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6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63년은 간지로는 계해년에 해당하며, 로마 황제 율리아누스가 사산 제국 원정을 시작했으나 퇴각 중 사망하고, 훈족이 유럽에 처음 나타난 해이다. 이 해에는 363년 갈릴리 지진으로 페트라가 피해를 입었으며, 동아시아에서는 유송의 유유가 태어났다. 로마 제국에서는 율리아누스 황제가 사망하고 요비아누스가 즉위하여 사산 제국과 평화 협정을 맺었다. 또한, 라오디게아 공의회가 열려 교회의 규율을 정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63년 - 사마라 전투
    사마라 전투는 363년 로마 황제 율리아누스가 사산 제국의 수도 크테시폰을 공격하려다 전략적 실패로 치명상을 입고 사망하면서 로마군이 패배하여 굴욕적인 조건으로 강화 조약을 체결한 전투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363년
363년 정보
기년법단기: 2696년
황기: 1023년
간지: 계해년
해당 십간계 (癸)
해당 십이지해 (亥)
로마 숫자CCCLXIII
세기4세기
10년 단위360년대

2. 연호

3. 기년

4. 사건


  • 로마 제국 황제 율리아누스갈리아로 진군하여 알레만니족을 격파했다.
  • 사산 제국의 샤 샤푸르 2세아미다를 포위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했다.
  • 훈족이 처음으로 유럽에 나타나 카스피해에 도달했다.
  • 363년 아르사카완 지진으로 아르사카완(현재 도우바야지트)과 살라트(현재 시시안) 도시에 피해가 발생했다.
  • 4월 20일 - 행성 금성이 행성 목성엄폐했다.
  • 라오디게아 공의회가 열려 교회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이 공의회에서 승인된 주요 교회법은 29조로, 안식일에 쉬는 것을 금지하고, 기독교인들이 주일하느님(God in Christianity)을 숭배하도록 제한했다.
  • 마르 마타이 수도원이 알파프 산에 세워졌다.

363년 동아시아
국가연호
고구려고국원왕 33년
백제근초고왕 18년
신라내물왕 8년
동진융화 2년, 흥녕 원년
전량승평 7년
전연건희 4년
전진감로 5년
건국 26년


4. 1. 로마 제국


  • 3월 5일 - 율리아누스 황제가 사산 제국과의 전쟁을 위해 9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안티오크를 출발하여 북쪽으로 이동해 유프라테스 강으로 향했다. 가는 길에 그는 주의를 분산시키기 위해 사촌인 프로코피우스 휘하의 3만 명의 군대를 아르메니아 왕국으로 보냈다.[1]
  • 4월 - 율리아누스는 50척의 부교를 사용하여 만비지 근처의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동쪽으로 이동하여 카르헤로 향했다. 그는 안바르를 파괴하고 사막 국경을 따라 페르시아 요새(''아라비쿠스 리메스'')를 점령했다.[1]
  • 5월 29일 - 크테시폰 전투: 율리아누스는 강력한 요새 도시인 크테시폰 근처에 도착했다. 샤푸르 2세가 이끄는 대규모 페르시아 군대는 초토화 작전을 채택하여 로마 제국은 절망적으로 보급품이 부족해졌다.[1]
  • 6월 16일 - 후기 로마 군대는 북쪽 코르두에네 (아르메니아)로 후퇴를 시작했다. 율리아누스는 티그리스 강을 따라 돌아가 보급선단을 불태웠다. 퇴각하는 동안 율리아누스의 군대는 사산 제국의 여러 차례 공격을 받았다.[1]
  • 6월 26일 - 사마라 전투: 율리아누스는 소규모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고 이라크사마라 근처 전투에서 입은 상처로 사망했다. 근위대 장군인 요비아누스가 그의 뒤를 이어 군대에 의해 로마 황제로 선포되었다.[1]
  • 요비아누스 황제는 사산 제국과 재앙적인 평화 협정을 맺어, 갈레리우스298년에 획득한 다섯 개의 로마 속주 중 네 곳과 도시인 누사이빈싱가라 (메소포타미아)를 넘겨주었다.[1]
  • 황제 율리아누스갈리아로 진군하여 알레만니족을 격파했다.[1]

4. 2. 유럽

훈족이 처음으로 유럽에 나타나 카스피해에 도달했다.

4. 3. 중동


  • 3월 5일 - 율리아누스 황제가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위한 동방 원정을 출발했다.[1]
  • 6월 26일 - 율리아누스 황제가 동방 원정 퇴각 행군 중 사산 병력의 공격으로 창에 찔려 사망했다.[2]
  • 363년 5월 18일-19일 - 363년 갈릴리 지진 발생. 나바테아인의 수도인 페트라(현재 시리아)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 363년 아르사카완 지진 발생. 아르사카완(현재 도우바야지트)과 살라트(현재 시시안) 도시에 영향을 미쳤다.

4. 4. 동아시아

5. 문화


  • 4월 20일금성목성엄폐한다.
  • 라오디게아 공의회가 열려 교회 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하는 문제를 다룬다. 이 공의회에서 승인된 주요 교회법은 29조로, 안식일에 쉬는 것을 금지하고, 기독교인들이 주일하느님(God in Christianity)을 숭배하도록 제한한다.
  • 마르 마타이 수도원이 알파프 산에 세워진다.

6. 탄생


  • 술피키우스 세베루스, 기독교 작가 (대략적인 연도)[1]
  • 유유,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 초대 황제 (422년 사망)

7. 사망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Julian https://www.britanni[...] 2024-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