 장천석은 지붕 위에 올라 "장옹은 흉악하고 무도한 짓을 하고 있다. 나는 죽음을 아까워하지 않지만, 선조의 제사가 폐지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여기에 이르렀다. 오늘 처형할 것은 장옹 한 사람뿐이다. 다른 사람들은 죄를 묻지 않을 것이다. 나는 약속을 어기지 않겠다"라고 외쳤다.[3] 이를 듣고, 장옹의 병사들은 모두 도망가 버렸다.[3] 장옹은 자결했고, 그 일족은 모두 주살(誅殺)되었다.[3]
2. 2. 섭정 시기
361년 장천석은 조카 장현정의 섭정으로 임명되었으나, 공동 섭정이었던 장옹이 권력을 독점하고 폭정을 일삼았다. 이에 장천석은 장옹을 제거하기로 결심한다. 장천석은 측근인 유숙(劉肅)과 조백구(趙白駒)를 시켜 장옹을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하지만 장천석은 군대를 설득하여 장옹을 자결하게 만들었고, 그의 일족을 몰살시켰다. 이로써 장천석은 단독 섭정이 되었다.363년, 장현정의 할머니 마태후가 사망하자, 장현정의 어머니 곽부인은 장천석의 독주를 우려하여 그를 제거하려 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고, 장흠(張欽) 등 관련자들은 처형되었다. 장현정은 장천석에게 왕위를 양보하려 했으나, 장천석은 거절했다. 그러나 한 달 후, 장천석은 유숙을 시켜 장현정을 암살하고 자신이 왕위에 올랐다.
2. 3. 군주 즉위
363년, 장천석은 반정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후, 장흠의 모반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어린 조카였던 장현정을 살해하고 스스로 군주가 되었다.[3] 이 과정에서 장천석은 유숙 등에게 군사를 주어 밤에 입궁하게 하여 장현정을 살해하고, 장현정이 급사했다고 선언했다.[5]장천석은 동진과 전진에 사신을 보내 자신의 즉위를 알렸다. 동진으로부터 서평공의 작위를 받았고, 전진으로부터는 대장군, 량주목, 서평공으로 임명되어 양쪽에 복속되는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장천석은 즉위 후 주색에 빠져 정치를 멀리했다.[4]
366년, 장천석은 전진과의 국교 단절을 선언하고, 동진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2. 4. 통치와 실정
361년, 장천석은 장옹이 포악하게 정권을 장악하자 반정을 일으켜 장옹을 자살하게 하고 스스로 정권을 잡았다.[2] 363년에는 장흠이 장천석을 죽이려다 실패하자 장현정을 살해하고 스스로 즉위하였다.[2]장천석은 동진의 종주권을 받들고, 전진으로부터 독립하려 했다. 366년 전진에 사자를 보내 국교 단절을 통보하기도 했다.[2] 세력 확대를 위해 367년 반독립 세력인 이엄이 다스리는 농서 지방을 공격했으나, 이엄이 전진에 항복하면서 전진의 구원군과 싸워 패배했다.[2] 이후 왕맹과 평화 협정을 맺고 귀환했다.[2]
371년, 전진이 전량을 공격하자 장천석은 전진에 복속하여 속국이 되었다.[2] 이후 주색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았고, 후계자 문제로 국정이 혼란에 빠졌다.[2] 그는 즉위 당시 20세가 넘지 않은 유숙, 조백거 등 신뢰하는 측근들에게 국정을 맡겼으며, 심지어 유숙과 양경을 자신의 양자로 삼기까지 했다.[2]
365년 1월, 장천석은 정월 초하루에도 불구하고 총신들과 술을 마시며 떠들썩하게 놀았고, 여러 신하들의 조하를 받지 않았다. 또한 영훈궁에 머물며 조정에 나타나지 않았다. 기서는 상소를 올려 당시 정세에 대해 간언했지만, 장천석은 듣지 않았다.
376년, 부견은 전량을 공격하여 멸망시켰고, 장천석과 전량 왕족들은 포로로 장안에 끌려갔다.[2]
2. 4. 1. 측근 정치와 국정 문란
장천석은 즉위 당시 20세가 넘지 않은 유숙, 조백거 등 신뢰하는 측근들에게 국정을 맡겼다.[2] 특히 유숙과 양경을 양자로 삼기까지 했다.[2]양경과 유숙은 모두 호족 출신으로, 어린 시절부터 장천석과 친했다.[6] 이들은 장옹 제거에 큰 공을 세워 장천석의 총애를 받았고, '장'씨 성을 하사받고 양자가 되어 국정에 참여했다.[6] 장천석의 아들들이 '대' 자를 썼기 때문에, 양경은 대혁, 유숙은 대성으로 자를 고쳤다.[6]
이러한 인사 조치에 백성들은 불만을 품었고, 장천석의 사촌 동생 장헌이 간했으나 장천석은 듣지 않았다.[6] 숙련된 장군들은 불만을 품었지만, 공개적으로 반항하지는 않아 충성심이 약화되었다.[2]
2. 4. 2. 전진과의 관계 악화
364년, 전진(前秦)의 황제 부견은 장천석에게 그가 주장했던 것과 동일한 진(晋)에서 수여된 칭호를 수여했고, 장천석은 이를 거부하지 않음으로써 암묵적으로 전진의 신하가 되었다. 그러나 366년 말, 전진과의 국경에 사자를 보내 양국 관계 종료를 선언했다.[2]같은 해 말, 농서군(隴西, 대략 현대의 딩시 시, 간쑤성)을 점령하고 전진의 신하가 되었지만, 전량(前涼)과도 지속적으로 연락을 취해온 군벌 이엄(李儼)은 공식적으로 독립을 선언하고 전진 및 전량과의 관계를 끊고 주변 군현을 점령했다. 367년 초, 장천석은 직접 이엄을 공격하여 그로부터 여러 도시를 빼앗았다. 이엄은 두려워 전진에게 사과하며 도움을 요청했고, 전진의 재상 왕맹은 군대를 이끌고 이엄의 수도 부한(枹罕, 현대 린샤 후이족 자치주, 간쑤성)을 구원하려 했다. 왕맹과 장천석의 군대는 부한에서 교착 상태에 빠졌는데, 왕맹은 타협안을 제시했다. 장천석은 이엄의 백성을 포획하여 자신의 영토로 데려갈 수 있도록 하고, 왕맹은 이엄을 동쪽으로 데려갈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장천석은 이를 받아들여 전진과의 주요 대결을 피했다.[2]
371년, 370년에 전연(前燕)을 멸망시킨 부견은 사자 양숙(梁殊)과 염부(閻負)를 전량에 보냈는데, 이들과 함께 이전에 포획된 전량의 장군 음거(陰據)와 왕맹의 서신을 보냈다. 왕맹은 장천석을 위협하여 복종시키려 했다. 전진의 무력 시위에 감명을 받은 장천석은 두려워하며 사과했고, 다시 전진의 신하로 복종했다. 그러나 그해 말, 전진이 국경에 대규모 군대를 주둔시켰다는 것을 두려워하여 수도 구장(姑臧, 현대 우웨이 시, 간쑤성) 서쪽에 제단을 세우고 부하들에게 자신과 진(晋)에 맹세하도록 했으며, 이후 진나라의 최고 장군 환온에게 전진을 공동으로 공격해 줄 것을 청원했다.[2] 환온의 반응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실제 군사 행동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 5. 전량 멸망
張天錫|장천석중국어은 장준(張駿)의 막내아들로 346년에 태어났다. 361년 중령군(中領軍)에 임명되었으나, 함께 정권을 장악한 장옹이 포악했기 때문에 반정을 일으켜 장옹을 자살하게 하고 스스로 정권을 잡았다. 363년 장흠이 장천석을 죽이려다 실패하자 장현정을 살해하고 스스로 즉위하였다.366년 전진(前秦)으로부터 독립하고 동진(東晉)의 종주권을 받들었다. 367년 반독립적인 세력인 이엄이 다스리는 농서(隴西) 지방을 공격했으나, 이엄이 전진에 항복하여 전진의 구원군과 싸워 패배하고 왕맹(王猛)과 평화 협정을 맺었다.
371년 전연(前燕)을 멸망시킨 전진이 전량을 공격하자 장천석은 전진에 복속했다. 이후 주색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아 전량 국정이 혼란에 빠졌고, 376년 부견은 이를 틈타 전량을 멸망시켰다. 장천석은 포로로 장안(長安)에 끌려가 귀의후(歸義侯)에 봉해졌다.[2]
2. 5. 1. 전진의 침공과 저항
張天錫|장천석중국어은 376년 전진(前秦)의 황제 부견이 자신을 완전히 복종시키려는 의도로 침공을 결정하자 이에 저항하였다. 부견은 장군 구창(苟萇)에게 13만 명의 대군을 지휘하게 하여 장천석의 영토로 향하게 했지만, 그 전에 염부(閻負)와 양숙(梁殊)을 다시 보내 장천석에게 완전히 복종하고 공식적인 방문을 위해 전진의 수도 장안을 방문하도록 설득했다.장천석은 장안에 가면 풀려나지 못할 것이라고 믿고 저항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관료들에게 화살을 쏘도록 명령하여 염부와 양숙을 잔인하게 처형했는데, "그들을 맞출 수 없다면, 너는 나와 마음이 같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그는 숙련된 장군 마건을 보내 저항하게 했지만, 이미 장천석의 통치에 불만을 품고 있던 마건은 전진군에게 항복했다. 장천석이 보낸 다른 군대는 모두 전량군에게 패배했고, 마지막으로 창거(常據)가 지휘하는 군대는 전멸했다. 장천석 자신도 군대를 이끌고 저항하려 했지만, 그가 구장(姑臧, 현대 우웨이 시, 간쑤성)을 떠나려 하자마자 구장에서 반란이 시작되었다. 그는 두려워 구장으로 돌아와 항복했고, 이로써 전량은 멸망했다.[2]
2. 5. 2. 고장의 함락과 항복
장천석은 361년 숙부 장용을 살해하고 전량의 단독 섭정이 되었다.[2] 그는 진나라 민제의 연호인 '건흥' 대신 애제의 연호 '승평'을 사용하여 진나라와의 유대를 강화했다. 363년, 장천석은 장현정을 암살하고 왕위에 올랐다.[2]364년, 전진(前秦)의 부견은 장천석에게 진(晋)에서 수여된 칭호를 수여했고, 장천석은 이를 거부하지 않음으로써 전진의 신하가 되었다. 366년, 장천석은 전진과의 관계를 끊었다.
367년, 장천석은 전진의 신하였던 이엄을 공격했으나, 전진의 왕맹이 이엄을 구원하면서 교착 상태에 빠졌다. 왕맹의 제안으로 장천석은 이엄의 백성을 포획하고, 왕맹은 이엄을 데려가는 것으로 합의했다.
371년, 장천석은 전진에 복종했지만, 그해 말 전진의 위협에 굴복하여 진(晋)나라에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다.[2] 그러나 전진의 위협 아래에서 장천석은 술과 여자에 빠져 국사를 소홀히 했다.
376년, 부견은 장천석을 완전히 복종시키기 위해 군대를 보냈다. 장천석은 저항했지만, 장군 마건의 배신과 계속된 패배로 인해 결국 항복했다. 이로써 전량은 멸망했다.
3. 전량 멸망 이후
376년, 부견이 전량을 멸망시키자 장천석은 포로로 장안에 끌려가 귀의후(歸義侯)에 봉해졌다. 383년 비수대전에서 전진군이 패주하자 동진으로 망명, 산기상시(散騎常侍)에 임명되었다. 398년에 사망하여 도공(悼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1]
3. 1. 전진의 신하 시절
부견(苻堅)은 장천석(張天錫)에게 중급 관직을 제수하고 귀의후(歸義侯)로 봉했다. 부견은 정벌을 시작하기 전에 장안(長安)에 장천석을 위한 저택을 짓기 시작했으며, 장천석이 항복할 때쯤 저택은 완공되었다.383년, 장천석은 부견을 수행하여 비수 대전에 참전했으나, 전진(前秦)군은 동진(東晉)에게 패했다. 장천석은 이 기회를 틈타 동진으로 도망쳤으며, 이때 포로로 잡혔던 동진 장수 주서(朱序)와 서원희(徐元喜)가 함께였다.[1] 함께 도망치지 못한 그의 아들 장대유(張大豫)는 나중에 전량(前涼)을 재건하려 했지만, 387년 후량의 창시자 여광에게 패하여 죽임을 당했다.[2]
3. 2. 동진 망명과 말년
383년 비수 대전에서 전진군이 동진군에게 패하자, 장천석은 이 기회를 틈타 동진으로 도망쳤다. 이때 포로로 잡힌 동진 장수 주서와 서원희(徐元喜)와 함께였다. 장천석의 아들 장대유(張大豫)는 함께 도망치지 못하고 나중에 전량을 재건하려 했지만, 387년 후량의 창시자 여광에게 패하여 죽임을 당했다. 진 효무제는 장천석에게 중급 관직을 제수하고 그의 선조의 충성을 기려 서평공(西平公)의 작위를 회복시켜 주었다. 그는 문학적 재능으로 명성을 얻었지만, 동진 관리들은 그가 나라를 잃고 전진에게 포로로 잡힌 것을 멸시했다.어느 시점에서 그의 정신 상태가 악화되기 시작했는데, 아마도 알츠하이머병이나 정신을 쇠약하게 하는 다른 질병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더 이상 중요한 직책을 맡지 못했다. 진 안제의 사촌 사마 원현이 권력을 잡았을 때(약 390년대) 그는 종종 장천석을 불러 조롱했지만, 장천석의 빈곤을 고려하여 그를 군(郡) 태수로 임명했다. 나중에 환현이 사마 원현을 전복시킨 후, 군사적 목적을 위해 장천석 가문의 명성을 이용하려 했고, 장천석에게 량주(涼州, 현재의 중국 간쑤성 중부 및 서부, 전량의 영토였으나 당시 동진이 지배하지 못했음) 자사(刺史)의 직함을 주었다. 장천석은 406년에 사망했다.
4. 평가
장천석은 정치적으로 무능하고 사치와 향락을 일삼아 백성을 돌보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3][4][5] 그는 음악과 술, 여색에 빠져 밤늦도록 놀고 정치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6] 365년 정월 초하루에는 신하들의 조하(朝賀)도 받지 않고 총신들과 술을 마시며 떠들썩하게 놀았다.
전진과의 외교 관계에서도 실책을 거듭했다. 366년 전진에 사신을 보내 국교 단절을 통보하고, 367년에는 전진의 속국이었던 이엄을 공격했다가 왕맹이 이끄는 전진군에게 대패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371년 전진의 압박에 굴복하여 칭번(稱藩)하고 속국이 되었으나, 결국 376년 전진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고 자신은 포로로 끌려갔다.
이러한 장천석의 실정은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더욱 비판받을 수 있다. 그는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자신의 향락만을 추구했으며, 외세의 침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나라를 멸망으로 이끌었다. 이는 민생을 최우선으로 하고 국익을 수호해야 할 지도자의 책무를 저버린 행위로 평가될 수 있다.
하지만, 장천석은 글재주가 뛰어났다. 탕난장군 색상(索商)이 올린 상소에 대해, "아침의 영광을 보고 재능 있는 선비를 존경하며, 지란(芝蘭)을 완상하여 덕행 있는 신하를 사랑하고, 소나무와 대나무를 보며 정조 있는 현인을 생각하며, 맑은 물에 임하여 청렴결백한 행실을 귀하게 여기고, 덩굴풀을 보고 탐욕스럽고 더러운 관리를 천하게 여기며, 쏜살같은 바람을 만나 흉악하고 교활한 무리를 미워한다."고 답했다.[2] 이는 사물을 보고 그에 빗대어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것으로, 그의 문학적 재능을 보여준다. 동진으로 건너간 후 회계왕 사마도자(司馬道子)가 서토(西土)의 특산물에 대해 묻자, "뽕나무 열매는 달콤하고, 치효(鴟鴞)의 소리는 특이하며, 유락(乳酪)은 건강을 유지하고, 사람은 질투하는 마음이 없습니다"라고 답한 것[5] 또한 그의 재치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4. 1. 긍정적 평가
장천석은 글재주에 능하여 탕난장군 색상(索商)이 올린 상소에 대해, "아침의 영광을 보고 재능 있는 선비를 존경하며, 지란(芝蘭)을 완상하여 덕행 있는 신하를 사랑하고, 소나무와 대나무를 보며 정조 있는 현인을 생각하며, 맑은 물에 임하여 청렴결백한 행실을 귀하게 여기고, 덩굴풀을 보고 탐욕스럽고 더러운 관리를 천하게 여기며, 쏜살같은 바람을 만나 흉악하고 교활한 무리를 미워한다."고 답했다.[2] 이는 사물을 보고 그에 빗대어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 것으로, 그의 문학적 재능을 보여준다. 동진으로 건너간 후 회계왕 사마도자(司馬道子)가 서토(西土)의 특산물에 대해 묻자, "뽕나무 열매는 달콤하고, 치효(鴟鴞)의 소리는 특이하며, 유락(乳酪)은 건강을 유지하고, 사람은 질투하는 마음이 없습니다"라고 답한 것[5] 또한 그의 재치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4. 2. 부정적 평가
장천석은 정치적으로 무능하고 사치와 향락을 일삼아 백성을 돌보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3][4][5] 그는 음악과 술, 여색에 빠져 밤늦도록 놀고 정치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6] 365년 정월 초하루에는 신하들의 조하(朝賀)도 받지 않고 총신들과 술을 마시며 떠들썩하게 놀았으며, 신하들의 간언에도 불구하고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장천석은 전진과의 외교 관계에서도 실책을 거듭했다. 366년 전진에 사신을 보내 국교 단절을 통보하고, 367년에는 전진의 속국이었던 이엄을 공격했다가 왕맹이 이끄는 전진군에게 대패하여 1만 7천 명의 병사를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371년 전진의 압박에 굴복하여 칭번(稱藩)하고 속국이 되었으나, 결국 376년 전진의 침공을 받아 멸망하고 자신은 포로로 끌려갔다.
이러한 장천석의 실정은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더욱 비판받을 수 있다. 그는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자신의 향락만을 추구했으며, 외세의 침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나라를 멸망으로 이끌었다. 이는 민생을 최우선으로 하고 국익을 수호해야 할 지도자의 책무를 저버린 행위로 평가될 수 있다.
5. 연호
장천석은 연호로 태청(太清)을 363년부터 376년까지 사용하였다.[1] 그는 동진의 연호를 사용하였다.[1]
6. 가계
참조
[1]
서적
The Great State of White and High: Buddhism and State Formation in Eleventh-Century X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6-04-01
[2]
서적
The Buddhist Conquest of China: The Spread and Adaptation of Buddhism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07-03-30
[3]
서적
資治通鑑
[4]
서적
十六国春秋
[5]
서적
晋書
[6]
서적
晋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