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일본조선인연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일본조선인연맹은 1945년 일본의 패전 후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의 권익 보호, 귀국 지원, 민족 교육 등을 목표로 결성된 단체이다.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과 차별을 겪은 재일 조선인들은 해방 후에도 차별과 억압에 직면하여 자체적인 보호를 위해 단체를 결성했다. 재일조선인연맹은 초기에 좌우익을 아우르는 조직으로 시작했으나, 점차 좌경화되어 일본공산당과 연계되었고, 조선인 노동자 옹호, 민족 학교 설립 등의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좌익 성향과 북한과의 연계로 인해 1949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해산되었고, 이후 재일조선인총연합회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해체된 단체 - 서북청년회
    서북청년회는 1946년 북한 실향민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반공 투쟁을 벌였으나 제주 4·3 사건 개입, 김구 암살 사건 연루 등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대한청년단으로 흡수 통합되어 해체되었다.
  • 1949년 해체된 단체 - 제18기관총포병사단
    제18기관총포병사단은 소련군과 러시아군 소속으로 세 차례 편성되었으며, NKVD 소총 사단 재편성 후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만주 침공에 참전, 이후 쿠릴 열도 방어 주력 부대로 재편성되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도 참전했다.
  • 재일 한국인 단체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재일 한국인 단체 - 조선신보
    조선신보는 조총련 중앙의 기관지로, 재일 조선인 사회 소식과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기사를 다루며 김정남 암살 사건 등 국제 이슈에 대해 북한 시각을 반영하고 대한민국과 미국 언론 보도를 비판하는 논조를 보인다.
  • 1945년 설립된 단체 - 연합군 최고사령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는 일본의 비군사화와 민주화를 목표로 일본 점령을 위해 설치되었으며, 1945년 포츠담 선언 이후 더글러스 맥아더를 최고사령관으로 하여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진행했다.
  • 1945년 설립된 단체 - 조선문학건설본부
    조선문학건설본부는 1945년 임화, 김남천 등 KAPF 소장파가 결성한 문학 단체로, 좌우 통합을 표방했으나 좌익 강경파의 반발과 KAPF 분리 후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되어 해방 직후 문학 운동 방향 논쟁의 사례로 평가받는다.
재일본조선인연맹
기본 정보
이름재일본조선인연맹
원어 이름在日本朝鮮人連盟
일본어 이름朝連 (초렌)
한국어 (한글)재일조선인련맹/재일조선인연맹
일본어 (히라가나)ざいにほんちょうせんじんれんめい
일본어 (가타카나)체일초손닌리ョンメン/체일초손닌ヨンメン
영어League of Koreans in Japan
약칭조련
조련 본부 건물 (1946)
재일본조선인연맹 중앙총본부 (조련회관)
설립 및 해산
결성일1945년 10월 15일
해산일1949년 9월 8일
목적
목적재일조선인 송환 조정, 잔류자에 대한 지원권
본부
위치도쿄, 일본

2. 배경

1910년 한일병합 이후, 많은 한국인들이 일본 제국에 의해 강제 동원되거나 경제적인 이유로 일본으로 이주했다. 이들은 일본 사회에서 차별과 억압을 받았으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강제 노동에 시달리기도 했다.[1][2]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하면서,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등 한국 문화를 억압하고 일본 문화에 동화시키려 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노동력 부족을 이유로 한국인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1939년에서 1945년 사이에 약 70만~80만 명의 한국인이 일본으로 이동했다. 1945년에는 일본 내 한국인 수가 약 20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며, 이들 중 약 3만 명은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로 사망했다.[2]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재일 한국인들은 일본 사회의 혼란 속에서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이들은 생존과 귀국을 위해 자발적으로 단체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2. 1. 해방 직후 재일 한국인의 상황

1945년 일본의 항복 이후, 많은 재일 한국인들이 한반도로 돌아갈 준비를 했지만, 100만 명에서 120만 명에 달하는 이들 중 일부는 여러 이유로 일본에 남기로 결정했다.[2] 귀국 비용을 감당할 수 없거나, 분단된 한반도의 불안정과 빈곤을 두려워하거나, 일본에서 삶의 터전을 잡고 일본어를 사용하는 가족을 둔 경우가 있었다.[2]

일본 항복 며칠 후, 일본 내 한국인들은 분노의 대상이 되었다. 야마구치현 경찰 보고서에는 "너희 한국인 때문에 일본이 전쟁에서 졌다; [지금] 당장 한국으로 돌아가라", "모든 한국인을 죽여야 한다"와 같은 극단적인 발언들이 기록되었다. 전쟁이 끝난 지 이틀 후, 일본 경찰은 초시에 도착한 미군을 환영하러 갔던 세 명의 한국인을 사살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한국인들을 공포에 떨게 했고,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지원 단체를 결성하고 자발적으로 격리하게 만들었다.

일본 내 한국인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도 차별을 겪었지만, 일본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 후, 일본 정부는 점차 그들의 중요한 권리와 혜택을 박탈했다. 1945년 12월에는 투표권을 잃었고, 1947년에는 外国人登録令|외국인 등록령일본어에 의해 공식적으로 시민권을 박탈당하여 무국적자가 되었다.[2] 게다가, 한국인들을 "일본인 직업"에서 배제하는 고용 정책이 시행되어, 많은 한국인들이 비공식적이고, 소외된, 또는 불법적인 분야에서 직업을 찾게 되었다.[2]

미국인들은 한국인들이 처한 비참한 상황과 보복 위협에 놀랐다. 그들은 한국인들이 "일본인으로부터의 해방, 보호 또는 격리가 절실히 필요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예를 들어, 1945년 10월 10일, 제5 해병 사단의 제28 해병 연대는 후쿠오카시 하카타구에서 귀국을 기다리는 한국인들이 더 편안한 창고가 근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구간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관찰했다.

3. 역사

1945년 9월 10일, 도쿄에서 전국 각지의 재일 한국인 단체 대표들이 모여 회의를 열고 재일본조선인연맹(약칭 조련) 결성을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준비위원회는 좌익과 우익 성향의 위원들을 모두 포함했으며, 미국 출생의 한국인 기독교 목사이자 영어에 능통했던 조두성을 위원장으로 선출하여 미국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3]

1945년 10월 15일, 도쿄 히비야 공회당에서 전국 각지 대표 4,000명(또는 5,000명)이 모여 재일본조선인연맹 창립 대회를 개최했다.[3] 재일본조선인연맹은 점차 좌경화되었으며, "친일파"로 지목된 보수 세력을 축출했다. 일본공산당 내 '민족 대책부' 구성원들이 재일본조선인연맹의 멤버였으며, 일본공산당 재건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4]

재일본조선인연맹은 일본 내 조선인 사회의 광범위한 지지를 바탕으로 재일동포 권익 옹호, 귀국 지원, 민족 교육에 힘썼다. 특히 1946년부터 민족 조선 학교 설립을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았다. 1948년 한신 교육 사건은 일본 정부가 조선학교를 폐쇄하려 하자, 이에 반발한 재일 한국인들의 대규모 시위가 발생한 사건이다.

재일본조선인연맹은 남조선 단독 선거를 비난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을 지지했다.[3] 1949년 9월 8일,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는 재일본조선인연맹을 '폭력주의적 단체'로 규정하고 해산 명령을 내렸다.[5]

3. 1. 결성 (1945년)

1945년 9월 10일, 일본 도쿄에서 전국 각지의 재일 한국인 단체 대표들이 모여 회의를 열고 재일본조선인연맹(약칭 조련) 결성을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준비위원회는 좌익과 우익 성향의 위원들을 모두 포함했으며, 미국 출생의 한국인 기독교 목사이자 영어에 능통했던 조두성을 위원장으로 선출하여 미국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3]

1945年일본어 10월 15일, 도쿄 히비야 공회당에서 전국 각지 대표 4,000명(또는 5,000명)이 모여 재일본조선인연맹 창립 대회를 개최했다.[3] 초기 강령은 다음과 같다.[3]

  • 새로운 조선 건설에 헌신
  • 세계 평화 유지
  • 재일 동포 생활 안정
  • 귀국 동포 지원
  • 일본 국민과의 상호 이해와 우호 증진
  • 목적 달성을 위한 단결


최고 고문에는 김천해가, 가나가와현 본부 위원장에는 한덕수(후의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의장)가 각각 취임했다. 도쿄역 야에스구치에 재일본조선인연맹 중앙본부(조련회관)가 설치되었다.[3] 부속 교육 기관으로, 조련중앙고등학원을 도쿄도 기타타마군 고마에 마을 (현, 고마에시)에 두었다.

3. 2. 좌경화와 일본공산당과의 협력

1945년 10월 15일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린 재일본조선인연맹(재일조선인연맹) 창립 대회에는 전국 각지에서 4000명의 대표가 모였다.[3] 재일조선인연맹은 점차 좌경화되었으며, "친일파"로 지목된 보수 세력을 축출했다. 일본공산당 내 '민족 대책부' 구성원들이 재일조선인연맹의 멤버였으며, 일본공산당 재건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4]

재일조선인연맹은 일본공산당의 첨병 역할을 하며, 무생 사건에서 법원 및 검찰청을 방화하는 등 종전 후 일본 사회에서 여러 폭력, 약탈, 불법 행위에 가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 이러한 행위에는 관공서에 대한 횡포, 부당한 요구, 건축물 불법 점거, 기차, 전철, 버스 등의 불법 승차, 인민 재판 등이 포함되었다.[5]

3. 3. 활동

재일본조선인연맹은 일본 내 조선인 사회의 광범위한 지지를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재일동포 권익 옹호:재일본조선인연맹은 일본에 남아있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권익을 옹호했다. 특히, 조반 탄광에서 3,500명에서 4,000명에 달하는 조선인 강제 징용 노동자들이 폭동을 일으키자, 회사는 재일조선인연맹에 대처 방안을 문의했다. 재일조선인연맹은 김두용일본공산당 당원을 파견하여 협상에 참여했으나 결렬되었고, 미국의 개입과 보상 없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귀환으로 이어졌다. 재일조선인연맹은 조선인 노동자를 부당하게 대우한 회사들과 대립하며, 전후 일본에서 강제 노동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려는 초기 시도를 보여주었다.[1]
귀국 지원:재일본조선인연맹은 1945년 11월 중순부터 일본 운수성 및 후생성과 직접 협상하여 조선인들의 귀국을 지원했다. 일본 정부는 재일조선인연맹의 광범위한 네트워크가 유용하다고 판단하여 협력했다.
민족 교육:재일본조선인연맹은 1946년부터 민족 조선 학교 설립을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았다. 조선인들은 문화 유산을 되찾고자 했으며, 언어 교육을 이를 위한 핵심으로 여겼다. 1946년 10월까지 525개의 초등학교, 4개의 중학교, 1,000명이 넘는 교사, 43,000명 이상의 학생을 확보했다. 1948년 4월에는 566개의 초등학교와 7개의 중등학교를 설립하여, 48,930명의 초등학생과 2,416명의 중등학생이 민족 교육을 받았다.
한신 교육 사건:

재일본조선인연맹의 좌익 성향과 일본 공산당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연대는 미국과 일본 양측의 우려를 샀다. 일본 정부는 조선학교를 폐쇄하려 했고, 이에 반발한 재일 한국인들의 대규모 시위가 여러 도시에서 발생했다. 이 시위는 폭력적으로 진압되었고, 수백 명의 사상자와 수천 명의 체포자가 발생했다.[1]
기타 활동:

  • 남조선 단독 선거를 비난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을 지지하며, 건국 당시 축하 사업을 진행했다.[3]
  • 1948년 12월 23일에는 북한에 파견된 경축단이 김일성 주석과 회견했다.[3]
  • 일본 공산당의 첨병으로서, 무생 사건 등 종전 후 혼란스러운 일본 국내 각지에서 폭행, 약탈, 절도, 관공서에 대한 횡포, 부당한 요구, 건축물 불법 점거, 기차, 전철, 버스 등의 불법 승차, 인민 재판 등을 일으켰다.[5]

3. 4.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입장

재일본조선인연맹은 남조선 단독 선거를 비난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을 지지했으며, 건국 당시 축하 사업을 벌였다.[3] 1948년 12월 23일에는 북한에 파견된 경축단이 김일성 주석과 회견을 갖기도 했다.[3]

3. 5. 해산 (1949년)

1949년 9월 8일,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는 재일본조선인연맹을 '폭력주의적 단체'로 규정하고 단체 등 규제령에 따라 해산을 명령했다.[5] 이때 GHQ는 재일조선인을 "전승 국민"(미국인)도 "패전 국민"(일본인)도 아닌 "삼국인"으로 규정했다.[4] 재일본조선인연맹의 자산은 몰수되었다.[5]

자산 인도는 다음 해인 1950년까지 이어졌지만, 일부 지부에서는 이에 불응하기도 했다. 일례로, 재일본조선인연맹 나고야 지부는 건물 인도를 거부했으며, 같은 해 11월 27일에는 조선인 학교 학생과 약 200명이 아이치현청에 몰려가 인도 거부를 호소했다.[6]

4. 해산 이후

1949년 단체 등 규제령에 의해 재일본조선인연맹이 해산된 이후, 후계 단체로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이 결성되었고, 이는 다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로 발전해 갔다.[4]

참조

[1] 학술지 Defying national homogeneity: Hidden acts of Zainichi Korean resistance in Japan http://journals.sage[...] 2022-03
[2] 웹사이트 Koreans in Japan http://spice.fsi.sta[...] 2023-09-23
[3] 웹사이트 朝聯解散、朝鮮学校閉鎖令60周年に思う 在日朝鮮人政策、根本から転換を http://www1.korea-np[...] 조선신보 2011-10-08
[4] 서적 "제2장 이민 국가 일본의 역사" 2016
[5] 간행물 현대코리아 2000-05
[6] 뉴스 조선인, 경관과 충돌 나고야에서도 일본경제신문 1951-1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