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고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고리는 한국 전통 의상인 한복의 상의로, 고대부터 착용되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다가 고려 시대에 저고리라는 명칭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저고리는 가죽, 모직, 비단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며, 길, 깃, 동정, 고름, 소매로 구성된다. 고대에는 스키타이 의복 스타일과 유사했으며, 시대에 따라 여밈 방식과 길이가 변화했다. 조선 시대에는 오늘날과 유사한 형태를 갖추었으며, 특히 조선 말기에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현대에는 한복이 예복으로 주로 착용되며, 저고리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복 - 바지 (한복)
  • 한복 - 노리개
    노리개는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여성들이 선호했던 장신구로, 조선 시대에 널리 착용되었으며, 띠돈, 패물, 매듭, 술로 구성되고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윗옷 - 앞치마
    앞치마는 옷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의류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와 시대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신분, 직업, 사회적 지위 등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윗옷 - 사파리 재킷
    사파리 재킷은 아프리카 맹수 사냥꾼 복장에서 유래한 기능적인 디자인으로, 벨트, 견장, 플리츠 포켓이 특징이며, 앵글로아프리카 모험가들에 의해 알려진 후 편안함과 활동성으로 현대까지 사랑받고 1960년대와 70년대에는 패션 아이템으로 대중화되었다.
저고리
기본 정보
빨간 고름이 있는 흰색 저고리
빨간 고름이 있는 흰색 저고리
종류한복의 상의
용도유, 복삼, 위해 등과 함께 착용
구조
저고리 구조

2. 어원

저고리는 고대부터 착용되어 왔으며, 삼국시대(기원전 57년~668년)에는 유(襦), 복삼(複杉), 위해(尉解)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5]

저고리라는 용어가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 후기, 충렬왕 시대 무렵에 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고리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원경왕후의 천전의(遷奠儀) 문서이다. 이는 왕궁에서 관을 운구하는 장례 의식에 관한 기록이다. 세종대왕 재위 시절인 1420년에 작성된 기록에는 적고리(赤古里)와 단적고리(短赤古里)가 언급되어 있다.[5][2] 그러나 이 기록이 한국어의 한자 음역인지, 혹은 몽골어의 영향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고려 이전에는 신라에서 이러한 상의를 위해(尉解; wèijiě)라고 불렀다.[6] 위해는 신라어의 음역이었기 때문에, 우티, 우치와 같은 방언 형태가 현재까지 남아 있다.[2][3][4]

3. 구성

저고리는 길, 깃, 동정, 고름, 소매로 구성된다. 길은 옷의 앞뒤로 큰 부분을 이루는 부분이고, 깃은 옷깃을 장식하는 천 조각이다. 동정은 깃 끝에 덧대는 하얀색 깃으로 보통 네모난 모양이며,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다. 고름은 저고리를 여밀 때 쓰는 가슴 부분에 달린 끈이다.[11] 여자 저고리의 경우 소매 끝에 끝동이라는 다른 색상의 소맷단이 달려 있기도 하다. 저고리의 모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4]

저고리 구성: 1. 화장 2. 고대 3. 끝동(소매 부리) 4. 소매 5. 고름 6. 우 7. 도련 8, 11. 진동 9. 길 10. 배래 12. 깃 13. 동정


한복과 비슷하게 앞섶을 여미는 방식이지만, 가슴 쪽에 모양의 옷고름(otgoreum)이 달려 있어서, 양쪽의 옷고름을 묶어서 앞을 여민다. 오른쪽 옷고름은 매우 길어서, 묶고 남은 부분은 아래로 늘어뜨린다. 하지만 요즘에는 단추 등으로 여미고, 옷고름은 장식으로만 달려있는 경우도 있다. 여밈은 남녀 모두 오른쪽 옷깃이다. (중국한복이나 일본기모노와 같다.)

소매는 긴 통소매 형태이다. 덧옷으로 되어 있으며, 겉은 비단이나 무명, 안은 얇은 무명으로 만든다.

전통적으로 남자는 흰색, 여자는 미혼 여부 등에 따라 색깔이 정해져 있었다. 저고리에 맞춰서 여자는 랩스커트 형태의 치마(치마|chima한국어)를 입는데, 이를 합쳐서 치마저고리라고 부른다. 남자는 바지(바지|baji한국어) 형태의 하의를 입으며, 이를 합쳐 바지저고리라고 부른다.

4. 역사

과거 한국에서는 저고리를 속옷 위에 착용했다.[7]

4. 1. 고대와 중세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저고리가 유(襦), 복삼(複杉), 위해(尉解)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5] 가장 오래된 저고리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12] 초기 저고리는 스키타이족의 복식과 유사하게 왼쪽으로 여미는 옷깃(좌임), 좁은 소매, 엉덩이까지 오는 길이 등의 특징을 가졌다.[13][15] 일부는 카프탄과 유사한 앞 중앙 여밈 형태였으며, 주로 하층민들이 착용했다.[1][16] 처음에는 앞 중앙 여밈에서 왼쪽 여밈으로, 다시 오른쪽 여밈(우임)으로 바뀌었는데,[1] 이는 고대 중국 문화의 영향으로, 고구려 벽화에도 나타난다.[17][18][19][3] 오른쪽 여밈은 6세기 이후 표준이 되었다.[1]

고구려 벽화 속 남자 저고리는 곧은 깃에 허리까지 오는 길이에 소매가 좁았다. 허리띠로 여몄는데, 여밈 방향은 좌우 상관없이 다양했으며, 대부분 앞에서 여몄다. 무용총 무용도 그림에는 소매가 긴 특수한 형태도 있었다. 여자 저고리도 허리까지 오는 길이에 허리띠로 여몄고, 깃, 여밈, 부리, 도련에 다른 색깔의 선을 둘렀으며, 봉황, 거북 등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했다.

백제의 저고리는 고구려와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유(長襦)는 저고리와 포(두루마기) 사이의 중간 길이로, <주서>에서는 "부인의 의는 포와 유사하다"고 기록했다.

신라에서는 저고리를 위해(尉解)라고 불렀는데, 이는 신라어로 '웃옷'을 뜻했다. 당서에는 "부녀자는 장유(長襦)를 착용한다"고 기록되어, 고구려, 백제와 같은 형태의 장유를 착용했음을 알 수 있다.[26] 김춘추 시대 신라 지배 계급의 저고리는 당나라의 영향을 받았지만, 일반 백성들은 독자적인 스타일을 유지했다.[21]

삼국시대 저고리의 형태는 남북국시대와 고려 시대까지 이어져 큰 변화가 없었다. 고려 시대에는 저고리가 짧아지고 소매가 가늘어졌다.[7] '저고리'라는 용어는 고려 후기 충렬왕 시대에 등장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원경왕후의 천전의(遷奠儀)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 세종 시대 기록에는 적고리(赤古里)와 단적고리(短赤古里)가 언급되어 있다.[5][2] 그러나 이것이 한국어의 한자 음역인지, 몽골어의 영향인지는 불분명하다. 고려 이전 신라에서는 위해(尉解)라고 불렀으며,[6] 우티, 우치와 같은 방언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2][3][4]

4. 2. 조선시대

조선시대의 저고리는 오늘날의 저고리와 비슷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 시기 저고리는 구성 요소의 형태에 따라 종류가 구분되었는데, 깃의 형태에 따라 목판깃저고리, 칼깃저고리, 당코깃저고리 등으로 나뉘었다. 또한, 봉제 방법에 따라 물겹저고리, 깨끼저고리, 누비저고리가 있었고, 계절에 따라 홑저고리, 겹저고리, 솜저고리가 있었다. 장식적인 요소에 따라 반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 색동저고리, 까치저고리 등 다양한 형태의 저고리가 존재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저고리의 길이는 점차 짧아졌는데, 조선 말기에 그 절정을 이루었다. 겨드랑이 밑이 약 1cm 정도로 살이 드러날 정도였으며, 그마저도 없애는 경우도 있었다. 삼회장저고리가 이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데, 이후에는 다시 저고리의 길이가 길어졌다.[27]

16세기 여성의 저고리는 길고 넓어서 허리를 가렸으나, 점차 길이가 짧아졌다. 가슴을 가리기 위해 허리띠(heoritti)나 졸잇말(jorinmal)을 착용했는데, 이는 큰 가발과 치마와의 스타일을 맞추기 위한 것이었다.[12][22]

4. 3. 현대

현대 한국에서는 계층 간의 사치품 규제가 완화되면서 상류층 전용이었던 색상, 장식, 직물이 모든 계층에 개방되었다. 이는 다양한 전통 디자인 요소가 한복 스타일에서 발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20세기와 21세기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매일 한복을 착용하지는 않았다.[7] 한복은 예복이나 혼례복처럼 특별한 행사에 입는 옷으로 자리 잡았고,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7] 여성들은 약혼식에서는 분홍색 저고리를 입을 수 있다.[23] 결혼 후에는 쪽빛 저고리를 입을 수 있다.[23] 또한, 현대적인 실루엣은 역사적인 스타일보다 일반적으로 더 날씬하고 단순하다.[7][24]

5. 종류

전통적으로 저고리는 가죽, 모직, 비단, 삼베 또는 모시로 만들어졌다.[7][8][9] 현대 한국 디자이너들은 레이스와 같은 다른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7][10] 천, 봉제 기법, 모양에 따라 여러 종류의 저고리가 있다.[4][5]

; 적삼 (jeoksam영어)

: 덧옷(겹옷) 저고리와 대비되는 홑옷이다. 여름에 입는다.

; 당의 (dangui영어)

: 과거 귀부인들이 예복으로 입던 저고리. 앞뒤로 늘어진 옷자락이 특징이며, 치마저고리 위에 착용한다.

6. 갤러리

1910~1920년대 한국 어머니와 아이


판소리 공연 모습

참조

[1] 서적 Hanbok: Timeless Fashion Tradition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2021-02-02
[2] 웹사이트 저고리 https://web.archive.[...] Empas / EncyKorea
[3] 웹사이트 저고리 https://web.archive.[...] Doosan Encyclopedia
[4] 웹사이트 저고리 https://web.archive.[...] Empas / Britannica
[5] 웹사이트 Jeogori https://folkency.nfm[...]
[6] 웹사이트 太平御覽 : 四夷部二·東夷二 : 新羅 https://ctext.org/te[...]
[7]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Asia https://www.worldcat[...] Charles Scribner's Sons 2002
[8] 웹사이트 V&A · Jogakbo – traditional Korean patchwork https://www.vam.ac.u[...]
[9] 학술지 고대 한국의 복식 재료 : 가죽과 모직 https://academic.nav[...] 1998
[10] 웹사이트 Hanbok ensemble with black lace Yeonan Kim Clan jacket and cream skirt - Victoria & Albert Museum - Search the Collections http://m.vam.ac.uk/i[...]
[11] 웹사이트 Traditional clothing http://english.kbs.c[...] KBS World 2013-10-17
[12] 웹사이트 조선 여인 저고리 길이 300년간 2/3나 짧아져 http://news.chosun.c[...] 2019-09-06
[13] 논문 고대한국복식의 원류에 관한 연구 : 스키타이계 복식문화를 중심으로 http://dspace.ewha.a[...] 2021-02-06
[14] 학술지 스키타이 복식 유형 및 형태에 관한 연구,고대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https://www.koreasci[...] 2018
[15] 학술지 Empirical Review of the Scythian Origin Theory of Ancient Korean Costumes : Analysis of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rtifacts of the two Costume Types http://dx.doi.org/10[...] 2020-04-30
[16] 학술지 An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bok and Everyday(daily) Hanbok Focusing on the Basic Dress http://www.koreascie[...] 2001
[17] 서적 Uri ot kwa changsin'gu : Han'guk chŏnt'ong poksik, kŭ wŏnhyŏng ŭi mihak kwa silche https://www.worldcat[...] Yŏrhwadang 2003
[18] 서적 Traditional Korean costume https://www.worldcat[...] Global Oriental 2005
[19] 웹사이트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ogori's Structure and Changes of its Form -Focused on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to United Shilla Era https://www.research[...] 2005-01
[20] 서적 Costumes d'enfants : miroir des grands : Établissement public du musée des arts asiatiques Guimet, 20 octobre 2010-24 janvier 2011 https://www.worldcat[...] Réunion des musées nationaux 2010
[21] 논문 신라 복식의 변천과 그 배경 https://www.dbpia.co[...] 2014
[22] 웹사이트 저고리 http://encykorea.aks[...]
[23] 웹사이트 Jacket http://m.vam.ac.uk/i[...] 1992-05-09
[24] 서적 Encyclopedia of Clothing and Fashion Charles Scribner's Sons 2005
[25] 서적 広辞苑
[26] 서적 우리 옷 이천 년 미술문화 2008
[27] 서적 우리 옷 이천 년 미술문화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