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국 바사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 바사라'는 캡콤에서 제작한 액션 게임 시리즈로, 일본 전국 시대를 배경으로 다테 마사무네와 사나다 유키무라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2005년 플레이스테이션 2용으로 첫 작품이 출시된 이후, 다양한 플랫폼으로 시리즈가 이어져왔으며, 핵 앤 슬래시 방식을 기반으로 한 화려한 액션과 개성적인 캐릭터, 독특한 세계관으로 인기를 얻었다. 게임 외에도 애니메이션, 극장판, 무대, 드라마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확장되었으며, 서양에서는 '데빌 킹스'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으나, 현지화 과정에서 원작의 매력을 잃어 상업적으로는 부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 바사라 - Sailing free
    Sailing free는 베스트 앨범 "GREATEST HITS"의 선행 싱글 곡으로, TV 게임 '전국 바사라 BATTLE HEROES' 삽입곡으로 사용되었다.
  • 대전 액션 게임 - 뮤턴트 파이터
    뮤턴트 파이터는 1991년에 출시된 격투 게임으로, 8명의 캐릭터를 선택하여 1인용 및 2인 협동 모드로 플레이하며, 아케이드 버전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슈퍼 패미컴 버전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빅터 엔터테인먼트의 애니메이션 - 카드캡터 사쿠라
    《카드캡터 사쿠라》는 CLAMP의 만화 작품으로, 초등학생 소녀 키노모토 사쿠라가 크로우 카드를 모으는 이야기를 다루며, 만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 빅터 엔터테인먼트의 애니메이션 - 소닉 X
    소닉 X는 세가의 원안을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으로, 닥터 에그맨과 소닉 일행의 모험을 그리며, 1기에서는 인간 세계를 배경으로, 2기에서는 우주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전국 바사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게임 정보
제목Devil Kings (데빌 킹스)
원제(전국 바사라)
Devil Kings 게임 표지
북미판 표지
개발사캡콤
배급사캡콤
디렉터아키토시 요코야마
마코토 야마모토
프로듀서고바야시 히로유키
디자이너미츠루 엔도
프로그래머야스유키 사이토
아티스트마코토 츠치바야시 (캐릭터)
히로카즈 요네즈카 (배경)
히데아키 다나카 (시각 효과)
작가해당사항 없음
작곡가마사요시 이시
마리카 스즈키
시리즈센고쿠 바사라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2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장르핵 앤 슬래시
모드싱글 플레이어
엔진CRIWARE
출시일일본: 2005년 7월 21일
북미: 2005년 10월 11일
유럽: 2006년 2월 3일
호주: 2006년 2월 16일
PSN 출시일일본: 2013년 6월 19일

2. 시리즈

전국 바사라일본어 시리즈는 캡콤에서 제작한 액션 게임으로, 2005년 플레이스테이션 2용으로 첫 작품이 출시된 이후 다양한 플랫폼으로 발매되었다.

제목플랫폼발매일비고
전국 바사라PS22005년 7월 21일
전국 바사라 2PS22006년 7월 27일
전국 바사라 더블 팩PS22007년 7월 19일《전국 바사라》, 《전국 바사라 2》, 스페셜 영상 DVD 세트
전국 바사라 영웅외전PS22007년 11월 29일
전국 바사라 영웅외전 더블 팩Wii2007년 11월 29일Wii판 전국 바사라 2와 세트
전국 바사라 X아케이드, PS22008년 4월 9일 (아케이드), 2008년 6월 26일 (PS2)
전국 바사라 배틀 히어로즈PSP2009년 4월 9일
전국 바사라 3Wii, PS32010년 7월 29일
전국 바사라 크로니클 히어로즈PSP2011년 7월 21일
전국 바사라 3 연회Wii, PS32011년 12월 13일
전국 바사라 3 연회 더블 팩PS32012년 3월 15일PS3판 《전국 바사라 3》, 《전국 바사라 3 연회》 세트
전국 바사라 HD 컬렉션PS32012년 8월 30일
전국 바사라 트리플 팩PS32013년 3월 28일《전국 바사라 HD 컬렉션》, PS3판 《전국 바사라 3》, 《전국 바사라 3 연회》 합본
전국 바사라 4PS32014년 1월 23일
전국 바사라 4 스페셜 패키지PS32014년 7월 24일《전국 바사라 4》, 「플레이어 무장 전 해방 & 특별 의상 9종 세트」 DL 코드, 패키지판 한정 특전 영상 DVD
전국 바사라 4 황PS4, PS32015년 7월 23일
전국 바사라 4 황 ANNIVERSARY EDITIONPS42020년 7월 21일《전국 바사라 4 황》, 58종 DL 콘텐츠, 패키지판 특제 소책자
전국 바사라 열전 시리즈 사나다 유키무라전PS4, PS32016년 8월 25일


2. 1. 게임

일본센고쿠 시대를 배경으로 한 3인칭 시점의 일기당천 형 액션 게임이다.

코바야시 히로유키가 프로듀서를, 츠치바야시 마코토가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하였으며, 데빌 메이 크라이 제작진이 참여하여 일부 장수는 데빌 메이 크라이에 나왔던 무기를 사용한다.

각종 무대 및 인물 설정 등은 대담하게 어레인지되어 황당무계할 정도이다. 코바야시 히로유키는 코에이의 무쌍 시리즈를 자신들이 만들었다면 〈무쌍〉에 착안하여 게임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코바야시의 인터뷰에 의하면 이 시리즈는 '역사 게임이 아니라, 엄연한 캐릭터 게임으로서 만들어진, 그 중에서도 주인공인 마사무네와 유키무라는 당사(캡콤)의 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류와 켄과 같은 포지션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캡콤의 액션게임은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시리즈는 초보자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난이도가 낮춰져 있다.

다테 마사무네나 사나다 유키무라, 조소카베 모토치카 등 전국시대 무장들이 젊은 여성들에게 인기를 끌어 상품을 구입하거나 연고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하였다고 보도되었다. 캐치프레이즈는 "전장 채로 날려버려!"이다.

2005년 7월 21일에 첫 작품인 《전국 바사라》가 PS2로 발매된 이후, 다양한 후속작과 스핀오프 작품이 출시되었다.

제목플랫폼발매일비고
전국 바사라PS22005년 7월 21일
전국 바사라 2PS22006년 7월 27일
전국 바사라 더블 팩PS22007년 7월 19일《전국 바사라》, 《전국 바사라 2》, 스페셜 영상 DVD 세트
전국 바사라 영웅외전PS22007년 11월 29일
전국 바사라 영웅외전 더블 팩Wii2007년 11월 29일Wii판 전국 바사라 2와 세트
전국 바사라 X아케이드, PS22008년 4월 9일 (아케이드), 2008년 6월 26일 (PS2)
전국 바사라 배틀 히어로즈PSP2009년 4월 9일
전국 바사라 3Wii, PS32010년 7월 29일
전국 바사라 크로니클 히어로즈PSP2011년 7월 21일
전국 바사라 3 연회Wii, PS32011년 12월 13일
전국 바사라 3 연회 더블 팩PS32012년 3월 15일PS3판 《전국 바사라 3》, 《전국 바사라 3 연회》 세트
전국 바사라 HD 컬렉션PS32012년 8월 30일
전국 바사라 트리플 팩PS32013년 3월 28일《전국 바사라 HD 컬렉션》, PS3판 《전국 바사라 3》, 《전국 바사라 3 연회》 합본
전국 바사라 4PS32014년 1월 23일
전국 바사라 4 스페셜 패키지PS32014년 7월 24일《전국 바사라 4》, 「플레이어 무장 전 해방 & 특별 의상 9종 세트」 DL 코드, 패키지판 한정 특전 영상 DVD
전국 바사라 4 황PS4, PS32015년 7월 23일
전국 바사라 4 황 ANNIVERSARY EDITIONPS42020년 7월 21일《전국 바사라 4 황》, 58종 DL 콘텐츠, 패키지판 특제 소책자
전국 바사라 열전 시리즈 사나다 유키무라전PS4, PS32016년 8월 25일



PS2판에서는 □ 버튼이 일반 공격, × 버튼이 점프, ○ 버튼이 바사라 기술(무쌍 공격에 해당)로 무쌍 시리즈와 같지만, △ 버튼이 〈'''고유 기술'''〉이다. 고유 기술은 일반 공격보다 강력하며, 격투 게임의 필살기와 유사하다. 무장의 레벨을 올리면 사용할 수 있는 고유 기술이 증가한다. 스테이지 중에는 인터 미션에서 장비한 2 종류의 고유 기술 밖에 사용하지 못하지만, 반대로 장비한 고유 기술에 따라 무장의 특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적에게 데미지를 주거나, 플레이어가 데미지를 받거나 혹은 스테이지 중에 신수를 획득하면 바사라 게이지가 증가한다. 게이지가 가득차면, 캐릭터 고유의 〈'''바사라 기술'''〉을 사용하여 다수의 적에게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바사라 기술을 사용하는 중에는 무적 상태이며, 무장에 따라 추가 속성 데미지를 주거나 일시적으로 파워가 상승한다.

2. 1. 1. 전국 바사라 (1편)

일본센고쿠 시대를 배경으로 한 3인칭 시점의 일기당천 형 액션 게임이다.

코바야시 히로유키가 프로듀서를, 츠치바야시 마코토가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 데빌 메이 크라이 제작진이 참여하여 일부 장수는 데빌 메이 크라이에 나왔던 무기를 사용한다.

각종 무대 및 인물 설정 등은 대담하게 어레인지되어 황당무계할 정도이다. 코바야시 히로유키는 코에이의 무쌍 시리즈를 자신들이 만들었다면 〈무쌍〉에 착안하여 게임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코바야시의 인터뷰에 의하면 이 시리즈는 '역사 게임이 아니라, 엄연한 캐릭터 게임으로서 만들어진, 그 중에서도 주인공인 마사무네와 유키무라는 당사(캡콤)의 게임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류와 켄과 같은 포지션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캡콤의 액션게임은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시리즈는 초보자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난이도가 낮춰져 있다.[8]

같은 시리즈가 인기를 얻으면서 다테 마사무네, 사나다 유키무라, 조소카베 모토치카 등 전국시대 무장들이 젊은 여성들에게 인기를 끌어 상품을 구입하거나 연고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하였다고 보도되었다. 캐치프레이즈는 "전장 채로 날려버려!" 이다.

2009년 4월부터 같은 타이틀로 TV 애니메이션화되어 TBS계열 방송국에서 방송되었다.

'''캐릭터'''

이 작품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아래와 같다.

플레이어 무장상대편 무장



'''시스템'''

각 캐릭터마다 6개의 무기가 배정되어 있고, 최강 무기는 아라스톨(마사무네), 스파다(유키무라), 에보니(노히메) 등 데빌 메이 크라이에 등장하는 무기나, 하리센(노부나가), 바나나(란마루), 나이프와 포크(미츠히데), 꽃다발(켄신), 청새치(토시이에)라는 희한한 물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프닝이나 천하 통일 모드에서 나오는 CG무비는 《애플 시드》 등을 작업했던 디지털 프론티어가 담당하고 있다. 전국 바사라 2에서도 이어서 담당하였다.

전편에 걸쳐 츠치바야시 마코토가 계속 일러스트를 맡았다.

2. 1. 2. 전국 바사라 2

전작과의 차이점, 새로운 시스템, 스토리 모드 등을 설명한다.

'''캐릭터'''

이 작품에는 30명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플레이어 무장상대편 무장
쵸소카베 모토치카, 모리 모토나리, 마에다 케이지, 도요토미 히데요시, 타케나가 한베에, 미야모토 무사시 외 전작 16인도쿠가와 이에야스, 호죠 우지마사, 이마가와 요시모토, 카타쿠라 코쥬로, 후마 코타로, 아자이 나가마사, 오이치, 혼간지 겐뇨



'''스토리 모드'''

각 무장마다 5~6장의 시나리오가 설정된 새로운 요소이다. 시나리오 중간중간에 CG 무비가 삽입된다. (단, 무사시는 제외)

'''천하 통일 모드'''

적군을 쓰러뜨리면, 그 적이 통치하던 나라의 수에 따라 재보를 얻을 수 있다. 재보는 적 세력의 지배 토지 수가 많을수록 더 비싼 것을 얻을 수 있다. (그만큼 적이 강해진다.)

엔딩에서는 지금까지의 경과를 쓴 연표가 나온다.

천하 통일을 진행해 통치국을 늘려 가면, 그 소문을 듣고 미야모토 무사시가 난입해 올 때가 있다. 무사시에게는 고액의 포상금이 걸려 있어, 빨리 물리치면 시간에 따른 보너스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면 무사시가 얕보며 승부 자체가 무효가 된다.

2. 1. 3. 전국 바사라 2 영웅외전 (HEROES)

전작 '전국바사라 2'의 외전 격인 게임으로, 전작에 비해 8명의 캐릭터와 18개 스테이지가 추가되었다.
캐릭터이 작품에는 다음과 같은 31명의 캐릭터가 등장한다.

  • '''상대편 무장''': 마츠나가 히사히데

PS2판의 특징처음 플레이할 때 《2》의 플레이어 레벨, 무기, 방어구, 캐릭터 고유 아이템, 성장 아이템의 효과, 칭호를 인계할 수 있다. 다만, 게임을 시작한 후에는 새롭게 계승할 수 없다. 또한, 반대로 《영웅외전》의 데이터를 《2》에 반영하는 것도 할 수 없다.
스토리 모드카타쿠라 코쥬로, 아자이 나가마사, 오이치 3명에게 준비되어 있다. 전체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2》의 스토리 모드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외전스토리 모드《2》까지 그려지지 않았던 측면을 밝히는 모드이다. 전체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테 마사무네, 사나다 유키무라, 마에다 케이지, 후마 코타로, 쵸소카베 모토치카의 5명에게 준비되어 있다. 후마 코타로가 카타쿠라 코쥬로 등과 달리 이번 작품에 준비된 것은 《2》에서는 적군 무장이었기 때문에 스토리 모드가 아니라, 외전스토리 모드이다.

2. 1. 4. 전국 바사라 X (크로스)

아크 시스템 웍스에서 개발한 2D 대전형 격투 게임이다. 길티기어 시리즈로 유명한 개발사의 작품답게, 격투 게임으로서의 시스템과 특징이 돋보인다.

  • '''플레이어 캐릭터'''


기본 캐릭터 (아케이드 버전)PS2 추가 캐릭터
다테 마사무네, 사나다 유키무라, 마에다 케이지, 쵸소카베 모토치카, 모리 모토나리, 우에스기 켄신, 오이치,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혼다 타다카츠카타쿠라 코쥬로, 다케나카 한베



PS2판에서는 챌린지 모드, 성우진의 이벤트, 한정 애니메이션도 즐길 수 있다.


  • '''간단 모드''': 각 캐릭터별 지정된 필살기를 버튼 하나로 사용 가능하다.

  • '''원군 시스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테 마사무네에게는 카타쿠라 코쥬로, 사나다 유키무라에게는 사루토비 사스케다케다 신겐처럼, 플레이어 캐릭터와 역사적으로 깊은 관계를 가진 인물을 원군으로 부를 수 있다. 원군은 공격, 방어, 카운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플레이어를 지원한다.

  • '''일격 바사라 기술''': 게이지가 차면 길티기어 시리즈처럼, 상대를 한 번에 쓰러뜨릴 수 있는 강력한 기술을 발동할 수 있다.

2. 1. 5. 전국 바사라 배틀 히어로즈


  • 주된 전투 시스템은 2인 1조로 팀을 이루어 2 대 2로 싸우는 팀 배틀 방식이다. 애드훅 모드를 이용하면 2명에서 4명까지 함께 플레이할 수 있다.
  • 캐릭터는 전국 바사라 2에 등장했던 30명을 이용할 수 있다.
  • 이 작품에서 승패는 아군과 적군의 전력을 나타내는 전력 게이지에 따라 결정된다. 자신이나 아군이 전투 불능 상태가 되어 복귀할 때마다 전력 게이지가 줄어드는데, 아군의 게이지가 모두 소진되기 전에 적군의 게이지를 0으로 만들면 승리한다. 이는 같은 회사에서 개발한 《기동전사 건담 vs.시리즈》와 비슷한 시스템이다.
  • 적에게 피해를 주거나 자신이 피해를 입으면 전극 드라이브 게이지가 쌓인다. 게이지가 가득 차면 일시적으로 능력이 향상되는 전극 드라이브를 발동시킬 수 있는데, 이는 《건담 vs.시리즈》의 〈각성〉과 유사하다. 전극 드라이브를 통해 향상되는 능력은 스피드, 파워, 방어의 세 종류이다.

2. 1. 6. 전국 바사라 3

캡콤에서 개발한 플레이스테이션 3, Wii액션 게임이다. 2010년 7월 29일에 발매되었다.[1] 전국 바사라 2 이후 약 4년 만에 발매되는 정식 넘버링 타이틀로, 오다 군·도요토미 군이 멸망한 후의 난세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세키가하라 전투를 중심으로 그려진다.[1]

'''등장 캐릭터'''[1]

플레이어 무장상대편 무장


2. 1. 7. 전국 바사라 크로니클 히어로즈

전국 바사라 크로니클 히어로즈는 이전 작품들의 스토리를 플레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1. 8. 전국 바사라 3 연

캐치 카피는 "'''베일 수 없는, 인연. 베어 싸우는, 운명.'''"이다.

  • 주요 전투 시스템은 2인 1조로 2대2 팀 배틀을 벌이는 방식이다. 애드혹 모드를 지원하여 2~4명이 함께 플레이할 수 있다.
  • 플레이어 캐릭터는 전국 바사라 2 영웅외전(HEROES)과 같이 30명이다. 마츠나가 히사히데는 이번 작품에서도 적 무장으로만 등장한다.
  • 플레이어 캐릭터 30명에게는 각각 6장 분량의 "스토리 모드"가 주어지며, 다테 마사무네, 사나다 유키무라, 마에다 케이지를 중심으로 한 "미션 모드"도 즐길 수 있다.
  • 아군과 적군의 전력을 나타내는 '''전력 게이지'''가 승패를 좌우한다. 자신이나 아군이 전투 불능이 되어 부활하면 전력 게이지가 줄어들며, 아군의 게이지가 모두 소진되기 전에 적군의 게이지를 0으로 만들면 승리한다.
  • 적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자신이 피해를 받으면 전국 드라이브 게이지가 쌓이고, 가득 차면 '''전국 드라이브'''를 발동하여 일시적으로 능력치를 높일 수 있다. 스피드, 파워, 방어 능력의 세 가지 능력이 향상된다.
  • 당시 기동전사 건담 vs. 시리즈의 개발사가 캡콤이었기 때문에, 여러 시스템이 유사하다.

2. 1. 9. 전국 바사라 HD 컬렉션



'''전국 바사라 3'''는 캡콤에서 발매한 플레이스테이션 3 및 Wii용 게임으로, '전국 바사라 2' 이후 약 4년 만에 출시된 정식 후속작이다.

'전국 바사라 3'의 캐치프레이즈는 "흩날려라, 숙명의 결전으로.", "이런 세키가하라, 본 적 없을 거야!"이다.
스토리오다 군도요토미 군이 멸망한 후의 혼란스러운 시대,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이시다 미츠나리를 중심으로 한 세키가하라 전투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캐릭터'전국 바사라 3'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는 새롭게 등장하는 캐릭터)

  • 지방 영주
  • 난부 하루마사, 사타케 요시시게, 우츠노미야 히로츠나, 아네코지 요리츠나, 아마고 하루히사, 나오에 카네츠구


이전 작품에 등장했던 일부 캐릭터는 이번 작품에서 적 무장(NPC)으로 등장하거나 등장하지 않는다.
시스템

  • '전국 바사라 2'까지 사용되던 전국 드라이브 대신, 전각 부스트를 발동할 수 있다. 적 무장을 격파하거나 진지를 점령하면 부스트 게이지가 쌓인다. 발동 시 일정 시간 동안 적의 움직임이 느려지거나, 적에게서 얻는 돈이나 경험치가 증가한다. 부스트 중에 5명을 격파할 때마다 지속 시간이 2초씩 늘어난다.
  • 진지가 새롭게 맵에 추가되었다. 진지는 적 군세의 강함에 영향을 주는데, 적 군세가 진지를 많이 보유할수록 적 무장이 강해진다. 적 진지에 있는 진 대장을 쓰러뜨리면 아군 진지로 만들 수 있다.
  • 고유 기술 발동 방식이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2종류의 고유 기술을 선택하여 전환하는 방식이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4종류의 고유 기술(PS3판 기준 △ 버튼, R1, △+↑, △+L1에 각각 할당)을 항상 사용할 수 있다.
  • 고유 기술 외에, 선택 가능한 고유 오의 1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고유 오의는 강력한 공격 기술 외에 전투 스타일 변화, 스테이터스 일시 강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영웅 외전' 이전의 고유 기술 중 일부가 이행되기도 했다.)
  • '영웅 외전'까지는 아이템을 장비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번 작품에서는 장비 중인 무기에 장비를 붙여 강화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방어구는 사라졌다.
  • 바사라 상점에서 돈으로 아이템을 구매하는 방식에서, 각 전장의 보물 상자에서 얻는 고장 자원이나 전투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얻는 실적 자원과 돈을 사용하여 장비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전투에 도움을 주는 동료 무장을 임의로 데려갈 수 있다. 동료 무장은 전국 드라마 그림 두루마리의 특정 루트를 완료하면 얻을 수 있다.
  • 바사라 피버 중에 500Hits를 달성하면, 슈퍼 바사라 피버로 돌입한다.

전국 드라마 그림 두루마리'전국 바사라 2'의 스토리 모드와 천하 통일 모드를 결합한 새로운 모드다. 각 플레이어 무장에게 시나리오가 주어지며, 이전의 일방통행식 스토리와 달리 여러 갈래의 진군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 루트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가 달라지며, 각 무장마다 여러 개의 엔딩이 존재한다.

2. 1. 10. 전국 바사라 4

戦国BASARA4일본어는 전국 창세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새로운 시스템과 캐릭터가 추가되었다.[33]

2. 1. 11. 전국 바사라 4 황

이 작품에서는 『3』에 다양한 신규 추가 요소와 변경점이 더해졌다.

; 시스템

  • 『3』에서 새롭게 도입된 '''전각 부스트'''에 더해, 『영웅 외전』까지의 '''전극 드라이브'''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전극 드라이브는 무장의 레벨에 상관없이 항상 3단계까지 스톡 가능하다.
  • 궁극을 넘는 '''난이도 「바사라」'''를 선택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캐릭터 레벨의 한계 (Lv.MAX)가 Lv.100에서 200으로 인상되었다.
  • 『3』의 플레이어 무장 16명에게 각각 새로운 고유 기술이나 세부적인 성능 조정이 더해졌다.
  •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모드에서 2인 플레이, '''태그 모드''' (플레이 중에 플레이어 무장과 선택한 동료 무장을 교대로 조작할 수 있음)가 가능해졌다.
  • 바사라 상점이 『영웅 외전』까지의 소전으로 아이템을 구매하는 사양으로 돌아왔으며, 고장 자원은 바사라 상점에서 살 수 있는 스테이터스 업 상품이 되었다. 또한 『3』에서는 표시되지 않던 무기 레벨이 부활. 실적 자원은 장착 중인 무기를 강화하는 것이 되었다.
  • 바사라 복권이 '''바사라 복권'''으로 명칭을 바꿔 부활. 복권을 사용하지 않으면 획득할 수 없는 아이템도 존재한다.


; 스토리 모드

: 마츠나가 히사히데, 카타쿠라 코쥬로, 사루토비 사스케, 코바야카와 히데아키, 텐카이, 모가미 요시아키, 타치바나 무네시게, 오오토모 소린 8명에게 준비되어 있다. 총 3장 구성. 『3』에서의 전국 드라마 그림에 수록되었던 시나리오는 미수록.

2. 1. 12. 전국 바사라 열전 시리즈 사나다 유키무라전

플레이스테이션 3로 발매된 전국 바사라 HD 컬렉션은 『1』, 『2』, 『영웅외전』을 HD 리마스터화하여 한 장에 수록한 작품이다.

  • 각 작품의 무장, 전장, 의상, 고유 기술을 모두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숨겨진 요소 해제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 『2』와 『영웅외전』은 Wii판과 마찬가지로 세이브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 『2』의 오프닝 곡은 변경되어, 이번 작품에서는 『HD』 자체의 주제가인 「WE aRE」가 흐른다.
  • 영상 특전으로 다테 마사무네의 이미지 영상, 「BSR48 총선거 48무장 공약 PV」, 엑스 트루퍼즈의 PV가 수록되어 있다.
  • 초회 동봉 특전으로 『브라우저 전국 바사라』 한정 카드 시리얼 코드, 『전국 바사라 카드 히어로즈』 한정 카드 시리얼 코드가 부속되어 있다. 또한, 수량 한정 특전으로 드라마 CD 「전국 바사라 제1회 BSR48 선발 총선거 드라마 CD Soul revolution」이 부속되었다. 이 드라마 CD에는 『연회』에 부속되었던 투표권에 의한 인기 투표로 결정된 「제1회 BSR48 선발 총선거」의 선발 무장들이 출연한다.

2. 1. 13. 전국 바사라 배틀 파티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전국 바사라 배틀 파티'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원본 소스는 '전국 바사라 4'에 대한 내용이다.

2. 2. 기타 미디어 믹스

일본센고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액션 게임인 《전국 바사라》 시리즈는 게임 외에도 애니메이션, 무대, 드라마, 다카라즈카 가극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다.

2009년 4월부터 TV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시작하여, 2010년까지 2기, 2014년에 3기가 방영되었다.[81] 2011년 6월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개봉되어 시리즈의 완결편을 다루었다.

무대는 2009년부터 여러 차례 공연되었으며,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2013년에 공연을 올렸다.[1] 2012년에는 TV 드라마가 방영되었고, GACKT가 오다 노부나가 역으로 출연하여 화제를 모았다.[82]

이처럼 《전국 바사라》는 게임, 애니메이션, 무대, 드라마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2. 2. 1. TV 애니메이션

전국 바사라일본어의 TV 애니메이션은 다음과 같이 방영되었다.

  • 2009년 4월부터 6월까지 제1기, 2010년 7월부터 9월까지 제2기가 TBS 계열에서 전 12화로 방영되었다. 주부닛폰방송(CBC)·마이니치 방송(MBS)이 공동 제작한 첫 심야 애니메이션이다.[81]
  • 2014년 7월부터 9월까지 제3기 전국 바사라 Judge End일본어NTV 계열에서 방영되었다.


성우진은 다음과 같다.

배역성우
다테 마사무네나카이 카즈야
사나다 유키무라호시 소이치로
카타쿠라 코쥬로모리카와 토시유키
다케다 신겐겐다 텟쇼
사루토비 사스케코야스 타케히토
우에스기 켄신박로미
카스가쿠와타니 나츠코
마에다 케이지모리타 마사카즈
마에다 토시이에츠보이 토모히로
마쓰카이다 유코
도쿠가와 이에야스오오카와 토오루
호죠 우지마사미야자와 타다시
이마가와 요시모토시오야 코조
시마즈 요시히로오가타 켄이치
쵸소카베 모토치카이시노 류조
모리 모토나리나카하라 시게루
아자이 나가마사츠지타니 코지
오이치(오이치노 가타)노토 마미코
마츠나가 히사히데후지와라 케이지
노히메히노 유리카
모리 란마루시모와다 히로키
아케치 미츠히데하야미 쇼
오다 노부나가와카모토 노리오
나레이션와타나베 히데오
나오에 카네츠구이마루오카 아츠시



; 전국 바사라 1기


  • 오프닝 테마: 〈JAP〉 (abingdon boys school)
  • 엔딩 테마: 〈Break & Peace〉 (DUSTZ)
  • 엔딩 테마 (제13화): 〈dear sunshine〉 (DAIGO☆STARDUST)
  • 삽입곡: 〈Unravel〉 (제6화) (DAIGO☆STARDUST), 〈낙루〉 (제6화) (이시카와 치아키)


; 전국 바사라 2기

  • 오프닝 테마: 〈SWORD SUMMIT〉 (T.M.Revolution)
  • 엔딩 테마 (제1화 - 제6화): 〈El Dorado〉 (Angelo)
  • 엔딩 테마 (제7화 - 제11화): 〈FATE〉 (Angelo)
  • 엔딩 테마 (제12화): 〈SWORD SUMMIT〉 (T.M.Revolution)
  • 삽입곡: 〈눈물샘〉 (제3화) (이시카와 치아키), 〈양보할 수 없는 생각〉 (제12화) (May`n)


; 전국 바사라 Judge End

  • 오프닝 테마: 〈Thunderclap〉 (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
  • 엔딩 테마: 〈북극성 ~폴라리스〉 (MATERIAL WORLD)

2. 2. 2. 극장판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제2기 최종회 후 극장판 제작이 발표되었다. 2011년 6월 4일에 개봉하였다.

'''스태프'''

  • 원작: 캡콤 (「전국 바사라」 시리즈)
  • 원작 감수: 고바야시 히로유키, 야마모토 마코토
  • 감독: 노무라 카즈야
  • 각본: 무토 야스유키
  • 캐릭터 원안: 츠치바야시 마코토 / 캡콤
  • 캐릭터 디자인 · 총 작화 감독: 오오쿠보 토오루
  • 애니메이션 제작: Production I.G
  • 배급: 쇼치쿠
  • 제작: TEAM BASARA (쇼치쿠, 포니 캐년, Production I.G, 무빅, 덴츠, flying DOG, 마이니치 방송)


'''등장인물(성우)'''



'''주제가'''


  • 오프닝 테마: FLAGS
  • 엔딩 테마: The party must go on

2. 2. 3. 무대

모리 란마루: 시이나 타이조
아케치 미쓰히데: 타니구치 켄지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22010년 4월 9일 - 4월 18일선샤인 극장쿠보타 유키호소가이 케이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노히메: 나가사와 나오
모리 란마루: 시이나 타이조
아케치 미쓰히데: 타니구치 켄지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3오사카: 2011년 10월 14일 - 10월 16일
도쿄: 2011년 10월 23일 - 10월 30일오사카: 이온 화장품 시어터 BRAVA!
도쿄: 도쿄 돔 시티 시어터 G 로소쿠보타 유키호소가이 케이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쓰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조소카베 모토치카: 토타니 키미토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구로다 간베에: 시라카와 유지로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미야시타 유야
오타니 요시쓰구: 무라타 마사카즈
아마미: 타니구치 켄지
사이카 마고이치: 야마자키 마미
쓰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4도쿄: 2012년 5월 11일 - 5월 15일
오사카: 2012년 5월 19일 - 5월 20일
아이치: 2012년 6월 2일 - 6월 3일도쿄: 르 테아트 긴자
오사카: 이온 화장품 시어터 BRAVA!
아이치: 주니치 극장쿠보타 유키호소가이 케이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다케나카 한베에: 사키모토 히로미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다이 료헤이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쓰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다케다 신겐: 나카무라 카즈토
우에스기 겐신: AKIRA
가스가: 치넨 사야카
마에다 도시이에: 마사오
마쓰: 벳푸 아유미5도쿄: 2012년 11월 2일 - 11월 11일
오사카: 2012년 11월 16일 - 11월 18일도쿄: 도쿄 돔 시티 홀
오사카: 이온 화장품 시어터 BRAVA!쿠보타 유키호소가이 케이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조소카베 모토치카: 하마오 쿄스케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쓰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쓰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아마미: 타니구치 켄지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미야시타 유야
오타니 요시쓰구: 닛타 켄타
다치바나 무네시게: 카토 야스히사
오토모 소린: 아사쿠라 유타6후쿠오카: 2013년 4월 26일 - 4월 28일
아이치: 2013년 5월 2일 - 5월 4일
도쿄: 2013년 5월 10일 - 5월 19일
오사카: 2013년 5월 23일 - 5월 26일후쿠오카: 캐널시티 극장
아이치: 주니치 극장
도쿄: 일본청년관 대홀
오사카: 모리노미야 필로티 홀쿠보타 유키호소가이 케이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마쓰나가 히사히데: 마츠다 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쓰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쓰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다케다 신겐: 나카무라 카즈토
우에스기 겐신: AKIRA
모가미 요시아키: 이마이 야스히코
후마 고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이마가와 요시모토: 츠카모토 타쿠야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아마미(아케치 미쓰히데): 타니구치 켄지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
오이치: 타마키 나미7도쿄: 2013년 11월 1일 - 11월 10일
아이치: 2013년 11월 15일 - 11월 17일
오사카: 2013년 11월 22일 - 11월 24일도쿄: 도쿄 돔 시티 홀
아이치: 주니치 극장
오사카: 메르파르크 오사카타키가와 에이지요시오카 유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이시다 미쓰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다케나카 한베에: 카와스미 비신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다이 료헤이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구로다 간베에: 시라카와 유지로
우에스기 겐신: AKIRA
가스가: 치넨 사야카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후마 고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오타니 요시쓰구: 닛타 켄타
호조 우지마사: 야마모토 타케시
이쓰키: 사카이 란
미요시 세 인방 맏형: 카네다 신이치
미요시 세 인방 차남: 엔도 마코토
미요시 세 인방 삼남: 시라사키 세이야
주제가: "파랑 중의 파랑", "전야" 이시카와 치아키8도쿄: 2014년 4월 25일 - 5월 6일
아이치: 2014년 5월 10일 - 5월 11일
오사카: 2013년 5월 15일 - 5월 18일도쿄: EX THEATER ROPPONGI
아이치: 주니치 극장
오사카: 시어터 BRAVA!타키가와 에이지요시오카 유, 마츠무라 류노스케(W 캐스트)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쓰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조소카베 모토치카: 야가미 렌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구로다 간베에: 요코야마 마사후미
아마미: 타니구치 켄지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미야시타 유야
후마 고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오타니 요시쓰구: 닛타 켄타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쓰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미요시 세 인방 맏형: 카네다 신이치
미요시 세 인방 차남: 엔도 마코토
미요시 세 인방 삼남: 시라사키 세이야
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마에다 도시이에: 마사오
마쓰: 벳푸 아유미9도쿄: 2014년 10월 31일 - 11월 9일
후쿠오카: 2014년 11월 22일 - 11월 24일
오사카: 2014년 11월 27일 - 11월 30일
나고야: 2014년 12월 5일 - 12월 7일도쿄: 도쿄 돔 시티 홀
후쿠오카: 캐널시티 극장
오사카: 모리노미야 필로티 홀
나고야: 주니치 극장야마구치 다이치마츠무라 류노스케요시다 토모카즈무라타 요지로이시다 미쓰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시마 사콘: 카토 케이스케
시바타 가쓰이에: 후지타 레이
오타니 요시쓰구: 닛타 켄타
후마 고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
아케치 미쓰히데: 타니구치 켄지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오이치: 타마키 나미
아시카가 요시테루: 아마노 코세이102015년 8월 20일 - 8월 30일AiiA2.5 시어터 Tokyo야마구치 다이치마츠무라 류노스케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아케치 미쓰히데: 타니구치 켄지
단테: 스즈키 히로키
버질: 난바 쇼헤이
레이디: 시바 코노나
트리쉬: 시나토 루키
흑기사: 요시다 토모카즈11도쿄: 2016년 1월 21일 - 1월 31일
오사카: 2016년 2월 5일 - 2월 7일도쿄: Zepp 블루 시어터 롯폰기
오사카: 산케이 홀 브리제시오노 아키히사마츠무라 류노스케이노우에 마사히로시이나 타이조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조소카베 모토치카: 시라마타 아츠시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후마 고타로: 스에노 타쿠마
쓰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사이카 마고이치: 마모루 아사나
시바타 가쓰이에: 후지타 레이
센노 리큐: 쥬리
마쓰나가 히사히데: 마츠다 켄지12도쿄: 2016년 7월 1일 - 7월 10일
오사카: 2016년 7월 16일 - 7월 18일도쿄: Zepp 블루 시어터 롯폰기
오사카: 우메다 예술 극장시오노 아키히사마츠무라 류노스케이노우에 마사히로시이나 타이조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시마 사콘: 사이토 슈스케
조소카베 모토치카: 시라마타 아츠시
아케치 미쓰히데: 타니구치 켄지
우에스기 겐신: AKIRA
사이카 마고이치: 마모루 아사나
센노 리큐: 쥬리
고토 마타베: 시오자키 아이루
오다 노부나가: 카라하시 미츠루13도쿄: 2017년 2월 3일 - 2월 12일
오사카: 2017년 2월 17일 - 2월 19일도쿄: 덴노즈 은하 극장
오사카: 우메다 예술 극장마시마 슈토마츠무라 류노스케이노우에 마사히로(영상 출연)시이나 타이조도쿠가와 이에야스: 나카오 켄야
이시다 미쓰나리: 오키노 코지
조소카베 모토치카: 시라마타 아츠시
후마 고타로: 스에노 타쿠마
오타니 요시쓰구: 오야마 마사시
이이 나오토라: 카와무라 유이
사이카 마고이치: 마모루 아사나
고토 마타베: 시오자키 아이루
구로다 간베에: 이토 유이치
마쓰나가 히사히데: 마츠다 켄지


2. 2. 4. 다카라즈카 가극

2013년 6월 15일부터 7월 1일까지 도큐 시어터 오브에서 공연되었다.[1]

배역배우
사나다 유키무라란쥬 토무
이노리란노 하나
우에스기 겐신아스미 리오
야마모토 간스케타카쇼 미즈키
다케다 신겐하나가타 히카루
다테 마사무네하루카제 미사토
사나다 마사유키츠키오 카즈사
사루토비 사스케노조미 후토
유메메부키 유키나
오야마다 노부시게사에즈키 루나
우사미 사다미쓰오오토리 마유
나오에 가네쓰구타이가 린
가스가오사키 아야카
사스케코토카 치노
유키무라(소년)하루히 우라라


2. 2. 5. 텔레비전 드라마

마이니치 방송에서 2012년 7월 12일부터 9월 20일까지, BS-TBS에서 같은 해 9월 4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각각 방송되었다. 하야시 켄토와 타케다 코헤이가 공동 주연을 맡았으며[82], 무대판에 출연했던 나가사와 나오와 시이나 타이조는 같은 역할로 출연한다. 오다 노부나가 역의 GACKT는 이 작품이 민방 연속 드라마 첫 고정 출연이다.

'''등장인물'''

다테 마사무네하야시 켄토
사나다 유키무라타케다 코헤이
가타쿠라 고주로토쿠야마 히데노리
사루토비 사스케이자와 유키
우에스기 겐신아리스에 마유코
가스가오치아이 쿄코
노히메나가사와 나오
아케치 미쓰히데히구치 유키
모리란마루시이나 타이조
다케다 신겐이와나가 히로아키
오다 노부나가GACKT
나레이터하쿠젠 사토시



'''주제가'''



텔레비전 드라마 판의 영상을 바탕으로 TV 미방송 비화를 추가하고 드라마 전 9화를 재편집한 극장판 리믹스 버전이 제작되었다. 2012년 11월 24일부터 시네 리브르 이케부쿠로(도쿄)에서, 2012년 12월 15일부터 극장 우메다(오사카)에서 공개되었다.

3. 등장인물

다음은 전국 바사라의 주요 등장인물과 성우 정보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전국 바사라의 등장인물 항목을 참고.

인물성우
다테 마사무네나카이 카즈야
사나다 유키무라호시 소이치로
마에다 케이지모리타 마사카즈
초소카베 모토치카이시노 류조
모리 모토나리나카하라 시게루
카타쿠라 코주로모리카와 토시유키
아자이 나가마사츠지타니 코지
오이치노토 마미코
후마 코타로음성 없음
오다 노부나가와카모토 노리오
노히메히노 유리카
모리 란마루시모와다 히로키
아케치 미츠히데하야미 쇼
도요토미 히데요시오키아유 료타로
타케나카 한베에이시다 아키라
다케다 신겐겐다 텟쇼
우에스기 겐신박로미
사루토비 사스케코야스 타케히토
카스가쿠와타니 나츠코
마에다 토시이에츠보이 토모히로
마츠카이다 유코
시마즈 요시히로오가타 켄이치
혼다 타다카츠음성 없음
도쿠가와 이에야스오오카와 토오루
이츠키카와카미 토모코
자비시오야 코조
혼간지 겐뇨츠지 신파치
호조 우지마사미야자와 타다시
이마가와 요시모토시오야 코조
미야모토 무사시나미카와 다이스케
마츠나가 히사히데후지와라 케이지
이시다 미츠나리세키 토모카즈
오오타니 요시츠구타치키 후미히코
쿠로다 칸베에고야마 리키야
사이카 마고이치오오하라 사아카
츠루히메고시미즈 아미
나레이션와타나베 히데오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및 극장판 성우
인물성우
다테 마사무네나카이 카즈야
사나다 유키무라호시 소이치로
카타쿠라 코쥬로모리카와 토시유키
다케다 신겐겐다 텟쇼
사루토비 사스케코야스 타케히토
우에스기 겐신박로미
카스가쿠와타니 나츠코
마에다 케이지모리타 마사카즈
마에다 토시이에츠보이 토모히로
마츠카이다 유코
도쿠가와 이에야스오오카와 토오루
호조 우지마사미야자와 타다시
이마가와 요시모토시오야 코조
시마즈 요시히로오가타 켄이치
쵸소카베 모토치카이시노 류조
모리 모토나리나카하라 시게루
아자이 나가마사츠지타니 코지
오이치노토 마미코
마츠나가 히사히데후지와라 케이지
노히메히노 유리카
모리 란마루시모와다 히로키
아케치 미츠히데하야미 쇼
오다 노부나가와카모토 노리오
나레이션와타나베 히데오
나오에 카네츠구이마루오카 아츠시
이시다 미츠나리세키 토모카즈
오오타니 요시츠구타치키 후미히코
유메키치쿠와타니 나츠코
모가미 요시아키시라토리 테츠
도요토미 히데요시오키아유 료타로
고바야카와 히데아키후쿠야마 쥰
아마미하야미 쇼
요시나오엔도 다이스케
사마노스케토쿠모토 유키토시
분시치로콘노 쥰
마고베에사카마키 미츠히로
병사사카마키 마나부, 마츠모토 시노부, 오다가키 유타, 다지리 히로아키, 오자와 카즈히토, 테라모토 미츠키
마을 주민엔도 사야카, 아이자와 유리카



; 극장판 오프닝 테마: FLAGS

; 극장판 엔딩 테마: The party must go on

'''무대'''

무대 공연 정보
공연일주요 출연진
2009년 7월 3일 - 7월 12일 (도쿄 돔 시티 시어터 G 로소)다테 마사무네: 쿠보타 유키, 사나다 유키무라: 가타오카 신와,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노히메: 나가사와 나오, 모리 란마루: 시이나 타이조, 아케치 미츠히데: 타니구치 켄지,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
2010년 4월 9일 - 4월 18일(선샤인 극장)다테 마사무네: 쿠보타 유키, 사나다 유키무라: 호소가이 케이,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노히메: 나가사와 나오, 모리 란마루: 시이나 타이조, 아케치 미츠히데: 타니구치 켄지,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츠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다테 마사무네: 쿠보타 유키, 사나다 유키무라: 호소가이 케이, 조소카베 모토치카: 토타니 키미토,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구로다 간베에: 시라카와 유지로,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미야시타 유야, 오오타니 요시츠구: 무라타 마사카즈,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아마미: 타니구치 켄지, 사이카 마고이치: 야마자키 마미, 츠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다케나카 한베에: 사키모토 히로미,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다이 료헤이, 다테 마사무네: 쿠보타 유키, 사나다 유키무라: 호소가이 케이,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츠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다케다 신겐: 나카무라 카즈토, 우에스기 겐신: AKIRA, 카스가: 치넨 사야카, 마에다 토시이에: 마사오, 마츠: 벳푸 아유미
조소카베 모토치카: 하마오 쿄스케,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츠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다테 마사무네: 쿠보타 유키, 사나다 유키무라: 호소가이 케이,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츠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아마미: 타니구치 켄지,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미야시타 유야, 오오타니 요시츠구: 닛타 켄타, 다치바나 무네시게: 카토 야스히사, 오토모 소린: 아사쿠라 유타
마츠나가 히사히데: 마츠다 켄지, 다테 마사무네: 쿠보타 유키, 사나다 유키무라: 호소가이 케이,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츠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츠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다케다 신겐: 나카무라 카즈토, 우에스기 겐신: AKIRA, 모가미 요시아키: 이마이 야스히코, 후마 코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이마가와 요시모토: 츠카모토 타쿠야,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아마미(아케치 미츠히데): 타니구치 켄지,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 오이치: 타마키 나미
주제가: "파랑 중의 파랑」「전야」이시카와 치아키, 이시다 미츠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다테 마사무네: 타키가와 에이지, 사나다 유키무라: 요시오카 유,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다케나카 한베에: 카와스미 비신,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다이 료헤이,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구로다 간베에: 시라카와 유지로, 우에스기 겐신: AKIRA, 카스가: 치넨 사야카,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후마 코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오오타니 요시츠구: 닛타 켄타, 호조 우지마사: 야마모토 타케시, 이쓰키: 사카이 란, 미요시 세 인방 맏형: 카네다 신이치, 미요시 세 인방 차남: 엔도 마코토, 미요시 세 인방 삼남: 시라사키 세이야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이시다 미츠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다테 마사무네: 타키가와 에이지, 사나다 유키무라: 요시오카 유/마츠무라 류노스케(W 캐스트),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조소카베 모토치카: 야가미 렌,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구로다 간베에: 요코야마 마사후미, 아마미: 타니구치 켄지,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미야시타 유야, 후마 코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오오타니 요시츠구: 닛타 켄타, 사이카 마고이치: 야시로 미나세, 츠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미요시 세 인방 맏형: 카네다 신이치, 미요시 세 인방 차남: 엔도 마코토, 미요시 세 인방 삼남: 시라사키 세이야, 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마에다 토시이에: 마사오, 마츠: 벳푸 아유미
이시다 미츠나리: 나카무라 세이지로,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로세 유스케, 시마 사콘: 카토 케이스케, 시바타 가쓰이에: 후지타 레이, 다테 마사무네: 야마구치 다이치, 사나다 유키무라: 마츠무라 류노스케, 카타쿠라 고주로: 요시다 토모카즈, 사루토비 사스케: 무라타 요지로, 오오타니 요시츠구: 닛타 켄타, 후마 코타로: 타카하시 히카루, 오다 노부나가: 쿠보데라 아키라, 아케치 미츠히데: 타니구치 켄지,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오이치: 타마키 나미, 아시카가 요시테루: 아마노 코세이
2015년 8월 20일 - 8월 30일 (AiiA2.5 시어터 Tokyo)다테 마사무네: 야마구치 다이치, 사나다 유키무라: 마츠무라 류노스케, 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아케치 미츠히데: 타니구치 켄지, 단테: 스즈키 히로키, 버질: 난바 쇼헤이, 레이디: 시바 코노나, 트리쉬: 시나토 루키, 흑기사: 요시다 토모카즈
다테 마사무네: 시오노 아키히사, 사나다 유키무라: 마츠무라 류노스케, 카타쿠라 고주로: 이노우에 마사히로, 사루토비 사스케: 시이나 타이조, 모리 모토나리: 코타니 요시카즈, 조소카베 모토치카: 시라마타 아츠시, 아사이 나가마사: 사쿠라다 코세이, 후마 코타로: 스에노 타쿠마, 츠루히메: 카와무라 유키에, 사이카 마고이치: 마모루 아사나, 시바타 가쓰이에: 후지타 레이, 센노 리큐: 쥬리, 마츠나가 히사히데: 마츠다 켄지
다테 마사무네: 시오노 아키히사, 사나다 유키무라: 마츠무라 류노스케, 카타쿠라 고주로: 이노우에 마사히로, 사루토비 사스케: 시이나 타이조, 마에다 케이지: 이사카 타츠야, 시마 사콘: 사이토 슈스케, 조소카베 모토치카: 시라마타 아츠시, 아케치 미츠히데: 타니구치 켄지, 우에스기 겐신: AKIRA, 사이카 마고이치: 마모루 아사나, 센노 리큐: 쥬리, 고토 마타베: 시오자키 아이루, 오다 노부나가: 카라하시 미츠루
도쿠가와 이에야스: 나카오 켄야, 이시다 미츠나리: 오키노 코지, 다테 마사무네: 마시마 슈토, 사나다 유키무라: 마츠무라 류노스케, 사루토비 사스케: 시이나 타이조, 조소카베 모토치카: 시라마타 아츠시, 후마 코타로: 스에노 타쿠마, 오오타니 요시츠구: 오야마 마사시, 이이 나오토라: 카와무라 유이, 사이카 마고이치: 마모루 아사나, 고토 마타베: 시오자키 아이루, 구로다 간베에: 이토 유이치, 마츠나가 히사히데: 마츠다 켄지, 카타쿠라 고주로: 이노우에 마사히로(영상 출연)
2013년 6월 15일 - 7월 1일 (도큐 시어터 오브)사나다 유키무라: 란쥬 토무, 이노리: 란노 하나, 우에스기 겐신: 아스미 리오, 야마모토 간스케: 타카쇼 미즈키, 다케다 신겐: 하나가타 히카루, 다테 마사무네: 하루카제 미사토, 사나다 마사유키: 츠키오 카즈사, 사루토비 사스케: 노조미 후토, 유메: 메부키 유키나, 오야마다 노부시게: 사에즈키 루나, 우사미 사다미쓰: 오오토리 마유, 나오에 가네쓰구: 타이가 린, 카스가: 오사키 아야카, 사스케: 코토카 치노, 유키무라(소년): 하루히 우라라



'''TV 드라마''' (마이니치 방송, 2012년 7월 12일 ~ 9월 20일 / BS-TBS, 2012년 9월 4일 ~ 10월 30일): 하야시 켄토/타케다 코헤이 주연[82], 무대판 출연 나가사와 나오/시이나 타이조 같은 역 출연, 오다 노부나가 역 GACKT 민방 연속 드라마 첫 고정 출연.

TV 드라마 출연진
인물배우
다테 마사무네하야시 켄토
사나다 유키무라타케다 코헤이
카타쿠라 고주로토쿠야마 히데노리
사루토비 사스케이자와 유키
우에스기 겐신아리스에 마유코
카스가오치아이 쿄코
노히메나가사와 나오
아케치 미츠히데히구치 유키
모리 란마루시이나 타이조
다케다 신겐이와나가 히로아키
오다 노부나가GACKT
나레이터하쿠젠 사토시



; 오프닝 테마: 삼대J Soul Brothers〈LET'S PARTY〉 (rhythm zone)

; 엔딩 테마: GACKT〈백로-HAKURO-〉 (avex entertainment)[82]

'''극장판 리믹스 버전''' (2012년 11월 24일 ~ , 시네 리브르 이케부쿠로 외): TV 드라마판 영상 바탕, TV 미방송 비화 추가, 드라마 전 9화 재편집.

; 오프닝 테마: 삼대 J Soul Brothers〈LET'S PARTY〉

; 엔딩 테마: GACKT〈백로-HAKURO-〉

{| class="wikitable"

|+ 북미판 성우

|-

! 인물 !! 성우

|-

| 다테 마사무네(푸른 용) || 나카이 카즈야[3]/커비 모로우[4]

|-

| 사나다 유키무라 (전갈) || 호시 소이치로[3]/앤드루 프랜시스[4]

|-

| 다케다 신겐 (붉은 미노타우르) || 겐다 텟쇼[3]/마크 기번[4]

|-

| 사루토비 사스케 (탈론) || 코야스 타케히토[5]/데이비드 오스[4]

|-

| 카스가 (비너스) || 쿠와타니 나츠코[5]/비너스 테르조[4]

|-

| 오다 노부나가 (마왕) || 와카모토 노리오[3]/개리 춈크[4]

|-

| 노히메 (레이디 버터플라이) || 히노 유리카[3]/캐슬린 바[4]

|-

| 모리 란마루 (호넷) || 시모와다 히로키[5]/캐시 웨슬럭[4]

|-

| 아케치 미츠히데 (리퍼) || 하야미 쇼[5]/피터 켈라미스[4]

|-

|

4. 시스템

이 게임은 데빌 메이 크라이, 진·삼국무쌍, 전국무쌍과 유사한 개념의 핵 앤 슬래시, 액션 게임이다.

게임의 서양 버전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게임 플레이 변경 사항이 있었다. 4명의 캐릭터는 플레이할 수 없게 되었고, 다양한 기술이 제거되거나 추가되었다. 난이도는 게임을 더 어렵게 만들도록 변경되었다 (일본판 노멀은 이지로, 일본판 하드는 노멀로 변경되었으며, 이지는 경험치를 30% 적게 보상하고 3번째 이상 무기를 제공하지 않는 반면 노멀은 일본판 노멀 보상을 유지한다). 전투 시스템 또한 수정되어 "프라이밍"이라는 요소가 추가되었다 (캐릭터의 특수 공격 중 하나가 프라이밍 공격이 되었고, 이 공격을 사용하여 적을 "프라임" 상태로 만들어 피해를 더 쉽게 받게 하고 더 높은 콤보 연쇄를 가능하게 했다).

4. 1. 공통 시스템

PS2판에서는 □ 버튼이 일반 공격, × 버튼이 점프, ○ 버튼이 바사라 기술(무쌍 공격에 해당)이며, △ 버튼은 〈'''고유 기술'''〉이다(기본 설정이며 옵션에서 변경 가능).[58][59]

고유 기술은 일반 공격보다 강력하며, 격투 게임의 필살기와 비슷하다. 연사가 가능하거나 공격 외에도 스피드나 공격력, 방어력을 높이는 등 무쌍 시리즈의 차지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기술에 따라서는 바사라 게이지를 소비하기도 한다. 무장의 레벨을 올리면 사용할 수 있는 고유 기술이 늘어난다. 스테이지 중에는 인터미션에서 장비한 두 종류의 고유 기술만 사용할 수 있지만, 반대로 장비한 고유 기술에 따라 무장의 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적에게 피해를 주거나, 플레이어가 피해를 받거나, 스테이지 중에 신수를 획득하면 바사라 게이지가 증가한다. 또한 플레이어의 체력이 감소하여 빈사 상태가 되면, 서서히 바사라 게이지가 증가한다. 게이지가 가득 차면, 캐릭터 고유의 〈'''바사라 기술'''〉을 사용하여 다수의 적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바사라 기술을 사용하는 중에는 무적 상태가 되며, 무장에 따라 추가 속성 피해를 주거나 일시적으로 파워가 상승하는 등, 개성 있는 공격을 펼친다.

이 게임은 데빌 메이 크라이, 진·삼국무쌍, 전국무쌍과 유사한 개념의 핵 앤 슬래시, 액션 게임이다.

4. 2. 각 작품의 특징

PS2판에서는 □ 버튼이 일반 공격, × 버튼이 점프, ○ 버튼이 바사라 기술(무쌍 공격에 해당)로 무쌍 시리즈와 같지만, △ 버튼은 〈'''고유 기술'''〉이다(이것은 기본 설정이며 옵션에서 변경 가능).[58]

고유 기술은 일반 공격보다 강력하며, 격투 게임 등에서의 필살기에 해당한다. 연사가 가능하거나 공격 외에도 스피드를 올리거나, 공격력·방어력을 높이는 등 무쌍 시리즈의 차지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기술에 따라서는 바사라 게이지를 소비하기도 한다. 무장의 레벨을 올리면 사용할 수 있는 고유 기술이 늘어난다. 스테이지 중에는 인터 미션에서 장비한 2 종류의 고유 기술밖에 사용하지 못하지만, 반대로 장비한 고유 기술에 따라 무장의 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58]

적에게 피해를 주거나, 플레이어가 피해를 받거나 혹은 스테이지 중에 신수를 획득하면 바사라 게이지가 증가한다. 또한 플레이어의 체력이 감소하여 빈사 상태가 되면, 서서히 바사라 게이지가 증가한다. 게이지가 가득 차면, 캐릭터 고유의 〈'''바사라 기술'''〉을 사용하여, 다수의 적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바사라 기술을 사용하는 중에는 무적 상태이며, 무장에 따라 추가 속성 피해를 주거나 일시적으로 힘이 강해지는 등, 개성 있는 공격을 펼친다.[58]

이 게임은 ''데빌 메이 크라이'', ''진·삼국무쌍'', ''전국무쌍''과 유사한 개념의 핵 앤 슬래시, 액션 게임이다.[58]

게임의 서양 버전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게임 플레이 변경 사항이 있었다. 4명의 캐릭터는 플레이할 수 없게 되었고, 다양한 기술이 제거되거나 추가되었다. 난이도는 게임을 더 어렵게 만들도록 변경되었다 (일본판 노멀은 이지로, 일본판 하드는 노멀로 변경되었으며, 이지는 경험치를 30% 적게 보상하고 3번째 이상 무기를 제공하지 않는 반면 노멀은 일본판 노멀 보상을 유지한다). 전투 시스템 또한 수정되어 "프라이밍"이라는 요소가 추가되었다 (캐릭터의 특수 공격 중 하나가 프라이밍 공격이 되었고, 이 공격을 사용하여 적을 "프라임" 상태로 만들어 피해를 더 쉽게 받게 하고 더 높은 콤보 연쇄를 가능하게 했다).[58]

5. 테마송

시리즈구분곡명가수
전국 바사라메인 테마crosswiseT.M.Revolution
전국 바사라 2(PS2)오프닝 테마DIVE into YOURSELFHIGH and MIGHTY COLOR
엔딩 테마Brave반 토미코
전국 바사라 2(Wii)오프닝 테마BLADE CHORDabingdon boys school
엔딩 테마Brave반 토미코
전국 바사라 2 영웅외전메인 테마BLADE CHORDabingdon boys school
삽입곡잠들거라 붉은 꽃이여노토 마미코
전국 바사라 X메인 테마crosswiseT.M.Revolution
전국 바사라 배틀 히어로즈메인 테마JAPabingdon boys school
삽입곡Sailing freeOLIVIA
전국 바사라 3 (PS3, Wii)오프닝 테마Naked armsT.M.Revolution
엔딩 테마역광이시카와 치아키
전국 바사라 크로니클 히어로즈메인 테마FLAGST.M.Revolution
삽입곡맹세Do As Infinity
전국 바사라 3 연오프닝 테마UTAGET.M.Revolution
엔딩 테마황혼Do As Infinity
전국 바사라 1기오프닝 테마JAPabingdon boys school
엔딩 테마Break & PeaceDUSTZ
엔딩 테마(제13화)dear sunshineDAIGO☆STARDUST
삽입곡Unravel(제6화), 낙루(제6화)DAIGO☆STARDUST, 이시카와 치아키
전국 바사라 2기오프닝 테마SWORD SUMMITT.M.Revolution
엔딩 테마(제1화 - 제6화)El DoradoAngelo
엔딩 테마(제7화 - 제11화)FATEAngelo
엔딩 테마(제12화)SWORD SUMMITT.M.Revolution
삽입곡눈물샘(제3화)이시카와 치아키
삽입곡양보할 수 없는 생각(제12화)May`n
전국 바사라 Judge End오프닝 테마ThunderclapFear, and loathing in Las Vegas
엔딩 테마북극성 ~폴라리스MATERIAL WORLD
극장판오프닝 테마FLAGS
엔딩 테마The party must go on
학원 바사라오프닝 테마LET'S PARTY삼대J Soul Brothers
엔딩 테마백로-HAKURO-GACKT[82]


6. 인터넷 라디오

모두 친구! 전국 바사라디오일본어

2007년 발매된 전국 바사라 2 영웅외전 출시를 기념하여 등장인물, 세계관, 각 문장의 특징적인 에피소드 등을 소개한 인터넷 라디오 방송이다.



전국 BASARA【금】(쿠가네)일본어

2009년 4월 전국 바사라 애니메이션화를 기념하여 방송되었으며, 매회 주로 남자 캐릭터를 연기한 성우들을 초대하여 진행하였다. 여자 캐릭터를 연기한 성우들을 초대한 시로가네일본어는 쿠가네일본어의 자매 방송이다. 방송분을 모아 DJCD도 발매되었다.

회차게스트비고
1화호시 소이치로(사나다 유키무라 역)
2화나카이 카즈야(다테 마사무네 역)스페셜 게스트: 쿠와타니 나츠코(카스가 역) *공개방송
3화코야스 타케히토(사루토비 사스케 역)
4화모리카와 토시유키(카타쿠라 코쥬로 역)
5화와카모토 노리오 (오다 노부나가 역)
6화나카하라 시게루 (모리 모토나리 역)
7화이시노 류조 (쵸소카베 모토치카 역)



전국 BASARA【은】(시로가네)일본어


회차게스트
1화 및 7화초대 게스트 없음
2화박로미(우에스기 켄신 역)
3화츠지타니 코지(아자이 나가마사 역)
4화카이다 유코(마츠 역)
5화코야스 타케히토(사루토비 사스케 역)
6화히노 유리카(노히메 역)


7. 평가

Capcom은 ''전국 바사라''를 서양에 출시하면서 센고쿠 시대일본 관련 내용을 모두 삭제하고, 자사의 히트작 ''데빌 메이 크라이''와 연결되는 판타지 스토리로 변경하였다. 심지어 ''데빌 킹스''라는 제목의 표지에 ''DMC'' 스타일 글꼴을 사용하기도 했다.[8]

코바야시 히로유키와의 IGN 인터뷰 내용:[8]

:''코바야시: 일본에서 데빌 킹스는 전국 바사라라고 불리며, 일본 역사를 기반으로 하지만 캡콤 특유의 스타일을 담고 있습니다. 게임을 만들면서 다른 핵 앤 슬래시 게임과 차별화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했습니다. 캡콤이 제작한 다른 게임들, 즉 데빌 메이 크라이의 스타일과 스트리트 파이터 2처럼 캐릭터를 뚜렷하게 만드는 방식을 적용했습니다. 북미와 유럽에 출시할 때는 어둡고 악마적인 판타지 설정을 가진 게임, 즉 데빌 메이 크라이의 느낌이 강한 게임을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데빌 킹스라고 부르고 주인공을 악당으로 만들었으며, 배경을 어둡게 하고 더 많은 기술을 부여했습니다.''

:''IGN: 역사적으로 정확하지 않다는 말씀이시죠?''

:''코바야시: 일본 버전은 일본 역사를 기반으로 하지만 판타지 요소도 있습니다. 북미와 유럽 버전에서는 역사적 요소를 완전히 제거했습니다. 일부 배경은 일본풍을 유지할 수도 있지만, 많은 배경과 적은 완전히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더 이상 봉건 시대 일본이라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변경은 인기가 없었고, ''데빌 킹스''는 비평과 상업적인 면에서 모두 실패했다. 2010년 가을 ''전국 바사라: 사무라이 히어로즈''가 출시되기 전까지 북미와 유럽에 ''전국 바사라'' 게임은 더 이상 출시되지 않았다.

서구 버전(''데빌 킹스'')은 리뷰 집계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평가 혼조"를 받았다.[9]

일본 버전은 팬, 비평가, 소비자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팬들은 일본 버전에 긍정적인 평가를, 서구 버전에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한 팬은 "''전국 바사라''는 팬들과 게이머들 사이에서 컬트 클래식으로 여겨졌지만, ''데빌 킹스''는 서구 출시를 위해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겨졌어야 할 좋은 게임의 끔찍한 현지화로 여겨졌다"라고 말했다. 패미통에서 31/40점을 받았다.[13] 플레이스테이션 2 '더 베스트' 라벨로 재출시되었다. 일본에서 첫 주에 88,711개, 총 232,589개가 판매되었다.[21][22]

8. 기타

戦国BASARA일본어 시리즈는 게임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 믹스 전개를 보이고 있다.



게임과 애니메이션 모두 주제가는 T.M.Revolution (니시카와 타카노리) 또는 니시카와가 보컬을 맡는 abingdon boys school이 담당하고 있다. 애니메이션의 오프닝 테마는 「FLAGS」, 엔딩 테마는 「The party must go on」이며, 에픽 레코드 재팬에서 발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ress Releases http://www.capcom.co[...] 2005-12-24
[2] 웹사이트 Updated Australian Release Lists 6/2/06 http://www.palgn.com[...] 2019-09-01
[3] 비디오 게임 戦国BASARA Capcom
[4] 웹사이트 Devil Kings (2005 Video Game) https://www.behindth[...] 2021-04-14
[5] 비디오 게임 戦国BASARA Capcom
[6] 비디오 게임 戦国BASARA Capcom
[7] 비디오 게임 戦国BASARA Capcom
[8] 웹사이트 E3 2005: Hiroyuki Kobayashi Interview https://www.ign.com/[...] Ziff Davis 2019-09-01
[9] 웹사이트 Devil Kings for PlayStation 2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9-09-01
[10] 간행물 Devil Kings Future plc 2005-10
[11] 간행물 Devil Kings Ziff Davis 2005-11
[12] 웹사이트 Devil Kings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19-09-01
[13] 간행물 戦国BASARA [PS2] https://www.famitsu.[...] Enterbrain 2019-09-01
[14] 간행물 Devil Kings GameStop 2005-11
[15] 웹사이트 Devil Kings Review https://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9-09-01
[16] 웹사이트 GameSpy: Devil Kings http://ps2.gamespy.c[...] IGN Entertainment 2019-09-01
[17] 웹사이트 Devil Kings - PS2 - Review https://www.gamezone[...] 2019-09-02
[18] 웹사이트 Devil Kings https://www.ign.com/[...] Ziff Davis 2019-09-01
[19] 간행물 Devil Kings Ziff Davis 2005-11
[20] 뉴스 Devil Kings https://www.smh.com.[...] Fairfax Media 2019-09-01
[21] 웹사이트 Sengoku Basara https://salesdatabas[...]
[22] 웹사이트 Sengoku Basara https://salesdatabas[...]
[23] 웹사이트 ライセンスビジネスサイト|戦国BASARAシリーズ https://www.capcom.c[...] 2021-08-20
[24] 문서
[25] 웹사이트 「戦国BASARA X」トークイベント、ゲストは能登麻美子さん! https://ascii.jp/ele[...] アスキー・メディアワークス 2013-01-12
[26] 뉴스 2009-11-08
[27] 뉴스 2009-10-21
[28] 뉴스 宮城知事選:「戦国BASARA」で投票呼び掛け https://web.archive.[...] 毎日jp 2009-10-24
[29] 웹사이트 電撃 - 【週間ソフト販売ランキング TOP50】PS3戦国BASARA4』が推定16.5万本を販売し1位を獲得! 9本の新作が初登場(1月20日 - 26日) https://dengekionlin[...] 2014-02-04
[30] 웹사이트 【ゲームソフト販売本数ランキング TOP30】集計期間:2010年9月6日 - 2010年9月12日 https://www.famitsu.[...] 2013-03-04
[31] 서적 ファミ通ゲーム白書2012 補完データ編(分冊版) エンターブレイン 2016-12-04
[32] 문서
[33] 서적 ファミ通ゲーム白書2013 補完データ編(分冊版) 엔터브레인 2016-07-02
[34] 웹사이트 【週間ソフト販売ランキング TOP50】PS3『戦国BASARA4 皇』が初登場3位を獲得(7月20~26日) https://dengekionlin[...] 2017-08-27
[35] 문서
[36] 문서 片倉小十郎、猿飛佐助、大谷吉継、最上義光、本多忠勝、黒田官兵衛、小早川秀秋、立花宗茂、島津義弘、風魔小太郎以外の武将。
[37] 문서 島左近、柴田勝家、山中鹿之介の3名。
[38] 서적 週刊ファミ通 2016年1月28日号 KADOKAWA 2016
[39] 문서 合戦ルーレットの「変化」を当てたときのみ一時的に操作できる。
[40] 웹사이트 戦国BASARA 真田幸村伝 http://www.e-capcom.[...] イーカプコン 2016-05-20
[41] 웹사이트 【週間ソフト販売ランキング TOP50】PS4/PS3『ペルソナ5』合計37.5万本でワンツーフィニッシュ(9月12日~18日) https://dengekionlin[...] 2016-09-23
[42] 웹사이트 【週間ソフト販売ランキング TOP50】PS4『東亰ザナドゥ』が1.7万本で1位(9月5日~11日) https://dengekionlin[...] 2016-09-17
[43] 문서 前述通り、Wiiの『英雄外伝』に同梱されている移植版では「BLADE CHORD」に、PS3の『HD』に収録されているリマスター版では「WE aRE」に差し替えられている。
[44] 웹사이트 劇場版の原画や裏話を交えて制作の現場を知ることができた,公開講座「監督とプロデューサーが語る『劇場版 戦国BASARA -The Last Party-』ができるまで」聴講レポートを掲載 https://www.4gamer.n[...] 2011-07-20
[45] 문서 全日枠作品としては、過去にTBSを加えた3局共同製作の実績あり。
[46] 간행물 月刊ニュータイプ 2009年3月号 角川書店 2009-03-01
[47] 문서 テレビ未放送・OVAエピソード。DVD『戦国BASARA 其の七』に収録。
[48] 문서 TBS系列深夜アニメが[[全日]]枠へ昇格するのは、同じくMBS製作『[[コードギアス 反逆のルルーシュ]]』シリーズ以来となる。また、第2期放送に先駆けて2010年1月期にはMBS『アニメシャワー』枠第3部にて第1期が再放送された他、第1期をまとめた総集編が第1期の未放送地域を中心に順次放送された。
[49] 뉴스 戦国BASARA弐 :関西7.4%「日5枠」最高視聴率 関東でも歴代3位の5.3% https://web.archive.[...] 毎日新聞デジタル 2010-07-16
[50] 문서 第1期同様のテレビ未放送・OVAエピソード。DVD『戦国BASARA弐 其の七』に収録された。
[51] 문서 TBS系列局が存在しない[[秋田県]]・[[福井県]]・[[徳島県]]・[[佐賀県]]を除く。
[52] 웹사이트 放送情報 https://www.tbs.co.j[...] TBSテレビ 2018-09-22
[53] 문서 ゲーム第1作目などで声を担当した川上とも子が2011年に逝去した後、いつきはアニメで登場する機会自体がほとんど無かった。
[54] 문서 訃報が公表された際、音響監督の岩浪は自身のTwitterにて「辻谷の出演部分は最終話まで収録済みである」と明かしている。
[55] 웹사이트 2018年10月24日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18-10-27
[56] 웹사이트 スタッフ&キャスト https://www.tbs.co.j[...] TBSテレビ 2018-07-14
[57] 웹사이트 音楽情報 https://www.tbs.co.j[...] TBSテレビ 2018-07-14
[58] 웹사이트 学園BASARA https://www.tbs.co.j[...] TBSテレビ 2018-09-11
[59] 웹사이트 Blu-ray&DVD https://www.tbs.co.j[...] 2018-10-05
[60] 간행물 キネマ旬報 2012-02
[61] 문서 上映されていない地方を中心に問い合わせが多数寄せられたため最終的に約70-80スクリーンに増加した。
[62] 웹사이트 『パイレーツ・オブ・カリビアン』国内興収50億円突破!3週連続首位に!『パラキス』『もしドラ』追いつかず!! https://www.cinemato[...] 2011-06-07
[63] 웹사이트 映画『劇場版 戦国BASARA -The Last Party-』並みいる強豪を抑え堂々のスクリーンアベレージ1位スタート http://www.cinematop[...] 2011-06-08
[64] 웹사이트 アニメ「劇場版 戦国BASARA -The Last Party-」の地上波初放送が決定! https://twitter.com/[...] Twitter 2015-12-15
[65] Youtube 「戦国BASARA Judge End」のwebラジオが放送決定! 保志総一朗・関智一の「戦国BASARA Judge End」ラジオがスタート! 7月13日より毎週日曜24:30~25:00、文化放送「超!A&G+」にて放送予定。 https://twitter.com/[...]
[66] 웹사이트 宝塚花組公演『戦国BASARA』-幸村役の蘭寿とむ「女性がハマる理由わかる」 https://news.mynavi.[...] 2013-03-18
[67] 웹사이트 『戦国BASARA』の実写ドラマ化が決定! 7月12日(木)より放送スタート!! https://www.famitsu.[...] エンターブレイン 2012-06-16
[68] 문서 第1話は1:37 - 2:07、第4話は1:55 - 2:25、最終話は1:31 - 2:01に放送。
[69] 웹사이트 「戦国BASARA バトルパーティー」のサービスが12月21日21:30をもって終了 https://www.4gamer.n[...]
[70] 웹사이트 『戦国BASARA』長宗我部元親、高知県知事選挙啓発イメージキャラクターに https://www.oricon.c[...] ORICON STYLE 2015-10-19
[71] 뉴스 美しすぎる戦国武将 ゲームキャラ人気 博物館とコラボも 朝日新聞 2013-04-22
[72] 웹사이트 天都ノ國合戦 The Battle of Amatsu no Kuni https://teppenthegam[...] TEPPEN -Official Site- 2021-04-09
[73] 웹사이트 天都ノ國絵巻 The Tale of Amatsu no Kuni https://teppenthegam[...] TEPPEN -Official Site- 2021-04-09
[74] 웹사이트 スマスロ 戦国BASARA GIGA機種情報 https://p-gabu.jp/gu[...] 777パチガブ 2023-08-07
[75] 웹사이트 宮城県特産品のTVアニメ『戦国BASARA』関連グッズの御紹介について http://www.pref.miya[...] 宮城県 2013-04-27
[76] 웹사이트 宮城県庁で「戦国BASARA」商談会-地元での販路拡大目指す http://sendai.keizai[...] 2013-01-12
[77] 웹사이트 2010年07月19日「戦国BASARA弐」と全国各地の酒蔵がタイアップ https://animeanime.j[...] 2013-04-27
[78] 웹사이트 鬼小十郎まつり - 白石城が「戦場」となる鬼小十郎まつり http://onikojuro.jp/ 2024-11-09
[79] 웹사이트 鬼小十郎まつり歴代ポスター - 鬼小十郎まつり鬼小十郎まつり http://onikojuro.jp/[...] 2024-11-09
[80] 웹사이트 戦国BASARA伊達政宗公騎馬像をお披露目します。 - 白石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shi[...] 2024-11-09
[81] 문서 과거에 정규 시간대 애니메이션으로는 TBS를 포함해 3국 공동 제작을 한 적이 있다.
[82] 웹인용 『戦国BASARA』の実写ドラマ化が決定! 7月12日(木)より放送スタート!! http://www.famitsu.c[...] エンターブレイン 2012-06-16
[83] 웹인용 Devil Kings for PlayStation 2 Reviews https://www.metacrit[...] CBS Interactive 2019-09-01
[84] 잡지 Devil Kings 퓨처 (기업) 2005-10
[85] 잡지 Devil Kings Ziff Davis 2005-11
[86] 웹인용 Devil Kings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19-09-01
[87] 웹인용 戦国BASARA [PS2] https://www.famitsu.[...] Enterbrain 2019-09-01
[88] 잡지 Devil Kings GameStop 2005-11
[89] 웹인용 Devil Kings Review https://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9-09-01
[90] 웹인용 GameSpy: Devil Kings http://ps2.gamespy.c[...] IGN Entertainment 2019-09-01
[91] 웹인용 Devil Kings - PS2 - Review https://www.gamezone[...] 2019-09-02
[92] 웹인용 Devil Kings https://www.ign.com/[...] Ziff Davis 2019-09-01
[93] 잡지 Devil Kings Ziff Davis 2005-11
[94] 뉴스 Devil Kings https://www.smh.com.[...] Fairfax Media 2019-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